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권동택(Dongtaik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

        목적 본 연구는 일반교육의 기본 개념 논의를 통하여 현대 초등교육의 관점에서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성격을 논의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초등교육 기본 성격 및 개념 관련 국내외 단행본 및 학회지 게재 논문 등 다양한 정보 검색에 의해 수집된 자료 등을 중심으로 검토되었다. 결과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교육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인성과 지성 그리고 최근 강조하고 있는 역량을 포괄하여 개념화되는 교육이다. 첫째,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고 인간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교육이다. 첫째,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고 인간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교육이다. 셋째,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최근 강조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역량을 강화하는 역량기반의 일반교육이다. 결론 일반교육으로서의 초등교육은 교양교육 혹은 자유교육에 대한 이론적 측면보다는 교육의 실제적인 측면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는데, 단순히 이론적 지식을 넘어 기능, 능력, 태도 등 지식을 보다 효과적이고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실제적인 역량기반의 초등교육이 곧 일반교육의 현대적 개념인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discusses the nature of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elementary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was reviewed with a focus on data collecte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searches,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books, dissertations, and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research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of elementary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is conceptualized as encom-passing character, intelligence, and the competencies that have recently been emphasized in the historical con-texts of education. First,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s education that respects human values and creates human identity. Second,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lays the founda-tion for acquiring knowledge needed in a changing modern society, developing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based on the acquired knowledge, and enhancing intelligence in the course of life. Third,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s a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that strengthens competenc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Conclusions Elementa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needs to focus on the practical aspects of education rather than the theoretical aspects of liberal education or liberal education, so that knowledge such as skills, abil-ities, and attitudes can be utilized more effectively and comprehensively beyond simply theoretical knowledge. Practical competency-based elementary education is the modern concept of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TQM 적용가능성 논의

        권동택(Kwon, Dongtaik),이주영(Yi, Juyeong),이정표(Lee, Ju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중심교육과정은 목적, 내용, 방법, 평가, 운영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으로, 교육 대상인 학습자의 결과 향상과 과정 만족을 통해 의미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학교중심교육과정은 그 개발부터 실행과 산출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질 관리(quality management) 를 요구한다. 그러나 지금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는 결과 차원에서 다루어진 경향이 있다. 학교교육에서의 ‘질 은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성취와 만족을 통해 드러나는데, 이때 TQM은 공급자와 수요자 각각의 ‘질 향상과 만족’이라는 조직 목적 달성을 위한 것으로, 조직 구성원 모두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한 계속적인 개선 과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물론 TQM을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에 적용하는 문제는 그 가능성뿐만 아니라 한계를 동시에 갖고 있으나,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질 관리 문제에 있어서 다양한 시사를 줄 수 있다. TQM의 교육과정 이행의 ‘맥락성’, ‘지속적인 개선’,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지향성’ 등은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철학적 토대로 서 작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availability of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for the quality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he school-based curriculum is a comprehensive plan on objective, content, method, evaluation, and management. It s meaning is given in terms of process satisfaction and result improvement of the learner. Thus,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mands the quality management on the entire process from it s development to implementation and output. But, until now, the quality management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tends to treat aspect of result. The quality in school education reveals learner 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at want to be educated. Thus, The TQM in school organization first must consider student as educative recipient. And this demands the leadership, organizational dedication, total involveme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members and the effort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etc. An application of TQM to the school-based curriculum has the limits and the possibility. Nevertheless, It offers a various implications about the quality of school-based curriculum. TQM can operate as a philosophical base for context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tinuous improvement , orientation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etc.

      • KCI등재

        초등학교 취학 연령 및 유예 기준에 대한 국제 비교연구

        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3

          본 연구는 비교교육의 관점에서 주요 선진국의 초등학교 취학 연령 및 유예 기준과 절차 등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에의 의무교육 정책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싱가포르, 영국, 프랑스, 독일 그리고 스웨덴 등의 주요 선진국의 취학 연령은 대부분 만 6세 전후로 규정하고 있지만, 나라별로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취학 유예는 의무교육과 의무학교교육의 관점에서 그 사유를 명확히 함으로써 단순히 학부모의 선택으로만 판단하지 않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2009년 3월에 초등학교를 입학하는 아동부터 취학연령 기준이 변경되고 학부모의 선택만으로 1년 범위 내에서 조기 입학이나 입학 연기가 가능하게 되어 문제의 소지가 남아 있다. 따라서 의무 취학 연령과 유예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 취학 연령과 유예의 간편성, 자의성 그리고 형식성이 의무 취학 대상 아동에게 어떤 교육적 및 발달적 이득이 있는지, 그리고 취학전 교육에서 의무 취학 단계로의 전환시 적절한 지원 체제 및 적령 아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그리고 의무 취학 연령의 탄력적 운영에 대한 보다 다원적인 접근을 통한 심도있게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mpulsory attendance age and deferment at the compulsory schooling in Canada, United State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Singapore, England, France, Germany and Sweden, is to find out the suggestion for the policy of compulsory education i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in those educational developments, compulsory education is major factor of the educational system. Thus all countries have systemized the compulsory education for educ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national development. Korea also had developed the compulsory edu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The attendance age and deferment of compulsory schooling are relatively differ according to the contexts of countries. The attendance age of many countries is, for the most part, six-years, but according to country, it is being applied flexibly. But in case of attendance deferment, establishing clear-cut reason of deferment in a points of compulsory education and compulsory schooling, simply it is not decide on deferment by only choice of parents. For the quality of compulsory education, the attendance age and deferment should be thoughtfully considered by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child, and tt is necessary more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flexible application of attendance age and deferment.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 및 학교정체성과 학교생활만족도 관계

        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정체성 및 학교정체성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으며, 특히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에서 학교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자아정체성 및 학교정체성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359명의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전체 50개 문항이 투입되었으며, SPSSWIN과 AMO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론 모형의 적합도지수는 χ 2=254.9(df=51, p<.001), TLI .903, RMSEA .106, NFI .908 and CFI .925로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아정체성은 학교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자아정체성이 학교정체성에 학교생활만족에 더 높은 영향이 있었다. 둘째,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에서 학교정체성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학교 아동의정체성 및 학교정체성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to analysis the structural relation for personal identity, school ident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especially, to analysis the mediative effect of schoo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dent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 on the collected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 for personal identity, school ident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otal 50 items were performed with 359 children, and item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and AMOS. The model fit, χ 2=254.9(df=51, p<.001), TLI .903, RMSEA .106, NFI .908 and CFI .925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standar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 First, personal identity has direct effect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personal identity is more influential variable than school identity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ve effect of school identity was significant. As based on this results, succeeding study can be more helpful with relationship for personal identity, school ident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권동택(Dongtaik Kwon),김현욱(Hyun-wook Kim),남미(mi Nam),최지연(Jiye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생들의 민주적 학교문화, 배움중심교육과정,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민주적 학교문화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배움중심교육과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9월 K도의 학교생활만족도 관련 설문조사를 통하여 초중고교 3,087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민주적 학교문화를 독립변인으로 그리고 배움중심교육과정을 매개변인으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SPSS 26.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민주적 학교문화, 그리고 배움중심교육과정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는 타당하게 예측되었다. 둘째,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민주적 학교문화와 배움중심교육과정의 직접효과는 모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셋째, 초중고 학생들의 민주적 학교문화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배움중심교육과정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의의는 초중고 학생에게 있어서 민주적 학교문화와 학교생활만적 간에 배움중심교육과정이 의미 있는 매개 역할로 중요한 영향 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데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mocratic school culture, learning-centered curriculu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centered curriculu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Methods In this study, through a survey on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3,08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 province in September 2022, a research model was set up with school life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democratic school cultur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centered curriculum as a mediating variable.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AMOS 22.0. Results First, the fit of the causal model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learning-centered curriculum was good,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reasonably predicted. Second, both the direct effects of the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the learning-centered curriculum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learning-centered curriculum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that the democratic school culture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school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learning-centered curriculum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and is an important influencing variable between the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school life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스마트교육이 스마트기기 사용관련 역기능 문제에 미치는 영향

        권동택(Kwon, Dongtaik),유형근(Yu, Hyeongkeun),이영주(Lee, Youngju),정연홍(Jeong, Yean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 사용관련 역기능 문제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스마트교육이 스마트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3년에서 2014년에 거쳐 스마트교육 관련 연구 및 시범학교를 운 영한 전국의 초·중학교와 일반 초·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3,580부의 자료에 대하여 빈도분석, t-검증, F-검증, 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기기 사용관련 역기능 문제는 학교급별, 스마트폰 사용여부, 성별, 지역, 사용기기의 종류, 사용기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교육 연구·시범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역기능 문제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기기 사용기간과 사용시간이 역기능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교육이 스마트기기 사용관련 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dysfunction of mobile device usage and the effects of mobile learning on dysfunction of students’ mobile device usage. For data collection, we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3,58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 analyzed the data using a frequency analysis, t test, F test, an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between the dysfunction of mobile device use and the variable of smartphone use, the school grade, sex, region, type of devices, and usage of mobile devices. 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indicates that the dysfuntion problem was more serious at other schools than at the mobile learning pilot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how mobile learning would influence related adverse effects of students’ use of mobile devices.

      • KCI등재

        「비교교육연구(1971~2009)」게재 논문 내용 분석

        권동택(Kwon Dongtaik),김정희(Kim, Jung 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5

        본 연구는 한국비교육학회의 학회지인 「비교교육연구」 관리의 질적 제고를 전제로 게재 논문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학회지 질적 및 양적 제고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971년에 발간된 창간호부터 지난 2009년까지 발간된 19권 4호까지 「비교교육연구」 의 체제상 변화와 함께 게재 된 총 396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는 내용 분석을 하였다. 본 학회의 정체성 차원에서 그리고 비교교육학적 연구방법의 접근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첫째, 비교교육의 방법적 측면에서, 비교교육이론과 방법론적 논문들이 보다 많이 게재되어야 한다. 둘째, 간학문적 그리고 고등교육뿐 아니라 초중등교육에 대한 다양한 영역의 논문들이 게재되어야 한다. 셋째, 양적이고 문헌 연구적 논문뿐 아니라 질적이고 현장 연구적 논문 게재가 필요하다. 넷째, 비교교육 영문지의 발간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다섯째, 비교교육의 학문적 성격과 본 학회의 정체성을 위하여, 학술지 게재 논문의 지속적인 질 관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blished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as a disciplin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tasks, a total of 397 articles published in this journal from the first issue of the year 1971 to 2009 was categorized and then analyzed by subjects and methodological aspect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 methodological aspects in comparative education, it needs many articles adopted the comparative methodological theory. Second, It needs to publish a various of articles about inter-discipline and comparative research on the primary or secondary education as well as the higher education. Third, More qualitative and field study rather than quantitative and literature study are needed. Fourth, It is activated the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in english version. Fifth, For the identit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it is needed to manage the quality of published articles continuously.

      • KCI등재

        홍콩의 학교기반 방과후 활동과 지원 프로그램 운영 연구

        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5

        본 연구는 홍콩의 학교기반 방과후 활동과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홍콩에서의 학교기반 방과후 활동은 홍콩의 초중등 단계의 학교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교육부에 의해 제도화되었다. 학교기반 방과후 활동과 지원 프로그램은 부진아들로 하여금 학습효과성을 개선하고, 교실 밖 학습 경험을 넓히고, 지역사회 의식과 소속감을 증진하도록 다양한 지원과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홍콩에서의 Other Learning Experiences (OLE)에는 도덕 및 시민의식 교육, 공동체 의식, 예체능 활동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다. 그리고 홍콩의 방과후 활동은 크게 수익자 부담 원칙하에 실시하는 학교 중심으로 하는 방과후 활동과 지역사회에서 하는 방과후 활동이 있는데,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부 지원금을 통해 지원되는 학교중심 방과후 학습 및 지원 프로그램이 있다. 이러한 홍콩의 학교 기반 방과후 활동과 지원 프로그램은 우리나라의 방과후 활동과 지원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ntroduce and suggest implications on School-based After-school Activities and Support Programmes in Hong Kong. School-based After-school Activities in Hong Kong is instituted by the Education Bureau of Hong Kong as a means to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ing at the primary and secondary levels. The focus of the Schoolbased After-school Activities and Support Programmes is to provide more assistance and opportunities for the disadvantaged students to improve their learning effectiveness, broaden their learning experiences outside classroom and rais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and sense of belonging. Other Learning Experiences(OLE) in Hong Kong, there are many programmes including moral and civic education, community services, aesthetic and physical activities. And there are two components under the Programmes, the School-based Grant for schools and the Community-based Projects f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to organize projects based on community needs. Based on introduction of School-based After-school Activities and Support Programmes in Hong Kong,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s on after-school activities and support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놀이 공간 이용실태 및 인식 분석

        남미(Nam mi),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현재 초등학교 내 놀이 공간의 현황 및 아동의 이용실태와 만족도, 요구를 파악하여 공간의 주체자인 초등학령기 아동의 학교 내 놀이 공간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다. 방법 4~6학년 초등학생 419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교를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만족도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요구 분석을 위한 개방형 문항은 연구자가 1차 분류 후, 초등교사 5명의 검수를 거쳐 최종 분석하였다. 결과 초등학생 59.9%의 학교 놀이 시간은 30분미만이며, 66.1%가 교실에서 놀이 시간을 보냈다. 실내 놀이 공간은 밖에 나갈 시간이 부족해서 선택한 반면, 실외는 마음껏 뛰어 놀 수 있어서라고 응답했다. 놀이 유형 역시 실내에 비해 실외 놀이 공간이 다양하고 활동적이었다. 놀이 공간 이용의 불편 사항은 62.5%가 놀이 시간의 부족으로 답하여 초등학교 내 놀이 공간을 아동이 충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학교 내 놀이 공간의 만족도는 남학생(M=3.44), 여학생(M=3.60)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놀이공간의 다양성, 충분성, 평등성, 자율성 등이 학교 놀이 공간에 바라는 점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초등학교 놀이 공간의 실제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초등학교 내 이미 갖추어진 놀이 공간을 아동이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간 운영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아동의 놀 권리 보전을 위해 아동중심의 놀이 공간에의 접근을 통한 놀이 공간 활성화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lay space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the main actors of the space,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play spac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usage, satisfaction, and needs of children. Methods The survey results of 41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6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for comparis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For satisfaction analysis, two-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Lastly, the open questions for analysis of needs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 the first classification,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reflecting the opinions of 5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ults 59.9% of students spent less than 30 minutes playing at school, and 66.1% of them spent playing time in the classroom. They answered that they chose, while an indoor play space because they did n’t have enough time to go outside, they answered outdoors play space because that they could run and play as much as they wanted. In terms of play types, outdoor play spaces were more diverse and active than indoor ones. As for the inconvenience of using play space, 62.5% answered lack of play time. It seems important to allow children to use the play space in the elementary school sufficiently when organizing the play space.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play space in the school was lower for male students (M=3.44) than female students (M=3.60),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 diversity, sufficiency, equality, and autonomy were identified as desired for the school play space. Conclusions For a practical change in the elementary school play spac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pace management so that children can fully use the play space already provided in the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in order to preserve children s right to play,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play spaces through changes in access to child-centered play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