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구선수의 경기력 평가에서 나타나는 자기착각

        윤영길 ( Young Kil Yun ),전재연 ( Jae Youn Jeon ),김종환 ( Jong Hwa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경기력 평가에서 나타나는 자기착각을 확인하기 위해 초등선수, 중학선수, 직업 선수를 대상으로 경기력 자기지각과 타인지각을 살펴보았다. 축구 경기력 주제로 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축구 경기력 평가 질문지를 제작하여 1,227명의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축구 경기력 지각 경향성 검토를 위해 기술통계를, 경기력의 자기평가와 타인평가 차이 확인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축구선수는 자신의 경기력을 다른 선수와 비교했을 때 기술, 매개기술, 축구지능 요인에서는 자기겸양 편향을 보인 반면, 심리 요인에서는 자기고양 편향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초등선수, 중학선수, 고교선수는 기술, 매개기술, 축구지능 요인에서 자기겸양 편향, 심리 요인에서 자기고양 편향이 나타난데 비해, 대학선수는 심리 요인에서만 자기고양 편향이 나타나고, 기술, 매개기술, 축구지능 요인에서는 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직업선수는 기술과 매개기술 요인에서는 자기겸양 편향이, 심리 요인에서는 자기고양 편향이 나타난 반면, 축구지능 요인에서만 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축구선수의 경기력 지각에서 나타나는 자기겸양 편향은 타인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스포츠 팀 분위기의 영향으로 겸손 전략이 작용했을 가능성으로 판단되며, 자기고양 편향은 비교적 객관적 관찰이 불가능한 영 역에서 자신의 능력과 가치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기고양 전략의 가능성으로 판단된다. 연구에서 심리적 흐름이나 보편적 경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간의 흐름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f illusion of football players in performance assess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1,227 football players (elementary, middle, high-school, university, professional play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self-assessment and oth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assessment aspects of performance, skill, mediative skill, and football intelligence factors showed self-abasement bias. However, in assessment aspects of performance psychology illustrated self-enhancement bias. Specifically, elementary, middle, high-school football players showed self-abasement bias in skill, mediative skill, and football intelligence factors and showed self-enhancement bias in psychology factor. Although university football players showed self-enhancement bias in psychology factor, there is no significant in skill, mediative skilL and football intelligence factors. In addition, professional football players showed self-abasement bias in skill and mediative skill factor, self-enhancement bias in psychology factor.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in football intelligence factors. In conclusion, football player illustrated self-abasement bias in skill, mediative skill, and football intelligence factors and showed self-enhancement bias in psychology factor. In considering these results, sport psychology researches need to explore the ways reflecting time passage which can confirm psychological flow and the universal tendency.

      • KCI등재

        자기개념 위협에 따른 편집성향자들의 주의편향 및 귀인양식에 미치는 영향

        이명원,신민섭,김중술 한국임상심리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2 No.1

        This paper confirmed the cognitive biases of people with paranoid tendencies in either threatening or enhancing self-concept: bias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relevant to the self, attributional bias, and explicit self-concep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when their self-concepts is threatened, people with paranoid tendencies become sensitive to stimuli related to self, attribute negative events to others, and explicitly perceive themselves positively. The another goal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at such individuals reveal these cognitive biases when their self-concepts are threatened, but in the absence of threat, they reveal these biases to a much lesser degree. Cognitive biases were investigated in three groups of college students: one with paranoid tendencies, one with depressive tendencies, and one normal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each categor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One group was given positive feedback regarding a disguised IQ test and the other was given negative feedback about the test. The hypothesis was that the paranoid subjects in the group whose self-concept was threatened (i.e., that was given negative feedback) would show more attention bias to words related to self than subjects from the control group, would attribute failure in the task to a partner, and would rate themselves positively in self-descriptive words. Another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the paranoid members of the group in which self-concept was threatened but given positive feedback would show these cognitive biases much les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pported these hypotheses. These findings ar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recent theories that paranoia functions as a defense against low self-esteem and that the paranoid have underlying weak self-concepts and are very sensitive to threats to self. When under threat, they show so external attributional bias that they may preserve their positive self-concep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군사관생도의 자기평가에서 나타나는 자기착각

        강지훈 ( Kang Ji-hun ),김현주 ( Kim Hyeon-ju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0 스포츠사이언스 Vol.38 No.1

        본 연구는 신체적 자기개념에서 나타나는 자기착각을 확인하기 위해 공군사관학교의 생도를 대상으로 자기평가를 통해 자기착각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평가와 자기착각, 신체적 자기개념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를 수정하여 생도 3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지각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SPSS 21.0과 엑셀 2013을 이용해 기술통계, 빈도분석, 대응표본 t-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군사관생도의 자기평가는 자기고양상태로 Likert 척도의 전체 점수분포 중 5점과 6점의 빈도(66.6%)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평가와 객관평가 설문은 외모, 신체활동, 자기존중감, 신체전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포츠유능감, 체지방, 건강, 유연성, 지구력, 근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을 토대로 한 공군사관생도의 자기평가 결과는 전반적으로 자기고양이 나타났으나 스포츠유능감에서는 자기겸양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가 전인을 지향하는 공군사관학교의 생도교육에서 체육과 관련된 평가지표의 자기착각 흐름을 이해하고, 평가에 따른 귀인에 대한 관심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elf-illusion of objective assessment through the operationally defined self-assessment and self-scale of the cadets of the Korea Air Force Academy (KAFA) to determine self-illusion observed in the physical self-concept. Data were collected from 38 cadets using a questionnaire on physical self-concept, which was revi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self-assessment, self-illusion, and physical self-concept,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using SPSS 21.0 and Excel 2013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ercep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ive and six points were the most frequent scores, and the self-assessment of the KAFA cadets was found to reflect self-enhancement bia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physical appearance, physical activity, self-esteem, and overall body in self-assessment and objective assessment, but differences in sport competence, body fat, health, flexibility, endurance, and muscle strength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rd, the self-assessment results of KAFA cadets based on physical self-concept generally reflected self-enhancement bias, but they reflected self-abasement bias in sport competence. We expect that the present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flow of self-illusion of assessment indice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in the education of the cadets of the KAFA, which is oriented to the whole person, and interest in attribution based on assess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여자축구선수의 경기력 지각에 대한 자기평가편향

        정지수(Jung, Ji-Soo),김지태(Kim, Ji-Tae),신원상(Shin, Won-Sa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1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ased self-evaluation found in the soccer performance perception of female soccer players. Population for research was selected from female soccer players registered with Korea Women’s Football Federation as of 2014, and cluster sampling method was used on players to analyze data from a total of 296 players. For data proces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were used to verify hypothe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biased self-evaluation of factors of soccer performance perception that female soccer players perceive in the overall group showed that there occurred self-abasement bias in technical factors and soccer intelligence. But there occurred self-enhancement bias in psychological factors. High school group showed self-abasement bias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group shows little biased self-evaluation. And corporate team group shows self-abasement bias in psychological factors. Second, female soccer players perceive in comparison with male soccer players showed self-abasement bias that highly regards performance of male soccer players than their own performance in all the factors. Female soccer players perceived between high school, university, and corporate teams in comparison with male soccer players showed that there was self-abasement bias in high school, university and corporate teams in general. However, there was no self-abasement bias in concentration among psychological factors in corporate team players.

      • KCI등재

        자기 참조적 출처 기억에서의 자기 긍정 편향

        김경미,이도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1

        본 연구는 출처 점검 과제(source monitoring task)를 사용하여 자기 긍정 편향(self-positivity bias)의 영향으로 인해 출처 기억에서 자기 참조 효과(self-reference effect)의 크기가 기억 내용의 정서가에 따라 달라지는 지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이 자기 참조 및 타인 참조 부호화 조건에서 단어들을 학습한 직후 기억 검사를 받았던 실험 1에서는 긍정 형용사에 비해 부정 형용사에 대한 출처 기억에서 자기 참조 효과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학습과 검사 사이에 24시간의 파지 간격을 둔 실험 2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더욱 극대화되어 부정적 단어에 대한 출처 기억에서 자기 참조 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기 긍정 편향으로 인해 동일 정서가의 정보일지라도 자신과의 관련성에 따라 그 출처가 기억되는 양상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자아를 참조하여 정보를 처리(self-referential processing)하는 것이 늘 더 정확한 기억을 유도하는 것은 아니며, 주로 부정적 측면에서 논의되어 온 기억 편파 및 왜곡이 자기 고양 동기의 실현 및 긍정적 자기 개념의 유지 등을 돕는 순기능적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magnitude of self-reference effects would differ for positive versus negative information as a function of self-positivity bias within a source monitoring paradigm. In Experiment 1 where a memory test immediately followed a learning phase, the size of self-reference effects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positive words compared to negative words. This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self-reference effects for negative words was found to be more pronounced in Experiment 2 where a 24-hour interval was introduced between learning and memory test phases: no self-reference effect for negative word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due to the self-positivity bias, the association between a memory and its source become systematically biased toward positivity when a memory is self-relevant as well as toward negativity when a memory is about others. Overall, the current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the crucial role of memory in maintaining and enhancing positive self-image and further suggest that memory bias, which has mostly been discussed for its negative consequences, may serve a functionally adaptive role by enhancing individuals' positive self percep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자기위안편지쓰기가 자기비난 경향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인지편향에 미치는 효과

        정현희,조현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2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elf-reassuring letter writing on self-criticism, self-reassurance, shame, guilt, symptom level(depression, anxiety, anger, somatization), and cognitive bias. Thirty eight stude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higher self-criticism level and lower self-reassurance leve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n=18) or the wait-list control group(n=20) respectively. The treatment group spent 7 days self-reassuring letter writing by themselves, and the wait-list control group was untreated.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psychological health and took the Stroop-like task to cognitive bias. The result were found to improve psychological health that self-reassurance, self-criticism, shame, guilt, symptom level(depression, anxiety, anger, somatization) in the treatment group. These results were maintained at the follow-up assessment 4 weeks later. Also, All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cognitive bias, but their cognitive bias were presented tendency to improve after self-reassurance letter writing. Especi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of self-reassurance letter writing for students with highly self-criticism could be effective a positive effect on unconscious information processing.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기비난 수준이 높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위안 편지쓰기가 자기비난, 자기위안, 수치심 및 죄책감, 증상수준(우울, 불안, 분노, 신체화) 그리고 인지편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자기비난 수준이 높고 자기위안 수준은 낮은 38명으로 처치집단(n=18)과 대기통제집단(n=20)에 각각 무선 할당되었다. 처치집단은 일주일간 자기위안 편지쓰기를 실시하였고 대기통제집단은 무처치하였다. 참여자들은 훈련 전후 설문을 통한 정신건강 상태와 스트룹 형태 과제(Stroop-like task)를 통한 인지편향의 측정을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건강 측면에서는 자기위안, 자기비난, 수치심 및 죄책감, 증상수준(우울, 불안, 분노, 신체화)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4주 후 설문에서도 지속되었다. 게다가 인지편향 실험결과, 훈련 전에 참여자들에게서 정서단어에 대한 편향이 있음이 발견되었고, 자기위안 편지쓰기 후에 편향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비난에 자기위안 편지쓰기 개입이 효과적이며, 암묵적 정보처리 과정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영향

        남미(Nam mi),박희진(Park Heeji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아동의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올바른 자아개념을 통해 반편견 인식을 제고하는 교육적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자아개념과 반편견 인식은 둘 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반편견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아개념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인성적, 학업적자아개념은 반편견의 하위변인인 성, 능력(장애), 문화(인종), 계층 편견에 모두 의미있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개념은 반편견 인식을 약 22.1% 설명하였다. 특히, 학업적 자아개념은 반편견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반편견 인식이 높아질 수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 향상교육을 위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긍정적인 학업적 자아개념을 활용한 반편견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적 실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conception on anti-bias recognition and to provide educational methods encouraging the anti-bias recognition with positive self-concep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such studies, a survey for third and fourth grade of total 17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self-conception and anti-bias recognition of children were shown higher in the case of girls than boys. The result of anti-bias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mong the sub variables of self-conception, in parts of social, affective and academic of it both showed positive correlation on a bias towards gender, ability(disability), different culture(human race) and social class. Third, the result of the effect of self-conception on anti-bias cognition of children has proved almost 22.1% of correlation. Through the study one of the important confirmations was that we found positive influence of academic self-conception on anti-bias recognition. In conclusion, self-conception might be a significant factor to anti-bias recognition, which means we need to have passion for anti-bias education at the same time with positive academic self-conception.

      • KCI등재

        자기해석과 불확실성이 구독 선택에서 현상유지 편향에 미치는 영향

        이한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construal and uncertainty on status-quo bias in subscription choices.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elf-construal and uncertainty jointly influence status-quo bias on the basis of self-concept literature.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participants with a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re more inclined to stay with the current state.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with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tend to switch from the status quo. The results indicate that people with a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re more likely to keep unused subscriptions than those with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strual and status-quo bias is moderated by primed uncertainty. When certainty is primed, people with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are less likely to retain, but more likely to acquire a subscription service. Also, people with a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re less likely to subscribe to a new service compared to those with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However, uncertainty leads people to continue to subscribe to a service regardless of whether one’s self-construal is independent or interdependent.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decision-making research and for practitioners who wish to increase the retention of subscriptions. 본 연구는 구독 선택 상황에서 현상유지 편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자기해석 성향과 결정 과정에서 상황적 맥락으로 고려되는 불확실성에 따라 구독 선택 시 현상유지 편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가 독립적 자기해석자에 비해 구독 선택 상황에서 기존의 선택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현상유지 편향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경향성은 상황적 맥락인 불확실성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확실한 상황에서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는 독립적 자기해석자에 비해 현상유지 편향을 더욱 많이 나타냈다. 그러나 불확실한 상황이 제시된 경우 구독 선택 상황에서 현상유지 편향을 보이지 않았던 독립적 자기해석자가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와 마찬가지로 구독 선택을 전환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구독 구매 결정과 관련된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실제 구독 맥락에서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조절 초점이 자기 고양 편향과 자기 고양 전략에 미치는 영향

        조한익,이소희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인 대학생이 조절 초점에 따라 자기고양편향과 자기고양전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아 대학생의 건강한 자기 고양 전략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방초점은 자기고양 편향과 유의미한 관련은 없지만, 향상초점은 자기고양 편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둘째, 예방초점은 자기 고양 전략의 하위요인 중 호의적 이해 전략을 부적으로 예언하고, 향상초점은 자기 고양 전략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피드백 추구 전략, 호의적 이해 전략, 긍정적 자기 확인 전략을 정적으로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 고양 편향과 자기 고양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초점의 특징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긍정적인 자기 고양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the self-enhancement bias and self-enhancement strategy.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as 213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prevention focus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ith self-enhancement bias but promotion focu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nhancement bias. Second, prevention focus has a negative impact on favorable constrauls which is one of the self-enhancement strategies. promotion focu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ollowing three strategies, positivity embracement, favorable constrauls, and self-affirming reflections. This study was supposed to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exploring positive self-enhancement strategies through investigating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the self-enhancement bias and self-enhancement strategy.

      • KCI등재

        주체성-대상성 자기와 긍정적 환상의 관계에 관한 한일비교 연구

        이누미야요시유키 한국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n alternative model of cultural self-construals which can explain the differences in self-perception between South Koreans and Japanese. Traditionally accurate perception of self has been regarded as essential to mental health, but some researchers argue that positive illusions (or self-enhancing biases)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uman thinking. Self-enhancement is one of the most reliable findings in Western cultures. However, many cross-cultural studies have found little or no such biases in Japan. Therefor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cultural differences in self-perception reflect cross-culturally divergent view of self as independent (in European American cultures) or as interdependent (in Asian cultures). But this perspective cannot explain the positive illusions that South Koreans ha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an alternative model of cultural self-construals: the subjective self of South Koreans vs. the objective self of Japanese. As required for theoretical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elf-construals, we found that subjective self-construals were dominant in South Koreans(n = 158) and that objective self-construals were more pronounced in Japanese(n = 131). Also, as we had anticipated, South Koreans showed significantly more false uniqueness, perceived control, and unrealistic optimism than Japanese, and these positive illusions were related to stronger subjective self-construal and weaker objective self-construal for both South Koreans and Japanes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South Koreans show positive illusions because of their strong subjective self-construals and weak objective self-construals, whereas Japanese show weak or no positive illusions because of their weak subjective self-construals and strong objective self-construals.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에서 폭넓게 드러난 자기평가의 차이를 조명함으로써 자기에 관한 긍정적 환상의 문화차를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에 의해 설명하려는 기존 이론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긍정적 환상의 문화차를 설명하는 대체 모델인 주체성-대상성 자기 이론을 한국대학생과 일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일본인을 대상으로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의 교차타당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는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사용가능한 타당한 척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론적 예상대로 한국인이 내면화한 문화적 자기관은 주체성 자기이고 일본인이 내면화한 문화적 자기관은 대상성 자기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한국인의 경우도 일본인의 경우도 허구적 독특성, 지각된 통제감, 비현실적 낙관성과 같은 긍정적 환상은 실제로 개인이 내면화한 주체성 자기와 정적 상관이 있고 대상성 자기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대인관계의 분리-연결 차원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 영향력의 방향성 차원을 추가한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이론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보이는 긍정적 환상의 문화차를 일관되게 설명함으로써, 심리적 과정과 사회적 행동의 문화적 다양성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적 자기관 이론으로서의 일정한 타당성과 유용성을 구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한일 비교 성격론의 정교화 및 확장을 시도하기 위해 자기평가 이외의 심리과정에 대해서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인의 주체성 자기와 일본인의 대상성 자기 형성의 가정적 및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