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의 삼위일체

        백충현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7 No.-

        Today we are facing an era of posthumanism. A posthuman refers to a human person in a state beyond/post being human, and posthumanism means an ideology or a movement that seeks to be beyond/post being human, that is, beyond/post humanism. In a sense, humanism is moving towards posthumanism through transhumainsm as a transitional humanism, which is somewhere in a halfway between humanism and posthumanism. Considering this radical change of humans,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a question whether we could still talk about God and even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In order to do so, first, this paper seeks to critically examine terms such a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ccording to this analysi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in an essential continuity, thereby encountering the same criticisms as anthropological dualism, reductionism, individualisticism, and anthropocentricism. Next, it is significant that some groups seek religion or spiritual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by arguing for the compatibility of posthumanism and religion/spirituality. They are different from many forms of posthumanism which are secular or anti-religious. However, a careful analysis of those groups show that they are sure to inescapably encounter those above-mentioned criticisms raised against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Therefore what is lacking or missing in such posthumanism and in posthuman religious groups is a robust understanding of relationality, namely, an indispensability of relationality, which could be learned from contemporary “renaissance or revival of Trinitarian theology” in th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Considering this point, this paper argues that we could still talk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not only because humans could not be completely resolved into algorithms or data-processing, but also because relations ‘with-in’ humans and even ‘with-out’ humans would be very necessary in such a posthuman era. 오늘날 우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포스트휴먼(posthuman)은 인간됨(being human)을 넘어서는 상태에 있는 인간을 가리키며,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은 인간됨을 넘어섬을, 즉 휴머니즘(humanism)을 넘어섬을 추구하는 이념 또는 운동이다. 어떤 의미에서 휴머니즘은 포스트휴머니즘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고,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사이의 중간 어딘가에 있는 과도기적 휴머니즘(transitional humanism), 즉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을 거쳐 가고 있다. 인간들이 철저하게 변화하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 우리가 하나님에 관하여 그리고 심지어 삼위일체에 관하여 여전히 말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질문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과 같은 용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문에서의 분석에 따르면,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본질적인 연속성을 지니고 있기에 둘 모두 동일한 비판들에 직면할 수 있다. 즉, 둘 모두 인간론적 이원론, 환원론, 과도한 개인주의, 인간중심론 때문에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몇몇 단체들이 포스트휴머니즘과 종교/영성사이의 양립 가능함을 주장함으로써 종교 또는 영성을 추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들은 세속적이거나 반(反)-종교적인 많은 형태들의 포스트휴머니즘과는 다르다. 하지만, 이러한 단체들 조차도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해서 제기되는 위의 네가지 비판들에 직면하는 것을 확실히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 종교단체들에게서 부족하거나 빠진 것은 관계성에 관한 강력한 이해, 즉 관계성의 필수불가결성이다. 여기에 관해서는 20세기와 21세기에 일어나는 현대적 “삼위일체 신학의 르네상스 또는 부흥”으로부터 우리가 배울 수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도 인간이 알고리듬 또는 데이터-처리로 완전히 해소될 수 없기 때문에, 또한 인간들 내에서의 관계들과 인간들 외에서의 관계들이 그러한 포스트휴먼시대에서 매우 필수적일 것이기 때문에,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삼위일체에 관하여 우리가 여전히 말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로지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 포스트휴먼 주체와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향하여

        이경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9 탈경계인문학 Vol.12 No.2

        Subjectivity is a socially mediated process and a matter of empowerment and power. Therefore, the emergence of new social subjects is a process which involves a collective project external to the self as well as its deep-seated structures. Rosi Braidotti’s vision of the posthuman, which is both post-humanistic and post-anthropocentric, makes it clear that posthuman subjects are, and should be, embedded and embodied, transversal and relational. As she insists, posthuman subjectivity is a work-in-process which constantly involves experimentation with what we are capable of becoming in the face of posthuman predicaments as well as opportunities. Rosi Braidotti’s vision of posthuman subjects and her critical posthumanism, which she developed in The Posthuman in 2013 and Posthuman Knowledge in 2019, are important platforms from which workable concepts of posthuman subjectivity worthy of the times might be formulated and developed.

      • KCI등재

        인종과 포스트휴먼: 비판적 분석

        김준년 ( Junyon Kim ) 미국소설학회(구 한국호손학회) 2018 미국소설 Vol.25 No.2

        My critical analysis of race and the posthuman examin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posthuman discourse and its conceptualization of posthumanism from a revisionist perspective on humanism and humanity. Three assumptions are required for this purpose. First, I regard the prefix post- as signifying a complex atemporal procedure, rather than seeing it as a sign of a linear chronology. Thus the human and the posthuman are not only allowed to coexist in ever-changing configurations, but they are also supposed to affect each other reciprocally. Second, I assume that the general posthuman condition is not upon us yet. In this sense, most of the posthuman situations would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tense. Third, I see to it that race should not be omitted in the discussion about the human and posthuman conditions as well. Based on this revised critical position, this paper reviews what is at issue in the two genealogies of the posthuman discourse, a transhumanist version of posthumanism and the critical posthumanism. Paying due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the critical posthumanism has been dealt with by such scholars as Donna Haraway, Rosi Braidotti, and N. Katherine Hayles, to name a few, I attempt to envision how the posthuman subject can be re-embodied and how the posthuman space can be produced.

      • KCI등재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탐색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육학이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수용하여 포스트휴먼 감응교육(posthuman affect education)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낯선 질문을 통해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포스트휴머니즘의 대두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과 가능성, 그리고 포스트휴먼교육학적 시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필요성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의 의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으로의 변화를 탐색하고,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한 조건을 논의하였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이 만나 일어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Deleuze의 사유에 기초한 ‘감응’(affect)개념을 결합하여 구성한 개념이다. 요컨대,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먼 조건이 야기한 차이와 다양성, 이질성과 상호교차성 등의 변화에 섬세하게 반응하며 교육을 새롭게 바라보고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교육 가능성을 조망하기 위한 것이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첫째, 지속적 되기와 상호관계성 교육으로 고립된 실체로서 개인의 번영을 강조한 발달주의 교육 너머의 교육을 보여준다. 둘째, 사물(장치)의 능동적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수-학습 활동의 의미를 확장한다. 셋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사물(기술)의 능동성을 고려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의 변화와 사물(장치)의 행위성이 가져올,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결과에 대해서도 감응케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관계’에서 다시 비판적 성찰을 요청한다. 넷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비의도적 우연성 교육의 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보편적이고 표준화된 이론에 포착되지 않는, 교육의 복합성과 다양성에 감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제한된 변수들의 인과관계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자신감 대신, 교육이 변용 과정에서 낯설고 이질적인 다양성을 만나 새로움을 창안해갈 것을 제안한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해서는 열린 휴머니즘과 규범의 지향, 상호관계성 안의 생명과 지속가능성 추구, 지속적 되기 과정에서 관계항에 대한 책임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to expl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s posthuman conditions and the emergence of posthumanism by raising unfamiliar questions; Chapter III examines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Based on this, Chapter Ⅳ discusses the necessity of posthuman sensitivity, the meaning of posthuman affect education, and the changes having made in education toward posthuman affect edu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conditions necessary to realize a posthuman affect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that responds to changes triggered by posthuman conditions. The concept of ‘affect’ based on Gilles Deleuze's thoughts i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connections with unfamiliar beings and variations in the continuing process of becoming. Posthuman affect education, first of all, reveals becoming and interrelated education, overcoming developmentalism that emphasizes the prosperity of an individual subject as an isolated entity. Second, by considering the active role of objects(devices), meanings of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re to be extended. Third, whil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akes into account the activeness of things(technology), it also allows us to affect to potential consequences that are yet to be realized. Theref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calls again for critical reflection on ‘interrelationships.’ Fourth, by acknowledging the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accidental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presents possibilities to respond to the complexity of and diversity in education, which can hardly be captured by universal and standardized theories. Finally, posthuman affect education, instead of presenting the confidence that education can be explained in a causal relationship with limited variables, suggests that education be dedicated in creating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becoming by encountering the unfamiliar and heterogeneous diversities.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비평과 SF ― 미래 인간을 위한 문학과 비평 이론의 모색

        노대원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8

        “Posthuman” means a future human being who can no longer be called a human because major abilities exceeds the current standards and limitations. This concept re-adjusts and includes the phases and boundaries of other non-human beings. Thus, the traditional view of the human world and the human image can no longer be maintained. Posthumanism is a variety of humanities / criticism discourses on the future of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after human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ritical posthumanism is criticized at the same time as it inherits humanism. It aims to diversify or renew modern human views, to avoid one-sided technology optimism or fear, and to reflect on it. Posthumanism has been embodied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However, posthumanism differs from postmodernism in that it is an ideology of the era that experiences the loss and fall of the modern “human” and humanism as a fact. Posthumanism is also an interdisciplinary discourse in the era when the boundaries between humanities and science have been broken down under new technological and cultural conditions, and today it is also related to 'post-humanities' and the changes of universities. SF(Science Fiction) is a “perfect posthuman genre.” It forms a popular image, emotion, and ideological attitude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and posthuman. That is why (critical) posthumanist criticism must actively intervene in SF. SF movies and novels are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pec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popular) science writing also expands the image and ideology of posthumanity through narrative imagination, and even finally realizes it. “Since the era itself is regarded as SF,” analysis and criticism of SF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posthuman society and culture. ‘포스트휴먼(posthuman)’이란 인간의 주요 능력이 현재의 기준과 한계를 월등히 뛰어넘는 존재이기 때문에 더 이상 인간으로 부를 수 없는 미래 인간을 의미한다. 포스트휴먼 또는 포스트휴먼적이라는 것은 인간이 아닌 다른 타자적인 존재들의 위상과 경계가 재조정되고 포함된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하여 전통적인 인류의 세계관과 인간상은 더 이상 지속될 수 없게 된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된 인간의 미래와 인간 이후의 인간을 사유하는 다양한 인문학/비평 담론이 바로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이다. 그 가운데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을 계승하는 동시에 비판하여 근대적 인간관을 다양화 ․ 갱신하고, 일면적인 기술 낙관론이나 공포를 지양하며 성찰적으로 사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최신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유의 영향을 통해 배태되었다. 그러나 포스트휴머니즘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달리 근대적 ‘인간’과 휴머니즘의 상실과 몰락을 엄연한 사실로 경험하고 있는 시대의 사상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포스트휴머니즘은 새로운 기술문화적 조건 속에서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가 허물어진 시대의 학제적 담론으로서, 오늘날 ‘포스트인문학’과 대학의 변화와도 관련된다. SF(Science Fiction)는 “완벽한 포스트휴먼의 장르”로, 과학기술과 그에 따라 변화된 (포스트)인간의 ‘대중적’ 이미지와 감정적 ․ 이념적 지향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그 점이 바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비평이 SF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하는 이유이다. SF 영화와 소설은 과학기술의 지식과 기대에 근거해서, (대중)과학 저술 역시 서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포스트휴먼의 이미지와 그 이념을 확산시키고 심지어는 그 상상력을 현실화하기도 한다. “시대 자체가 SF로 간주”되고 있으므로,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SF에 대한 분석과 비평이 요구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과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 재고

        정윤경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Many aspects of humanity, including the definition of human beings and ‘agency’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human, are being challeng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posthuman. Education as an activity of human formation is based on humanism, and education as a discipline is also founded on the Enlightenment of the modern era. Accordingly, the emergence of the posthuman invokes the necessity of rethinking humanism-oriented education. As a response to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relate discourses on posthumanism to education and to review humanism-oriente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Chapter Ⅱ considered the conditions of posthuman and the significance of posthumanism. Chapter Ⅲ examined the challenge and arguments of the posthuman philosophy against modern humanism. Based on these reflections, Chapter Ⅳ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 subjective pedagogy based on modern humanism, sought for a way beyond them, analyzed whether the objective of cultivating true human beings is still educationally valid,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knowledge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posthumanism deconstructs the dichotomy assumed by the modern concept of subject and suggests a change to the educational ecosystem as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of continuous process. Second, regarding the challenge of posthumanization, education must help people reconsider the limitations of modern humanism and pursue new aspects of humanity in changing conditions. Particularly, posthuman education must include the development of a posthuman sensitivity. Third, posthumanism calls for a challenge to the epistemology of representation that is currently in a firm position. 포스트휴먼의 등장으로 인간됨의 기준부터 인간 고유의 특성으로 간주된 행위성(agency)에 이르기까지 인간을 둘러싼 많은 것이 도전받고 있다. 교육은 ‘인간다운 인간 형성’을 위한 활동으로 휴머니즘에 기초하며, 분과 학문으로서 교육학 역시 근대 계몽주의의 휴머니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포스트휴먼의 도래는 휴머니즘에 기초한 교육 전반을 재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시대의 도래로 시작된 포스트휴머니즘 논의를 교육과 관련짓고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을 재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연구필요성에 따른 연구목적을 위해, Ⅱ장에서는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포스트휴머니즘의 의미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포스트휴먼 철학의 근대 휴머니즘에 대한 비판과 도전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근대 휴머니즘 기반 주체교육학의 한계와 그 너머를 모색하고, 인간다운 인간 형성이라는 교육목적은 여전히 타당한지 재고하며,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이 지식과 교육내용에 시사하는 점을 탐색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을 재고해 볼 때,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머니즘은 근대 주체개념이 가정하는 이분법을 해체하고, 지속적인 과정의 상호의존적 관계론으로서 교육생태계로의 변화를 시사한다. 둘째, 포스트휴먼화의 도전에 대해, 교육은 근대 휴머니즘의 한계들을 재고하고, 달라진 조건 속에서 인간다움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요청한다. 포스트휴먼교육은 특히 포스트휴먼 감수성 개발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포스트휴머니즘은 지식관의 변화를 요청하고, 현재 확고한 위치에 있는 재현의 인식론에 도전할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테크노사피엔스(Tschnosapience)의 감수성과 소수자 문학 -윤이형 소설을 중심으로-

        김윤정(Kim, Youn-Jung)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5

        윤이형의 작품들은 포스트휴먼의 다양한 양태를 상상하고 포스트바디의 무한한 가능성을 실험하며 포스트휴머니즘의 윤리성을 고찰한다. 등단 이후부터 SF서사를 꾸준히 발표해 온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은 포스트휴먼에 대한 기대와 반성, 그리고 포스트 휴머니즘에 내재한 모순과 한계를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글은 윤이형의 다양한 실험적 글쓰기에서 소수자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 그 문학적 성과와 의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윤이형은 기술과학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도 몇 가지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인물의 감정과 독자의 공감을 유도하는데, 그의 소설에서 ‘소파’와 ‘언덕’은 포스트휴먼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에 필요한 요건이 무엇인지를 암시하고 있다.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몸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현실 세계의 모순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탈신체화를 실현하는데, 몸을 배제하거나 소거한 상태에서 포스트휴먼은 허무와 절망감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따라서 ‘소파’와 ‘언덕’에 부여된 안락함과 평온함의 이미지는 인간에게 편안함과 굳건한 믿음을 주는, 개체적 고유성과 자율성을 담지하는 인간의 몸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윤이형의 소설은 ‘여성’과 ‘노인’의 몸을 로봇의 몸과 대비하여 보여준다. 인간과의 차별에 저항하는 로봇인 ‘수아’의 몸이나 노인의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립, 경제적 고난을 대비적으로 보여주는 로봇 ‘대니’의 존재는 소수자의 소외된 몸에 대한 문학적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사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포스트휴먼의 존재적 의미와 가치를 논하는 것이며 동시에 패러다임의 변화, 인식의 변화, 실천적 행위가 없다면 포스트휴머니즘은 여전히 타자를 양산하고 소외시키며 배제하는 이념이 될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윤이형의 소설에 등장하는 테크노사피엔스는 안드로이드 여성, 사이보그 여성, 로봇 여성이며 그리고 노인 여성이었다. 윤이형의 소설에서 포스트휴머니즘은 여성의 존재적 가치와 개념에 대한 현대사회의 반성과 성찰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포스트휴먼 주체로서의 여성,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에서의 여성을 테크노사피엔스의 감수성으로 문학화 한다는 점에서 윤이형의 소설은 사이보그 글쓰기라 하겠다. Works by Yoon Yi-Hyung imagine various aspects of the posthuman and experiment with limitless possibilities of a postbody, examining the ethicality of posthumanism. The literary imagination of the novelist who has constantly published SF narratives since her debut as a writer manifests in the expectation of and the reflection on the posthuman, and the representation of a contradiction and a limitation inherent in posthumanism. This paper aims to identify values of minor literature in Yoon Yi-Hyung"s experimental writing and investigate its literary accomplishments and significance. Even in the novels set in the background of the technological era, Yoon Yi-Hyung induces the feelings of characters and empathy of readers through several symbolic images; in her novels, “sofa” and “hill” are suggestive of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posthuman. The posthuman realizes a postbody by overcoming limits of a human body and resisting contradictions of the real world, and the posthuman cannot break away from nihility and despair in a condition where his body was excluded or eliminated. Hence, images of comfort and serenity associated with “sofa” and “hill” may be understood as symbols of a human body that present tranquility and solid belief to humans and possess individual uniqueness and autonomy. Novels by Yoon Yi-Hyung contrast the body of the “woman” and the “elderly” with that of a robot. The body of “Suah,” a robot resisting discrimination from humans, and the existence of the robot “Danny” contrasted with physical suffering, mental isolation and economic hardship of the elderly may be considered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an alienated body of minorities. These narratives deal with the existential meanings and values of the posthuman in the period of posthumanism; at the same time they show that posthumanism would still be an ideology that mass-produces, alienates, and excludes others if it were not for changes in a paradigm and awareness, and practical actions. The Technosapiens in Yoon Yi-Hyung"s novels include an android woman, a cyborg woman, a robot woman, and an old woman. In her novels, posthumanism presupposes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of a contemporary society on the existential values and concepts of females. Novels by Yoon Yi-Hyung may be regarded as cyborg writing in that they depict women as the subject of the posthuman and women in posthumanism with the sensibility of Technosapience.

      • KCI등재

        포스트휴먼 법학의 도전: 포스트휴먼사이언스 총서 1, 2권에 대한 서평

        김건우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叢 Vol.40 No.-

        Recently, two books were published that proclaim themselves the challenges from the Posthuman jurisprudence. They are the first two volumes of the book series of Posthumnan Science by Acanet Publishers, i.e., Humans in the age of Posthumans(Series Vol. 1) and Autonomous Vehicles Running the Age of Posthumans: Legislative Strategies(Series Vol. 1). Thus I shall offer a review of the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jurisprudence, with the hope of putting the concept of Posthuman and Posthuman Law and Jurisprudence on the table of the legal scholarship. The goal of the books is two-fold. The first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prospects of the enterprise of posthuman jurisprudence, and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legal issues in autonomous vehicles as the first and prominent example of the enterprise. In spite of many specific helpful points, however, the two books tend to be rather restrictive in their scope and depth. No comprehensive work has been done as for the larger enterprise of posthuman normative studies, nor the proper endeavors to explore the issues of civil law(contract law, in particular) or intellectual property law as for the legal issues in autonomous vehicles. Indeed, the issues of constitutional law, liability, or criminal law, although addressed in part, have not exhausted their various important topics and points, nor have any full-fledged discussion on them been involved. In short, the two books are neither full-fledged nor self-contained, either as the general or special part of the whole project of posthuman jurisprudence. Yet these limitations are understandable because the two books are preliminary at this point. And each chapter of the books, if not quite consistent with one another, makes some contribution for both legal scholarship and practice. Thus being the first two volumes of the series, the two books succeed in capturing the readers’ eyes on posthuman jurisprudence. In this respect, their publication gains its significance and allows us to look forward to the publication of the later volumes of the series. 최근 포스트휴먼 법학의 도전을 알리는 두 책이 출간되었다. 아카넷에서 출판된 <포스트휴먼 사이언스 총서>의 첫 두 권인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총서 제1권)과 「포스트휴먼 시대를 달리는 자율주행자동차: 입법전략」(총서 제2권)이 그것이다. 이에 필자는 이 두 책을 주로 법적 관심과 법철학적 관심에서 리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로봇, 4차 산업혁명 등의 개념과 더불어 점점 확산되어 가고 있는, 이른바 ‘포스트휴먼’의 개념과 ‘포스트휴먼 시대의 법학’의 의의를 법학계의 관심과 논의의 테이블에 올려놓기를 희망한다. 두 책의 목표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포스트휴먼 법학의 의의와 전망을 가늠해 보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그 의의와 전망의 첫 사례이자 두드러진 사례로서 자율주행자동차를 둘러싼 법적 쟁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하지만 여러 유익한 세부 논점들에도 불구하고, 두 책의 논의는 범위와 깊이 양면에서 제한적인 편이다. 포스트휴먼 규범학이라는 큰 그림 하에 포괄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자율주행자동차의 법적 쟁점과 관련해서도 민사적 쟁점(특히 계약법적 쟁점 등), 지적재산권법적 쟁점 등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일부 거론된 헌법적 쟁점이나 손해배상 관련 쟁점 혹은 형사적 쟁점 역시 거기에 결부된 다양한 쟁점들이 망라되어 논의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각 주제들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로 발전되지 못했다. 요컨대, 포스트휴먼 법학이라는 기획의 총론으로서든 각론으로서든, 두 책의 논의는 본격적이지도 자족적이지도 않은 단계에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두 책은 시론적 논집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제한점은 납득할 만하다. 그리고 본문에서 세밀하게 논평한 것처럼, 각각의 글들은 비록 수미일관되지 못했을지라도 학계와 실무계에 크고 작게 기여하는 점들이 있다. 그리하여 적어도 두 책은 여전히 해당 총서 시리즈의 출발로서 어떻게든 독자들에게 포스트휴먼 법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장(場)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 점에서 두 책의 출간은 분명한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되며, 두 책 이후에 발간될 총서에 대해서도 기대를 갖게 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먼의 대상 인식과 디지털 아트: 포스트휴먼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김선규(Sunkyu Kim),김휘택(HuiTeak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야기된 담론은 계속해서 새로운 인간을 언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새로운 인간을 우리는 포스트휴먼이라 부른다. 포스트휴먼은 이미지나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수용하는 데 완벽히 적응한 인간이라 할 수 있으며, 이 글은 이들이 대상을인식하는 방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현재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포스트휴먼 담론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이 글은 디지털 아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디지털 아트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간이 대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기에 포스트휴먼에 관한 담론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다. 우선, 포스트휴먼은 완성체가 아니라 일종의 지향점이다. 즉 포스트휴먼에 이르기까지는 일정한 과정이 필요하다. 포스트휴먼의 지향점이라면 그 시작은 지금의 인간, 휴먼이다. 진화의 결과가 휴먼이듯이 포스트휴먼 역시인간이 진화한 결과로 보아야 한다. 문제는 이 과정이 자연적 진화가 아니라 기술의 발전을 통해매우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는 데 있다. 중요한 점은 인간의 신체는 아직 사이보그가 되기 위한극적인 변화를 겪지 않았다. 즉 현재의 휴먼의 관점에서 우리는 포스트휴먼에 관하여 논의를 할수밖에 없다. 휴먼에서 포스트휴먼으로 이행은 단절적인 전환이 아니라 과정으로 이해될 때, 포스트휴먼은 완전한 실체가 아니라 담론으로 존재한다. 인식의 결과로서 담론은 다양한 의견으로다시 분화되고, 다음 세대 인간에 대한 논의는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라는 대립적 진영 논리가아닌, 일종의 위상학적 차원으로 환원된다. 이 글은 이와 관련된 다양한 담론들을 살펴봄으로써포스트휴먼의 정체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Discourse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tinues to refer to new humans. In general, we call this new human ”posthuman.” Posthumans can be said to be humans perfectly adapted to accepting information through images and media.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y might perceive objects, and reviews various posthuman discourses currently being raised in an attempt to discuss digital art. Digital ar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discourse on posthumans because it constitutes an important step in understanding the way humans perceive objec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posthuman is not a bodily concept but refers to a kind of orientation. A certain process is required to reach the posthuman whose beginning is the human being . Just as the result of evolution is human, posthumans should be viewed as the result of human evolution. However, this process takes place in a very short time, and not through natural evolution but through technological advances. As the human body has not yet undergone dramatic changes to become a cyborg, from the current human perspective, we have no choice but to discuss. When the transition from human to posthuman is understood as a process rather than a disconnected transition, the posthuman exists as a type of discourse rather than a complete reality, and the discuss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humans reduces to a kind of topological dimension, not the opposing camp logics of utopia and dystopia.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posthuman identity by examining various discourses related to it.

      • KCI등재

        포스트휴먼 조울증

        김종영(Jongyoung KIM)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2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의 담론에 깊이 자리 잡은 포스트휴머니즘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한 반응은 한편으로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자율자동차, 알파고 등 새로운 과학기술사회에 대한 열광을, 다른 한편으로 인류세의 도래, 생명의 자본화, 무인살상로봇 등이 보여준 충격과 파국을 포함한다. 한 마디로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조울증이다. 포스트휴먼 조울증은 정신분석학적 진단이라기보다는 사회적 담론의 욕망과 무의식에 대한 해석이다. 이 논문은 우선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을 간략하게 파악하고 포스트휴먼의 세 가지 방식, 곧 동물-되기, 지구-되기, 기계-되기를 논의한다. 그런 다음 4차 산업혁명과 트랜스휴머니즘에 대한 반응을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한 대표적인 조증으로 분석하고 인류세의 파국주의를 대표적인 울증으로 진단한다. 4차 산업혁명이 경제성장과 인간초월을 노래하는 포스트휴먼 복음(복된 소식)이라면 인류세는 지구파멸을 예언하는 포스트휴먼의 요한 묵시록이다.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롤러코스터로 인한 조울증이 과학기술, 행위자, 자본주의에 대한 전체화의 경향성과 과잉결정론 때문에 발생한다고 진단한다. 조증으로서의 4차 혁명과 울증으로서의 인류세는 헤게모니적 이론화로 인해 거울 이미지가 된다. 곧 포스트휴먼 조울증은 4차 산업혁명의 유토피아와 인류세의 디스토피아 사이를 오간다. 끝으로 이 논문은 대안적으로 ʻ천천히 이론하고 실천하기ʼ를 제시하고 포스트휴머니즘이 어떻게 유토피아 없는 사상-되기의 실험이 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posthumanism, which is deeply positioned in the discourse topography of Korean society. On the one hand, the reaction to the posthuman world showed enthusiasm for new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y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utonomous cars, and AlphaGo, and on the other hand, the advent of Anthropocene, capitalization of life, and unmanned killing robot, Includes shock and catastrophe. In short, our reaction to the posthuman world is bipolar. Posthuman bipolar disorder is not a psychoanalytic diagnosis, but an interpretation of the desire and unconsciousness of social discourse. This paper briefly grasps the topography of posthuman discourse and discusses three ways of posthumans: becoming-animal, becoming-earth, and becoming-machine. Then, the reac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ranshumanism is analyzed as a representative mania for the posthuman world, and the catastrophe that Anthropocene predicts is diagnosed as a representative depression. I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posthuman gospel (good news) that sings about economic growth and human transcendence, Anthropocene is the posthuman apocalypse that predicts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This article diagnoses that posthumanismʼs roller coaster bipolar disorder is due to the totalizing tendency and over-determinism of techno-science, agency, and capitalism. Consequent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manic and Anthropocene as depression is a mirror image due to hegemonic theorizing.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lternatively ʻslowing down theory and practiceʼ and explores how posthumanism can be an experiment of becoming-thought without utop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