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IS를 이용한 전통취락의 지형적 주거입지 적합성 분석

        최희만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5 地理學論究 Vol.- No.24

        이 연구는 한국의 4개 전통취락을 대상으로 주거입지의 적합성을 지형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적합성 GIS 기법을 이용하여 사면향, 경사도, 하상비고, 수계로부터의 거리, 토양 등 5개 입지 인자를 기초로 적합성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취락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유곡은 주거입지의 적합성이 대체로 1급지이며, 또한 혈처인 중심가옥의 적합성도 1급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거입지의 적합성이 상당히 높은 편이며, 취락 전면의 하천퇴적면은 농경지로는 적합하지만 가옥이 입지하기에는 수해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천전은 취락의 대부분이 1급지로서 주거입지가 매우 우수한 편이며, 혈처인 중심가옥도 1급지에 해당되어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락 전면의 하천퇴적면과 산록의 접촉면 일대가 대체로 1-2급지로 나타나 4개 취락 가운데 입지선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회는 1급지와 2급지의 분포가 대부분을 이루어 주거의 적합성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중심가옥인 양진당은 2급지이며, 충효당은 1급지로 적합성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혈처 주변에는 2급지가 많이 분포하는데, 이것은 가옥의 사면향이 볼록한 지형을 고려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결과로 해석된다. 그리고 초기에 취락이 입지한 화산의 산록부분은 적합성이 낮은 편이다. 양동은 1급지가 주로 산중턱에 분포하고, 2급지는 산록의 중하위에, 3급지는 계곡의 저지대에 분포하여 주거입지의 적합성이 계층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계층성은 양동의 신분적 위계질서가 지형적인 고도에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중심가옥의 적합성도 대부분 1급지에 해당되어 물(勿)자 형국의 입지점이 적합성면에서도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취락 입구의 낮은 지대는 과거 하천의 범람지로 주거입지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과거 풍수적 관점에서 명당이라 지칭해온 영남의 4대 길지의 전통취락 입지는 현대의 지형적 시각에서 검토한 '주거입지의 적합성 분석'에서 대부분 1급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수지리의 내용이 상당 부분 과학적 해석이 어렵고 신비주의적인 면이 있지만, 그 기저에는 지형적 경관의 조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전통취락의 주거는 환경적 합성을 세심하게 고려한 입지임을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주거입지의 적합성 내용은 입지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자연환경인자 가운데 5개의 지형적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것을 바탕으로 생산성, 안전성, 쾌적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경우 취락 및 주거 입지의 선정과 평가에 상당한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ir suitability for residential location of 4 traditional settlements in the Yeongnam district of Korea in view of geomorphology. For this study, G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residential location by 5 indicators of degree of slope, slope aspect, height above riverbed, distance from river system and soil.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and AHP(Analytical Hierachy Process) technique are adopted as the methods of adding weight about 5 indicator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suitability for residential location are as follows; It is evaluated that Yugok is a very suitable area for residence. In detail, it is viewed that a sediment site near river is more suitable for agriculture rather than residence due to the danger of overflow by flood. It is revealed that Cheonjeon has very excellent conditions for residence and the suitability of residence confined to the optimal site(hyeolcheo, 穴處) is also the highest among those of all selected areas. Hahoe is relatively suitable for residence and Yangjindang and Chunghyodang regarded the optimal site are also good as a residential site. In Yangdong, the residential suitability is high in the mid-area of a mountain, while becomes hierarchically more and more below in the base of a mountain and the low-level of a valley. I argue that this may reflect a social position of residents. However, this analysis does not include every aspect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choosing the settlement location and is just approached in limited areas centring upon geomorphic elements. Lastly, I argue that it needs to work to make indices for the scientific analysis on settlement location and then attempt to establish the pro-environmental planning of residential and settlement location.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의 문화적응에 나타난 정체성 협상: 개인적 측면을 중심으로

        최희,김영순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1

        This study began with the need for social integration related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in that they initiate changes in the North Korean Defector society. It, therefore, aims to examine how individual identity is negotiated along with heterogeneous socio-cultural changes caused by the spatial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in terms of individuals, and clarify its meaning. To this end, it collected and analyzed from five North Korean Defector Women, by selecting them as the subjects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findings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goals as life challenges for self-realization represent the desires to give self-esteem to themselves and to be recognized, though they are devaluated. Second, the agenda that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pursue is belongingness. Although there is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which undergo psychological processes containing goals and values of groups, while distancing and consolidating through adaptation, it is also the change beginning from one's own perspective. Third, they show self-denial and self-recovery through life experiences and change their perceptions on themselves as independent individuals. This study suggests that a keen insight is required to see through the North Korean society, based on the life world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who try spatial changes as well as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past self and discover 'self' from their unconsciousness. 이 연구는 남북 사회통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북한 이주사회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북한이탈여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북한이탈주민의 공간적 이주로 이질화된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라 개인의 정체성을 어떻게 협상하고 있는지 개인적인 측면에서 검토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여성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자아실현을 위한 삶의 도전으로서 자기가치 부여와 가치절하 평가에 인정받고자 하는 인정욕구로 나타났다. 경력단절로 불안함을 보이지만 자기가치부여로 심리적 탄력성을 회복한다. 둘째는 북한이탈여성들이 추구하는 아젠다는 귀속의식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응을 통해 거리두기와 연대하기를 하며 구성 집단의 목표와 가치를 내재화하는 심리과정을 거친 의식구조가 존재하지만 이 또한 자기 관점에서 출발하는 변화이다. 셋째는 생애경험을 통해 자기부정과 자아회복, 그리고 독립된 개체로의 인식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공간적 변화와 함께 과거의 자신과 차별화를 시도하고 무의식에서 ‘나’를 발견하는 북한이탈여성들의 생활세계를 통해 북한 사회 변화를 볼 수 있는 혜안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 태양광 무선보조배터리

        최희로(Hee-Ro Choe),박준성(Jun-Seong Park),서우정(Woo-Jung Seo),이해빈(Hae-Bin Lee),여희도(Hui-Do Yeo),심재학(Jaehak Shim),고영진(Yeong-Jin Goh)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논문은 보조배터리를 내장한 충전기는 크기가 매우 크고 무게도 매우 무거워지는 현상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최근 핸드폰의 트랜드는 매우 얇고 가벼워지는 추세에 충전시스템의 경량화와 디자인과의 조화를 생각하여 태양광으로 핸드폰충전 할 수 있는 케이스를 구상을 계획하였다. [그림 본문 참조]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들의 정체성 협상 –사회구조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최희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0 통일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ith family members living in South and North Korea, which is changed in resolving conflicts which they experience in various interests,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socio-structural aspects and suggest a direction of improvement by investigating what is the essence of their interactions with the society. To this end, it attempted to deeply analyze the meaning of identity to be negotiated in North Korean defector women's life experiences by applying a phenomenal case study method.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consequently summarized: First, the conflicted identity which cannot escape from the boundary, the inter-Korean relations as a social norm sometimes may be’stranger’ in hostile relations, according to cold or warm inter-Korean relations. Second, the family community as social status and a social role, and social community spirit appear as responsibility. Remittance is the only negotiation instrument for the family community. Third, the identical nation was divided in terms of social customs, political spaces with a geographic boundary and cultural identity. North Korean defector women tend to be separated from their organizations, while being excluded by prejudices, based on perceptions on the conditions of belongingness, appearing from exclusion and exclusion. This shows the relational identity which does not allow them to escape from direct influence of the inter-Korean relation, though they successfully escaped from North Korea. The phenomena derived from such socio-structural factors suggest the need for improving the existing perceptions on the inter-Korean relation, at the level of socio-integration.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에 가족을 두고 있는 북한이탈여성들이 남북관계라는 다양한 이해관계 속에서 겪는 갈등을 조정하기 위 한 과정에서 변화하는 정체성을 살펴보고 사회와 상호작용의 본 질이 무엇인지를 검토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북한이탈여성 의 삶의 경험 속에서 협상되는 정체성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북관계라는 경계에서 벗어날 수 없는 정 체성 갈등은 남북한의 냉온관계에 따라 ‘적대’ 관계에서 ‘이방인’ 이 되기도 한다. 둘째, 사회적 지위와 역할로서 가족공동체와 사 회공동체의식은 책임감으로 나타났다. 송금은 가족공동체의 유일 한 협상도구가 되고 사회역할에 대한 인식은 사회공동체의식이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사회적 관습에서는 지리적 경계의 정치적 공간, 동일한 민족과 분리되는 문화적 정체감으로 나타났다. 포함과 배제에서 나타나는 소속의 조건에 대한 인식에 서 현실은 점차 편견 속에서 배척되는 느낌을 받으며 조직에서 분리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이 북한을 벗어났지만, 남북한의 관계의 직접적인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 없는 관계적 정체성을 보 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회구조적인 요인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사 회 통합적 차원에서 남북관계를 바라보는 인식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