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거위치효과를 통한 고령자 통행패턴과 주거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정은주(Jung, Eun-Ju),정봉현(Jeong, Bong-Hy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3 No.3

        This paper suggest residential location choice criteria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at based on daily activity pattern of elderly. Specifically, the first objective of the study is provide the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point for residential location choice considering quality of life in the life stage of the elderly. The second objective of the study is determinate suitable residential location for supporting day-to-day actions within the pedestrian-oriented neighborhood. The investigation introduced Residential Location Effects, verified through case study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central urban area and sub-center area and suburb area Geographic Information and Generalized Cost were used for research methods, where residential location effects is high is a suitable location for the elderly residential location. It results that central urban area is suitable location for elderly because residential location effects is high, travel cost and travel time is low. These results imply that central urban area is required urban regeneration in the aging society and provide direction for housing policy.

      • GIS를 이용한 전통취락의 지형적 주거입지 적합성 분석

        최희만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5 地理學論究 Vol.- No.24

        이 연구는 한국의 4개 전통취락을 대상으로 주거입지의 적합성을 지형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적합성 GIS 기법을 이용하여 사면향, 경사도, 하상비고, 수계로부터의 거리, 토양 등 5개 입지 인자를 기초로 적합성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취락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유곡은 주거입지의 적합성이 대체로 1급지이며, 또한 혈처인 중심가옥의 적합성도 1급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거입지의 적합성이 상당히 높은 편이며, 취락 전면의 하천퇴적면은 농경지로는 적합하지만 가옥이 입지하기에는 수해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천전은 취락의 대부분이 1급지로서 주거입지가 매우 우수한 편이며, 혈처인 중심가옥도 1급지에 해당되어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락 전면의 하천퇴적면과 산록의 접촉면 일대가 대체로 1-2급지로 나타나 4개 취락 가운데 입지선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회는 1급지와 2급지의 분포가 대부분을 이루어 주거의 적합성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중심가옥인 양진당은 2급지이며, 충효당은 1급지로 적합성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혈처 주변에는 2급지가 많이 분포하는데, 이것은 가옥의 사면향이 볼록한 지형을 고려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결과로 해석된다. 그리고 초기에 취락이 입지한 화산의 산록부분은 적합성이 낮은 편이다. 양동은 1급지가 주로 산중턱에 분포하고, 2급지는 산록의 중하위에, 3급지는 계곡의 저지대에 분포하여 주거입지의 적합성이 계층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계층성은 양동의 신분적 위계질서가 지형적인 고도에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중심가옥의 적합성도 대부분 1급지에 해당되어 물(勿)자 형국의 입지점이 적합성면에서도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취락 입구의 낮은 지대는 과거 하천의 범람지로 주거입지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과거 풍수적 관점에서 명당이라 지칭해온 영남의 4대 길지의 전통취락 입지는 현대의 지형적 시각에서 검토한 '주거입지의 적합성 분석'에서 대부분 1급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수지리의 내용이 상당 부분 과학적 해석이 어렵고 신비주의적인 면이 있지만, 그 기저에는 지형적 경관의 조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전통취락의 주거는 환경적 합성을 세심하게 고려한 입지임을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주거입지의 적합성 내용은 입지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자연환경인자 가운데 5개의 지형적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것을 바탕으로 생산성, 안전성, 쾌적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경우 취락 및 주거 입지의 선정과 평가에 상당한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ir suitability for residential location of 4 traditional settlements in the Yeongnam district of Korea in view of geomorphology. For this study, G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residential location by 5 indicators of degree of slope, slope aspect, height above riverbed, distance from river system and soil.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and AHP(Analytical Hierachy Process) technique are adopted as the methods of adding weight about 5 indicator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suitability for residential location are as follows; It is evaluated that Yugok is a very suitable area for residence. In detail, it is viewed that a sediment site near river is more suitable for agriculture rather than residence due to the danger of overflow by flood. It is revealed that Cheonjeon has very excellent conditions for residence and the suitability of residence confined to the optimal site(hyeolcheo, 穴處) is also the highest among those of all selected areas. Hahoe is relatively suitable for residence and Yangjindang and Chunghyodang regarded the optimal site are also good as a residential site. In Yangdong, the residential suitability is high in the mid-area of a mountain, while becomes hierarchically more and more below in the base of a mountain and the low-level of a valley. I argue that this may reflect a social position of residents. However, this analysis does not include every aspect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choosing the settlement location and is just approached in limited areas centring upon geomorphic elements. Lastly, I argue that it needs to work to make indices for the scientific analysis on settlement location and then attempt to establish the pro-environmental planning of residential and settlement location.

      • KCI등재후보

        연령층별로 본 대구시 주거지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윤창훈,김철수 한국주거학회 200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4 No.4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locations by age, and to offer a groundwork that can be utilized to direct setting of residential development and housing policies. The main findings are drawn as follows: First, it determines the age groupings which can describ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residential location, which is broken down into two social subgroups - the older group aged 50 and over, and the younger group, being our educational target. Second, actuality of our education is to influence residential location. Third, four groups that can describe residential location are abstracted. Fourth, the prime of manhood and old age prime of life have been superior within inner zone, while middle age and those who are obliged to support the older group have been superior around the outer zone.

      • KCI등재

        주거입지 선호의식 분석: 주거입지 요소별 한계수준과 가구특성별 격차를 중심으로

        이백진,서민호,김혜란,정일호 국토연구원 2012 국토연구 Vol.74 No.-

        Enhancing the linkage between housing and transportation policies is necessary to put a premium on the quality and the consumer’s preference rather than the quantitative expansion in providing housing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An important issue in here is to investigate consumer’s preference more explicitly and in deeper detail. The paper aims to explicit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nsportation related factors on residential location choice and to analyze the heterogeneity of consumer’s preference. The paper newly introduces the concept of critical levels of housing price and commuter time, representing the maximum value that consumer can take underlying residential location into consideration. Stated preference(SP) survey was performed to collect respondents’ preferences on residential locations. Som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A result of developing survival models showed that critical levels of housing price and commute ti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explanatory power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models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incorporating critical levels of commuter time and household heterogeneity. 주택정책과 교통정책의 연계성 강화는 기존 시설물 공급의 양적 확대에서 질적 개선과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중요한 과제는 주택소비자의 주거입지 선호와 교통요소들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주거입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입지 요소들의 한계수준(critical level)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고, 이를 고려한 주거입지 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가구특성에 따른 한계수준과 주거입지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계수준은 주거입지 요소(예: 주택가격과 통근시간)들에 따라 주택소비자가 해당 주거입지를 구입을 고려할 수 있는 최대값을 의미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주거입지에 대한 선호의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존모형을 통해 한계수준을 분석한 결과 가구특성(소득계층, 주택소유유형, 생애주기)에 따라 주택가격과 통근시간에 대한 한계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거입지 선호모형 구축결과 한계 통근시간을 고려함으로써 기존 모형의 설명력을 유의하게 개선함을 알 수 있었고,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재택근무는 주거입지 선택에 있어 고용입지에 대한 종속성을 약화시키는가? - 수도권의 정보화직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

        김승남 한국지역학회 2014 지역연구 Vol.30 No.1

        Although many theorists and futurists have argued that telecommuting could increase locational flexibility of household, causing telesprawl, empirical evidence regarding this argument is scant and inconclusive. Besides, previous studies have given little consider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commuters’ job and residential location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elespraw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focusing on the impacts of telecommuting on the dependent relationships between job and residential locations. Firstly, a numerical interpretation on housing price function reveals that ‘the tradeoff between travel costs and housing costs’, which i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elesprawl, is not valid in the SMA. Next, using data from the 2006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 Travel Survey, our empirical approaches show that the impact of job location on residential location is higher in telecommuter household than in commuter household. In addition, the models for the households with two or more workers suggests that breadwinner`s job location is more critical than the second breadwinner`s for the residential location choice, even though the breadwinner telecommutes.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telecommuting cannot weaken the 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residential location, in contrast to the theoretical expectations. 다수의 이론연구자들과 미래학자들은 재택근무가 주거입지 선택의 자율성을 증가시켜 도시가 외연적으로 확산되는 텔레스프롤 현상을 야기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실증연구는 일치된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재택근무자의 고용입지와 주거입지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재택근무 여부가 주거입지와 고용입지의 종속적 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수도권의 텔레스프롤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우선, 주택가격 함수에 대한 수리적 검토를 시행한 결과, 텔레스프롤의 주요 이론적 근거인 ‘통근비용과 주거비용의 맞교환 관계’가 수도권에서는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006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계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재택근무자 가구가 일반 가구에 비해 고용입지가 주거입지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인 이상 고용자 가구의 경우 가구주의 고용입지가 제2 소득원의 고용입지에 비해 주거입지 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구주가 재택근무자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론적 예측과는 반대로 재택근무자 가구의 주거입지는 가구주(원)의 고용입지에 더욱 강하게 종속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런던지역 한인 이주민의 정착경로 및 주거입지 특성

        박원석 ( Won Seok Park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런던지역의 한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정착경로, 주거입지 및 주택소유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한인 이주민의 최초 주거입지 결정요인으로는 최초 이주시의 이주 상태, 이주지역 그리고 현지인 도움 여부인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로, 이주민의 현재 주거입지 결정요인으로는 소득수준, 영어 구사능력, 영국 교육 경험, 최초 거주지인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로, 이주민의 주택 소유구조 특성을 보면, 이주민들은 이주기간이 10년을 지나고, 소득수준이 5만 파운드를 넘어서면서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로, 이를 토대로 이주민들의 정착경로를 유형화하면, 이주초기부터 한인타운에 정착하는 민족공동체 지향 유형과 이주 초기부터 백인 주류층 거주지에 정착하는 백인주류층 지향 유형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런던지역 한인타운은 현재는 규모나 역할이 제한적이지만, 한인사회의 역량이 커짐에 따라 발전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migration path, residential location, and housing ownership structure of Korean immigrants in London metropolitan a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actors influencing the initial residential location of Korean immigrants are situation of immigrants, immigration region, and help of prior Korean immigrants. Secondly, factors influencing the current residential location of Korean immigrants are income, ability of English, education at United Kingdom, and initial residential location. Thirdly, 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f housing ownership structure, migrants tend to reside their own housings while migration period go beyond 10 years and incomes exceed £50,000. Forth, immigration path types of London Korean Immigrants are divided by ethnic enclave oriented type and mainstream society oriented type.

      • KCI등재후보

        노인주거 이주 및 입지 결정요인 분석

        최열(Choi Yeol),최진아(Choi Jin A),김지현(Kim Ji Hyeon) 한국부동산학회 2007 不動産學報 Vol.29 No.-

          1. CONTENTS<BR>  (1) RESEARCH OBJECTIVES<B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elderly housing development positively. This paper includes two statistical models, one is elderly mobility model and the other is elderly location model. In this process, this study focuses on middle aging groups who will be real elderly housing demander in future in the sample selection for investigation. And this research attempts to consider the impact of housing characteristics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elderly housing mobility and location.<BR>  (2) RESEARCH METHOD<BR>  Discrete choice model, logit model<BR>  (3) RESEARCH RESULTS<BR>  The analysis of legit model for the exploration of the determinants of elderly housing mobility and location shows that the variables to denote living with their family, the necessities of elderly housing, ownership, environment evaluation playa major in location decisions as well as mobility decisions.<BR>  2. RESULTS<BR>  Residential mobility and location for the elderly mostly depends on the problems of whether living with their children together, the level of necessities of elderly housing for their current position and tenure status. Their evaluations of the environments circumscribing with their residence are highly likely to associate with mobility and location for the elderly.

      • KCI등재

        주한미군 주거계획을 위한 입지 및 단지계획 선호도 분석

        이희원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2

        주한미군 기지이전사업에 따른 평택 캠프 험프리스 주변으로는 많은 영외거주 수요가 있다. 이에 따른 영외주택 주거계획을 위해서는 그들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들의 요구사항을 직접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에서는 캠프 험프리스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을 대상으로 그 요구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그들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주거계획을 위해서는 수요에 기반을 둔 입지와 단지규모의 결정, 단지계획에 필요한 시설요소의 파악, 건물계획에 필요한 상세한 건축계획요소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중 본 연구에서는 수요와 입지선호도, 단지계획요소의 선호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건축계획요소에 대하여는 후속연구로 남겨놓았다. 분석결과 영외거주의 수요도가 높고, 임대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지에 있어서는 통근시간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도시적 편의를 누릴 수 있으면서도 자연에 가까운 산자락 부분의 입지를 선호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향에 대한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한국인들과 어울려 사는 것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아울러 단지 내 시설로는 운동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There is a high demand for off-base dwellings around Camp Humphreys in Pyeongtaek in accordance with the USFK base relocation project, but their residential planning needs to reflect their requirements. On the other hand, no studies that examined their requirements directly have been found. This study examined the requirements of USFK stationed in Camp Humphreys to identify their requirements. In general, residential planning requires a determination of the demand-based location and size, identification of the facility elements required for the site plan, and analysis of detailed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required for the building plan. Among these, preference analysis of the off-base dwelling demand, location, and site planning element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and the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were left as following studi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demand for off-base dwellings is high, rental houses are preferred, and the commuting tim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location. In addition, while enjoying urban convenience, the location of the foothills near nature is preferred, the importance of the orientation is low and living with Koreans is not a problem. In addition, the demands for exercise facilities in the complex are relatively high.

      • KCI등재

        기존 공동체의 유·무에 따른 공동체주택 입지에 관한 연구

        이윤서 ( Lee Yoon Se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3

        최근 주거공동체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주택유형인 공동체주택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주택의 입지는 주거공동체의 형성과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상황이다. 공동체주택을 추진하는 것은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체가 주거안정성을 확보하여 장기적으로 함께 살기 위하여 추진하는 경우와,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공동체가 중심이 되는 삶의 방식을 새롭게 구축하고자 추진하는 경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체주택의 입지의 선정 과정과 입지적 특성에 대하여 기존 공동체가 존재하는 경우와 부재하는 경우로 구분하고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 내 위치한 열여섯 개 공동체주택 사례를 대상으로 대지의 특성, 입지의 선정 과정, 입지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지 자체의 특성은 기존 공동체의 유·무로부터는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둘째, 기존 공동체가 존재하는 경우, 공동체 구성원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입지를 선정한다. 반면, 기존 공동체가 부재한 경우에는 사회적 경제 조직에서 주거지에 대한 보편적 선호를 바탕으로 입지를 선정하였다. 셋째, 기존 공동체가 있는 경우 주택으로부터 기존 공동체 구성원의 활동 근거지까지의 접근성이 입지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Recently, community housing is emerging as a new type of residential community. There is also growing interest in this. Despite the significant impact of housing location o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sidential communities in community housing,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Existing studies on community housing are concentrated mainly on the community itself. Community housing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existing community is promoting to live together and the other is a group of people who do not know each othe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lot characteristics, location selection process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16 community housing ca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t characteristics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the existing community. Second, if there is an existing community, the location is select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community members.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community, the company will select the location based on the general preference. Third, if there is an existing community, accessibility to the base of existing community activities is an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the location.

      • KCI등재

        고령화 계층의 주거소비 및 주거입지 변화에 관한 연구

        이훈(Lee, Hoon),안건혁(Ahan, Kun-Hyuck),이소윤(Lee, So-Y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5

        본 연구는 고령화 현상의 주요 사건인, 연령효과, 독거효과, 사회경제활동의 여부가 고령화 계층의 주거소비면적 및 주거입지 변화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자료는 인구주택총조사 및 가구통행실태조사 2개 년도의 자료이다. 고령화가 더욱 심각해진 2010년을 기준으로 하면, 고령화 계층일수록 주거소비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주거소비의 중심 계층으로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효용성이 높은 도심에 남아 있으려는 경향이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독거효과는 소비를 줄이지만, 주거 중심성을 바꾸는 효과는 없었다. 사회 경제활동을 지속하는 경우는 오히려 주거소비면적이 작거나 주거 효용성이 낮은 지역에 입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은퇴 이후에도 근로를 지속해나가는 한국만의 독특한 고령화 현상의 영향이라고 판단되며, 주거소비나 경제적 측면에서 취약한 계층이 오히려 더욱 경제활동을 지속하는 것이 그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베이비부머 은퇴가 자산 매각으로 바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노인주택 정책의 방향은 소득이 있다고 하더라도, 취약한 일자리에서 일하는 노인 계층을 중심으로, 그리고 주거 효용성이 높은 도심 위주의 공급정책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Based on the Population, Housing Census and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aging, being single and being engaged with economic activity of the aged people on housing consumption and residential location. The age increase effect on housing consumption is characterized not by an decrease but by increase in housing size. The effect on residential location is characterized by preferring downtown where the aged people can enjoy good living environment. The single elderly effect on housing size means minus effect but doesn?t have any significance in deciding the location of residence. However, the economic activity duration after retirement has minus effect on housing consumption and minus effect on residential location unexpectedly. Therefore, thes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housing policy on the aged should be targeted on the working elderly and aim to have more housing site for the elderly, not in the outskirt of a city but in downtow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