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계몽과 성

        이경희 ( Kyung Hee Lee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09 유럽사회문화 Vol.3 No.-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enlightenment and sex revealed in Dialektik der Aufklarung written by Th. W. Adorno and M. Horkheimer. They insisted that Western modern spirit of enlightenment and its princip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x awareness. According to them, we can summarize the characteristic of enlightenment as follows. First of all, enlightenment reveals the human superiority. Second, enlightenment aims at the unified system. Thus finally enlightenment excludes the incommensurable and enforces the uniformity. Now they regards mythology and enlightenment as equal. They insists that mythology is also the part of the enlightenment of western thought aims at ruling as a kind of rational systematization. They gave an amplification of their thoughts through Homer`s Odyssey. The main character, Odysseus is the embodiment of the enlightened citizen, that is the modern individual in this work. And also we can recognize that the consistent strategy of enlightenment is applied to the problem of sex through his contract with women like Penelope(Penelopeia) and Circe(Kirke). Applying enlightenment to whole western civilization as well as to mythology, they are able to make the sadistic heroine, Juliet(Juliette) a legitimate child of enlightenment. Finally we can treat Sade, the critic of enlightenment and Kant, the zenith figure of enlightenment in one same direction, without discrimination. Through holding up true mirror to the last terminus of enlightenment which purged the romantic love and believed in science thoroughly, Sade`s work clearly shows not the light of enlightenment but the negative, back side of enlightenment. Thus we can realize to what self-destruction the enlightenment as the domination general leads in the realm of sex.

      • KCI등재

        한국 불교에 있어서의 돈점논의와 雲峰大智 선사

        정영식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The sudden-gradual argument in Chinese Buddhism was one between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but not one related with a cultivation process. The conflict between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an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has occurred typically in Korean Seon, but not in Chinese Chan and Japanese Zen. As a matter of fact, an emphasis on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is characteristic of Korean Seon, which stresses Patriarchal Chan, and the essence of the Patriarchal Chan was the very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It was in the Seonmun bojang nok (Records of Precious Treasures of Seon) that the idea of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book based on the Chan of Cao-Dong school stresses that Seon is prior to Gyo (doctrine). Toward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lots of those who advocate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one of whom was Master Cheongheo Hyujeong. As for an advocate of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during the Joseon, there was Master Seolbong Daeji(1606?~1690?), who asserted his own uniqu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While explaining the whole cultivation as a process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on the one hand, Seolbong analyses the gradual cultivation further into a sudden cultivation and a full enlightenment(jeung-o) on the other. In other words, he suggests the whole cultivation is composed of three phases, namely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and full enlightenment. Furthermore, according to him, those of high and middle capacities are different in their cultivation process. For those of high spiritual ability, as they can complete their cultivation at the moment of sudden enlightenment, such a state is full enlightenment and the sudden cultivation of this sort is referred to as that for function. On the contrary, for those of middle and low capacity, their sudden enlightenment refers to understanding enlightenment(hae-o) and the sudden cultivation at this time is that for essence. Accordingly he states that one should go through gradual cultivation, which means full enlightenment after sudden cultivation. 중국에서의 돈점논쟁은 돈오와 점오사이의 논쟁이지 수행과정과 관련된 것은 아니었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 사이의 대립과 논쟁은 중국과 일본에는 없는 한국선의 특징이다. 또 돈오돈수를 강조하는 것이 한국선의 특질인데 그것은 조사선을 강조하기 때문이며, 조사선의 본질이 바로 돈오돈수이다. 한국에서 돈오돈수가 처음 나타나는 것은 禪門寶藏錄인데, 선문보장록은 조동선에 근거해서 교에 대한 선의 우위를 주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돈오점수론자들이 많았는데, 청허휴정도 그 중의 한사람이다. 조선시대의 돈오돈수론자로서는 雲峰大智(1606?~1690?)를 들 수 있는데, 그는 독특한 돈오돈수설을 주장한다. 그는 수행의 과정을 頓悟漸修로 설명하면서도, 漸修를 다시 頓修→證悟로 분석하고 있다. 즉 수행의 과정을 頓悟→頓修→證悟의 3단계로 이해하고 있다. 또한 상근기와 중하근기의 수행과정이 달라서, 상근기의 경우는 돈오 시에 바로 수행이 완성되므로(修悟一時), 이때의 돈오는 證悟이며 돈수는 事에 대한 돈수이다. 반면에 중하근기의 돈오란 解悟이며 돈수는 理에 대한 돈수이다. 따라서 頓修後證悟라는 漸修의 과정을 거쳐야한다고 말한다.

      • KCI등재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임승택(Lim, Seung-taek)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How can we achieve enlightenment,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Buddhism?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on this topic in Korean Buddhism. The first one is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other one is gradual enlightenment. These two opinions may be mistaken as being in contrast with each other. But based on Early Buddhist texts,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two are not contradictory. If we could acknowledge that the sudden enlightenment is not limited to a one-time event and is repeated again and again, we can call this series of enlightenments as gradual enlightenment. Through Early Buddhist texts, I discovered that Buddha’s enlightenment, anuttarasammasaṁodhi was a gradual enlightenment which was composed of the Four Noble Truths(cattari-ariyasaccani). I explained that the Four Noble Truths includes two rounds of enlightenments, one of which we can call pariñña and the other sacchikiriya. I confirmed that both of these could be regarded as kinds of enlightenment. Based on these facts, I concluded tha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enlightenment do not oppose each other, and gradual enlightenment includes a number of sudden enlightenments in Early Buddhism. This study arrives at another important point that enlightenment should precede the procedures of practice. I came to understand that the teaching of Four Noble Truths reveals this fact. The first element of Four Noble Truths, dukkha-ariyasacca means to realize the painful realities of life. All the other elements of Four Noble Truths follow this enlightenment. Especially, the last element of Four Noble Truths, dukkhanirodhagaminiya-paṭpada means to practice the cultivation of min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lements of enlightenments. I think thes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re similar to Chinul(知訥, 1158-1210)’s practice system, and also connected with his thoughts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In modern times, Chinul’s opinion was criticized by Sungchol(1912-1993) who claimed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And subsequently, the followers of Chinul and the disciples of Sungchol have been arguing with each other. I expect that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conciliation of this debate and to the increase in ou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arly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이 논문은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돈점 문제를 다룬다. 깨달음이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괴로움이 소멸된 상태’에 이르게 해준다. 초기불교에서는 이것이 발현되는 양상에 관해 근기에 따른 차이를 인정한다. 정형화된 하나의 방식만을 고집하지 않으며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르게 체험되는 깨달음의 사례에 대해 언급한다. 이러한 초기불교의 입장에서 볼 때 돈점을 둘러 싼 편 가르기 방식의 경직된 논쟁은 바람직하지 않다. 초기불교의 깨달음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바로 그러한 다양성이야말로 오히려 본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 아래 필자는 깨달음에 해당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살펴보았다. 깨달음 (bodhi), 완전한 지혜(aññā), 반야(paññā), 지혜(ñāṇa), 두루한 앎(pariññā)과 체험적 앎(sacchikiriyā), 뛰어난 앎(abhiññā), 밝은 앎(vijjā), 깨어있음(anubodha) 등이 그것이다. 이들 중에서 일부는 궁극적인 완전한 깨달음을 지칭하며 다른 일부는 일상적인 차원에서 발현되는 인식의 전환을 묘사한다. 또한 필자는 초기불교를 대표할 만한 깨달음 사례로서 붓다가 밝힌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無上正等正覺, anuttara-sammā-saṁbodhi)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전법륜품에서는 이것을 사성제의 실현으로 풀이하며, 또한 고성제ㆍ집성제ㆍ멸성제ㆍ도성제에 이르는 점차적인 과정으로 묘사한다. 필자의 고찰에 따르면 고성제의 실현은 두루한 앎(pariññ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깨달음의 차원에 속하고, 집성제의 실현은 끊음(pahāna)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닦음의 차원에 배속된다. 또한 멸성제의 실현은 체험적 앎(sacchikiriy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깨달음의 영역에 속하고, 도성제의 실현은 그 자체로서 닦음(bhāvanā)의 영역에 해당한다. 필자는 이러한 사성제의 실현 과정이 확립된 절차로 나타나며, 더불어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것을 통해 필자는 사성제를 내용으로 하는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이란 점오이며, 반복되는 선오후수(先悟後修) 혹은 두 겹의 돈오점수(頓悟漸修)의 구조를 취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필자는 한국불교의 돈점논쟁은 한국불교만의 고유한 사정을 반영하며, 한국불교의 강인한 생명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이 건전성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초기 불교 당시의 가르침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국불교의 돈점논쟁에서 핵심이 되는 질문은 “깨달음 이후 또 닦아야 하는가.”이다. 이것에 대해 보조지눌은 “몰록 깨달음을 얻고서 차례로 닦아 나간다.”라는 돈오점수를 내세웠고, “깨달음이 전제되지 않으면 참된 닦음이란 있을 수 없다.”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지눌의 주장은 사성제를 실제 내용으로 하는 초기불교의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 사례에 형식적으로 일치한다.

      • KCI등재

        退翁 性徹의 頓悟頓修 思想

        都大玄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0 No.-

        In the Seonmun-jeongro, Seong-cheol insist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Seon, that the basic purport of Seon school lies in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He defines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s becoming Buddha by achieving Ultimate Enlightenment. Enlightenment, for him, is always ultimate enlightenment. But most of Korean Buddhist scholars criticized his opinion seriously and Seong-cheol's standpoint has not been accepted in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leaved a big footmarks in the history of Chinese Seon school. It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ixth patriarch Hui-neong and the mindlessness of Patriarch Seon. Master Seong-cheol emphasizes mindlessness on the basis of the Middle path especially. Since Korean Seon has follow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of Master Bojo, it has not given serious consideration to mindlessness. From the viewpoint of Seong-cheol Seon,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incomplete theory of Enlightenment. Nevertheless, it has been regarded as a guiding principle of Seon practice for last over 8 hundred years of Korean Seon.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an intellectual misunderstanding and makes us stop cultivation on the way to the ultimate enlightenment. Therefore Seong-cheol criticiz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strongly, and expounded the true meaning of ultimate Enlightenment which can be attained only through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s Seong-cheol insisted, if we change the term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to Intellectual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here can be two different and compatible standpoint of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that is,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nd Intellectual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in Korean Seon Buddhism. 性徹은 『禪門正路』를 통해 韓國禪宗史에서 처음으로 선종의 근본종취는 ‘頓悟頓修’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돈오돈수란 ‘단박 깨침과 단박 닦아 마친다’는 뜻으로, 한번 깨치면 부처가 된다[見性成佛]는 것과 깨침이란 더 이상 닦을 것이 없는 완전한 究竟妙覺이라고 정의한다. 그러 나 한국불교계 많은 학자들은 그의 주장에 대해 강한 비판을 가하였고, 아직도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중국선종계에서는 큰 발자취를 남긴 ‘中道에 입각한 돈오돈수사상’은 六祖 慧能의 돈오돈수사상인 동시에 祖師禪의 無心思想이다. 性徹은 이 가운데 특히 중도를 근간으로 한 무심사상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그 이유는 韓國禪에서는 普照 知訥의 頓悟漸修說로 인해 無心에 소홀해왔기 때문이다. 사실 ‘미완성 견성이론’이라 할 수 있는 돈오점수설이 지난 8백여 년간 수행지침으로 지켜져 온 것은 한국선불교의 큰 과오라고 볼 수 있다. 解悟를 究竟覺으로 착각하기 쉬운 돈오점수설은 見性의 과정인 중간단계에서 수행을 그만 둘 수 있는 이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性徹은 ‘頓悟’의 정체를 분명히 하기 위한 과정에서, 돈오점수비판이 요구되었던 것이며, 古佛古祖의 經論과 語錄을 바탕으로 하여 잘못된 한국선불교의 見性觀을 바로잡으려는 것이 그 본질이다. 性徹의 주장처럼 만약 ‘頓悟漸修’라는 용어대신 ‘解悟漸修’로 고쳐 쓰기만 한다면 한국선불교사에서 깨달음을 보는 시각이 서로 다른 두 이론이 나란히 공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초월적 자각과 깨달음(覺) -칸트철학과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강성률 ( Seong Ryool K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2 No.-

        칸트에 의하면, 외적 사물에 대한 인식은 우리 자신의 내적 자발성에서 유래한다. 이것은 결국 깨달음이라는 인식의 태도가 일종의 자기 인식에 대한 스스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칸트가 말하는 초월적 자각과 불교에서 주장하는 깨달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판단하는 능력으로서의 지성이 우리 가운데 존재한다는 사실은 우리 인간에게 선천적인 자발성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지성은 판단하는 능력이며, 이러한 지성에 의해 의식의 통일이 있어야만 모든 인식들이 우리에게 성립할 수 있다. 바로 이 순수하고 근원적이며 불변적인 의식을 칸트는 초월적 자각이라 불렀다. 여기에서 지성에 관하여 모든 직관을 가능케 하는 최상원칙이란 직관의 모든 다양이 자각의 근원적, 종합적 통일이라는 조건에 따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현실에서 경험하는 모든 외적 대상 혹은 내적인 의식의 흐름까지도 오성이 그 근원이 되는 자각 작용 없이는 전혀 불가능하다는 것이 된다. 여기에서 이른바 초월적 자각이 없고서는 사유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왜냐하면 주어진 표상들이 내가 생각한다 라는 자각의 작용을 통유(通有)하지 않으면 하나의 자기의식 속에 총괄되어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불교의 최상 목표는 보리 또는 각(覺,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깨달음이야말로 불교의 궁극적 목표이자 최고의 이상적 단계이다. 그렇다면 과연 칸트가 말한 초월적 자각과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불교에서 사문들이 수많은 고통과 번잡함을 인내하며, 외적인 간섭과 제재를 감수하고서도 끝내 도달하고자 했던 궁극적 목표는 각자(覺者), 깨닫는 자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깨달음에 도달하는 데에는 보통 점오성불론(점차적으로 각 단계를 거쳐 부처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과 돈오성불론(어느 순간, 갑자기 부처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있다. 성불이란 멀리 떨어져있는 두 바위 사이를 발딱 뛰어넘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 후자의 주장이다. 칸트에 의하면, 직관에 의하여 주어진 다양이 결합되어서 하나의 대상을 표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이 선험적 통각 밑에로 넣어져서 통일되어짐으로써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렇게 본다면, 초월적 자각은 모든 가능한 직관의 다양에 종합적 통일의 원리를 주는 것이 된다. 그리고 사물에 대한 최종적이고 근원적인 인식이란 결국 우리 자신의 내적 자발성에서 유래하는 바, 이것은 결국 깨달음이라는 인식의 태도가 일종의 자기 인식에 대한 스스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나아가 깨달음에는 또한 가치의 판단이 개입되어 있게 마련이다. 즉, 불교에 있어서 깨달음의 의미는 그 내용이 진리 또는 진실이라고 포괄적으로 표현될 때이다. 이렇게 본다면 결국 깨달음이라고 하는 것은 ``진리를 깨우쳤음을 스스로 의식하는 일``이 되겠다. 결국 칸트에서의 초월적 자각이 모든 인식의 근원이었다면,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이란 해탈과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고 결국 그것은 불교의 최고 정점, 부처(깨달은 자, 覺者)가 되는 길이었다. According to Immanuel Kant, human perception on the external matter is derived from internal spontaneity. It is similar to Enlightenment in Buddhism in a way that the attitude towards perception of Enlightenment is a sort of a self-confirmation on self-perception. In this regard,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nd Enlightenment in Buddhism are going to be discussed here. Above all, human understanding as a reasoning ability means that it should be admitted that a human being has an innate spontaneity. This human understanding is ability to reason and all perceptions can be made to a person with connection of consciences by human understanding. Kant called this pure, original and unchanged conscience as transcendental apperception. The most superior principle here to make all perceptions possible about human understanding is that every aspect of shape and method of an intuition is upon a certain condition that apperception is connected in original and comprehensive way. In other words, all external matter or even internal flow of conscience that a person experiences in real life cannot exist without its origin, apperception activity on human understanding.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inking is impossible without so called transcendental apperception. Because the given ideas cannot be summarized inside one`s conscience unless a common possession of the apperception activity as I think. The ultimate aim of Buddhism is to get Bodhi, the Supreme Enlightenment or wisdom (覺). Enlightenment is the final object and supreme and ideal step in Buddhism. Then what relations are between transcendental apperception of Kant and Enlightenment in Buddhism? Every Buddhist monk endures all the sufferings and complications, putting up with all external bother and restrictions against them to reach to the level of being the Enlightened One (覺者). However, there are two ways to become one: a gradual theory that you can be one by stepping each level and a sudden theory that you can be one at one day. The latter argues that the attaining Buddhahood should happen in a moment as you jump from one rock to another in a far distance. Kant saw that existence of an idea of an object with several shapes and methods combined that are given by an intuition can be only achieved by those combined being under the transcendental apperception. In this view, transcendental apperception provides the principle of comprehensive connection to every possible shape and method of an intuition. And the final and fundamental perception on things originates from innate spontaneity. So it can be said, after all, that it is almost the same to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in Buddhism in a way that attitude towards perception as Enlightenment is kind of a self-confirmation on self-perception. Moreover, a value judgment is naturally involved in Enlightenment. That means the meaning of Enlightenment is in the moment itself when it is expressed as it is the truth in a comprehensive way. If so, Enlightenment is "self-sensing that one has realized the truth." Therefore, when transcendental apperception is the origin of every perception in Kantianism, the Enlightenment in Buddhism is becoming a certain level of nirvana, which is the way to the ultimate point of Buddhism, to become the enlightened one (Buddha).

      • KCI등재

        삼예의 돈점논쟁과 청화 염불선의 의미-도과위차(道果位次)의 문제를 중심으로-

        조준호 한국불교연구원 2020 불교연구 Vol.53 No.-

        The present paper critically discusses Bsam yas Debate, an important event in Buddhist history, in relation to Master Cheonghwa's successive stages of Enlightenment. Kamalaśila(740-797) was invited to represent Indian Buddhist tradition while Moheyan represented teaching of Chan Buddhism in China. Debate on the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between Kamalaśīla and Moheyan claims that the position of Cheonghwa's Successive stages of Enlightenment is in line with Kamalaśīla. Kamalaśīla organizes various kinds of successive stages of Enlightenment according to Indian Buddhism. Master Moheyan, like North and South Sect of Chan in China, appears to be the one who advocated sudden enlightenment, which denies successive stages of Enlightenment. Master Moheyan said that “the ten successive stages of bodhisattva can be entered directly without stages of discerning and observing. He also claims that there is no smṛti and no manasikāra in sudden enlightenment. In response to this, Kamalaśīla argues that the nature of all dharmas, deserves to be understood as wisdom of insight. Based on the gradual enlightenment, various stages of bodhisattva are presented. He claims that it is impossible for a beginner to climb the ten successive stages of bodhisattva at once. Moreover, he refutes that Master Moheyan's claim of no smṛti and no manasikāra is nothing more than another smṛti and manasikāra in itself. Master Cheonghwa proposed that "the first stage of bodhisattva as initial enlightenment sees the buddha-nature, but it can not be the final enlightenment." Master Cheonghwa proposed that "the first stage of bodhisattva sees buddha-nature as initial enlightenment, but it can not be said the final enlightenment." Moreover, he said that the final enlightenment takes place above the ten stage of bodhisattva. Many Chinese sources claim Moheyan's win, though most Tibetan sources state that the debate was Kamalaśīla's victory. Likewise, it is historically proved that Tibetan Buddhism has been proved by pivotal influence of Indian Buddhism rather than Chinese Buddhism until now. In conclusion, these successive stages of master Cheonghwa are the general positions of Indian Buddhism. It is different from Chan sect in China denying successive stages of enlightenment. This paper is not intended to argue that Indo-Tibetan and Chan sect both are correct in the matter of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Likewise, neither of them sees that there was any language or communication problem in the debate. This paper clearly claims that Indo-Tibetan has won the debate and Chan sect in China has lost the debate. Indo-Tibetan's victory is evidenced by successive stages of enlightenment in Indian Buddhist scriptures and treatises. However, Chan sect in China's posi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scriptures and treatises. And the paper insists that Korean Buddhism should return to teaching of successive stages of enlightenment, as in the case of master Cheonghwa. 본 연구는 불교사에서 중요한 사건인 삼예사의 논쟁을 청화의 수행 위차 사상과 관련하여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까말라실라(740-797)와 마하연선사 사이의 돈점논쟁을 청화의 도과위차(道果位次)와 선오후수(先悟後修)의 입장이 까말라실라 논사와 맥락을 같이한다고 주장한다. 까말라실라에 대해서는 인도불교에서 보이는 근본불교의 사성제의 12행상과 3학 · 8정도, 37조도품, 그리고, 부파의 3현, 4선근, 대승의 6바라밀과 보살도에 근거해 도과위차의 입장을 정리하였다. 마하연에 대해서는 남북종을 모두 수습하여 도과 위차를 부정하는 돈법을 주창한 인물로 분석하고 있다. 까말라실라가 마하연을 굴복시킨 주요 논점은 마하연의 경우, “일체를 전혀 사유하지 않고, 전혀 분별하지 않고, 전혀 관찰하지 않는 것은 [제법을] 가히 보지 않고 곧바로 [법성에] 들어감으로써 십지보살과 같다.”라고 한 것에 대해 까말라실라는, “제법의 본성인 그 무분별의 법계는 여실히 관찰하는 반야로써 마땅히 깨닫는 것이며, 억념(憶念, smṛti)함이 없고, 작의(作意, manasikāra)함이 없다는 것은 또 다른 억념이며, 초심자가 단번에 보살십지에 오르기는 불가능하며, 점법에 근거해 문사수와 4가행의 난위, 정법, 인위, 세제일법 등으로 시작하여 보살 십지 등의 수행단계를 거쳐 3신을 구족할 수 있는 위차수행” 등으로 반박한다. 또한 마하연의 입장은 돈황에서 발견된 『돈오대승정리결』에서도 증명된다. 여기에는 마하연의 제자(왕석)에 의해 돈오론을 옹호하는 근거로 『능가경』을 들어 돈오의 입장에서 마하연의 주장에 대한 재반론이 담겨있다. 내용은 마하연이 주장했던 불사불관(無思無觀)의 경전적 근거이며, 불사불관으로 37조도품이나 6바라밀 등을 ‘즉시 자연 구족(卽時自然具足)’한다는 주장과 『수능엄경』, 『화엄경』, 『금강삼매경』, 『법화경』 등의 대승경전을 들며 “불성은 본래 있는 것이며, 닦아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佛性本有 非是修成)”라며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돈오론을 재주장한다. 마하연과 비슷한 입장으로 성철은 돈오돈수의 견성을 주장한다. 이에 대해 청화는 ‘초지가 불성을 보는 견성은 맞지만 구경각은 아니라는 입장’을 들고, 또한 “초지의 견성은 일종의 초견성이고 또한 증오일 뿐이며, 구경각은 10지 이상으로 설법한다”라고 한 점을 들어 시각과 구경각이 다르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결론적으로 청화의 수행 위차 사상은 인도불교 경론의 일반적 입장이다. 이로 보면 청화의 도과 계위는 오히려 불교 근본에 가까우며, 중국에서 성립된 조사선을 넘어 인도불교의 폭넓은 차제 수행 계위로 회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돈점의 문제에서 인도-티벳 측과 중국 선종 측, 모두를 인정하는 양시론이나 양측 모두 소통에 문제가 있었다는 식의 양비론도 아니다. 인도-티벳 측이 경론 상 옳았고, 논쟁에서 승리하였고, 중국 선종 측이 경론 상의 불일치로 논쟁에 패배하였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인도-티벳 측은 청화의 위차계위 사상과 일치하여 한국불교가 중국 선종을 넘어 불교의 근간이자 보편적 수증론인 위차계위로 회귀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 깨침 혹은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 고타마 싯다르타의 중도(中道) 연기(緣起)와 분황 원효의 일심(一心) 일각(一覺)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9 불교 철학 Vol.4 No.-

        이 논문은 고타마 붓다(기원전 624~544)와 분황 원효(617~686)의 깨침 혹은 깨달음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싯다르타는 진리에 ‘눈을 뜬’ 수많은 붓다 중에서도 탐욕[貪]과 성냄[瞋]과 어리석음[癡]의 삼독심을 버리고 가장 완벽한 해탈(解脫, vimutti/vimokkha) 열반(涅槃, nibbāna)의 길을 열음으로써 붓다의 이름을 전유(專有)하게 되었다. 붓다가 열어젖힌 해탈 열반은 선정 수행과 고행 수행을 넘어서는 완전한 깨침의 길이었다. 「초전법륜경」에서 설하는 것처럼 그것은 ‘중도’(中道) 즉 팔정도와 사성제 즉 십이연기의 가르침이었다. 원효는 무덤 속에서 인간이 지니고 있는 본각과 시각을 아우르는 ‘일각’(一覺)과 본각과 시각을 가로막는 불각 중 특히 그 속의 지말불각인 삼세(三細)상과 육추(六麤)상을 지멸시키고 보편적 마음인 ‘일심’을 발견하여 ‘눈을 뜬’ 붓다가 되었다. 카필라와 신라 즉 인도와 한국에서 일 천여 년이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붓다의 깨침과 원효의 깨침은 인간을 자유롭게 하였다는 점에서 연속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두 사람의 방법에 있어서는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내재해 있다. 그 연속성 위에서 싯다르타의 독자성이 드러나고 있으며, 그 불연속성 위에서 원효의 독자성이 나타나고 있다. 싯다르타는 사성제의 각 성제를 세 가지 양상으로 살폈다. 먼저 그는 ‘이것이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다’[苦聖諦], ‘이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는 바르게 잘 이해되어야 한다’, ‘이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를 완전하고 바르게 이해했다’. 이어 그는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다’[集聖諦] →‘이 ~는 바르게 잘 버려져야 한다’ → ‘이 ~는 이미 버려졌다’.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다’[滅聖諦] → ‘이 ~는 마땅히 실현되어야 한다’ → ‘이 ~는 이미 완전히 실현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길의 성스러운 진리다’[道聖諦] → ‘이 ~는 마땅히 닦아야 한다’ → ‘이 ~는 이미 철저하게 닦았다’고 섬세하게 관찰했다. 그리하여 고성제에 대한 세 가지 양상 → 집성제의 세 가지 양상 → 멸성제에 대한 세 가지 양상 → 도성제에 대한 세 가지 양상을 아우르며 각 성제를 세 가지 양상의 단계로 살펴 모두 열 두 가지 형태를 조망했다. 그 결과 고타마 붓다는 “나는 태어남은 이미 다했고[我生已盡], 범행은 이미 확고히 섰고[梵行已立], 할 일은 이미 다해 마쳐[所作已作], 스스로 윤회의 몸을 받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自知不受後有]고 하였다. 이처럼 고타마 싯다르타는 각 성제에 대한 세 가지 양상을 살펴서 네 가지 성제를 ‘있는 그대로 알고’ → ‘보는 것이 완전하고 청정하게 되었을 때’ 천인과 마라와 범천을 포함한 세상에서, 사문과 바라문과 왕과 사람을 포함한 무리 가운데서,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얻었다’고 선포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나에게 ‘지견’(智見)이 생겨났다”고 밝히고 있다. 여기서 ‘지견’ 즉 지혜로운 안목은 “내 마음의 해탈은 확고부동하며, 이것이 나의 마지막 태어남이며, 더 이상의 다시 태어남은 없다’라는 것을 스스로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원효는 삼세상에 무명업상(無明業相), 능견상(能見相), 경계상(境界相)을 배속하고 제8아뢰야식 위(位)에 배대하고 있다. 육추상의 첫 번째인 지상을 제7 말나식 위(位)에 배대하고, 육추상의 상속상, 집취상, 계명자상, 기업상, 업계고상을 제6 요별경식 위(位)에 배대하고 있다. 이러한 배대는 제8 아뢰야식 위(位)를 제외하는 이전의 담연(曇延)과 혜원(慧遠)과 다른 것이며, 제8 아뢰야식 위(位)를 인정하면서도 제7 말나식 위(位)를 제외하는 이후의 법장(法藏)과도 구분되는 독자적인 주장이다. 여기에는 원효의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이 투영되어 있다. 원효는 제8 아뢰야식 위(位)에 업식(業識), 전식(轉識), 현식(現識), 제7 말나식 위(位)에 지식(智識), 제6 요별경식 위(位)에 상속식(相續識)과 의식(意識)을 배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육염심(六染心)에는 제8 아뢰야식 위(位)에 근본불상응염(根本不相應染), 능견심불상응염(能見心不相應染), 현색불상응염(顯色不相應染), 제7 말라식 위(位)에 분별지상응염(分別智相應染), 제6 요별경식 위(位)에 부단상응염(不斷相應染), 집상응염(執相應染)을 배대하고 있다. 원효는 이러한 배대를 통해 오염을 탈각시켜가는 자신의 수행 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붓다의 깨침 과정과 원효의 깨침 과정이 즉자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다. 이들 사이에는 불교사상사의 깊고 넓은 성취가 있다. 불교의 기반을 만든 붓다와 이후의 원효와 같은 불학자들이 심화 확장시켜낸 깨침 이론이 즉자적으로 같을 수는 없다. 다만 불교의 궁극인 깨침 혹은 깨달음 내지 성불 혹은 열반이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노력 자체가 또 하나의 수행과정이 아닐까 한다. 인도의 고타마 붓다와 한국의 붓다로 불리는 분황 원효의 깨침 혹은 깨달음의 무엇이 연속되고 무엇이 연속되지 않는가를 밝히려는 시도 자체도 우리의 수행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물음은 논자에게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다. This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he awakening, or enlightenment, of Gautama Buddha (624~544 BCE) and Bunhwang Wonhyo (617~686). Gautama Buddha attained the most complete awakening (解脫; vimutti or vimokkha) and nirvana (涅槃; nibbāna) among all the buddhas and thus exclusively possesses the title of Buddha. The nirvana attained by Buddha was a complete enlightenment that transcends all stages of meditative concentration and the practice of austerities. His nirvana leads us to the teaching of the Middle Way or, in other words, the Eightfold Path,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Wonhyo attained his enlightenment by awakening to that which encompasses both intrinsic and virtual enlightenment, and by awakening to the one mind that can be discovered as a result of resolving the three subtle and six coarse aspects of karmic bondage. In this way, Kapila and Silla share common ground in that their enlightenments release people from suffering regardless of the one-thousand-year gap. However, some of the methods they each used to free people from suffering were not exactly the same, while others were shared. Buddha’s awakening is reflected in the shared methods and Wonhyo’s in those that differ. Buddha made three observation stages for the Four Noble Truths of suffering, attachment, the cessation of suffering, and the path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ese stages always start with “This is the noble truth of … ”, leading to the next observation that “The truth of … needs to be attained or realized” and culminating in “The truth of … is completely and fully attained or realized.” For instance, for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duhkha-satya), Buddha observed “This is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This noble truth needs to be well understood”, and “This noble truth of suffering is completely understood.” If the same formula is applied to the noble truth of attachment, the observations are as follows: “This noble truth of attachment needs to be well discarded”; and “This noble truth of attachment is fully and completely discarded.” Similarly, “This is the noble truth of attachment”; observations on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are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is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needs to be fully realized”; and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fully and completely realized.” In this way, each of the Four Noble Truths, from the truth of suffering all the way to the truth of the path to its extinction, were observed in three stages, forming a total of twelve observations. As a result of finishing all of these stages, Gautama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and stated, “I eventually finished all the stages of practice in which I had to be born again as a human being. Holy conduct is eventually attained. What needs to be accomplished is eventually accomplished. As a result, I know that I will not take any more reincarnation.” To summarize, Gautama made three observations on each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when all observations had been made in a complete manner, Buddha stated that he attained enlightenment unsurpassed in the world among all people including śramana, Brahmans, and kings. Buddha also stated that he attained this insight accordant with reality meaning that he knew his nirvana was now complete, that his reincarnation was finished, and no further incarnations would take place. What is significant about Wonhyo’s theory of enlightenment is the recognition of the three subtle and six coarse aspects of the mind in relation to the Eight Consciousnesses. Wonhyo categorized nescience, the subjective mind, and deludedly accepting the objective world as the three subtle marks of karma, defined as the workings of the eighth consciousness. Discriminating knowledge, the first of the mind’s six coarse aspects, Wonhyo defined as the working of the seventh consciousness, and the remaining coarse marks of continuity, attachment, name definition, karma production, and suffering produced by karma, as the workings of the sixth consciousness. This type of definition was different to that of Damyeon or Huiyuan who had excluded the eighth consciousness from their own placements, and it was different from the future work of Fazang who excluded the seventh consciousness. Wonhyo’s placement of these subtle and coarse aspects represents his own views and understanding of human consciousness. By placing three subtle marks in the eighth consciousness, discriminating knowledge in the seventh, and the remaining coarse marks to the sixth consciousness, Wonhyo presented his system of practice by which a human being could gradually remove their karmic nescience and reach nirvana. These ways to enlightenment are not the same. Between them,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has elapsed during which there has been deep and broad efforts to establish Buddhist thought. It would not therefore be sensible to expect that the founder of Buddhism’s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would be identical to that of someone who successfully reestablished Buddhist practice. However, the endeavor to discover what enlightenment is can be meaningful and has also become a way of spiritual practice. In this sense, exploring what is shared and what is different in the enlightenments of Buddha and Wonhyo can itself become a spiritual journey, and, thus, I will keep pursuing this question.

      •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해석분(解釋分)」의 각(覺)에 대한 고찰

        강대현 ( Kang Dae-hyu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5 密敎學報 Vol.16 No.-

        『대승기신론』「해석분」은 현시정의ㆍ대치사집ㆍ분별발취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시정의에는 중생심에 대한 올바른 이치를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을 통하여 나타내고 있는데,특히 심생멸문에서 나타나는 중생심의 생멸상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있다. 깨달음[각]은 진 여문이 아니라 생멸문에서 논의되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생멸문안에는 자성청심인 본각을 비롯한 무명으로 덥혀 있는 불각,종국에는 불생불멸의 여래장이 진여와 같아지는 구경각, 그리고 불각으로 부터 구경각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의 상사각과 수분각 등 이른바 각의 차제가 설해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불각ㆍ상사각ㆍ수분각ㆍ구경 각을 통틀어 시각이라고 하는데, 본각은 각의 가능성을 제시한 원리 이며, 또한 불각도 본래부터 불각이 아니다. 따라서 본각으로의 회복을 찾아주는 각의 원리에 시각의 차제등장함으로써, 불각으로 부터 시작하여 구경각에 이르는 도정에서, 그 차제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Branch for Explain in Mahayanasraddhotpadasastra, it is composed of □the traditional or accepted viewpoint of a Mahayana dharma[현시정의]ㆍ□the correction of mistaken attachment[대치사집]. □the clarification of the determination to follow the way [분별발 취도상]. There is the exact meaning of the mind of sentient beings shows an example of a true thusness aspect of the mind and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in □, especially, there is a very detailed analysis of the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of the mind of sentient beings appear in □. Because Enlightenment is a matter to be discussed in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There are explained the order of Enlightenment in the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such the original en觸tenment [본각] of original purity, the non―enlightenment[불각] of in the darkness of ignorance, the ultimate enlightenment [구경각], the semblance enlightenment [상사각] and the approximate enlightenment [수분각] and so on. In other words, These four collectives referred to as the initial enlight-enment [시각],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a principle th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nlightenment, also the non-enlightenment nor the non-enlightenment from the original. It has appeared on the order of Enlightenment to the original enlightenment with the principles of Enlightenment which connects the gap the non-enlightenment, thus, the initial enlightenment wa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original enlightenment.

      • KCI등재

        근대계몽기의 기계 표상 - 이해조의 번안소설 『텰세계』를 대상으로

        강정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4

        The intellectual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anted to experience the project and limitations of the Western Enlightenment. This experience was evident in the novel "Iron World" of that period. The proliferation of machinery and technological systems was an important means of enlightenment. Enlightenment was an indispensable tool for human progress, development, and enlightenment. At the same time, it has the duality of suppressing, destroying, attaching and subordinating in life and culture. Inbi's eugenic enlightenment was evident in the smelting machine and technological system of the Yeoncheol Village. Machine and technological systems were a means of enlightenment for the bourgeoisie, but for the workers they were forced to take away the freedom of labor and everyday life. Both Inbi’s the racial enlightenment and the opposition of the rajon races used the cannon machine as an important means. This cannon demonstrated the violence of enlightenment. Mechanical and technological systems were an important means of modern enlightenment. At the moment when it was embraced by society, human life and culture became attached to it. In this sense, the representation of machine shown in the novel "Iron World"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ere the means of hygiene and racial enlightenment.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 of machine have shown limitations such as violence, and non-subjectivity of the enlightenment. The representation of machine gave the Korean intellectual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planning of the Western Enlightenment. 근대계몽기의 지식인이 간접체험하고 싶었던 서구 계몽의 기획과 그 한계는, 그 시기의 이해조 번안소설 『텰셰계』에 잘 나타나 있었다. 2차 산업혁명 이후의 기계·기술시스템 확산은 좌선군의 근대적인 위생 계몽과 인비의 우생학적인 인종 계몽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문제는 기계·기술시스템이 인간의 진보·발전·계몽에 필요불가결한 것이면서도, 삶과 문화를 억압·파괴하거나 부속·종속시키는 양면성을 지닌다는 점이었다. 그 동안 『텰셰계』에 대한 검토는 애국계몽의 시각에서 주로 논의됐는데, 이 연구에서는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성찰론을 참조해서 소설 속의 기계 표상이 서구 계몽의 기획과 그 한계를 간접체험의 형태로 보여줬음을 검토했다. 먼저, 인비의 우생학적인 계몽을 위해서 건설된 공장도시 연철촌(鍊鐵村)의 제련 기계와 기술시스템은, 부르주아에게 계몽의 수단이었지만 노동자에게는 노동·일상의 자유를 빼앗는 강제 규율자 역할을 했다. 특히 제련 기계·기술시스템과 부르주아의 시계는 노동자의 노동 과정과 일상을 상당히 규제하였다. 그리고, 인비의 인종 계몽과 라젼인종의 대항은 모두 대포라는 기계를 중요 수단으로 활용했는데, 이 대포는 계몽의 폭력성을 잘 보여줬다. 인종 계몽의 폭력성에 대항하는 라젼인종의 방법 역시 대응-폭력적이던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기계·기술시스템은 근대 계몽의 중요한 수단이었지만, 그것이 사회에 수용되는 순간에 인간의 삶과 문화를 도리어 부속시켰다. 기계·기술시스템은 그 작동·운영 원리를 인간에게 강제했고, 심지어 생사 여부를 결정하기도 했다. 이렇게 볼 때 근대계몽기의 번안소설 『텰셰계』에 나타난 기계 표상은, 위생·인종 계몽의 수단이면서도 그 계몽의 타율성·폭력성·비주체성 등과 같은 한계를 간접체험의 형태를 잘 보여줬다. 이러한 기계 표상은 근대계몽기의 대한제국 지식인들에게 서구 계몽의 기획이 지니는 긍정적·부정적인 면모를 선(先)경험하게 해줌으로써 폭 넓은 사고를 제공했던 것이다. 아울러 기계·기술시스템이 지니는 괴물과 같은 위력을 상상적으로 체험하게 한 것이다.

      • KCI우수등재

        중관학파에서 무상정등각의 성취

        남수영(Nam Soo young)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5 No.-

        불교의 여러 학파들은 불타의 가르침을 진리로 받아들이면서도 깨달음을 서로 다르게 해석함으로써 서로 논쟁하였다. 따라서 여러 불교 학파들의 깨달음 해석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그들의 깨달음 해석을 그들 각자의 사상적인 맥락 속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그런 필요에 따라 용수 및 월칭의 저술과 반야 계통의 경론을 중심으로 해서, 중관학파에서 설하는 무상정등각의 성취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대승불교에 속하는 중관학파에게 수행의 최고 목적은 무상정등각의 성취이다. 본래 초기불교에서 무상정등각이란 ‘사성제에 대한 최고의 올바르고 완전한 깨달음’을 의미하는 말이었지만, 􋺷대지도론􋺸에서 그것은 일체법의 총상과 별상을 모두 아는 지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대승의 보살이 자신의 열반을 보류하고, 무상정등각의 성취를 바랐던 이유를 알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보살의 서원은 모든 중생을 걸림없이 제도하는 것이고, 그것은 무상정등각(=일체종지)을 성취함으로써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용수와 􋺷반야경􋺸에 의하면 무상정등각의 성취를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그것은 자비심(慈悲心), 보리심(菩提心), 반야지(般若智)이다. 그 셋은 다음과 같이 관련되어 있다. 자비심은 보리심의 바탕이다. 왜냐하면 보살은 자비심 때문에 보리심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반야지는 자비심과 보리심이 성취되도록 돕는다. 왜냐하면 반야지는 보살의 자비와 육바라밀을 무희론과 무집착의 청정한 것으로 만들어 보살이 무상정 등각을 성취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월칭의 􋺷입중론􋺸에 의하면 보살은 자비심, 보리심, 반야지를 바탕으로 제1환희지로 부터 제10법운지에 이르는 여러 단계에서 십바라밀을 완성하고 무상정등각을 성취함으로써 마침내 불지(佛地)에 도달하게 된다. 불지에 도달하여 불타가 된 보살은 무상정등각(=일체종지), 삼신(三身), 십력(十力)과 함께 사선(四禪), 사무량(四無量), 팔등지(八等至) 내지 십바라밀(十波羅蜜) 등의 여러 공덕을 갖추고 걸림없이 중생을 제도하게 된다. The Buddhist schools debated each other, interpreting the notion of enlightenment differently, while accepting Buddha’s teaching as truth. So, to understand correctly the enlightenment interpretations of Buddhist school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enlightenment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contexts. According to such necessity, this paper examined the perfect enlightenment (無上正等覺) of Madhyamika, centering on the Madhyamika and Prajñāpāramitā literatures. For Madhyamika, the highest goal of practice is the a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the perfect enlightenment refers to the perfect enlightenment on the four noble truths, however, in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大智度論􋺸), it is used as the knowledge of the comm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all things, At this point, we can know why Mahāyāna Bodhisattvas wish the perfect enlightenment. According to Nagārjūna (龍樹, 150-250), three conditions must be met for the a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the mercy for all creatures (慈悲心),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菩提心), and the knowledge of emptiness (般若智). The mercy for all creatures is a basis of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The knowledge of emptiness helps to complete the mercy for all creatures, which is followed by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to be completed. According to Candrakīrti (月稱, 600-650), Bodhisattvas arrive at the Buddha stage (佛地) with achievement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which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completion of 10 paramitas (波羅蜜多). The 10 paramitas can be achieved through 10 stages of practice from the 1st joy-stage (歡喜地) to the 10th truth-cloud-stage (法雲地), based on the mercy for all creature,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the knowledge of emptiness. A Bodhisattva who attains the Buddhahood keeps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many other strengths to save all creatures fre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