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계적 기계학습 기술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예측 시스템 개발

        이기용 ( Ki Yong Lee ),신윤재 ( Yoonjae Shin ),최연정 ( Yeonjeong Choe ),김선정 ( Seonjeong Kim ),서영균 ( Young-kyoon Suh ),사정환 ( Jeong Hwan Sa ),이종숙 ( Jongsuk Luth Lee ),조금원 ( Kum Won Ch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5 No.11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전산유쳬역학, 나노 물리, 계산화학, 구조 동역학, 전산설계 등 여러 계산과학공학 분야에서 시스템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의 정밀도와 복잡도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비용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의 수행비용을 줄이는 것은 특히 입력 변수들의 값을 변화시켜가며 시뮬레이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시뮬레이션수행 시간 단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어떤 시뮬레이션의 수행이 요청되었을 때, 해당 시뮬레이션을 실제로 수행하지 않고도 기존에 수행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저장하여 이전에 획득되거나 혹은 예측된 결과를 반환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크게 다음 2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1) 수행이 완료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2) 사용자가 요청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통계적 기계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예측하는 기능. 본 논문에서 개발한 예측 시스템의 예측 성능을 실제 유체역학 시뮬레이션데이터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 출력변수에 따라 0.9%의 매우 낮은 평균 예측 오차율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들은 계산 및 저장 자원에 큰 부하를 주는 시뮬레이션을 실제 수행하지 않고도, 수행을 원하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빠르게 예측해 볼 수 있다. Computer simulation is widely used in a variety of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clud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nano physics, computational chemistry, structural dynamics, and computer-aided optimal design, to simulate the behavior of a system. As the demand for the accuracy and complexity of the simulation grows, however, the cost of executing the sim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It, therefore, is very important to lower the total execution time of the simulation especially when that simulation makes a huge number of repetitions with varying values of input parameters. In this paper we develop a simulation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the ability to predict the result of the requested simulation without actual execution for that simulation: by recording and then returning previously obtained or predicted results of that simulation. To achieve the goal of avoiding repetitive simulation, the system provides two main functionalities: (1) storing simulation-result records into database and (2) predicting from the database the result of a requested simulation using statistical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our experiments we evaluate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system using real airfoil simulation result data. Our system on average showed a very low error rate at a minimum of 0.9% for a certain output variable. Using the system any user can receive the predicted outcome of her simulation promptly without actually running it, which would otherwise impose a heavy burden on computing and storage resources.

      • KCI등재

        멀티에이전트 기반의 다단계 시계열 예측시장에 관한 연구

        추봉성 ( Chu Bong-sung ) 한국물류학회 2018 물류학회지 Vol.28 No.2

        비즈니스 최적화를 위해 최근 기업들은 ERP, SCM, CRM 등과 같은 기업 어플리케이션 도입과 함께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중심의 물류경영을 표방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복잡한 수식과 최신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활동에 필요한 예측 데이터를 제공해 주고 있지만, 예측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예측은 언제나 틀리기 마련이지만 예측의 정확성에 따라 기업의 효율과 수익성이 엄청나게 달라진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효과적인 예측기법에 대한 기업들의 높은 관심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 관련 지식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인 예측시장(Prediction market)에 대해 논의하고, 시장 참가자의 기대수익을 기반으로 시장의 예측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예측시장 모델을 제시했다. 제안된 모델은 단일 구간 내 다단계 예측시점을 가지는 시계열 예측시장(Multi-stage time series prediction market)이며, 예측과 관련된 시장 참가자(Agent)의 신념(Belief)을 확률분포 예측구간과 차기 예측구간에 대한 전이확률매트릭스로 표현하였다. 시장 참가자의 기대수익은 투자금과 예측구간 내에서 발생하는 실수요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였으며, 투자금은 상/하한을 가지는 예측구간과 예측증권 구매량을 기반으로 결정되도록 하였다. 또한, 예측정확도가 높은 시장 참가자의 의견이 마켓메이커(Market maker)의 통합 예측치에 높은 비중으로 반영되게 함으로써, 비협조게임 상황 하에서도 이들이 예측과 관련된 고급정보와 진실을 말할 수 있는 형태로 구조화하였다. 한편 수치 예제에서는 랜덤하게 발생시킨 주요 변수와 30명의 시장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 기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치 도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제안한 예측시장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즉 실험을 통해 단계별 실수요에 대한 에이전트의 수정된 통합예측치가 실수요로 수렴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기대수익 최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개별 에이전트가 제안된 메커니즘 속에서 전체 예측정확도 향상을 위해 행동함을 알 수 있었다. A prediction market is one of the effective mechanisms to collect and aggregate widely dispersed information and knowledge among economic actors. Furthermore, since the prediction market based on strong incentives to obtain better information is an open system in which anyone can participate and bet their brains, a real-time prediction with high accuracy can be expected. However, a question of how to increase the forecast accuracy in a zero-sum game is still open. In the game, participants who try to their expected profits can spread false information leading to bad impact on the forecast accuracy. Although many studies related to an usefulness of the prediction market have been reported, approaches to increase the accuracy under many conditions are still required. This is the reason why we have much attention to effective design of the prediction market. In this study, we discussed a design of multi-stage time series prediction market using multi-agents. In the market we suggested, heterogeneous participants(agents/traders) with transition probability matrix and probability distribution revise their beliefs related to the prediction to determine a prediction interval. And an integrated price(predictive value) by trad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each agent is continuously revised by a market maker who plays a role as a mediator. We design a mechanism in which the predictive value of agent with high accuracy can be reflected in the integrated price. It is very useful, because the agents have no choice to obtain more expect profits. Based on high quality information related the prediction, they may be tell the truth which help not only an effectiveness of the market but also a high prediction accuracy. We als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the market using multi-agent simulation and show a prediction process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by 30 agents.

      • KCI등재

        긍정삽화 시뮬레이션이 우울 경향자의 미래예측과 후회에 미치는 영향

        김경민,윤혜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1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exposure to positive episodic simulation would be effective in changing affect, regret, and future predictions of college students with a tendency of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oints they received on the Korean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16 points or above to below 25 points,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positive episodic simulation training group (PEST, n = 18) or the neutral visualization control group (NC, n = 14). Each group conducted a total of three sessions, and before and after each session,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present emotional state, past regret, and future prediction. The PEST group simulated ‘what will happen to me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the positive words presented on the screen, and the NC group was instructed to recall only the image, excluding elements for emotion and future predi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ST group showed de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less negative affect compared to the NC group,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for one week. Second, the PEST group showed that the episodic future thinking training had an effect on the importance and vividness of the future occurrence of positive event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even one week after the training ended. Finally, in the case of past regr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ret between groups immediately after the sessions. However, after one week follow up, the training effect was shown in a later assess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actice of positive episodic simulation is effective in predicting the future and assessing the level of depression and negative affect in those with depression tendency. 본 연구에서는 우울 경향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삽화 시뮬레이션 훈련이 정서 상태, 후회 정도 및 미래예측에 대한 평가의 변화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CES-D)에서 16점 이상~25점 미만을 선별한 후, 긍정삽화 시뮬레이션 훈련집단(PEST, n = 18)과 중립시각화 통제집단(NC, n = 14)에 무작위 배치하였다. 각 집단 별로 총 3회기의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회기 전·후로 현재 정서상태, 과거 사건에 대한 후회, 미래 사건에 대한 예측 수준을 평가하였다. PEST 집단은 화면에 제시되는 긍정단어와 관련하여 ‘미래에 나에게 일어날 일’을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하였고, NC 통제집단은 정서와 미래예측에 대한 요소를 제외하고 심상만 떠올리도록 지시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EST 집단은 NC 집단에 비해 우울 수준과 부정정서가 감소하였으나 긍정정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1주일간 유지되었다. 둘째, PEST 집단은 긍정적인 사건의 중요성과 생생함에서 훈련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훈련 종료 1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과거에 대한 전반적 후회의 경우, 훈련 직후에는 PEST 집단과 NC 집단의 후회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주일 후 추후평가에서 훈련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삽화 시뮬레이션 훈련이 미래예측과 우울 수준 및 부정정서에 대한 평가에 있어 준임상 수준의 우울 경향자에게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기치 못한 사건이 소비자의 시간 예측에 미치는 효과

        허정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3

        "Time is objective." The proposition has been accepted by mankind for a long time. That is, two hours is twice as long as one hour. However, recent research results in the area of consumer behavior suggest that perceived time is very different from actual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at the actual time and the estimated time may be relatively different as the consumers perceive it as loss or gain for the time when the negative event occurs or is canceled unexpectedly. First, the occurrence or cancellation of unexpected negative events showed a relatively differential predictive bias effect based on the prediction of the existing time.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with university undergraduates, and the differences were confirmed through the 2 (case: occurrence, cancellation) experimental design method. Second, when the type of mental simulation is introduced in the temporal prediction process, the differential effect of the temporal prediction adjustment due to the occurrence and cancellation of unexpected negative events is moderated by the mental simulation method. The hypothesis was confirmed by the experimental design of 2 (case: occurrence, cancellation) × 2 (simulation: result, proces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simulate the results or process in the prediction of delay time and shortening time. This study extends the research result of prospect theory.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existing implications are limited to monetary result, but this study extends them to time issues. In particula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behavioral economics theory to the service area shows that consumer perception can be moderated by external efforts and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service time management. “시간은 객관적이다.” 해당 명제는 인류에게 오랜 기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즉, 2시간은 1시간의 2배인 것이다. 그러나 소비자 행동 영역에서의 최근 연구결과는 사람들이 지각하는 시간은 실제 시간과는 매우 다르게 인식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기치 않게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건이 발생하거나 취소되는 경우 소비자들이 이를 시간에 대한 손실 혹은 이익으로 인식함에 따라 실제 소요시간과 예상 소요시간이 상대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첫째, 예기치 않은 사건의 발생 혹은 취소는 기존 시간예측에 기반하여 상대적으로 차별적인 예측편향 효과가 나타남을 보였다. 연구의 가설검증은 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2 (사건: 발생, 취소) 실험설계 방식을 통해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시간 예측 과정에서 심적 시뮬레이션의 방식을 도입하는 경우 심적 시뮬레이션의 방식에 따라 예기치 않은 사건의 발생 및 취소에 따른 시간 예측조정의 차별적 효과가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해당 가설의 검증은 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2 (사건: 발생, 취소) × 2 (시뮬레이션: 결과, 과정)의 실험설계 방식을 통해 차이를 확인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1의 절차 중 실험참가자가 지연시간과 단축시간 예측 시 결과 및 과정 시뮬레이션 해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스펙트 이론의 연구 성과에 근거를 두고 확장된 연구로 기존 이론의 주된 내용이 금전적 결과에 대하여 국한된 반면 본 연구는 이를 시간으로 확장하였다. 특히 실무적으로는 행동경제학의 이론을 서비스 영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서비스 시간 관리와 관련하여 외부 노력 및 마케팅 전략 등에 의해 소비자의 인식이 일부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교육정책 분석과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의 활용 가능성과 한계: 공동학구제 정책을 중심으로

        권순형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교육정책 분석 및 예측에 있어 시뮬레이션 기법의 활용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일부 시·도교육청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동학구제가 가상적 공간에서 실시되는 경우 어떠한 결과가 예견되는지 시뮬레이션 기법 가운데 하나인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을 활용하여 예측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교육정책 분석 및 예측에 있어 시뮬레이션은 교육정책관련 주요 이해관계자의 정책학습 기여할 수 있다는 점, 처음 시도되는 정책에 있어 대안 탐색과 미래 예측을 위한 모종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 교육정책 분석과 예측에 관한 연구방법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은 정책 분석과 예측 활용에 있어 방법론적 제약도 존재한다. 교육정책의 복잡성을 포괄하는 일종의 빅모형(Big Model)을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 시뮬레이션 모형에 대한 타당화 방법에 있어 다양한 이견이 존재한다는 점 등은 한계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와 함께 교육정책 분야에 적합한 모형 내 행위규칙의 개발과 타당화가 필요하며, 토마스 셸링(Thomas schelling)의 주거 ‘분리(segregation)’모형처럼 교육정책 분야에 고유한 일반화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하여 후속 연구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imulation techniques in analyzing and predicting Education Polic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Agent-Based Model, a type of simulation technique, to implement the school selection system. The conclusions through case study are as follows. Simulations analysis can contribute to policy learning of major stakeholders related to Education Policy, can be a way to explore policy alternatives in the absence of historical data, and simulations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Policy analysis. However, since simulation also has methodological limitations, it is not easy to implement a kind of big model that encompasses the complexity of Education Policy, and various disagreements exist in the validation method of the simulation model. Along with the above major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validate the rules of act within the model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field in Education Policy,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on the development of a generalized ABM unique to the educational policy field, such as Thomas Schelling's 'segregation' model.

      • 시뮬레이션 기반의 건물에너지절감기술 도입 효과 예측 및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양수현(Soo Hyun Yang),박원장(Won Jang Park),박윤미(Yun Mi Park),이태동(Tae Dong Lee) 대한설비공학회 202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0 No.6

        This study proposed a tool to predict and evaluate the effect of introducing building energy saving technologies based on simulation. The prediction and evaluation tool is based on EnergyPlus simulation tool and largely divided into shape modeling and simulation analysis functions. Simulation analysi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nalysis classification(prediction, evaluation), baseline and project data(design document, sub metering data) as well as target buildings(new building, existing building). In particular, non-experts in the field of simulation can easily handle the tool. Simulation-based prediction and evaluation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allow comparison of each alternative when designing energy efficient new building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connection with ESCO, green remodeling and zero energy buildings projects.

      • KCI등재

        시뮬레이션에 의한 백두산 화산분출 영향범위 분석

        김남신(Nam Sin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3

        현재까지의 조산운동 기록에 의하면 백두산은 언젠가는 분화가 일어날 것이다. 본 연구는 백두산 화산폭발 시뮬레이션을 통해 용암류와 화산재가 미치는 영향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화산폭발지수 7, 계절은 가을에서 봄에 분화가 일어날 것을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용암은 중국쪽 사면으로 흘렀고, 화산재는 북한지역으로 확산되었다. 화산재는 9시간 만에 울릉도 지역까지 확산되었다. 북한의 27개 시·군 행정구역 중에서 61개 도시와 마을이 화산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많은 양의 화산재가 농경지, 도시지역, 산림지역 에 퇴적되었다. 연구결과는 북한에서 재난 대비, 남·북 및 중국과의 공동 연구를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omeday Mt. Baekdu could erupt by records of orogeny activity until today. This study is to predict influence area of lava flow and volcanic ash by simulation of volcanic eruption in the Mt. Baekdu. Simulation for eruption applied to supposing 7 grade of volcanic explosivity index, season from fall to spring. As a simulation results, lava flewed down into slope of China and volcanic ash diffused over the North Korea. Volcanic ash spreads to Ulneung area after nine hours. It was predicted that 61 cities and villages out of 27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i-Gun were affected by volcanic ash in North Korea and an immense volume of volcanic ash was blown into farm lands, city areas and forests. This results expected to utilize information for disaster preparation of North Korea and joint research with South-North Korea and China.

      • KCI등재

        안면비대칭자의 하악골 악교정수술 후 정면 연조직 변화 예측을 위한 연구

        황현식,Lee, Jessica J.,황정현,최학희,임회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수술 시 경조직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정면에서 평가함으로써 정면 얼굴 이미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안면비대칭이 동반된 하악골 수술 예정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정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얼굴사진(photo)을 술전 및 술후에 각각 같은 각도로 촬영한 후, 술전 및 술후의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경조직 계측점의 변화를, 얼굴사진을 이용하여 연조직 계측점의 변화를 수평 및 수직으로 구분하여 각각 측정한 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조직 변화와 경조직 변화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1:1 mean ratio 산출을 위하여 서로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경조직 계측점을 연조직 계측점별로 선택한 결과 직하방에 있는 경조직보다는 다소 멀리 떨어져 있는 경조직 계측점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경조직 변화를 이용하여 연조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을 연조직 계측점별로 산출한 결과 연조직 수평변화 예측에 경조직 수직변화도 사용되고 연조직 수직변화 예측에 경조직 수평변화도 사용되었으며, 수평과 수직변화 모두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은 방정식은 연조직 menton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하부 경조직 계측점과 상부 연조직 계측점의 비율을 이용하는 1:1 mean ratio방법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회귀분석을 이용한 연조직 변화 예측은 임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면 이미지의 경우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 To aid the development of a frontal image simulating program, we evaluated the soft tissue frontal changes in relationship to movement of hard tissue with orthognathic surgery of facial asymmetry patients. Method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frontal cephalograms and frontal view photographs of 45 mandibular surgery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were obtained in a standardized manner.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of hard tissue and soft tissue were measured from cephalograms and photographs, respectively. Soft tissue change in result to hard tissue change was then analyzed. Results: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weak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Hard tissue points that were picked for 1:1 mean ratio with soft tissue poi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evance. For each soft tissue change, regressive equation was formulat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equation for soft tissue Menton was most reliable in predicting changes.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hard tissue changes were used together in prediction of vertical or horizontal soft tissue change.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omputerized image simula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may be of help for prediction of soft tissue change, while 1:1 mean ratio method is not useful.

      • KCI등재후보

        전파예측모델에 의한 이동통신 무선망 셀 계획의 시뮬레이션 연구

        최정민,오용선 한국콘텐츠학회 200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4 No.2

        In an urban area telecommunication using wireless system, the accurate prediction and analysis of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service area, optimized selection of base station, and cell design, etc. In the stage of these analyses, we have to present the propagation prediction model which is varied with the type of antenna, directional angle, and configuration of the ground in our urban area. In addition we need to perform an analysis of the conventional model which is similar to ours and dig out the parameters to evaluate the wave environment before the cell design for the selected area. In this paper, we propose a wave propagation prediction model concerning the topography and obstacles in our urban area. We extract the parameters and apply them to the proposed wave environment for the simulation analyzing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Throughout these analyzing procedure, we extracted the essential parameters such as the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the height of topography, and adequate type and height of the antenna with our preferable correctness. 도심지역 이동통신에 있어서 전파특성을 정확히 예측·분석하는 것은 통신 서비스영역의 결정, 최적 기지국 선정, 셀 설계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이러한 분석에 있어서 사용되는 안테나의 종류, 지향각, 지형지물의 형태에 따라 변화하는 전파예측모델이 정확히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선택된 지역에 대하여 셀 설계를 수행하기 전에 기존에 제시된 다양한 모델 중 유사성을 가진 모델을 분석하고 그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평가하는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심지역의 지형 및 장애물 등을 고려한 전파예측모델을 적용하고 그에 따르는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분석된 전파환경에 적용하고 그 전파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우리는 주어진 전파환경에 적절한 기지국의 위치, 지형고도, 안테나의 종류 및 높이 등 핵심적인 파라미터들을 원하는 정확도로 추출하였다.

      • KCI등재

        시간 상태 변화를 적용한 범죄 발생 예측에 관한 연구

        박구락(Koo-Rack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8 No.5

        현대 사회의 각 분야는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빠르게 변화한다. 그러나 빠른 사회 변화의 부작용으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그 중 범죄는 큰 문제이다. 본 논문은 범죄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로 마코프 체인을 적용한 범죄 예측 모델링을 제안한다. 기존의 마코프 체인 모델링은 한 사건의 전체 상태만으로 미래 예측 확률을 구하였으나, 본 논문은 사건 발생 확률 예측을 높이기 위해 전체 상태 예측 확률과 최근 상태 예측 확률로 나누었다. 그리고 전체 상태 예측 확률과 최근 상태 예측 확률의 평균값을 적용하여 미래 예측 확률 모델링으로 구현했다. 데이터는 범죄 발생 건수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전체 상태만을 대상으로 예측확률을 적용 하였을 때 보다, 전체 상태와 최근상태로 나누어 확률 값을 구한 후, 그 평균값을 예측 확률로 적용하였을 때, 범죄 발생 예측에 근접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Each field of modern society, industri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rapidly changing. However, as a side effect of rapid social change has caused various problems. Crime of the side effects of rapid social change is a big problem. In this paper, a model for predicting crime and Markov chains applied to the crime, predictive modeling is proposed. Markov chain modeling of the existing one with the overall status of the case determined the probability of predicting the future, but this paper predict the events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probability of the prediction and the recent state of the entire state was divided by the probability of the prediction. And the whole state and the probability of the prediction and the recent state by applying the average of the prediction probability and the probability of the prediction model were implemented. Data was applied to the incidence of crime. As a result, the entire state applies only when the probability of the prediction than the entire state and the last state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probability value. And that means when applied to predict the probability, close to the crime was concluded that pre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