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우도(尋牛圖)의 일원상(一圓相) - 추상성(抽象性)과 메타포(Metaphor)로서의 일원상(一圓相) -

        신지하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The 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一圓相) of the Ten Ox Herding Pictures(尋牛圖). The sub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 as Abstractness and Metaphor. The Ten Ox Herding Pictures is the process of Seeing One's Nature and Becoming Buddha(見性成佛). In the process of practice, the practitioner seeks the gate of the Prajñā that is the gate of the enlightenment. This gate of the Prajñā is expressed in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In the step of appearing of The One Round Circle, the Ox is disappeared into the shape of the gate of the Prajñā. The Buddha-Nature of Ox is changed into the light of the Prajñā with the image of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expresses enlightenment. The One Round Circle in the Eastern Asian Seon Culture is the typical symbol of Seon. The meaning of symbol in the One Round Circle is clearly expressed in the process of ten step in Ox Herding Pictures. The world of Prajñā(般若) is outside of letter. The world of Prajñā is the world of Seon. In the world of Seon, the meaning of symbol in the One Round Circle has the function of enlightenment and Prajñā as the Abstractness and Metaphor. There are many research and paper in the field of Ox Herding Picture. There is, however, no research to investigate to connect the idea of Seon and meaning of image about the One Round Circle in view point of the Ox Herding Picture. The More studies about One Round Circle to lead image and symbol in this societies is required. 이 글은 심우도의 일원상이 지닌 추상성과 메타포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 글이다. 심우도는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의 과정을 추상적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동아시아 선문화의 일원상은 선의 대표적 상징체이다. 일원상이 지니는 상징성의 의미는 심우도의 전개과정 속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문자를 벗어난 반야의 세계를 선화로 그리는 선의 세계에서 일원상이 지니는 의미는 깨달음과 반야의 의미로서 추상성과 메타포의 기능을 하고 있다. 십(十)은 완성을 의미하며 일원상의 완결성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심우도가 추상성이면, 일원상은 추상성의 완성이다. 심우도에서 깨달음의 완성은 일원상으로 표현된다. 선종 수행의 목적은 견성성불이다. 심우도에서 일원상은 불성을 통해 반야 지혜가 드러났음을 의미한다. 오늘날 널리 알려진 심우도는 2가지이다. 하나는 곽암의 십우도, 다른 하나는 보명의 목우도이다. 어려운 선의 깨달음의 세계를 추상적으로 이미지화하여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이미지의 공통성과 추상성에 불성과 반야의 세계를 담은 것이 일원상이다. 이 글에서 일원상에 내재된 이미지의 무한한 가능성과 긍정성, 깨달음의 세계에 대한 본질적인 측면과 심우도의 일원상이 지니는 추상성과 메타포의 기능을 조명하였다. 더 나아가 일원상이 제시할 수 있는 이미지로서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현대적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 곽암의 십우도(十牛圖): 분석심리학적 고찰

        이부영 ( Bou Yong Rhi ) 한국분석심리학회 2010 心性硏究 Vol.25 No.1

        곽암(廓庵)의 십우도(十牛圖)를 자원(慈遠)의 총서(總序), 곽암의 송(頌), 자원의 소서(小序), 석고희이(石鼓希夷)와 만송괴납대련(万松壞衲大璉)등의 화송(和頌)등과 함께 그 상징적 의미를 분석심리학적 정신치료와의 관련에서 극히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십우도(十牛圖)에서 소를 찾는다 함은 자기(自己)(Selbst)를 찾아가는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과 그 목표를 같이 하는 것 같다. 십우도의 소는 자기실현의 목표이기도 하면서 수단이며 인도자의 역할을 한다. 곽암의 십우도(十牛圖)에서는 그림자의 수용을 통한 동화(同化)보다 의지에 의한 그림자의 통제를 강조하고 있는 듯하고 남성성, 여성성의 문제를 통찰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개성에 따르는 자기실현작업의 다양성에 관한 표명이 따로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곽암의 십우도에는 자아팽창이 해탈의 마지막 단계가 아님을 분명히 하고 있고 대중을 위한 봉사가 강조되고 있다. 십우도(十牛圖)의 그림들은 그림에 붙친 여러 시(詩)와 송(頌), 서(序)의 내용으로 미루어 볼때 다양한 해석을 내릴 수 있는 동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또한 깨달음의 과정을 나타내는 그림의 상징적 의미가 그림의 순서대로 직선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고 순환적인 진행을 보인다는 선행연구자들의 의견은 매우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각각의 그림과 이에 붙친 글들을 더욱 깊이 고찰할 여지가 남아 있다. The Ten Ox Herding Pictures by Kuo-an, a Zen Master of China in the Middle Ages are interpreted from the view point of the analytical psychology of C.G. Jung. Basically, I agree with the previous Jungian comments on it by M. J..Spiegelman, M.Miyuki, and H.Kawai at the Ox Herding Pictures are symbolic manifestations of the individuation process in terms of C.G.Jung.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 of Jungian analysis, I went through, not only the pictures but also the eulogies and critical comments of Zen masters in order to elucidate the symbolical meanings of each stage of spiritual development in Zen meditation. I noticed that the Ox Herding Pictures suggest the preference of suppression and conscious control of shadow in Jung`s terms rather than its assimilation through making conscious the unconscious inferior personality. Also, the feminine psyche seems to be not particular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nother words, different psychic aspects are represented in one single image: Ox. Due to the simplicity of pictorial expressions, the Ox Herding Pictures provide us possibilities to pour abundant imaginations into the pictures. The images comprise multiple irrational meanings; therefore it is warranted to render multiple interpretations of the Pictures as shown in the eulogies and comments by .other Zen masters. The sequences of the Pictures need not coincide with a linear process but rather with a circular process of enlightenment, as Miyuki has suggested. Kuo-an`s Pictures clearly suggest the danger of ego inflation and the fact that the final goal of Zen meditation should be the capability of the enlightened to serve the people.

      • KCI등재후보

        십우도와 분석심리학의 정신구조 비교

        이영순(Lee, Young Soon),김수령(Kim, Su lyung),천성문(Cheon, Seong Mo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본 연구는 십우도의 정신구조와 분석심리학의 정신구조를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후 상담자에게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십우도와 분석심리학은 인간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 그대로가 아닌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깨달음의 과정과 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을 통하여 본성에 도달하는 개인의 체험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십우도와 분석심리학의 깨달음의 과정을 비교해 볼 때 분석심리학은 과학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개인이 현실세계에 적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십우도는 종교적 관점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깨달음을 추구한다. 십우도의 깨달음과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 방법을 비교해 보면 자기실현의 궁극적인 목표와 지향하는 방향은 같되, 방법론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분석심리학에서 자기실현을 한 사람은 불교에서 말하는 해탈한 사람처럼 그 무엇에도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이 살아갈 수 있는 사람으로 상담에서 목표로 삼는 바람직한 인간상이자 상담자가 지향해야 할 모습이다. 분석심리학적 방법이든 명상이든, 자신의 내면을 잘 들여다보고(自心返照), 자신의 본성을 깨달아(見性成佛), 성숙한 태도로 상담에 임하게 될 때 내담자를 보다 건강하게 도울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compare psychological structure of Ten Ox -herding Pictures in Zen Buddhism with Jung's Analytical Psychology. This study will show us how to be mature as a good counselor through the methods of Zen and analysis. Ten Ox-herding Pictures shows the stages of enlightenment from the first to the last and Analytical Psychology shows the process of self realization. Ten Ox-herding Pictures shows us that everyone has probability to be a Buddha through Zen meditation and Analytical Psychology says that everyone has the instinct to realize the Self through awareness of the unconsciousness. Both theories focus on not the doctrines or words but the individual experience of enlightenment, and pursue the ideal man : a Buddha in Ten Ox-herding Pictures and Self-Realized Man in Analytical Psychology. The goal of Analytical Psychology stays on reality and wholeness not perfection or religion because it is based on science. On the other hand, Ten Ox-herding Pictures seeks the divine nature or the nature of Buddha because it starts from religion. Therefore, the level of enlightenm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en Ox-herding Pictures uses only the method of Zen meditation and need not any tutors to teach how to enlighten, but Analytical Psychology requires analyst to help clients understand their dreams or drawings, and realize the unconsciousness through active meditation. In conclusion, both theories have many in common in terms of their goals except a couple of methods of self realization. we will be able to help our clients a lot better and we can probably prevent a variety of problems as a counselor by checking the level of his self discipline with the methods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if we meditate our inner minds and realize our real self, we would be able to meet our clients without any counter -transference or projection and help them just by staying with them without doing something.

      • KCI등재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

        신명희 ( Sin Myung-h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4

        불교는 수행의 종교로서 경전과 어록은 수행법을 서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도 경전에서는 코끼리를 통해 수행자의 모범상을 비유한 반면 중국에서는 소[牛]를 통해 수행길을 묘사하였다. 중국은 농경사회인데다 선이 태동하고 발전한 곳이 강서성과 호남성이다. 더욱이 청규 제정으로 노동과 선의 일치가 보편화되어 선사들의 선문답에 자연스럽게 축생들이 등장한다. 특히 소를 주제로 하는 선문답과 공안이 많고, 송대에 이르러 선 수행을 그림으로 묘사한 심우도가 발전하였다. 여러 심우도 가운데 곽암의 ‘십우도’와 보명의 ‘목우도’가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곽암의 십우도는 번뇌를 소에 비유하여 번뇌를 조복 받고 길들여,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온 뒤에는 소도 잊고, 자신도 잊어버리는 과정을 거쳐 해탈열반 경지에 이른 뒤에 보살행을 실천한다. 반면 보명의 목우도는 목동이 소를 잃어버렸다고 생각하지 않고, 눈앞에 있는 소를 길들이는 데서부터 출발해 미혹 속에 있는 눈앞의 현실을 중시한다. 검은 소가 점차 흰 소로 바뀌는, 곧 오염된 성품을 닦아 청정한 지혜를 발하게 하는 점오의 과정을 표현하였다. Buddhism is a religion of asceticism therefore its teachings and scripts describe how to perform asceticism. While Indian teachings emphasizes an elephant as the model for a proper ascetic, China emphasizes a cow as the representation for performing asceticism. China is an agricultural country the region Zen sect developed was Jangxi and Hunan.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pure regulations lead the popularization of the uniformity between Zen and labor resulting in various animals appearing in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Son among many Son masters. There are many questions and answers of Son and Gongan with a cow theme, and in the Northern Song period. Ten Ox-herding pictures grew as the paintings depicting Zen asceticism. In particular, Ten Ox-herding pictures by Kuoan represented anguish as cows to practicing Buddhism by reaching the level through the submission of anguish, and returning home on the cows back then forgetting about the ox and forgetting about oneself in order to reach nirvana. On the other hand, Puming's Ox-herding pictures focuses on the reality in front of one’s eyes by starting from the herdsman raising the ox rather than thinking that the ox is lost. The change from a black ox to a white ox represent the process of gradual cultivation which is the act of cleaning one’s corrupted character to obtain clean knowledge.

      • KCI등재

        논문 : 『십우도』의 관점으로 바라본 <쌍생아>

        강순규 ( Soon Gyu Kang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1 아시아영화연구 Vol.4 No.1

        참된 자기를 찾아가는 과정을 10가지의 단계로 나누어 일목요연하게 설명해 주고 있는 십우도(十牛圖)는 불교의 핵심을 잘 표현해 주는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십우도를 원용하여 츠카모토 신야(塚本晋也)의 1999년도 작품인 <쌍생아>(雙生兒)를 해석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츠카모토 신야의 <쌍생아>는 두 주인공이 갈등과 반목을 거쳐 합일에 이르는 과정을 그려내고 있기 때문에 십우도의 틀을 가지고 영화를 분석한다는 것은 <쌍생아>의 주인공이 어떠한 단계를 거쳐 참된 자기와 마주하게 되는지 그 과정을 분석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십우도의 각 단계별 의미와 츠카모토 신야의 <쌍생아>를 함께 배치시킴으로써 <쌍생아> 속에 들어있는 십우도의 구조 또한 일별하게 될 것이다. The Ten Ox-herding Pictures(Sipwoodo, 十牛圖) that explain the process of finding one`s true self is divided into 10 different stages. And It can be said to be a work which expresses the essence of Buddhism. Quoting these The Ten Ox-herding Pictures, this article will pursuit for interpreting the Shinya Tsukamoto`s 1999 novel, <Gemini>. Shinya Tsukamoto`s <Gemini> depicted the process that lead to the unity through the conflict and antagonism of the two protagonists. Therefore, analysing movi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en Ox-herding Pictures is to analyze the process how Gemini`s protagonists confront the true self through any stage. For this, I will examine The Ten Ox-herding Pictures`s structure in the <Gemini> through putting together the meaning of each step of The Ten Ox-herding Pictures`s and Shinya Tsukamoto`s <Gemini>.

      • KCI등재

        치유와 구도의 시학으로서 「십우도」

        서주석,백원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pproach ‘Ten Ox Herding Pictures’ as the Poetics of Healing and Seeking Dharma, focusing particularly on Seon thought and Seon poetry revealing the enlightenment by using transcendental metaphors. Healing does not only aim at overcoming physical and spiritual problems and pathological phenomena but also has an extended meaning to recover the true nature in the all-inclusive perspective toward holistic introspection and awakening of human beings. Considering Seon practice in healing perspective, it is significant for us to trace Seon thought and Seon poetry which seem to combin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piritualization. If we call "sudden enlightenment" obtained from a spiritual journey 'a vertical unfolding,' then empirical course to integrate psychological obstacles inherent within the mind could be 'a horizontal unfolding.' Just as 'a horizontal unfolding' is the pivot of mind operation, so 'a vertical unfolding' is the core of spiritual awakening. Consequently, I tried to explore healing aesthetics formed by the cross of spiritual work and psychological work revealed in the course of seeking after truth of 'Ten Ox Herding Pictures.' In writing Seon poetry, the Seon experience toward awakening focuses on the relations of the true nature and it seems to be similar for the poet to focus on the relations of the true objects in poetry writing. In this process, if a poet had 'enlightenment experience,' then he who tries to express the search for existence could be referred 'the poetic true-self' rather than 'the poetic self.' Since experiences are created and interpreted only by the mind operation, Seon thought and Seon poetry can become a powerful device of healing. 본 논문의 목적은 치유와 구도의 시학으로서 「십우도」를 접근하는데 있다. 선가에서는 마음을 찾는 일, 부처가 되는 일을 ‘소찾기’에 비유하여 ‘소’ 찾는 과정을 열 단계로 나누어 도해한 것이 「십우도」(十牛圖 또는 尋牛圖 )이다. 그러므로 ‘소’를 찾는다 함은 바로 “나는 누구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기도 하다.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치유(healing)는 육체적, 정신적인 문제나 병리 현상을 극복하는 차원을 넘어서 인간의 전인적인 성찰과 깨달음을 향한 거시적 본성회복의 차원까지 확장되는 의미를 가진다. 살아있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인간 존재가 본래 하나인데 존재의 주체는 분열되어 있어 번뇌 망상으로 고통을 받는다. 이것이 치유가 필요한 이유이고, 이 필요성을 아는 것이 치유의 시작이다. 본래 하나임을 알고 그 본성이 유기체적으로 연결되어 더 커다란 우주 자연과 하나임을 깨닫는 것을 치유의 완성이라고 본다. 따라서 존재의 전인성을 확보하는 치유적 관점으로 볼 때, 심리적 건강과 영적 실현을 함께 아우르는 십우도는 구체적인 치유과정과 구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유익한 치유 기제라 할 수 있다. 선시에 있어서 깨달음을 향한 선적 체험은 시인이 시작 과정에서 대상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대상과 소통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시인이 '開悟體驗'을 했다면 존재 탐구를 노래하는 시인은 '시적 자아'라고 하기 보다는 '시적 진아'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모든 경험은 마음의 작용으로 만들어지고 해석되기 때문에 일찍이 마음이라는 화두를 중요시 여긴 선사상과 선시는 치유의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존재에 대한 근원적 접근기재인 禪하기는 심리치료의 치유과정과 상통하며 치유의 완성으로 가는 고차원적인 심리기제가 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치유와 구도의 시학으로서 「십우도」

        서주석 ( Joo Seok Seo ),백원기 ( Won Gi Bae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본 논문의 목적은 치유와 구도의 시학으로서 「십우도」를 접근하는데 있다. 선가에서는 마음을 찾는 일, 부처가 되는 일을 ‘소찾기’에 비유하여 ‘소’ 찾는 과정을 열 단계로 나누어 도해한 것이 「십우도」(十牛圖또는 尋牛圖)이다. 그러므로 ‘소’를 찾는다 함은 바로 “나는 누구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기도 하다.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치유(healing)는 육체적, 정신적인 문제나 병리 현상을 극복하는 차원을 넘어서 인간의 전인적인 성찰과 깨달음을 향한 거시적 본성회복의 차원까지 확장되는 의미를 가진다. 살아있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인간 존재가 본래 하나인데 존재의 주체는 분열되어 있어 번뇌 망상으로 고통을 받는다. 이것이 치유가 필요한 이유이고, 이필요성을 아는 것이 치유의 시작이다. 본래 하나임을 알고 그 본성이 유기체적으로 연결되어 더 커다란 우주 자연과 하나임을 깨닫는 것을 치유의 완성이라고 본다. 따라서 존재의 전인성을 확보하는 치유적 관점으로 볼 때, 심리적 건강과 영적 실현을 함께 아우르는 십우도는 구체적인 치유과정과 구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유익한 치유기제라 할 수 있다. 선시에 있어서 깨달음을 향한 선적 체험은 시인이 시작 과정에서 대상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대상과 소통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시인이 ``開悟體驗``을 했다면 존재 탐구를 노래하는 시인은 ``시적 자아``라고 하기 보다는 ``시적 진아``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모든 경험은 마음의 작용으로 만들어지고 해석되기 때문에 일찍이 마음이라는 화두를 중요시 여긴 선사상과 선시는 치유의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존재에 대한 근원적 접근기재인 禪하기는 심리치료의 치유과정과 상통하며 치유의 완성으로 가는 고차원적인 심리기제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pproach ‘Ten Ox Herding Pictures’ as the Poetics of Healing and Seeking Dharma, focusing particularly on Seon thought and Seon poetry revealing the enlightenment by using transcendental metaphors. Healing does not only aim at overcoming physical and spiritual problems and pathological phenomena but also has an extended meaning to recover the true nature in the all-inclusive perspective toward holistic introspection and awakening of human beings. Considering Seon practice in healing perspective, it is significant for us to trace Seon thought and Seon poetry which seem to combin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piritualization. If we call "sudden enlightenment" obtained from a spiritual journey ``a vertical unfolding,`` then empirical course to integrate psychological obstacles inherent within the mind could be ``a horizontal unfolding.`` Just as ``a horizontal unfolding`` is the pivot of mind operation, so ``a vertical unfolding`` is the core of spiritual awakening. Consequently, I tried to explore healing aesthetics formed by the cross of spiritual work and psychological work revealed in the course of seeking after truth of ``Ten Ox Herding Pictures.`` In writing Seon poetry, the Seon experience toward awakening focuses on the relations of the true nature and it seems to be similar for the poet to focus on the relations of the true objects in poetry writing. In this process, if a poet had ``enlightenment experience,`` then he who tries to express the search for existence could be referred ``the poetic true-self`` rather than ``the poetic self.`` Since experiences are created and interpreted only by the mind operation, Seon thought and Seon poetry can become a powerful device of healing.

      • KCI등재

        목부(牧夫) 한용운의 곽암(廓庵) 십우송에 관한 주석과 한용운 심우시의 의미와 가치

        박판식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3 禪文化硏究 Vol.35 No.-

        1937년 한용운은 목부(牧夫)라는 필명으로 「심우장설(尋牛莊說)」이라는 수필에서, 그가 임종할 때까지 거처로 삼은 건물의 이름을 심우장이라고 지은 유래부터 밝히고 불교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활용하여, 부처님의 경전으로부터 시작하여 중국의 선종을 거쳐 한국에 정착해서 대중에게도 친근하게 향유되는 십우도와 십우시의 의미를 분석한다. 그리고 겸손하게 곽암의 십우시를 차운했다고 밝히면서 자신의 심우시 10편을 수록한다. 이 수필에 대한 의의와 가치는 그 분량에 비해 상당히 중요하다고 여겨지는데심우장이라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에 대한 의의가 밝혀지는 동시에, 선사로서 그의 깨침의 경지와 그의 문학적 성취가 10편의 선시로써 의연히 표출되고있는 글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거듭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한용운의 곽암의 십우도에 관한 주해를 그 실제 도판과 함께분석하였다. 더불어 한용운의 곽암 십우도 주석에 관한 분석과 함께 2006년에병풍으로 발견된 한용운의 친필 심우시[한용운 심우송(尋牛頌) 병풍]와 한용운전집 에 수록되어 있는 심우시, 그리고 최초 발표 매체인 佛敎 新 第四輯 의「尋牛莊說」에 실려 있는 심우시의 의미와 가치를 대승불교 보살행의 관점에서상호 비교하였다. In 1937, Han Yong-un wrote an essay titled Simwoojangseol(尋牛莊說) under the pen name Mokbu(牧夫), revealing the origin of the building where he lived until his death as Simwoojang, and using his deep and extensive knowledge of Buddhism, he analyzes the meaning of Simwoodo(The ten ox-herding pictures, 尋 牛圖) and Am(廓庵) Simwoosong, Simwoodo, Simwoosi(The ten ox-herding poems, 尋牛詩), which are familiar to the public, starting with the Buddha's scriptures and settling in Korea through Chinese Zen Buddhism. Finally, he humbly revealed that he wrote poems using ten poems by Kwak Am(廓庵) and included his poems. Accordingly, this study compared Han Yong-un's handwritten simwoo poems(Han Yong-un simwoosong(尋牛頌) folding screen), which was discovered as a folding screen in 2006, simwoo poems contained in the 「Han Yong-un Collection, and finally, simwoo contained in the 「尋牛莊說」 in the 「佛敎 新 第四 輯第」 of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Bodhisattva. In addition, Yong-un's explanation of The ten ox-herding song of Kwak Am(廓 庵) was analyzed together with the Simwoodo(The ten ox-herding pictures, 尋牛圖).

      • KCI우수등재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Zhi gnas dpe ris

        차상엽(Cha, Sang-yeob)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5 No.-

        불교의 명상체계는 ‘고요한 머무름’이라는 의미의 샤마타(śamatha, 止)와 ‘통찰’이라는 의미의 비빠샤나(vipaśyanā, 觀)라는 두 가지 범주를 통해 제시된다. 티벳불교에서 샤마타 명상은 특히 ‘샤마타도(Zhi gnas dpe ris)’로 알려진 그림으로 예시되며, 이 도상을 통해 불교명상의 이론과 실수가 수행자에게 소개된다. 샤마타도(圖)는 샤마타 명상 단계의 점진적인 진전을 상징화하고 있으며, 코끼리와 원숭이와 토끼를 길들이는 승려를 묘사한 일련의 그림이다. 샤마타도의 교리적인 배경에 관한 한, 그 주제는 아홉 가지 마음의 머무름(九種心住), 즉 명상 중에 마음을 머물게 하기 위한 연속적인 방법과 연관이 있다. 인도불교문헌 내에서 구종심주에 관한 설명과 관련한 가장 최고기의 원전은 『性聞地(Śrāvakabhūmi)』이다. 『聲聞地』는 인도의 명상 전통을 완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中邊分別論(Madhyāntavibhāgabhāṣya)』과 까말라씰라(Kamalaśīla)의 『修習次第(Bhāvanākrama)』에서 발견되는 샤마타에 대한 설명과 같이 유가행파 문헌에 많은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인도원전과 그 가르침은 티벳문헌 중 쫑카빠(Tsong kha pa)의 『보리도차제대론(Lam rim chen mo)』과 같은 명상과 관련한 고유한 저작 속에 많이 차용되었다. 샤마타도와 연관되어 있는 구종심주에 대한 명상적 설명뿐만이 아니라 이도상이 꽤 잘 알려진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이 그림의 역사에 관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현대의 일본학자가 샤마타도라는 주제에 관해 몇가지 논문을 일본어로 작성하였다. 1958년에 카지야마 유이치(梶山雄一)가 샤마타도의 티벳 버전에 대해 간략한 논문을 작성하였다. 이 주제에 관한 또 다른 일본 출판물로는 출팀 깰상(Tsultrim Kelsang, 1991), 카츠미 미마키(御牧克己, 1996과 2000)와 마사아키 노닌(能仁正顯, 2005)이 쓴 짧은 논문들이 있다. 비교 접근법을 통해, 프랑스 학자 캐서린 데스퓨(Catherine Despeux)가 선불교의 십우도, 중국 도교의 목마도, 티벳불교의 코끼리를 길들이는 샤마타도에 관한단행본을 출판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티벳불교의 샤마타도가 지니고 있는중요성에 대한 평가가 온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샤마타도의 몇 가지 예시를 제시하고, 맥락을 고려해서 구종심주에 대한 가르침과 그 샤마타도를 연결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도상 내에 존재하는 코끼리, 원숭이, 토끼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 중요성을 논의하고자한다. 아울러 이 동물들이 도상의 역사 및 의미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Most meditative systems of Buddhism are represented as ‘calm abiding’ (zhi gnas, śamatha, zhǐ 止) and ‘insight’ (lhag mthong, vipaśyanā, guān 觀). In Tibetan Buddhism, śamatha meditation practices are, in particular, illustrated by a painting known as Zhi gnas dpe ris, which introduces meditators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meditation. Zhi gnas dpe ris symbolizes the progression of śamatha meditation stages, and does so in a series of pictures showing a monk taming an elephant and a monkey. The Tibetan Zhi gnas dpe ris is somewhat similar to the well-known ten Ox-Herding Pictures(Shíniú tú 十牛圖) of East Asian Buddhism. The Ten Ox-Herding Pictures that originated from China may have been an influence for the Tibetan Zhi gnas dpe ris. However, the Zhi gnas dpe ris differs from the Ten Ox-Herding pictures, because the latter illustrate not only the stages of śamatha meditation practice but also the stages of enlightenment, including both śamatha and vipaśyanā. Concerning the doctrinal background of Zhi gnas dpe ris, the motif is connected with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sems gnas dgu, navākārā cittasthitiḥ, jiǔzhǒng xīnzhù 九種心住), i.e., consecutive methods for settling the mind in meditation. In Indian Buddhist literature, the earliest textual source for the explanation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is the Śrāvakabhūmi (Nyan thos kyi sa, Shēngwén dì 聲聞地) from within theYogācārabhūmi (Rnal 'byor spyod pa'i sa, Yúqié shī dì lùn 瑜伽師地論). The Śrāvakabhūmi was instrument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ian meditative tradition, and became very influential for the Yogācāra literature, such as the explanations on śamatha found in the Madhyāntavibhāgabhāṣya (Zhōngbiān fēnbié lùn 中邊分別論) and Kamalaśīla’s Bhāvanākrama (Sgom pa'i rim pa, Xiūxí cìdì 修習次第). In Tibetan literature, these Indian sources and their doctrines were adopted in many indigenous works on meditation, such as Tsong kha pa’s Lam rim chen mo.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editation explanations of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that lie behind the Zhi gnas dpe ri painting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Zhi gnas dpe ris is a quite well-known motif,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extrem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history of this painting. Modern Japanese scholars have written some articles about the motif, all written in Japanese. In 1958, Yuichi Kajiyama (梶山雄一) wrote a brief article about a Tibetan version of the Zhi gnas dpe ris. Other Japanese publications on this topic include short articles by Tsultrim Kelsang (1991), Katsumi Mimaki (御牧克己)(1996, 2000), and Masaaki Nonin (能仁正顯)(2005). Using a comparative approach, the French scholar Catherine Despeux has published a monograph (1981) on the Ten Ox-Herding Pictures of Zen Buddhism, the Horse-Taming Pictures of Chinese Daoism, and the elephant-taming Zhi gnas dpe ris of Tibetan Buddhism. However, a full assessment of the significance of the Zhi gnas dpe ris for Tibetan Buddhism has hitherto not been attempted. I shall in this paper present some examples of Zhi gnas dpe ris paintings, contextualize them, present their connection with the teachings on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e symbolism of the elephant, the monkey, and the rabbit, showing how these animals are related to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paintings.

      • KCI등재

        심우도의 사실적 구현에 관한 연구 - 홍인의 심게(心偈) 작성 지시의 의도 -

        신지하 한국종교교육학회 2019 宗敎敎育學硏究 Vol.61 No.-

        이 글은 심우도 속에 나타나 있는 설화적인 선의 구도과정을 현실적인 세계의 선수행의 진실적인 모습을 담기 위해서 혜능과 홍인의 사실감 있는 수행과 지도의 과정을 중국의 살아 숨쉬는 돈황문서들 중에 돈황본 『단경』에 입각해서 재구성하여 보았다. 심우도가 선종의 중요한 수행의 방침이지만 단지 이상적인 세계 속의 영상으로 존재하는 현실에 대해서 아쉬움을 느끼면서 본인이 전공한 선사상을 접목을 시켜서 심우도에 생명을 싣고자 하였다. 이 심우도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심우도 자체의 각각의 가치를 평하는 것은 너무나 큰 작업이었으므로, 심우도에 대해서 송을 지은 선사들의 귀중한 한시들을 참고로 하여서, 보명의 심우도의 쌍민의 10단계의 4구의 마지막 한자로써 모일 총자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사료들에 입각하여 혜능의 견성의 선사상과 모일 총자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고 본 논문은 가정하고 출발을 한다. 물론 여기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한시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깊이 있게 될 필요가 있지만 본 논문은 심우도의 전개과정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였다. 보명의 심우도에 대한 점수론적 평가들이 있지만 여기에 대한 논점은 본 논문에서 다루지 않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