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로부두르 주악도와 백제 불교문화

        윤소희 ( Yoon So-hee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8 密敎學報 Vol.19 No.-

        본고는 동남아 지역의 전반적인 문화지도 가운데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가 갖는 불교문화적 성격을 고찰하고 이를 한국의 백제 불교와 문화유적에 견주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비롯하여 보로부두르를 촬영 조사하였고, 오늘날 인도네시아의 이슬람문화에 대한 현지조사도 함께 이루어졌다. 그 결과 보로부두르 원형단에 설치된 鐘모양의 원형탑의 벽돌 무늬가 층별로 차이가 있고, 그 위에 조각된 원뿔이 일정한 숫자의 각을 이루고 있음을 새로이 발견하였다. 이들은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인식 체계와 더불어 4성제, 6바라밀, 8정도를 상징하는 숫자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어서 보로부두르에 숨어 있는 보다 많은 秘意와 상징 체계에 대한 미시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충남 연기군의 비암사 3층 석탑에 있는 아미타불 3존 석상의 8주악상에 나타나는 무릎 위의 북과 백제금동대향로에 나타나는 긴 타원형의 공명통을 지닌 현악기는 고구려와 신라에는 없고, 백제의 유물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악기이다. 중국을 비롯한 대륙 루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악기가 보로부두르의 부조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백제와 인도네시아 샤일렌드라 왕조가 지니는 인도문화의 연결고리가 있기 때문이다. 보로부두르의 완성과 함께 쇠퇴한 샤일렌드라왕조의 불교는 힌두교와 상호 관용의 관계를 유지하며 존속하였고, 오늘날 인도네시아 문화의 뿌리이자 정신적 자양분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인도네시아는 이슬람국가이지만 다변화된 동남아 양상 중 라마야나 문화가 공유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여기에는 인도로부터 유입된 문화적 뿌리가 깊은데 비해 이슬람이 전 국민적으로 확산된 역사가 그리 길지 않고, 이슬람 중에서도 유연성을 지닌 수니파를 받아들인 것이 주효하였다. 인도네시아에 불교를 전한 꾸란 讀經師들은 힌두 및 불교 신행을 문화현상으로 여겨 힌두·밀교의 주술의식에 무슬림 독경사들이 동참하며 기도하는 등, 불교와 힌두가 융합된 문화적 뿌리 위에 독특한 이슬람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I have researched in the field the religious and Buddhist culture of Indonesia through the musical iconography of Borobudur and today’s society. There are many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belong to India or Indonesia, performers being either court or folk musicians. Contemporary south-east Asian Indonesia has a broad religious heritage. Most of the population is Muslim, but the culture and customs are rooted in Indian culture especially with Ramayana. I discovered, for example, the same percussion instruments played on a person’s knees. I also came across similar string instruments with long and elliptical resonance casks on the iconography of the Incense Burner and Byam temple stone pagoda of Beakje dynasty in Korea and in Borobudur in Indonesia. The two musical instruments can not be found in other countries, such as Silla, Koguryŏ, China or the silk road area, but only Indonesia or India. This suggests that Beakje Buddhism is from the southern regions rather than China. Through this research I found a symbolic world of a circular tower and a cone of Borobudur. For example, I have found quadrangular columns as ārya-satya, hexagonal columns as Six Pāramitās and octagonal columns as ashtangika-mārga. Today, Indonesia has only 1% of the population to be Buddhist, but their lives lie in the soil of Buddhist spirit and culture. Therefore, the affinity between Indonesia and Korean culture is attributed to the same root of Indian Buddhism and culture.

      • 진각밀교의 성립과 특징

        김치온 ( Kim Chi-o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8 密敎學報 Vol.19 No.-

        본 논문은 대한불교진각종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로서 ‘진각밀교’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대한불교진각종과 진각밀교’라는 장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표면적인 진각종의 여러 모습에서 밀교적의 요소들을 논하였다. 그것은 종요와 종지, 소의경론, 공식불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각교전, 공식불사의 내용 등에서 살펴본 것이다. 두 번째로 ‘진각밀교의 성립’이라는 장에서는 회당대종사가 육자진언 염송을 통해 깨달음을 얻은 후 참회불교 심인불교 진각불교로 나아가면서 밀교의 교리와 그 요소들이 녹아들어가는 과정들을 살펴보았다. 세번째는 ‘진각밀교의 특징’이라는 장으로, 이는 회당대종사가 『법불교』와 『응화방편문』 등을 중심으로 종단의 불사를 위해 편집한 『진각교전』과 회당대종사의 말씀을 모은 『실행론』을 중심으로 진각밀교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밝혀진 진각밀교의 특징으로는 첫째 교화이념의 하나인 ‘육자심인’ 속에 방향이 제시되었다는 것, 둘째 『보살회헌법』에서 현교와 밀교의 2교를 하나의 교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는 것, 셋째는 종사의 흐름속에 참회, 심인, 진각으로 흘러온 내용들은 진각밀교의 특징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는 것, 넷째 진각밀교는 심인불교, 진각의 개념속에 밀교의 교리 내용이 녹아들어간 것이라는 점, 다섯째 표면적인 것은 심인불교 진각인 것이며 교리적 실천적인 밑받침으로써 밀교가 수용된 것이라는 점, 여섯째 심인불교 진각불교의 법계진각님, 심인 즉 불심인, 육자진언염송, 육자관념도, 본각 시각 구경각과 진각, 당체설법 등은 법신비로자나불, 보리심, 삼밀관행, 해인원경, 상향문과 하향문, 즉사이진 등으로 배대된다는 점, 일곱째 진각밀교의 의례의식은 전통밀교의 의궤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밀교의 의미를 담지한 간명하고 실천적인 형태라는 점, 여덟째 수행실천적인 부분에서 ‘내 허물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든다든가, 진각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육자진언을 염송을 통해 자기의 심체(心體)를 관하여 즉신성불에 이르는 점에서 선밀쌍수(禪密雙修)의 모습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특징적인 내용으로 본다면 진각밀교에 대한 정의는 경정정사가 ‘회당대종사에 의해 진각종을 통해 재편된 밀교’라는 넓은 정의에 ‘진각인 밀교’라는 정의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오히려 최징이 천태와 밀교는 모순이 없다고 하여 원밀일치(圓密一致)를 설하며 천태밀교를 수립한 것과 같이, 진각과밀교는 둘이 아니라는 점에서 ‘진각밀교’라 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identification of Jingak Buddhist Order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Jingak Esoteric Buddhism. Under the chapter one entitled “Jingak Buddhist Order and Esoteric Jingak”, the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 in various aspects of the Jingak has been discussed. It consists of the core doctrines, theories, basic Buddhist texts of Jingak Buddhist Order and formal Buddhist rituals based on the holy book of Jingak and the Buddhist rituals. On the chapter two “Establishment of Jingak Esoteric Buddhism”, it describes, after the Great Master Hoedang attained enlightenment through the Six Syllable Mantra, the process of development from Chamhoebulgyo, Siminbulgyo, Jingakbulgyo to Jingak Esoteric Buddhism where the doctrines and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 had been permeated. The title of the 3rd chapter is ‘Characteristics of the Jingak esoteric Buddhism’. It focused, firstly, on the “Jin-gak-gyo-jeon”, the holy book of Jingak for the Buddhist rituals, what originated from Beob-bul-gyo and Eung-hwa-bang-pyeon-mun wrote and edited by the Great Master Hoedang, secondly, on the “Sil-haeng-lon (Practical Theory)” which is the collecting of the words of the Great Master Hoedang focus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Jingak Esoteric Buddhism. The characteristics of the Jingak Esoteric Buddhism are, after examination, as follows: 1. “Yug-ja-sim-in”, one of the main ideology of edification, was presented. 2. “Constitutions of Bosal-hoe”, the early constitution of Jingak Order prescribes that Both Paramita Buddhism and Esoteric Buddhism are one. 3. The contents of penance, Sim-in, and Jingak which go through the flow of history of Jingak Order should be regarded as characteristic of the Jingak Esoteric Buddhism. 4. Jingak Esoteric Buddhism is Sim-in Buddhism which means the doctrine of the esoteric Buddhism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concept of Jingak. 5. On the surface level, Jin-gak is the Sim-in Buddhism and esoteric Buddhism, additionally, is embraced as doctrinal and practical foundation. 6. Jingak Dharmadhatu of Jingak Buddhism; Sim-in as Bul-sim-in; practice of the Six-syllables Mantra; diagram of the Six-syllables Mantra; Bon-gak, Si-gak, Gugyeong- gak and Jin-gak; Dangche Preaching are explained as Dharmakaya, Bodhicitta, practice of three secret, Haein-wongyeong, gate for Upward and downward, and idea of identifing secularity with reality. 7. The ritual ceremony of Jingak Esoteric Buddhism is a form of simplicity and practice that carries the meaning of esoteric Buddhism rather than rituals of the traditional Esoteric Buddhism. 8. In the practical part of the exercise, it discusses about what our faults are, or one can attain enlightenment during this life through the practice of Six-syllables matra and show the features of both characters of Zen and Esoteric Buddhist practice. Looking upon these characteristics, Jingak as Esoteric Buddhism should be included with thoughts by Ven. Gyeong jeong, in the broad sense, that, Jingak is the Esoteric Buddhism reshaped by the Great Master Hoedang. Just like the thought of Choe jeon in Japan that there is no inconsistency between Tiantai(Cheon-tae) and Esoteric Buddhism, it i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Jingak and Esotericism.

      • 공해(空海)의 생애(生涯)와 진언밀교(眞言密敎)의 부법상승(付法相承)

        박준석 ( Park Jun-seok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5 密敎學報 Vol.16 No.-

        공해(774-835)는 서력 774년 6월 15일생으로, 讚岐國 多度郡에서 태어났다. 부친의 속성은 사에키아타이노 타기미(佐伯直田公)였 고 모친은 아토(阿刀)씨였으며, 그의 어릴 적 이름은 사에키노 마오 (佐伯眞魚)였다. 그는 15세의 나이에 從五位下의 문학박사였던 외 숙부 아토노 오오타리 (阿刀大足) 밑에서 論語ㆍ孝經이나 史傳 등을 배우고 문장을 습득한 뒤 18세에 이르러 長岡의 대학에 들어가 본 격적인 공부를 시작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설에 공해는 관의 허가를 얻지 않고 몰래 출가한 ‘私度僧’의 자격으로 입당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그는 천황의 명에 따라 견 당사의 一員으로서 승선의 기회를 부여받은 정식 유학승으로서, 원래는 20년간의 체류가 예정되어 있었다. 그는 장안의 고승대덕을 歷 訪한 끝에 결국 靑龍寺 東塔院의 惠果阿闍梨(746-805)와 조우하게 된다. 國師로서 존경 받던 惠果는 금ㆍ태 양부밀교의 전수자로서, 자바의 辨弘이나 新羅의 惠日ㆍ悟眞과 같은 외국인 제자에게 법을 전수 하는 등, 密敎의 동아시아 전파에 주력 했던 인물로 잘 알려 져 있다. 스승의 입적으로 인해 공해는 1년도 채 안되는 짧은 기간에 양부밀교를 전수받게 된다. 그가 들여온 밀교는 일본 국내에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았던 데다가 남천철탑설 등의 전설적 기술이나 口傳 등에 의존하는 부분이 컸기 때문에 일각으로부터 진언종의 정통성을 증명할만한 문헌적 증거가 없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공해는 밀교의 付法相承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나름의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金剛頂經義訣』에 기재된 이름 未詳의 대덕을 ‘龍猛’이라고 과감하게 규정함과 동시에 그를 대승불교의 거장인 龍樹와 동일 인물로 취급하고 있는 점이나, 『玄奘三藏行狀』에 언급된 700세의 바라문을 ‘龍智’라 하여 유명한 현장삼장 역시 그의 제자였다고 주장하 고 있는 점, 또한 바라문의 住處로 명시된 磔迦國의 위치를 남인도로 수정하여 언급하고 있는 점 등은 여러 가지 면에서 모순이 없지 않다. 이러한 설정은 금강정경계의 밀교 상승에 일종의 권위를 부여하려 했던 것으로 보이며, 조사들의 부법상승을 둘러싼 수백세상승설 등의 전설은 용맹의 世壽를 수백세로 간주하는『대당서역기』의 기술에 의거하는 바가 큰 것으로 살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ife and thoughts of Ku- kai(空海) who opened Mantra Order in Japan. Compared to his fame, theses introduced in Korea are poor so it was inevitable to investigate focusing on studies in Japan than Korea. As for his life, the author described focusing on practice of Esoteric Buddhism mainly in Tang from historical viewpoint. In aspect of thoughts, the study identified their ground, raising various descriptions about transmission of Esoteric Buddhism shown on his writings. And the author investigated how to overcome differences in some literatures in establishing orthodoxy of the Esoteric Buddhism of Mantra (眞言密敎). The study is limited to legend and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transmission of the Vajrasekhara-Sutra(金剛頂經). And the author focused on how problem of transmission of Esoteric Buddhism in learning of doctrine of master Kukai has been understood and constructed in aspect of thoughts. The purpose of entering Tang by Kukai was to learn teachings and practice of Esoteric Buddhism which had been partially transmitted to Japan. Although the Mahavairocana-Sutra(大曰經) was already spreaded to Japan, fractional elements could be obtained. Accordingly, he could not fully learn Esoteric Buddhism, so he could not be satisfied with simply reading or writing sutra. He overcame many difficulties and reached China in his age at 31. He ran a risk of losing life to go to Tang in the age when half whole life passed as then times. His master Hekwa(惠果) was already at old age of 60 and had mild and sincere character. For short time of three months, Konghae completed Coronation of the Vajradhatu and the Garbhadhatu. So before his master’s death, he felt complex mind. Kukai looked back upon the past and said, ‘I came here far from Japan but it seemed that mysterious power led me not my own power’. It is clear that he is a person who 'returned to Japan with hands fully filled though he came to China with empty hands'. This is because he met only one master and obtained more things than he sought.

      • 명랑(明朗)의 문두루법과 진호국가밀교

        장익 ( Jang Ik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5 密敎學報 Vol.16 No.-

        明朗은 신라에 본격적으로 초기밀교를 수용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문두루(Mudra)법을 設壇하여 唐兵을 퇴치하는 삼국통일의 정신적인 기반을 만들었다. 이후 사천왕사를 세우고 神印法을 전하여 신라에 밀교가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명랑 이전에도 신라 불교수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阿道와 墨胡子 등의 治病의 행적과 圓光과 安弘의 활약에서도 초기밀교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안홍은 초기 밀교 경 전으로 보이는『전단향화 성광묘녀경』을 역출하였고,사천왕사의 건립을 예언한 선구적인 密 敎家로 보인다. 안홍의 예언에 부합하여 명랑의 문두루법은 기존의 치병을 위주로 한 개인적인 영역을 넘어 진호국가밀교의 정신으로 확대되었다. 문두루법의 경전근거는 『관정경』 제7권에서 作法의 이름과 내용을 발견할 수 있지만 경전 내용이 그대로 진행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金光明經』의 사천왕 신앙을 중심에 두고,기존의 고대신앙을 수용한 『관정경』 제7권의 내용을 함께 활용하여 밀교의 례를 집행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명랑의 문두루법의 배경이 되는 당시 신라사회의 밀교 수용의 과정과 안흥을 통한 초기 밀교의 사상적인 영향을 알아 보았다. 또한 명랑의 문두루법의 작법의례와 관련한 『관정경』의 내용과 사상ㆍ적인 배경이 되는 사천왕 신앙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 보고,현존하는 사천왕사의 유적 중에서 밀교의례에 활용된 것으로 보이는 鎭函壇의 의미와 활용 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It is known that Meungrang actively accepted Early Esoteric Buddhism in Silla dynasty. Meungrang founded mental base for 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to defeat Tang army(唐兵), building stage for the first time in Silla and conducting Mudra ceremony. And he founded Sachunwang Temple and spreaded Sinin Teaching(神印法) so that this becam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Esoteric Buddhism in Silla. Before Meungrang, there was record that masters Ado(阿道) and Mukhoja(墨胡子) etc. cured a diseas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Buddhism in Silla. Traces of Early Esoteric Buddhism cab be found in the life of master Wonkwang(圓光) and master Anhong(安弘). Especially, Anhong translated sutras of Early Esoteric Buddhism. It seems that he was a pioneer master of Esoteric Buddhism(密敎家) who predicted foundation of Sachunwang Temple. Like prophecy of master Anhong, Mudra ceremony of Meungrang expanded to a spirit to defend the nation going beyond existing personal category to cure a disease. As for ground in sutra of Mudra ceremony, name and content of ceremony can be found on the 7th volume of Sutra of Coronation(灌頂經). But ceremony was not conducted according to content in the sutra by hundred percent. Rather, the ceremony was progressed focusing on religion depending on Lokapala in the Suvanaprabhasottamaraja-Sutra (金光明經). Ceremony of Esoteric Buddhism was made, using content in the 7th volume of Sutra of Coronation which accepted existing ancient religion together. The study looked into process of accepting Esoteric Buddhism in Silla society in then times which is background of Mudra ceremony of Meungrang, and influences in thoughts of Esoteric Buddhism through master Anhong. The author also studied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of Sutra of Coronation related to Mudra ceremony of Meungrang and Lokapala faith which is background in thoughts. And the study summarized meaning and use of stage for defending nation which seems to be used in ceremony of Esoteric Buddhism among extant relics of Sachunwang Temple.

      • 불공삼장의 생애와 밀교관

        김영덕 ( Kim Young-duk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5 密敎學報 Vol.16 No.-

        善無畏와 金剛智 두 삼장에 의해서 중국으로 정순밀교가 전해졌으나 그 밀교를 계승하고 더욱 빛나게 하며 중국 불교계에서 밀교 의 황금시대를 열었던 고승이 바로 불공삼장이다. 앞선 두 스승의 밀교가 인도의 밀교였다면 불공의 밀교는 中國이라는 대지에 녹아 든 밀교로서 확연히 차이가 난다. 그것은 그의 번역목록을 통해서도 충분히 살필 수 있다. 그의 주된 영역인 금강정경 계통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있는 것만이 아니라, 역경목록에는 밀교가 대승의 제사상 및 국가수호,중국의 재래사상 등과 섞여서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不空과 그의 법을 계승한 不空系의 밀교가 앞서 善無畏와 金剛智가 가져온 인도의 밀교에서 중국으로 토착화되기 위해 했었던 부단한 노력을 알려 준다. 이미 불공시대부터 밀교에는 인도에서 수용된 그대로가 아니라, 인도밀교에 중국사상이 유입되어 보다 중국적인 개성이 더해진 것이다. 이를 통해서 인도와 서역계의 전통을 한 몸으로 받고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일생동안 2번이나 밀교경전을 구하려 인도행을 다녀온 국제적인 인물 불공삼장을 그려볼 수 있으며, 금강정경계통의 밀교만을 고집하지 않고 호국사상 및 대승의 제사상과 중국의 재래신앙까지 포용한 점을 통해서 어느 하나에 얽매이지 않고 원융한 그의 밀교관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Amoghavajra-acarya(不空)was bom in the family of Brahmana in North India. He was a acarya(阿闍梨)in Esoteric sect of Buddhism who succeeded two acaryas―SubhakarasMia(善無畏)and Vajrabo (顧金剛智)-propagated Esoteric Buddhism to China. There was a person who cherished Esoteric Buddhism and opened golden age of Esoteric Buddhism in China. He was the very Guru Amogavajra- acarya. If Esoteric Buddhism of the two monks was Indian one, Eso teric Buddhism of Amogavajra-acarya was Chinese one. Thus there was clear difference. It can be identified enough through his translation list. His role is known from his main translations. His translation list shows that Esoteric Buddhism is in harmony with many thoughts of Mahayana Buddhism, its national defence idea,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etc. This can be seen in Esoteric Buddhism of Amogavajra-acarya and his disciples. And this also shows their endless efforts for Indian Esoteric Buddhism spreaded by Subhakarasimha and Vajrabodhi to become rooted in China. From era of Amogavajra-acarya, Esoteric Buddhism was not same as one when it was propagated from India. Chinese thoughts were added to India Esoteric Buddhism so that Chinese color appeared. Amogavajra-acarya cherished tradition of India and Western China, and was faithful to teachings of his masters. And he visited India two times during his lifetime to bring Sutras of Esoteric Bud dhism. Thus he was international. He did not stick to Esoteric Bud dhism. He accepted national defence thoughts, Mahayana Buddhism, even Chinese traditional religion. His Esoteric Buddhism was free from everything and in harmony with them.

      • 삼척지역 전통 사찰(寺刹)의 창건 설화와 사명(寺名) 변화 연구

        김도현 ( Kim Do-hyu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6 密敎學報 Vol.17 No.-

        본 논문은 삼척지역 전통 寺刹의 창건설화와 寺名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각종 자료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삼척지역의 전통 사찰인 천은사ㆍ영은사ㆍ신흥사의 창건 설화와 寺名의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삼척지역 불교문화의 형성 시기와 변화 과정, 그리고 그 歷史性을 고찰한 내용이다. 먼저 삼척지역 불교문화의 성립 과정을 정리하기 위해 창건설화와 연대,그리고 관련 유물ㆍ유적을 검토했다. 그 결과 현재까지 존재하는 천은사ㆍ영은사ㆍ신흥사와 동해시에 있는 삼화사는 공통적으로 신라 하대에 사굴산파를 형성하였다. 이 사찰들 은 영동지역 불교문화를 이끌었던 범일국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각종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신라 하대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각종의 불교 유물들과 불상들을 고려할 때 이 지역에서도 불교문화가 융성하였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경상북도 내륙과 태백산을 연결하는 백두대간을 따라 북상한 불교문화가 태백산과 함백산 권역을 경계로 일부 세력이 삼척지역을 거쳐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불교문화의 전통이 고려 시대에 와서도 계속되었음은 이승휴와 간장사, 임원리사지 석불, 대평 리사지 석탑재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삼척지역의 불교문화 는 각종 기록과 불상ㆍ탱화ㆍ전각등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천은사 불상에서 발견된 「중수기」와 조선시대에 제작된 각종 사적기 등을 종합해 보면 이 지역의 전통사찰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것은 창건설화와 각종 불사에서 서로 협조한 기록, 주로 월정사나 금강산에서 활동한 書師들이 이 지역 사찰의 각종 탱화를 그렸다는 사실에서 나타난다. 이외에도 최근까지 서예가인 김규진의 글씨가 남아 있으며, 탄허스님이 주석하여 공부를 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이와 같은 문화재는 이들 전통 사찰이 이 지역을 대표하는 사찰임과 동시에 불교문화의 중심지였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전통 사찰과 폐사지에 대한 정밀 조사와 자료 수집,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를 통해 삼척지역 불교문화에 대한 종합 적인 정리와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이 지역의 불교 문화가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특징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삼척지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involved in changes in the legends of establishment and the name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Samcheok area.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legends of establishment and the names of Cheoneun Temple, Yeongeun Temple and Sinheung Temple,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the Samcheok area based on the various data and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ime of formation, the process of change and the historicity of Buddhist culture in the Samcheok area. First, in order to sum up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culture in the Samcheok area, this study reviewed the legends and periods of establishment, and related relics and remains. As a result, Cheoneun Temple, Yeongeun Temple and Sinheung Temple and Samhwa Temple in Donghae-si commonly formed the Sect of Mt. Sagul in the later Silla. Through various records, it is found that these Buddhist temples were founded by National Master of Beumil, who led Buddhist culture in the Yeongdong region. Considering various Buddhist relics and Buddha statues produced during the later Silla dynasty, it is empirically shown that Buddhist culture prospered in this area, too. In addition, it is noted that of Buddhist culture that moved north along the Baekdudaegan connecting the inland area of Gyeongsangbuk-do to Mt. Taebaek, some influence moved north along the eastern coast, passing the Samcheok area with Mt. Taebaek and Mt. Hambaek area as the border. It is noted that this tradition of Buddhist culture continued till the Goryeo dynasty period through Lee Sung-hyu, Ganjang Temple, Stone Buddha statue in Imwon-ri ruins and remains of stupa in Taepyeong-ri ruins. Buddhist culture in the Samcheok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found through various records, Buddha statues, Buddhist paintings and temple structures. By summing up, the “Repairing Record for Buddha Statue” found in the Buddha statue in Cheoneun Temple and various records on the history of temples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is noted that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this area were organically connected. This is shown in the legends of establishment, the records of cooperation among various Buddhist temples and the fact that painters active at Woljeong Temple or Mt. Keumgang drew various Buddhist paintings in Buddhist temples in this area. In addition, Calligrapher Kim Gyu-jin’s handwriting remains until recently, and it is famous as a place where Master Tanhue stayed and studied. Cultural assets like these clearly show that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are Buddhist temples representing this area and the center of Buddhist culture in the area.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legends of establishment, the processes of change and the historicity of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this area, and it is very regrettable that it has insufficient descriptions about the remains and relics based on an in-depth survey and research.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 close survey and collect data on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and ruins of the temples continuously, and to summarize and understand Buddhist culture in the Samcheok area comprehensively through a study based on this. Through this work,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Buddhist culture in this area from other areas could be found, which would give a great help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ulture in the Samcheok area.

      • 불복장의식 속의 밀교수법과 만다라작단 -유점사본 『조상경』을 중심으로-

        강대현 ( Kang Dae-hyu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9 密敎學報 Vol.20 No.-

        불복장은 복장단의식과 점안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의식에서 만다라작법은 필수이다. 청정한 구역인 만다라 안에서 자륜관 내지 포자관 등의 관상법이 행해지기 때문이다. 기존 판본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금강아사리관상의궤」, 『묘길상대교왕경』, 「삼실지단석차역복장사」, 『불설불모반야바라밀다대명관상의』, 「옴아훔의해」, 「삼십칠존설」 등을 유점사본 『조상경』에서 증보함으로써 불복장의식은 밀교의식임을 천명한 것이다. 불복장의식 설행자들이 관상을 통한 만다라 안에서 설행하는 차제적 수법 등은 새롭게 조성되는 불상의 여법한 봉안을 위해서는 반드시 행해야 하는 밀교수법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밀교수법이 설행되는 장소인 만다라를 생반삼분의식의 만다라작법, 복장단의식의 만다라작법, 복장물목 안립의 만다라작법, 점안의식 점필차제의 만다라작법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들 모든 의식에서는 의례만다라와 관상만다라가 함께 작법되고 있었다. The Buddhist Bokjang consists of storage of offerings in the Buddha’s body ritual and dotting eye ritual. The rules of behavior of maṇḍala in these ceremonial procedures is essential. This is because visualization protocol such as meditative insight with wheel of words and meditation on the character ‘a’ and so forth are performed in the clean maṇḍala. There were added to 「an explaining the thirty-seven honored ones」, 「a commentary on vajracarya’s contemplation」, 「Wonderful and Auspicious sūtra」, 「an explained maṇḍala of three siddhi」, which were not seen in the previous editions, the Yujeomsa edition 『Josanggyeoung』 proclaiming that the Buddhist Bokjang ritual was an esoteric ritual. This is the esoteric ritual that must be done for the newly enshrined Buddha statue such as the subtractive methods of practicing in the maṇḍala through contemplation of ācārya for Buddhist Bokjang ritual.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maṇḍala, which is the place where the esoteric ritual was practiced, divided into the behavior’s rules of maṇḍala ritual of three parts of offerings to the living, the behavior’s rules of maṇḍala ritual of storage of offerings in the Buddha’s body, the behavior’s rules of maṇḍala ritual to posit of the offering’s list in the Buddha’s body, and the behavior’s rules of maṇḍala ritual of the order for eye opening ritual. In all these rituals, regarding rules of behavior that are followed by the maṇḍala of rituals and the maṇḍala of contemplations were performed together.

      • 사하자야나(Sahajayana)에 보이는 불교 딴뜨리즘의 시대적 경향 - 40송<사라하의 노래>를 중심으로 -

        정성준 ( Cheong Seong-joo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6 密敎學報 Vol.17 No.-

        인도불교의 역사 가운에 정각의 성취를 목적으로 한 밀교는 7세기 중엽부터 시작되어 500여 년간 번성하였다. 딴뜨리즘으로 알려 진 인도후기밀교 사상의 한 조류는 사하자야나(Sahajayana)로 이들은 불교교단의 전승이 보이는 방대한 불교문헌의 학습과 종교적 형식을 탈피해 현실적이며 실천적인 불교수행을 지향하였다. 스승에 대한 절대적 귀의와 엄격한 계율, 혹독한 수행은 사하자야나가 보여주는 전형적 특성이었다. 사하자야나가 지향하는 교의는 싯구를 통해 요약된 핵심만이 제자에게 전해졌으며, 이들이 남긴 성취의 가르침은 인도동북부벵갈, 오릿사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한 도하문학을 구성하게 되었다. 도하문학의 사하자야나는 형식을 배제한 실용적이며 능률 적인 불교였고 그 중심에는 사라하와 틸로빠, 나로빠와 같은 스승들이 『84성취자전』이나『마하무드라의 노래』, 『사라하의 노래』와 같은 도하문학의 형식을 통해 전해진다. 때로는 불교교단이 보여주는 세련된 산스끄리뜨 문장이 아니지만 문헌적 형식보다 성취의 본의를 전하려는 사자상승의 전통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특히 사라하가 남긴 40송의 가타는 그가 살았던 시대의 불교의 유행과 밀교수행에 대한 비판 등이 은연중에 담겨있다. 사라하는 불교의 연기, 반야, 공사상을 사하자야나를 비롯한 불교 奧義의 중심이 된다고 주장 하였고,불교교단이 보여주는 형식과 문헌이나 이론중심의 경향을 배제하고, 밀교수행에 있어서도 제의나 심지어 뚬모수행과 같은 요기의 행법에 대해서도 공성을 배제한 수행은 딴뜨리즘의 본질적 성취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사하자야나의 실천적 이자실용적 경향은 티벳에 전해져 오늘 날 까규빠의 전통으로 이어지지만, 사하자야나가 지향했던 밀교수행의 본의는 겔룩빠, 사꺄빠,닝마빠 등 다른 종파에서도 중시되고 있다.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the Esoteric Buddhism which is aimed at supreme enlightenment was begun from mids of 7th century and was flourished for 500 years until the vanishment of Indian Buddhism. Sahajayana as a trend of Tantrism in the flows of Indian Buddhist Tantrism has have supported the realistic and practical practices of Buddhism overcoming the ineffectiveness of doctrinal study of vast scriptures of Buddhism and meaningless rites and rituals of religious factors of Buddhism. The characteristics of Sahajayana was a sincere obligate devotions to Master, stem standing of precepts and harsh practices of Tantric practices of Buddhism. The doctrines that Sahajayana advocated is presented in the abridged form of verses thich was endowed to disciples and eventually constitute the Doha literatures which was propagated around Bengal and Orissa area in Northeast India. The idea of Sahajayana supported efficient practice of Buddhist Tantrism in which center Masters like Tilopa and Naropa left their realization and accomplishment through verses and gathas of Doha literature in The Stories of 84 Siddhis, Songs of Mahamudra and Songs of Saharapada. The Doha literature left Sanskrit sentences of a little clumsy and non-refined but had no problem in rendering realizations of those Siddhas. In the Songs of Saharapada Saraha argues that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ist Tantrism should be the doctrines of Dependent Rising, Wisdom of Perfection(Prinaparamita) and Idea of Emptiness(Sunyata) and he criticized the formalism of rituals and literatures that the Buddhist order showed at that time and also presented the criticism against Tantric practices of Fire of Candali and Yoga practices without fundamentals of Buddhist ideas of emptiness. The doctrines of Sahajayana was transmitted to Tibet and formulated the doctrines and practices system of Kagyu tradition at present but was regarded important by other traditions of Geluk, Sakya and Nyingma schools.

      • 19세기 화사(畵師) 원담내원(圓潭乃圓)과 해운익찬(海雲益贊)의 밀교(密敎)이해에 대한 연구(硏究)

        최성규 ( Choi Sung-goo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6 密敎學報 Vol.17 No.-

        다양한 밀교적 도상과 색채를 통해 한국의 金剛界 37尊 만다라 전개의 결정체라 할 「大芚寺 法身中圍會 37尊幀」을 그린 圓譚乃圓과 海 雲益贊 두 佛母의 佛書 양식을 살펴보는 것은 韓國의 金剛界 37尊 도상의 특징을 규명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행장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이들은 단순히 기능적 역할만 한 것이 아니라 일반미술에 대한 기량과 밀교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다. 원담내원과 해운익찬 佛畵의 특징은 차분하고 절제된 분위기의 필선과 그러한 필선에 적절하게 잘 어울리는 채색법이나, 의습 표현이 힘차고 과감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또한 수묵 禪書에서나 가능할 것 같은 대범한 기법이 채색으로 그려지는 본격 佛畵에 사용되고 있는 점은 중요한 특징이라고 하겠으며 필선의 장점을 살린 홍탱화도 주목된다. 그리고 이들 佛書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瑞雲의 표현과 관련된 하늘의 표현이다. 주색과 녹청색을 주조색으로 하여 변화 풍부하게 그려 주고 하늘은 거의 검정에 가까운 짙은 청색으로 처리하여 다양한 색감을 통일시키면서 화면에 안정감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원담내원과 해운익찬 佛書의 실험성과 독자성은 당시 淸나라로부터 유입하는 洋靑의 적절한 사용과 함께 일반미술에 이해와 외래사조의 수용에도 선구적이었기에 「大芚寺 法身中圍會 37尊幀」과 같은 한국형 금강계만다라가 그려 질 수 있었다고 하겠다. “37 Sacred Images Tanga Painting of the Daedun Temple” is a master piece of 37 sacred images of the Vajradhatu Mandala drawn through various esoteric Buddhist paintings and colors. This study analyzes the styles of Buddhist paintings of Naiwon and Ikchan, the two painters who drew these pictures. Based on this, this study consists of the contents that woul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37 sacred images of the Vajradhatu Mandala of South Korea. In addition, the following can be found through the two painters’ lives. This study noted that they did not simply play a functional role, but they also presuppose the ability of general ar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Esoteric Buddhism in these pictures. The characteristic of Naiwon and Ikchan Buddhist paintings is their drawing lines in a calm and restrained atmosphere, which suit appropriately with the paintings. Also, the coloring method appears forcibly and resolutely as compared to other Buddhist paintings. For example, the fact that the bold technique, which might be possible in the black and white drawings of Zen, is used for the first time in Buddhist paintings drawn in the form of color paintings, which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In addition, attention is paid to the red tanga paintings, too, which utilized the strengths of the drawing lines. The overall characteristic of these Buddhist paintings is the expression of the sky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auspicious clouds. They drew changes richly, using the red and green colors as core colors, while they used the dark blue color, almost like the black color in the sky to unite various colors and give stability to the pictures. Like this, the experimental nature and unique characteristic of Naiwon and Ikchan Buddhist paintings used the dark blue color (Indigo) imported from the Qing dynasty. This means that they pioneered in accepting foreign trends on the base of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general art. Thus, it was the background in which Korean-style 37-Honoured Ones within the Diamond World Mandala like “37 Sacred Images Tanga Painting of the Daedun Temple” could be drawn.

      • 신라불교 수용기의 치병(治病)과 초기 밀교경전

        장익 ( Jang Ik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3 密敎學報 Vol.14 No.-

        불교의 治病과 관련된 내용들은 주로 인도 고대의학인 아유르 베다(Ayur veda)에 의한 것이었으며, 인도 고대 종교의 일환인 탄트리즘(Tantrism)과 관련을 갖는다. 이러한 영향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기 밀교경전들에서 주로 발견된다. 초기 밀교경전들이 중국에서 번역되는 시기의 시작은 대개 A. D. 3세기 정도이며, 초기 밀교경전들 속에는 治病과 관련된 내용들을 찾아 볼 수 있고, 이들 경전들이 신라 불교의 수용기에 해당하는 5세기 이후에는 신라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신라에 불교가 수용되는 5-6세기 초에는 초기 밀교경전에 수록된 치병에 관한 지식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시기였다. 신라불교의 초전자인 阿道와 墨胡子의 행적 중에는 香을 사용하여 治病한 사례를 들고 있다. 기존의 의술로 부족한 치병의 역할을 통하여 불교를 수용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이 점은 신라인들이 요청하는 치병의 욕구를 충족함으로써 신라 불교수용에 대면한 갈등을 해소하는 계기를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신라에 최초로 역출되는 경전인『栴檀香火星光妙女經』이 전단향을 이용한 치병과 관련된 초기 밀교경전이라는 점을 인정할 수 있다면, 신라 불교 수용기에서 아도와 묵호자가 보여준 치병관련 행적이 香을 사용한 점에서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阿道와 墨胡子가 香을 이용한 治病의 방법들은 이와 유사한 것으로 짐작된다. 신라 불교 수용기에서 香을 사용한 阿道와 墨胡子의 焚香의 치병활동은 당시 중국에서 유행하였던 香을 사용하는 초기 밀교경전의 치료방법과 유사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초기밀교 승려인 密本과 惠通의 치병활동으로 이어지면서 신라에 불교가 정착하게 되는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contents of treatment using Buddhist are mainly related Ayurvedic medicine in Indian ancient(Ayur veda) and ancient India religion(Tantrism). It is found mainly in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in order to solve practical problems. It is usually about A.D.3th century that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and we can be seen the contents of treatment using Buddhist in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So, It is guessed that these scriptures have given influence to Silla Buddhism after the 5th century, that is, the time of Silla embraced Buddhism. The period of early 5-6th century in Silla, it was a time that all people acutely request the knowledge of the treatment using Buddhist listed in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Ado(阿道) and Mukhoja(墨胡子) were the first preached Buddhism to the Silla, they were case to be treated using the incense in their achievements. That is to say, It will be attempted that, as part of the lack of traditional medicine, its role in trying to Buddhism. It had to make an opportunity to resolve the conflict the face of Silla Buddhism accepts, demand for treatment of the people of Silla to meet the needs. 『栴檀香火星光妙少女經』,it is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of Silla, If it is related to the using the treatment of candana gandha(栴檀香) direction for early esoteric scriptures to recognize that, it showed a treatment of incense by Ado and Mukhoja, it is related with the acts can be found in terms of similarities. This is similar to the treatment by Ado and mukhoja of using incense methods. Such a treatment of using the burning incense(焚香, gandha-pradhupita) activities was prevalent in China, it had used the incense of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seems to be similar to the treatment, after it leads to the treatment activity of the early esoteric monk Milbon(密本) and Hyetong(惠通) and it seemed to be a role of settled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