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유주의와 공화주의 사이: 토크빌 다시 읽기

        이용재 한국서양사연구회 2009 서양사연구 Vol.0 No.40

        The bicentennial of the birth of Alexis de Tocqueville(1805-1858) affords us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one of the most complex works of his time, and to contemplate his political and social thoughts. Long time after having sunk into relative oblivion, Tocqueville returned to the center of French intellectual life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Raymond Aron and oth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renaissance by enthroning Tocqueville among the most pertinent thinkers for understanding the Western democracies. Tocqueville is now rebaptized ‘a liberal by excellence’ in French intellectual arena. But it is very interesting that in Anglo-Saxon world, Tocqueville is generally understood as a philosopher of republican thoughts. Reading Tocqueville therefore illustrates the breadth of approaches that have emerged during the explosion of Tocqueville research over the past decades. Is Tocqueville a liberal? His many works seem to afford a positive response, but this is more apparent than real. Democracy in America has many other aspects of political thought than liberalism. Here some republican historians provide us with several valuable leads to help solve the case. We can try to bring up, from Tocqueville’s thoughts, civic humanism and republican ideas, now described by John Pocock in his famous Machivallian Moment(1975). On the ‘tyranny of majority’, described in the ‘First Democracy’(1835), there would be no real differences between Tocqueville and his contemporary liberal thinkers. But if we focus on ‘individualism’ and ‘democratic despotism’, major themes of the ‘Second Democracy’(1840), we can find many elements allowing to reassess him as a republican thinker. Tocqueville celebrated the local character of American freedom and asserted the importance of free associations. He insisted that democracy could only be sustained by vigorous civic activit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ll citizens in the communal life, res publica, is common to all republican discourses. It is in these aspects that Tocqueville is entitled to a place among the great republican thinkers.

      • 토크빌의 ‘다수의 전제권력’과 그 폐단 및 해소요인

        은은기(Eun Eun-Gi) 계명사학회 2007 계명사학 Vol.18 No.-

        This article examines what Alexis de Tocqueville means by the tyranny of the majority. Tocqueville accepts that he saw in the United States a democratic social state and real popular sovereignty. He insists that "above all the institutions and beyond all the forms there a sovereign power, that of the people, which can abolish or change them as it pleases". As a rule, in a democracy the majority possesses a natural strength because its primacy derives from the core principle of democracy itself. He agrees with that the American People who have the real sovereign power can elect a extreme rightest such as Hitler as their president or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Nations who can peril their nation. But, Tocqueville insists that there is something in the interior of the American democratic system that is necessary to overcome it. According to Tocqueville, the authority that is absolute in principle can be balanced by other essential elements of government or by informal powers. customs or principles. When such balancing prevails, it is not likely that the dominant power of the majority will be able to rule solely in its own interest. Mores and circumstances were such that democracy was established with comparative facility. without the need to suppress a determined internal opposition. Also, the natural circumstances, laws and juridical system of America are another element that hinders the emergence of the majority tyranny. And, at the national level, the constitutional separation of powers inhibits the gradual extension of majority dominance into factual omnipotence. This is a sort of barrier against political tyranny, although it is in his mind a rather weak reed to lean on, offering an insufficient grantee against tyranny. The another element to weaken the tyranny is that majorities lack the cohesiveness and consistency which the old-fashioned tyrants necessitated. Among thes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the american mores and circumstances. Tocqueville concedes that circumstances and mores have made a potentially monolithic majoritarianism in America comparatively gentle and mild in its overall tendencies. As a result,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prevent the american democracy from going to road to tyranny is to cultivate the custom and mores. Their cultivation is made effectively in the American circumstances.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worry about the peril of the collapse of American democracy. This is Tocqueville s thought.

      • KCI등재

        Tocqueville and Transitions to Democracy : West and East

        Cheryl B. Welch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7 OUGHTOPIA Vol.22 No.1

        The plan of the paper is to discuss the most important themes that emerge from Tocqueville's consideration of the challenges inherent in Europe's transition to democracy, briefly review some of the contemporary uses of Tocqueville in the United States, and explore a certain conjuncture of concerns between Tocqueville's texts and the work of contemporary scholars of East Asian democratization who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role of culture.

      • KCI등재

        민주주의: 밀과 토크빌

        서병훈 ( Byung Hoon Suh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5 韓國 政治 硏究 Vol.24 No.1

        존 스튜어트 밀은 1835년과 1840년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 I, II에 대한 장문의 서평을 쓰면서 그를 “우리 시대의 몽테스키외”라고 격찬했다. 20여 년 뒤, 밀은 『자서전』에서 자신이 토크빌의 영향을 받아 ‘수정 민주주의자’가 되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무슨 의미로 수정 민주주의라는 말을 썼을까? 밀은 토크빌의 영향을 적시(摘示)했는데, 토크빌 사상의 어떤 측면을 염두에 둔 것일까? 이 글은 밀이 토크빌의 영향을 받아수정 민주주의자가 되었다고 했지만, 그 수정 민주주의의 큰 줄기는 그가 토크빌을 만나기 전에 이미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어서 밀이 『미국의 민주주의』를 탐독했지만, 정작 토크빌이 그 책에서 마음에 담았던 핵심 문제의식은 소홀히 했다는 점도 지적하고자 한다. 토크빌이 참여와 자유의 연결고리를 주목했다면 밀은 참여의 교육적 효과에 집중했다. 토크빌이 습속을 눈여겨 본 반면, 밀은 교육의 힘을 과신했다. 이 글은 이런 논거를 들어 토크빌의 영향을 받아 수정 민주주의로 선회했다는 밀의 진술이 석연치 않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In his Autobiography, John Stuart Mill recalled that, after having read, or studied, Tocqueville’s Democracy in America, he had come to move toward the modified democracy. This essay attempts to raise questions regarding Mill’s remark. First, Mill had articulated the concept of the representative, which would become a key element in his modified, or skilled democracy, before he met Tocqueville. As far as it is concerned, it is beyond doubt that Mill was not influenced by Tocqueville. Second, Mill simply focused on the education effects of participation while Tocqueville st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freedom. Third, Mill believed in the absolute power of education in promoting democracy, but Tocquevill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s moeurs. Given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nkers, it is not easy to accept Mill’s allegation that he had been influenced by Tocqueville with regard to his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of democracy.

      • KCI등재

        토크빌의 “민주적 전제”론의 분석적 재구성

        이황직(Hwang Jik Yi) 한국사회이론학회 2013 사회이론 Vol.- No.43

        이 글은 토크빌의 주요 저술과 연구 노트를 바탕으로 그의 민주주의 정치⋅사회이론 가운데 특히 다수 지배의 문제를 분석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그동안 토크빌을 보수적 자유주의자로 해석한 연구에서 ‘다수의 폭정’론은 민주주의의 과잉에 대한 근본적 한계를 지적한 것으로 주로 해석해왔고, 아울러 토크빌의 ‘민주적 전제’ 개념과 구분하지 않은 채뒤섞어 분석하여 토크빌의 통찰을 속류화해 왔다. 하지만 필자의 분석 결과, 이러한 일반적 해석은 설득력이 약했다. ‘다수의폭정’론 자체는 고대 그리스 민주주의 시기부터 문제되어 왔기때문에 토크빌의 독창적 기여라고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토크빌의 주요 저술을 분석적으로 재구성하여 그의 다수 문제 논의의 핵심을 파악하여 ‘다수의 폭정’론에서 ‘민주적전제’ 개념을 분리해냈다. 우선, 토크빌의 ‘다수의 폭정’론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입법부의 다수파에 의한 전횡으로서 ‘제도적 다수의 폭정’으로 개념화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다수 여론의 지배’로 개념화할 수 있다. 특히 현대 민주정치에서는 후자의 위험성이 더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다음, 토크빌의 ‘민주적 전제’ 개념은 그의 산업사회론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하는 것으로, 시민들이 물질적 행복을 위해 공리적 합리성에따라 정치적 자유와 공공의 삶을 스스로 포기하고 대신 그것을 국가에 귀속시키는 중앙집권화 경향의 결과이다. 점차 개인과사회의 자치 역량이 사라지면서 시민들은 민주적 방식으로 전제정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것이야말로 민주주의가 처할 수 있는 가장 암울한 운명이다. While democratization process had been terminated, the problems of democracy has become in Korean society. In this article I tried to make clear that Tocqueville`s main thesis on tyranny of the majority and democratic despotism. Achieving this purpose, I paid attention to Tocqueville`s works and other articles, especially his masterpieces on political sociology: Democracy in America vol. I. and vol. II.. Trying analytical reconstruction on these volumes and his notes, made sure that Tocqueville`s notion of "democratic despotism"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argument about "tyranny of the majority". While, in Democracy in America vol. I., Tocqueville`s concern had been mainly with the institutions and mores of American democracy, in vol. II., he carried this matter to a full extent of modern world and emphasized the perilous aspects of administrative despotism by centralized government rather than the tyranny of the majority. Tocqueville pessimistically anticipated that the new despotism would be more enormous and interfering than even the most absolutist regime of the past. In part 4 of vol. II. he attempted to formulate solutions to this problem and it was especially necessary for Tocqueville to construct the general social theory on modern democracy with the coming of industrial society. For all the progress Tocqueville`s made, democracy requires praising moral greatness of political freedom as safeguard against "tyranny of the majorities" and "democratic despotism." For sustaining democracy, we should make efforts to prevent citizens to choose despotism even if it would soft and luscious. For this purpose, we should cultivate democratic civic culture and try to participate in public affairs at all levels from local to national.

      • KCI등재

        토크빌의 ‘새로운 자유주의’

        서병훈(Byung-Hoon Suh)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4

        토크빌은 ‘분류’가 힘든 사상가이다. 그런 토크빌이 자신을 ‘새로운 종류의 자유주의자’로 불렀다. 그는 당시 프랑스 사회에서 도덕과 종교, 질서를 높이 숭상하는 ‘질서 옹호자’들과 자유와 법 앞에서의 평등을 더 중시하는 ‘더러운 민주주의자’들이 갈라져 싸우는 것을 크게 개탄했다. 이 모든 것들이 동시에 하나로 합쳐져야만 ‘위대함과 행복’이 가능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도덕과 종교, 질서 그리고 자유와 평등이 ‘반드시 서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을 ‘이 시대가 해야 할 가장 아름다운 과업’으로 꼽았다. 토크빌은 ‘더러운 민주주의자’들이 자유를 폄훼하고, ‘질서 옹호자’들이 물질주의적 개인주의의 노예가 되고 있는 현실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질서 속에 규율있는 자유’를 제창했다. 그 출발점은 인간의 ‘우연한 존재상황’을 뛰어넘는 위대한 정치에 대한 염원이었다. 토크빌의 정치사상은 절충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복고적 향수의 자취를 남기고 있다. 그러나 위대한 정치를 통해 물질주의적 개인주의를 넘어가고자 하는 그의 문제의식은 오늘 이 시점에서 더욱 새로울 수밖에 없다. Tocqueville wanted to be a “New Kind of Liberal” in a way of criticizing and taking distance himself from both the “dirty democrats” and the “friends of order.” These two groups, according to Tocqueville, respectively represented the leftist democrats and the rightist conservatives in the nineteenth-century France, or European society in general. Tocqueville believed that “morality, religion and order”, on the one hand, and “freedom and equality”, on the other hand, must be pursued at the same time, because they are key elements for the human greatness and happiness. Tocqueville argued that the “dirty democrats”and the “friends of order”committed fatal mistakes by looking down upon this manifest truth and, thus, opened the way to material individualism and petty pleasures. He emphasized the urgency of the revival of the “great politics” and advocated the “New Kind of Liberalism”as an antidote for the humane tragedy.

      • KCI등재

        토크빌의 민주주의론 : 민주주의의 폐단에 대한 공화주의적 처방

        이용재(LEE, Yong-Jae)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6

        알렉시 토크빌은 자신의 양대 저작, 『아메리카의 민주주의』와 『앙시앵레짐과 프랑스혁명』에서 민주주의 시대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포괄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그는 평등이 지배적인 열정으로 군림하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자유의 도움으로 점차 평등이 실현됨에 따라 자유 그 자체는 더욱 얻기 힘들어 졌다고 말한다. 민주주의 시대에 개인주의는 개인의 고립과 물질적 탐닉을 낳고 급기야 민주적 독재를 초래할 위험을 안고 있다는 것이 그의 최종적인 진단이다. 토크빌은 이러한 민주주의의 폐단을 치유할 궁극적 방안으로 정치적 자유의 복원을 제안했다. 『아메리카의 민주주의』 첫째 권에 선보인 ‘다수의 전제’에 대한 분석은 사실 19세기 고전적 자유주의의 틀에서 그리 벗어나 있지 않다. 하지만 둘째 권의 핵심명제인 ‘개인주의’와 ‘민주적 전제정’에 대한 분석에는 그를 공화주의의 범주에서 해석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많이 나타난다. 토크빌은 정치적 자유의 훈련장으로 아메리카의 자유제도들을 높이 평가했다. 민주주의는 시민들의 정치참여 확대와 공공정신의 고양을 통해서만 확보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랑스 자유주의에 ‘공화파적 자유’의 요소를 도입했다는 점에서 토크빌은 스스로 칭했듯이 ‘새로운 유형의 자유주의자’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Alexis de Tocqueville gave some comprehensive views on the liberty and the equality in democratic ages, in his classical works, Democracy in America and The Old Regime and the Revolution. He argues that the ideal of equality being the ruling passion in democratic ages, liberty is made more difficult to be obtained, as equality increasingly establishes itself. Individualism being a peculiar problem under democracy, he thinks, the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of democratic peoples tend to prepare the way for despotic government. Tocqueville proposed the reintegration of the political liberty as a ultimate remedy for this democratic abuses. On the ‘tyranny of majority', described in the 'First Democracy', there would be no real differences between Tocqueville and his contemporary liberal thinkers. But if one focus on 'individualism' and ‘democratic despotism', major themes of the 'Second Democracy', one can find many elements allowing to reassess him as a republican thinker. Tocqueville celebrated the local character of American freedom and asserted the importance of free associations as a gymnasium for political liberty. He insisted that democracy could only be sustained by vigorous civic activity. Tocqueville proposed himself as ‘a liberal of a new kind', introducing some republican liberties in French Liberalism.

      • KCI우수등재

        ‘아메리카’에서 ‘민주주의’로 -토크빌의 『아메리카의 민주주의』의 탄생-

        이용재 ( Lee Yong-jae )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4

        토크빌은 『아메리카의 민주주의』를 ‘두 번’ 썼다. 1835년에 나온 첫째 권은 평단과 정치권의 열띤 찬사를 받았으나, 전작의 후광을 얻어 5년 후에 나온 둘째 권에는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평가가 잇달았다. 토크빌은 아메리카를 배경으로 한 첫째 권이 주로 경험적이고 묘사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반면, 민주주의 자체를 연구한 둘째 권은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성찰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동일한 제목을 달고 있는 첫째 권과 둘째 권은 사실 동일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완전히 달라진 평가와 전망을 내놓았다. 첫째 권에서는 주로 아메리카의 정치문화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민주주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내놓았다. 하지만 첫째 권 이후 토크빌은 한편으로 영국 체류의 경험을 통해, 다른 한편으로 선거출마와 정계입문의 경험을 통해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성찰과 달라진 시각을 보여주었다. 둘째 권에 나타나는 민주주의는 현실보다는 이념형에 가까우며 왜소하고 무기력한 현대인의 자화상처럼 보인다. 첫째 권에서 토크빌은 아메리카와 프랑스의 사례를 비교하면서도 아메리카를 한복판에 두고 민주주의의 풍경화를 그려냈다. 하지만 둘째 권은 아메리카는 물론이고 영국과 프랑스를 은은한 배경으로 간직한 민주주의의 추상화라고 할만하다. Alexis de Tocqueville wrote Democracy in America twice. While the first volume published in 1835 was welcomed by literary critics and political circles, the second volume, published 5 years later, suffered negative and critical assessments. Tocqueville clarified that the second volume focusing on democracy itself contained abstract and theoretical reflection, while the first volume dealing with American issues consisted of empirical and descriptive contents. In effect, although the two volumes with the same title covered the identical theme, each of them presented entirely different appraisal and prospects. The first volume mainly analyzed American political culture and presented optimistic prospects of democracy. However, after publishing the volume, Tocqueville, who stayed in Britain, ran for elections and entered politics, indicated new consideration and somewhat changed viewpoints. Democracy in the second volume got closer to ideal type than realities, and assumed inactive and enervated manner. In the first volume, Tocqueville painted landscapes of democracy pivoting around America while comparing America and France. But the second volume looked like an abstract of democracy that overshadowed all concrete scenes such as America, Britain, and France.

      • KCI등재

        ‘제국주의자’의 우정

        서병훈(Byung-Hoon Suh)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5

        토크빌과 존 스튜어트 밀은 남다른 우정을 나누었다. 밀은 토크빌이 정치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칭찬했고, 토크빌은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이해한 사람은 밀뿐이었다고 화답했다. 그런 두 사람이 1840년대 초반, 심각한 정치적 견해차를 보이면서 결별하고 말았다. 당시 국제정세를 둘러싸고, 토크빌이 프랑스의 명예와 자존심을 위해 필요하다면 전쟁도 불사해야 한다는 발언에 대해, 밀이‘유치한 발상’이라고 비판한 것이 그 단초였다. 이에 대해 토크빌은 밀의‘선의의 제국주의론’을 위선과 이중성의 산물이라고 맞받아쳤다. 토크빌과 밀은 각기 상대방을 항해‘유치’, ‘위선’이라고 공격했지만, 두 사람의 논리에는 그런 공격이 무색할 정도의 비일관성이 엿보인다. 그런 한편, 밀의 제국주의가 일정 수준 진정성을 띠고 있었고, 토크빌의 식민지론이 당시 프랑스 사회의 위기상황에 대해 나름의 고민을 반영한 것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무엇보다 밀의 문명론과 토크빌의‘위대함’이 동일한 문제의식을 겨냥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런 문제의식에 압도된 나머지 제국주의론의 어두운 그늘을 손쉽게 간과했다는 점에서도 두 사람은 유사한 행적을 선보였다. 밀이 토크빌의 고뇌를 보다 적극적으로 껴안고, 토크빌이 밀의 진정성을 보다 열린 가슴으로 받아들일 수는 없었을까? 부질없는 일이지만, 이 글은 이런 일련의 논거를 통해 한때 찬란하기까지 했던 두 사람의 우정을 다시 이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Tocqueville and John Stuart Mill have been remembered by their spectacular friendship. Mill praised Tocqueville as Montesquieu of his time. Tocqueville, in turn, kept saying that Mill"s opinion and esprit greatly moved his heart. But the beautiful intimacy between the two thinkers suddenly broke up because of their different viewpoints regarding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1840’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probability of reconnecting their friendship. The starting point is that Mill should have paid more compassionate understanding vis-a-vis Tocqueville"s desperate pursuit of the French grandeur, while the latter ought to correctly have evaluated the former"s commitment to cosmopolitan patriotism. This paper especially emphasizes that Tocqueville and Mill neatly resembled each other by working for same political ideals such as human development and excellency. Given that, there may be a good reason to imagine that the two great liberals should try to restore their splendid friendship.

      • KCI등재

        진정한 자유를 구현하는 시민성 실천 방안: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토크빌의 분석을 중심으로

        장효민 ( Hyo Min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7

        토크빌은 미국의 민주제도와 습속에 관한 연구를 통해 ``참 자유``가 내포하는 진정한 의미에 대해 탐구하였는데 이러한 토크빌 사상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 민주주의에 대한 토크빌의 분석을 토대로 진정한 자유를 구현하는 시민성 실천 방안에 대해 탐색하였다. 먼저 토크빌이 『미국의 민주주의』를 쓰게 된 동기와 이 책이 담지한 통찰력의 원천을 이해하기 위해 그의 성장배경과 당시의 시대 상황 및 토크빌의 사상적 특징 개관하였다. 그리고 토크빌이 분석한 미국 민주주의의 특성에 대해 정리한 후 미국의 민주주의에 노정된 문제점들을 살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한계에 대한 미국인들의 극복 방안을 토대로 정립된 토크빌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공동체와 시민성의 양상을 제시하고 결론으로서 이러한 토크빌의 분석으로부터 도덕·윤리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토크빌은 개인의 자유에 대한 추구와 시민성에 대한 관심을 결합 시켰으며, "습속에 부응하며 적극적으로 공무에 참여하는" 능동적인 시민의 모습을 강조하였다. 진정한 자유란 공적인 가치와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구현하는 정치적·도덕적 자유를 의미하며, 이러한 자유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추구될 때 비로소 획득되는 것이다. Alexis de Tocqueville (1805-1859), one of the greatest political thinker, not only analyzed the prototype of America but also diagnosed possible problems of democratic society after staying in America for nine month when he was 25, He was intrigued with what France can learn through American democratic system, His book, 『Democracy in America』is redeemed as the reservoir of his political thoughts including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citizenship for ``true liberty`` by focusing on Tocqueville`s analysis on the America democracy. To develop the idea, this article will unfold Tocqueville`s biographical information, his characteristics and his insights on the problems of American Democracy. Finally the ideal type of community and the methods for cultivating citizenship in social conditions as a solution of the ethical education will be discussed. After exploring American society, Tocqueville confessed that in America he saw more than America; he sought the image of democracy itself, with its characters, its inclinations and its passion in order to find what the French have to learn from its progress. He recognized enough that the aristocratic age would disappear and democratic age would come with equality in all conditions (the era of the Equality). Tocqueville combined the concept of liberty and citizenship. He emphasiz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who conform to the mores and still are actively engaged in public affairs. True liberty, according to him, not only comes through public virtue and partnership but also should be based on the human dignity both politically and morally. True liberty, by all means, can only be attained when actively purs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