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pplying Performance Dashboard in Hospitals

        Andre M. R. Wajo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and Vol.9 No.1

        Performance dashboard is one of the way to improve a company’s performance, a hospital in this study, due to the ease it provides for the executive entities of the hospital in measuring, supervising,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hospital based on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The information requried by the executive entities in making a strategic decision involves numerous separate source of data. By implementing performance dashboard, the existing data sources will be consolidated and demonstrated in an informative visual form through an interface screen in order to allow the executives to easily comprehend and analyze those data, therefore assisting the process of strategic decision making. Currently, a lot of hospitals uses performance dashboard. By applying it, hospitals are capable of identify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pertaining to the them, and eventually, use such inform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By an increase in performance, the loyalty of patients will be maintained and the hospital’s competitiveness will also increase.

      • KCI등재

        성과정보의 활용이 조직성과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참여적 의사결정의 조절효과

        김태희(Taehee Kim) 한국국정관리학회 2021 현대사회와 행정 Vol.31 No.3

        성과관리 (performance management)는 조직의 계획 및 목표 달성 여부, 조직이 창출한 일련의 부가가치 및 실적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평가 및 환류를 통해 조직자원의 효율적・효과적 활용을 도모하여, 조직 전체의 효과성 제고를 견인할 수 있는 전략적 관리메커니즘으로 그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성과관리가 갖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성과관리가 형식적으로 이뤄지거나, 평가결과의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비판 또한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성과 평가제도의 개발, 도입 및 운영에 관한 관심은 높지만, 성과관리제도의 활용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형태의 성과정보 활용에 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성과관리 및 측정 관련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성과관리의 실질적인 효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과정보활용(performance information use)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고, 성과정보의 활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와 관련 이론적 그리고 실무상의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과정보의 활용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면서, 참여적 의사결정의 조절효과를 함께 검증한다. Performance-based management or managing for results has been advocated as an effective tool for improving public accountability as well a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regar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erformance management, its design and impacts. Benefits of performance management can be realized only when performance information is used by organizational managers in their decision-makings. However, less attention is given to actual use of performance information in decision-makings and its impa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at is, questions remain about how managers use performance information in their decision-makings and how this performance information use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focusing on the performance management practices in healthcare. Thu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 s purposeful performance information us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consideration of the moderating role of participative decision-makings using data from a survey of nearly 1,000 top-level hospital managers from public, private, and nonprofit American hospital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스포츠 재정지원사업의 성과: 영향요인 및 함의

        박상현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1 스포츠와 법 Vol.24 No.2

        본 연구는 국민체육진흥기금의 스포츠 재정지원사업을 대상으로 성과와 관련 영향요인에 관하여 살펴보고 내포하고 있는 의미와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영향요인별 성과, 성과별 영향요인, 관계 및 시사점 등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첫 번째, 영향요인별 성과에서는 사업규모, 우선순위 모호성, 대상집단 모호성, 사업의 유형과 성격, 사업의 직접성, 사업의 지속여부 등의 여섯 가지 요인들 모두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사업의 직접성 요인에서 직접 사업은 1개만 있어 간접 및 혼합 사업과의 성과 비교는 제한적이었다. 두 번째는 성과별 영향요인이다. 성과가 높은 사업들은 평균적으로 사업규모가 더 크고 성과지표의 수는 더 많으며, 사업대상은 명확하고 사업비 성격의 사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 간접 형태의 계속 사업이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성과가 낮은 사업들은 대부분 사업규모가 작고 우선순위 모호성이 낮으며, 사업대상이 명확하지 않은 편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 세 번째는 관계 및 시사점이다. 성과는 여섯 가지 영향요인들과 상호 연동적인 관계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성과가 높은 사업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사업은 우선순위 모호성 영향요인 측면에서 차이점이 두드러졌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사업의 다양성 확보, 중장기 성과지표 반영, 사업목표 및 성과지표의 적정성 제고 등 세 가지 사항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related factors of sport financial support programs of the Korea Sports Promotion Fund and to derive the significance that it implies and necessary policy implic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ey include analyzing performance by impact factors and deriving results, analyzing impact factors and deriving results by performance, and deriving 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First, analysis of performance by influencing factors and results revealed that all six factors affect performance: program size, priority ambiguity, target group ambiguity, type and nature of the program, directness of the program, and continuity of the program. However, in terms of directness factors of the program, there was only one direct program, so the comparison of performance with indirect and mixed programs was limited. The second is the analysis of performance-specific influences and the derivation of results. On average, programs with high performance were larger in size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programs with clear targets and program cost accounted for most of them. And it was mostly an indirect form of continuing program. On the other hand, it was possible to derive that programs with relatively low performance were mainly small in size, low in priority ambiguity, and the target of the program was not clear. The last three are 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Performance was interlinked with six influential factors, and relatively low-performance programs differed in terms of priority ambiguity influencers. Three matters were presented as policy implications: securing diversity of programs, reflecting mid- to long-term performance indicators, and enhancing the adequacy of program goa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 KCI등재

        고객 관점, 학습 및 성장 관점의 지출과 성과급제도 도입여부와 경영성과 간의 관련성

        이혜진,권태환,박기석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4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ied whether the introduction of asset expenditures based on BSC perspectives and performance-based pay systems leads to improved management performance. [Methodology]In this study, we used cross-sectional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t-test, regression with SPSS21). We collected variables by two sources and combine each data. One was NCAS(National Corporate Activity Survey, 2015) that were evaluated by using questionnaires about firms’ reward system, the others were financial database(New Kis-value and TS-2000) that were included financial data in 460 industries. [Findings]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nditure of Customer Perspectiv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rial Performance was partially supported. Seco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n the Managerial Performance was partially supported. Third, The Managerial Performance of application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companies higher than non-application Performance-Based Pay System companies. Finally, Expenditure of Customer,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on the Managerial Performance only application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compan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was hardly supported. [Implications]Eventually, we could find the fact that firm’s performance has partially improved Performance-Based Pay System and Expenditure of Customer,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연구목적]본 연구는 성과관리시스템인 BSC에서 고객 관점과 학습 및 성장 관점에 해당하는 지출액과 보상시스템에서 경영성과와 연계한 성과급제도를 도입한 기업과 미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자산성 지출과 성과급제도의 도입여부가 경영성과의 개선을 가져오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기업활동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조건에 적합한 460개 기업을 표본으로 하였고, 여기에 재무 데이터베이스인 New Kis-value와 TS-2000에서 필요한 재무자료를 추출하여 결합함으로써 분석 데이터를 완성하였다. 여기에 SPSS21을 활용하여 횡단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분석으로 상관관계분석, 차이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연구결과를 보면 접대비와 광고선전비 지출과 교육훈련비, 연구개발비 지출이 다양한 경영성과에 양(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불어 성과급제도 도입기업이 미도입기업에 비해 자산수익률의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성과급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만을 대상으로 이러한 지출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광고선전비 지출과 교육훈련비, 연구개발비 지출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고객 관점과 학습 및 성장 관점의 지출과 성과급제도의 도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부분적으로 검증이 되었으며, 더불어 성과급제도의 도입기업이 미도입기업에 비해 접대비와 연구개발비의 지출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경영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지출과 성과급제도의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 2020년대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

        주현식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7

        This study examines the metaverse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formance studies and, based on this, tries to look at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the metaverse by targeting overseas metaverse performances. First of all, in the first part of the main body, metaverse users, metaverse space, and time a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research.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overseas performances on the metaverse based on this. The British National Theater Company's Draw Me Close: A Memoir (2020), Avatar Artist LaTurbo Avedon's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 (2020), and ULTRAWORLD (2021) by Susanne Kennedy, were considered. The metaverse technology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 metaverse performance is also evolving, so this discussion has an essay on metavers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aesthetics in the metaverse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an avatar as 'I am not me' and an actor who is a metahuman or digital twin, changes the way we do, see, and experience performance. The fragmented self of indeterminacy and duality, that is, a new aspect of an actor in which human-flesh and non-human-machine are mixed produces an experience in which the audience can confirm their alterity. Second, the avatar's virtual body interacts with the user's real body. The avatar's body-image is essentially plac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user's actual body. The avatar's virtual body cannot be regarded as a fully digitized, de-embodied body. Rather, it become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computer screen and the actual body of the user. The moment of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of the avatar, which is traversed by my body,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ccurrence of transformational events through the performance in the metaverse. Third, the performance space on the metaverse implies a ‘heterotopia’ character. It produces a space that exists in reality but does not exist in reality. It is a world within the world, but it is a place without a place, and it is also a world outside the world. The space is psychedelic, ambiguous, instantaneous, personal, and context-dependent. Fourth, the performance of the metaverse calls for a time of absence rather than presence. The metaverse performance embodies the absence of a performance, not a presence. Absence is not an emptiness or lack, but an emotional resonance, an extension, and an expectation of presence. If the aesthetics of avant-garde performance in the 20th century was based on the aesthetics of presence, the aesthetics of metaverse performance in the 21st century would be based on the aesthetics of absenc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performance aesthetic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eyond the temporary interest sparked by the pandemic crisis concerning the performance on the metaverse.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have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이 연구는 연행 연구(performance studies)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검토하고, 이에 기반해 해외의 메타버스 공연 사례를 대상으로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조망해 보려 한다. 우선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메타버스 이용자, 메타버스 공간 및 시간을 연행 연구의 시각으로 접근한다.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상에서 펼쳐지는 해외 공연들의 퍼포먼스 미학을 규명한다. 대상은 영국 국립극단의 Draw Me Close: A Memoir(2020), 아바타 아티스트 아베던(LaTurbo Avedon)의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2020), 그리고 한국에서도 초청되었던 독일 폴크스뷔네의 연출가 케네디(Susanne Kennedy)의 ULTRAWORLD(2021)다. 메타버스 기술이 현재 발전 과정 중에 있고, 메타버스 공연 또한 진화하고 있는 중이어서 본 논의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예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가 아닌 것도 아닌 나’로서의 아바타, 더 나아가 메타휴먼 혹은 디지털 트윈인 연기자의 등장에 의해 공연이 생산되고 수용되며 경험되는 양상이 변화된다. 비결정성과 이중성의 분열된 자아, 즉 인간-살과 비인간-기계가 혼합된 새로운 양상의 연기자를 통해 관객은 자신의 타자성(alterity)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아바타의 가상적 몸이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 상호행위함에 따라 아바타의 몸-이미지는 본질적으로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의 관계성 속에 놓이게 된다. 아바타의 가상적 몸은 완벽히 디지털화된 탈체현의 몸이라고 볼 수 없다. 그보다 컴퓨터 스크린과 이용자의 실제적 몸 사이의 중재자가 된다. 이용자와 아바타의 상호행위의 순간 실제 나의 몸에 의해 횡단되는 아바타의 몸은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에 의해 변형의 사건이 발발하는 데에 중요 요소로 기능한다. 셋째, 메타버스 상의 퍼포먼스 공간은 ‘헤테로토피아’적 성격을 함축하고 있다. 현실에 있지만 현실에는 없는 공간을 생산한다. 세계 안의 세계이지만, 장소 없는 장소이고, 세계 밖 세계이기도 하다. 그 공간은 환각적이고, 모호하며, 순간적이고, 개인적, 맥락의존적이다. 넷째, 메타버스의 퍼포먼스는 현존이 아닌 부재의 시간을 부른다. 메타버스 공연은 현존의 공연이 아니라 부재의 공연을 형상화한다. 부재는 공허함, 결여가 아니라 정서적 공명이고, 확장이며, 현존에 대한 기대감을 낳는다. 20세기 아방가르드 퍼포먼스의 미학이 현존의 미학에 기초하였다면 21세기 메타버스 퍼포먼스의 미학은 부재의 미학에 기반할 것이다. 메타버스에서의 공연과 관련해 팬데믹 위기로 촉발된 일시적 관심을 넘어서 장기적인 안목에서 공연미학을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의 논의는 그 시발점으로서 유의미성을 가지리라 본다.

      • KCI등재

        지리적 접근성이 국제투자펀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일본과 중국 투자펀드를 대상으로

        박영규 ( Young K. Park ),송인욱 ( In Wook Song ) 한국금융학회 2010 금융연구 Vol.24 No.3

        최근 들어 글로벌 자본시장이 단일화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접근성과 정보 접근성의 관계 및 투자자들의 Home Bias(근접지역 주식선호) 현상에 대한 국제적(Cross Border) 차원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과 중국시장에 투자하는 펀드를 대상으로 펀드투자지역과 운용지역간의 지리적인 접근성이 펀드성과와 관련이 있는지를 테스트 하였다. 2000년 3분기부터 2007년 4분기까지 일본과 중국에 투자하는 국제투자펀드를 대상으로 운용사의 위치에 따라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운용되는 펀드그룹(Asia)과 그 외 지역에서 운용되는 펀드 그룹(Others)로 나누어 펀드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성과가 가장 우수한 펀드 그룹 간에는 Others 지역에서 운용되는 펀드의 성과가 우월하며, 성과가 가장 낮은 그룹에서는 Asia 지역에서 운용되는 펀드의 성과가 나은 결과를 얻었다. 이는 중국이나 일본에 투자하는 구미의 펀드들 중 최상위 그룹은 아시아지역에서 운용되는 펀드들에 비해서 지리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정보 취득 면에서 열세에 있지 않으며 오히려 운용능력이 우월하지만, 원거리에서 운용하는 최하위 그룹펀드들은 근거리에서 운용되는 최하위그룹에 비해 정보적인 열세에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연구자들은 추가적인 성과의 성분(Performance attribute) 분석을 통해 Others 지역펀드들이 종목선택능력에 우위를 Asia 지역 펀드들이 타이밍능력에 우위가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이러한 해석의 유효성을 지지하였다. Despite the globalization of 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the majority of investment volume goes to local markets.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is ``home bias`` phenomenon in 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This study aim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graphic distance and investment performance with funds that invest in Japan and China. For this purpose, using Thomson Financial International Mutual Fund data for the period between 2000 and 2007, we selected funds that invested in Japan and China. We divided the funds into the ``Asia`` and ``Others`` group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managed in Asia (the local region) or Others (remote regions) to compare local and remote funds in terms of performance. We can summarize our test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raw return of funds managed in Asia and that of funds managed in Others are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not significant for both Japan and China funds. On the other hand, when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Asia group with that of the Others group in relation to each of four quartiles identified with respect to performance, the Asia funds show better performance in the bottom quartile whereas the Others funds show better performance in the top quartile. This difference is more prominent during the bearish period but not clear during the bullish period for both Japan and China funds. Second, we compare funds managed in Asia with those managed in the Others region in terms of the risk adjusted return. Both Jensen`s alpha and the Carhart four-factor model are used to compare the risk-adjusted returns. Again, there is no significant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funds managed in Asia and funds managed in the Others region as a whole, but the Asia group outperforms Others in the bottom performance quartile while the Others group outperforms Asia in the top performance quartile. We can describe the above results as follows: there is less variance in the investment performance across managed funds that are geographically proximate. Third, we conduct performance-attribute analysis using the Daniel, Grinblatt, Titman, and Wermers (1997) method. We find tha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 selectivity (CS), the Asia group is better than the Others group only in the bottom performance quartile whereas the Others group is better than the Asia group in the top as well as second quartiles. These results hold regardless of whether the market is bullish or bearish for both China and Japan fund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 timing (CT), we find a slightly different result. In the bottom-quartile comparison, the Asia group is better regarding both Japan and China funds, but in the top-quartile comparison, the Others group is better for only Japan funds and not china funds. Furthermore, when we consider the market condition, we find that the Asia group has better timing ability in every performance quartile under the bullish market condition, while the Others group has better (Japan) or equally good (China) timing ability in only the top quartile under the bearish market condition. in Sum, we find that at the top tier, fund managers in the remote region are very competitive despite their geographical distance and do not seem to have any disadvantage in accessing local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geographic distance still matters for the low-performance group in the remote region as they consistently underperform low performance group in the local region. then, we further examine how remote managers in the top quartile not only are competitive, but even outperform local managers in the top quartile. We find that the better performance of the Others group in the top quartile is based mostly on their better performance in the bearish period since there is no significant performance difference in the bullish period. Therefore, we would interpret this result as follows: the Others group is better in fundamental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which is rewarded more during the bearish period. The additional performance-attribute analysis supports this proposition since the Others group shows better ability in stock selection whereas the Asia group shows better ability in market timing. These study results can provided valuable lessons for the international fund management industry in deciding their management location and has an academic contribution as it tries to extend Coval and Moskowitz`s (1999, 2001) research to the international fund domain.

      • KCI등재

        일상의 퍼포먼스, 투어리즘과 다크 투어리즘-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4.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2019)-

        김기란 ( Kim Kiran ) 한국드라마학회 2021 드라마연구 Vol.- No.63

        이 글에서는 ‘행위를 이행한다(to perform)’는 퍼포먼스의 미학을 수행적 실천으로 연결한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4.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2019)를 분석했다. 이때의 수행적 실천이란 타자의 고통에 대해 증언하는 목격자이자 공연의 수행자로서의 책무를 성찰하는 태도와 닿아 있다. 극단신세계의 <망각댄스-4.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는 단체 관광의 일상을 다크 투어리즘의 퍼포먼스로 구성한 작품이다. 이 공연에서는 문화적 퍼포먼스와 퍼포먼스의 경계를 넘나들며 범주화된 퍼포먼스의 개념을 성찰하는 한편, 일상화된 문화적 퍼포먼스에 내재된 위임된 수동성을 환기하여 우리 사회의 재난, 위험, 고통에 방관적 침묵자로 남거나 그것을 망각하려는 태도를 문제시했다. 특히 공연생산주체를 포함, 퍼포먼스에 참여하는 관객들에게 일상에서 익숙해진 포렌식 정보를 통한 탈-경험과 위임된 수동성을 성찰케 함으로써, 그들이 정보화된 ‘사건’의 방관적 관찰자가 아닌, ‘사건-공간’의 실천적 목격자로 정립되는 수행적 과정을 구현했다. 퍼포먼스의 수행적 실천이란 참여 관객에 의해 완성되거나 도달된다. 퍼포먼스의 참여 관객이 방관자가 아니라 증언하는 목격자로서 존재할 때 퍼포먼스의 수행적 실천은 가능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현대공연예술이 자율성을 앞세워 공적 책임을 방기한 채 예술로서만 존재하려는 태도에서 벗어나, 미학적인 것이자 윤리적인 것이며 정치적인 것으로 존재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 In this article, I analyzed "not-remembering Dance, 4.16, Seoul Oblivion-Tour Bus"(2019)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which connects the aesthetics of performance to performance practice. The performance practice at this time is in contact with the attitude of reflecting on the responsibility as a witness and performer who testifies about the suffering of the other.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s "not-remembering Dance, 4.16, Seoul Oblivion-Tour Bus" is the performance that consists of the performance of dark tourism. In this performance, the boundary between cultural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re crossing, reflected on the concept of categorized performance. And it ventilated the delegated passiveness inherent in everyday cultural performance, and questioned the attitude of remaining as an on-the-spot silence in the disasters, dangers and sufferings of our society or forgetting it. In particular, by reflecting on the de-experience and delegated passiveness through forensic information familiar to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including the performer, they could implemented the performance process of being established as practical witnesses of 'event-space' rather than bystander observers of the informatized 'event'. Performance practice of performance is completed or reached by participating audience. When the audience of the performance exists as a witness who testifies, not as a bystander, performance practice of the performance can be possible. It is also a way that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re aesthetic, ethical, and political, away from the attitude of being only an art, with public responsibility being neglected by autonomy.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의 성과관리, PMS의 이용방식, 조직학습 및조직성과간의 관계

        박경원(Park, Kyong-Won),반혜정(Ban, Hye-Jung)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4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성과관리 제도와 BSC에 기반을 둔 PMS에 주목하여 목적적합한 이용방식의 역할과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성과관리의 도입이 조직성과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 성과관리가 경영자의 PMS의 이용방식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학습이 조직성과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성과관리와 PMS의 이용방식의 역할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기관의 성과관리는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성과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관리가 관리자에게 목표와 운영의 초점을 제공하고, 성과증진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여 조직성과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공공기관의 성과관리는 PMS의 진단적 이용방식과 상호작용적 이용방식의 활용을 증가시켰다. 성과정보의 진단적 이용은 통제 및 평가도구로 적절하며, 상호작용적 이용은 새로운 정책접근을 위한 탐색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PMS의 이용방식은 조직성과의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MS의 적극적인 이용은 조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PMS의 이용방식 중 상호작용적 이용방식은 조직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학습은 조직성과의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공기관은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과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성과정보의 진단적 이용과 상호작용적 이용이 적절히 선택될 수있어야 하며, 조직학습을 잘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is one of empirical studies to provide evidence on the roles and effect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and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At a very generic level,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performance management i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sequences of various different ways in which performance information can be used, and whether the difference in a way of use affects causality of our research model and performance. There were few studies performed o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ly, we obser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performance management on performance. Secondly, we find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management and use of PMS. Thirdly, we find that using the PMS for diagnostic and interactive purposes has direct effect on performance. Fourthly, it was found out that while the diagnostic use of PM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learning, the interactive use of P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t was shown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otal, these results suggests that manager of public sector organizations need to manage performance management efficiently. It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managers’ proper choice for use of PMS and needs to utilize organizational learning well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한국 감사원의 성과감사에 관한 연구 : 비교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하복동 韓國公認會計士會 2006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3 No.-

        성과감사는 정부행정의 성과에 대한 공공책임성을 강조하는 감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과감사는 성과를 중시하고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성과지향적 행정패러다임의 변화와 맞물려 있다. 감사원은 이러한 정부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994년 주요 정책·사업의 효과성·경제성·능률성을 검토·분석평가하기 위한 성과감사를 10년 이상 도입·운영해오고 있다. 특히 참여정부 들어 감사원은 “국정운영시스템과 주요 정책·사업에 대한 진단·평가 및 이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성과평가로 감사운영방향을 전환”하여 평가기능이 가미된 성과감사를 수행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미국·영국의 경우 감사활동을 보면 성과감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한국 감사원은 성과감사 실시비중이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추세에 있다. 그러나 성과지향적인 행정패러다임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감사패러다임 역시 시대상황에 맞게 변화할 필요성이 높게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이를 위해서는 성과감사에 대한 높은 인식 및 수요가 창출되어야 하고 아울러 성과감사 수행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방식이 요구됨은 물론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인력을 조속히 확충할 필요성이 있으며 감사결과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수감기관과 충분한 대화와 협의가 선행되어야 하고 성과감사결과가 국정운영에 환류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Performance audit is an audit which emphasizes accountability for performance of the public sector. This performance audit is linked with a paradigm shift in the public sector that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places an emphasis on performance and accountability. In a bid to actively cope with such change,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of Korea has introduced and conducted performance audit to examine, analyze,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economy and efficiency of major government policies and projects over a decade since 1994. Especially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 BAI has shifted its audit operation direction toward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diagnoses and evaluates government administration system as well as major government policies and programs to come up with recommendations. It means the BAI's performance audit now includes evaluation. Meanwhile, audits in the U.S.A. and the U.K. are more focused on performance audit while the portion of performance audit among the BAI's audit activities has been shrinking annually. However, the need for a change in audit paradigm is also increasing to keep up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 to cope with the paradigm shift into performance-oriented government administration. In other words, for this change, it is held that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performance audit should be raised, systematical approaching methods are required for conducting performance audit, and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promptly secured for various sectors.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udit result, there should be sufficient communications and negotiations between the BAI and those subject to audit. A system is required to enable performance audit results to be reflected into government administration.

      • KCI우수등재

        성과와 비대칭적 성과보상민감도

        정훈(Hoon Jung),유관희(Kwan Hee Yoo) 한국경영학회 2014 經營學硏究 Vol.43 No.5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contracts motivate managers effectively(Cheng and Indjejikian. 2009). Pay performance sensitivity means that the exten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compensation as increase of firm performance. Pay performance sensitivity works to motivate manager and to control manger simultaneously. Thu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ay performance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formance be able to give good implications to alleviate the agency problems between managers and shareholder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in pay performance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formance. This study’s sample consists of KOSPI firms belonging to non-financial companies from 2003 to 2011. This study examined if there is an incentive zone in compensation system an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pay performance sensitivity as the level of performance. Specifically, we tested if there is upper stickiness and lower stickiness in pay performance sensitivity. We used change in average cash compensation of directors as a proxy for compensation change and change in ROA (Return On Asset) as a proxy for performance change. We show that there are upper stickiness and lower stickiness in pay performance sensitivity. In other words, there is asymmetric pay performance sensitivity in manager compensation system of Korea firms. So far, domestic prior studies showed that there was lower stickiness in pay performance sensitivity in manager compensation system of Korea firms.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asymmetric pay performance sensitivity in manager compensation system of Korea firms as well as a incentive zone. Upper stickiness and lower stickiness in pay performance sensitivity are signal that there are cap and bogey in manager cash compensation system of Korea firms. In additional test, we showed that Chaebol mitigates lower stickiness in pay performance sensitiv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Chaebol reduces the agency cost between the head of group and professional manager. In addition, when performance is high, pay performance sensitivity due to informativeness of performance measure increases. When performance is low, pay performance sensitivity due to informativeness of performance measure is not changed. So far, domestic prior studies showed only lower stickiness in the pay performance sensitivity. Thus asymmetric pay performance sensitivity could be explained in part.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re are upper and lower stickiness in pay performance sensitivity thus extended the research about asymmetric pay performance sensi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