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시사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플립러닝과 PBL의 절충교수법을 중심으로

        임진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current Korean abilities by applying blended learning--an eclectic teaching method combining flipped learning for online lectures, and PBL for offline lectures. This lesson plan consists of online lessons dealing with current affairs taking place outside the classroom based on flipped learning, as well as PBL-based classroom lessons involving collaborative activities focusing on the solving of a certain issue, and then delivering a presentation regarding the current affair. Learners experienced the following effects from these lessons: first, by quickly adapting to the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methods used therein, the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level of learning thanks to new teaching methods.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driven by the arriva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quick and sensitive reactions to new learning methods such as ‘blended learning’ will not only satisfy our learners' needs, but hopefully motivate them to continue on with their studies. secondly, these lessons enable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prior learning called ‘flipped learning’ in their current affair classes. In these sorts of classes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flow of the situational context (I don’t quite understand the meaning here) in the society across professional and academic fields. By helping our students to do so, we can increase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at the main lesson stage in the classroom, and further enhance their level of expertise which will be needed for academic-purpose learning, along with their abilities of learning in their chosen majors; and finally,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lesson model and proposed actual lessons at each stage of the flipped learning and PBL processes. This model was based on blended learning as it pertains to combining different learning methods. Moreover, we proposed detailed alternatives to the current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강의인 플립러닝과 오프라인 강의인 PBL을 절충한 교수법인 블렌디드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하여 시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 수업에서는 플립러닝은 온라인 수업으로 시사 내용에 대한 교실 밖 수업을 진행하고 교실 안수업에서는 PBL을 활용하여 시사를 주제로 문제를 해결하여 발표하는 협력 활동을 진행하게 하였다. 학습자들은 본 수업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시대의 흐름에 따른 학습 환경과방법에 대한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여 새로운 교수 방법으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4차산업혁명의 도래라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블렌디드 러닝이라는 민감한 교육 방법의 대처는 학습자들의학습 동기와 요구에 부응하여 한국어 교육이 지속 가능할 수 있는 학문이 될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고본다. 둘째,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분야로 그 사회의 상황 맥락의 흐름 파악이 중요한 시사 수업에서플립러닝이라는 선학습으로 자기주도학습이 이루어지게 하여 교실 안의 본 수업 단계로 진입하였을때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켜 학문목적 학습에 필요한 전문 지식 및 전공 수학 능력 제고에 도움을주었다. 셋째, 학습 방법 혼합의 측면에서 바라본 블렌디드 러닝에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플립러닝과PBL 각각의 수업 단계의 실제를 제시하여 시사 한국어 교수-학습을 상세화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본다.

      • KCI등재

        Jigsaw모형과 PBL의 융합교육 효과 : 패션마케팅 교과목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채희주(Chae, Heeju),신장희(Shin, Janghee),이영주(Lee, Yo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인 PBL과 협동학습의 대표적인 모형인 Jigsaw학습법을 패션디자인학과 <패션마케팅> 교과목에 접목하여 새로운 교수법 모델을 제시하고 교육적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PBL과 Jigsaw학습법을 적용한 <패션마케팅> 교과목의 수업설계는 각 학습법의 단점을 보완하는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연구방법은 교수법에 대한 학생들의 인터뷰 및 자기 성찰지를 통한 내용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수강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학생들은 본 교수법으로 인해 좀 더 능동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Jigsaw와 PBL을 융합한 학습법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이후 Jigsaw와 PBL을 접목한 학습법이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PBL which is a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and Jigsaw learning method, a representative teaching method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were incorporated into the subject of fashion marketing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teaching model and identify educational effects. Methods The teaching plan for fashion marketing subjects with PBL and Jigsaw learning methods is design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each learn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students interviews and paper of self-examination on teaching methods. Results As a result of the class with a convergence of Jigsaw and PBL,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generally highly positive, and students were more active in the class due to this method.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teaching method, which combines Jigsaw and PBL, has the ability to compensate for each other s shortcomings. Therefore, in the future, academia expects that the learning method incorporating Jigsaw and PBL will continue to be studied in various subjects.

      • KCI등재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 분석 : 경영정보학 교과에 대한 PBL 효과를 중심으로

        정기만 한국상업교육학회 2013 상업교육연구 Vol.27 No.5

        그동안 교수 활동의 현장에서는 어떠한 방법론이 유효한 교수-학습 방법인지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 대상이 되어온 방법론 중의 하나로 PBL 방법이 있다. 그동안의 연구 결과들을 보면 PBL이 가진 교육적 효과는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 초중 또는 고교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들이며 대학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는 많지 않다. 특히 경영정보학 관련 교과목의 경우 PBL 방법이 갖는 장점이 극대화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없다시피 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 현장, 특히 경영정보학 교과목의 교수-학습활동에 PBL을 적용했을 때의 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 성취도 제고 정도를 분석하여 그 연구 결과를 대학의 경영정보학 교과목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서 PBL 학습을 한 실험집단의 성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BL학습의 핵심요소 중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수업참여도와 협동학습 변수가 교과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어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수업참여도와 협동학습은 교과흥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과흥미도는 다시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are so many methods and polices that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class at school. And many researchers and teachers are interested in and concerned about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mong them, PBL(Ploblem-Based Learning) method is attracted the notice of the every and all educational world. Many researches have reported that PBL method has positive effect on teaching- learning phase.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class interest and achievement. Research experimental study has been used. In the extend of experimental study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has been used. Class attendant, cooperativeness, class interest and achievement test have been used to gather data. It can be seen from the achievement test results, problem bas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the conventional teaching in achievement level of learner. There has bee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terest and achievement scores. According this result it can be said that problem based learning do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 has an impact on problem solving skills and achievement scores of learners. According to pretest and posttest problem solving inventory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learners were less affected from problem based learning. In conclusion, problem based learning are very important and effective method to teach for professors and learn for students of college for curriculum subject a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KCI등재

        PBL적용 자유탐구 기법이 과학탐구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섭,김대성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Problem-Based Learning: PBL) to improve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To verify this research, twenty-two third-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Chung-ryeol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They have received pre-test and post-test about their abilities in their science process skills and abilit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Also, their self-reflection data was analyz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BL process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named 'I am the expert on Earth and Moon' which is recreated by analyzing the science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Lesson 3 'Earth and Moon', and to make plans for solving the information with K/NK method. Then, to solve the information is gathered and investigated using the PBL workbook. Lastly, students present their finding using the free inquiry method in a group. The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 first, the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stimulates inquisitiveness in students about science learning and the research group shows improved science process skill. It shows us that using the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can be used effects to elevate science process skill. Second, the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earch tells us that using the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can improve a student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창의적인 수업모델과 그 의의-이공계열을 중심으로-

        남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3 사고와표현 Vol.6 No.1

        This paper is the result of the first study to present a creative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tilizing PBL(Problem-BasedLearning) teaching methods in the way of writing statement(explanation,reasoning, description, narrative)The study subject is the writing and presentation, one of thecompulsory subjects of the second quarter of 2012 Dongguk University,and targeted a class, department of science. In this paper, PBLproblems created by researcher, the process of the lessons, andwriting results are included. Writing classes that utilize PBL, eliminates the banality of theexisting teaching methods in the way of writing statement, and is themost significant that proposed a new teaching model. It provides the learning motivation to learners in the classroom. Also, it improves the understanding, analyzing, and solving skills about the problem as scientists and engineers, the ability of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writing using PBL. This increased the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the writing to thelearners, department of Science. And it was carried out veryeffectively by connecting with the abstract writing education and thepractical problems, by going to find the solution themselves. Theother hand, in the writing class utilizing the way of PBL, there areproblems that every time teacher has to configure the learner’s newmajor and interest, create the actual PBL reflecting the reality. To make more useful class it is necessary of the verification to theprocess making PBL and the education major’s advice on the made PBL. Forward in the wake of this paper, I hope that the PBL be utilizedmore widely in the method of the writing statement and college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the writing style utilized in the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ill be able to be extendedother departments. 이 논문은 글쓰기의 진술방식 4가지(설명, 논증, 묘사, 서사)를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 방식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글쓰기 교수학습법을 제시한 최초의 연구 결과물이다. 대상은 동국대학교 2012년 2학기 <작문과 발표> 필수과목이며, 이과계열 한 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응용하여 만든 PBL 문제와 수업의 과정 및 글쓰기 결과물도 함께 제시하였다. PBL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은 글쓰기 진술 방식에 대한 기존 수업 방식의 식상함을 없애고, 새로운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학습자들에게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과학기술자로서 문제에 대한 이해⋅분석⋅해결 능력은 물론 PBL을 활용한 글쓰기를 통해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을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는 이과계열 학습자들에게 글쓰기의 참여와 흥미를 높이는 것으로, 추상적인글쓰기 교육을 현실적인 문제와 연결하여 그 해결 방안을 스스로 찾아가는 과정에서 글쓰기 진술방식의 이론과 실습수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한편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로서 어려운점은 매번 학습자의 전공과 관심 분야, 현실을 반영하는 실질적인 PBL 문제를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어려움은 있다. 교육학 전공자들에게 PBL 문제만들기에 대한 조언과 PBL 문제가 잘 만들어진 것인지에 대한 검증의 과정을 거친다면 이러한 고민도 일정정도 해결될 것이며, 더 유용한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것이다. 앞으로 이 논문을 계기로, 글쓰기 진술방식을 비롯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 PBL이 더 다양하게 활용되길 바라며, 이과계열 뿐만 아니라 다른 계열에도 충분히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BL에서 “교재, 교구 연구 및 지도법” 수업 사례

        최봉선 ( Bong Sun Choi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7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3 No.2

        본 연구는 PBL이라는 구성주의와 웹이 접목된 실천적인 학습모형을 도입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상호작용과 자기 주도적 학습과 협동학습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는 경기도 소제 H대학교 아동보육학과 3학년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업의 설계개발은 PBL과 WBI에 대한 문헌 연구를 한 후 3학년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이란 과목에 도입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블로그를 기획하고 설계, 개발하였다. 웹과 교실에서 토론을 하며 결과물을 완성하여 제출하고 수업을 실시한 모든 과정의 내용을 기초로 협동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력이 향상 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생상호간의 의견을 존중하고 과제의 완성을 위해 역할을 부담하고 협동하면서 과제를 완성하고 발표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컴퓨터 활용능력과 정보검색능력도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BL모형의 수업이 많은 교육기관에서 연구되어지고 다양하게 개발되어 학교 교육현장에 널리 보급되고 교사들의 PBL수업에 대한 연구가 긍정적이며 적극적이 되고 이러한 형태의 수업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이 갖추어 지고 PBL수업이 많이 실행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use blog in the web-based Problem Based Learning(PBL) in context of childhood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model of blog-based PBL for childhood education and finds its effect o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40 students participated until the 16 weeks, which was included 8 weeks based traditional method and 8 weeks based blog based PBL. For explore the effects of blog-based PB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as gathered from learners` recognition about difficulty of lesso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teraction within learners, reflection notes and interviews. The statistical results abou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teraction within learner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s. During a period of blog-based PBL, learners interacted more active and their self-regulated ability level was higher. Qualitative data shows learners performed reflective activity in their blog, and blog could support their individual learning proc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log improved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

        공학분야의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위한 PBL 교수법 연구

        권지은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2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1 No.1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nurturing creative convergence engineers in university education in the engineering field. This is because factors such as understanding of various fields that utilize technology and design and planning for service application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the performance of the technology itsel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BL (Project-based Learning) teaching method for nurturing creative convergence type engineers and to propose an application method. First, the concept of PBL pedagogy and the project process commonly used in engineering a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primary design of PBL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engineering field for nurtu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hird, it is directly applied to the class based on the first established teaching method. After class applic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are conducted to analyze the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ethods. Finally, the secondary PBL teaching method is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 application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in the engineering field by discussing the appropriate PBL teaching method for nurturing creative convergence engineers. 공학분야의 대학 교육에서 창의융합형의 공학자 양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술 자체의 성능보다는 기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해와 서비스 적용을 위한 설계와 기획 등의 요소가 중요 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창의융합형의 공학자 육성을 위한 PBL(Project-based Learning) 교수법을 연구하고 적용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PBL 교수법의 개념과 공학 분야에서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프로세스를 조사한다. 둘째,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공학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PBL 교수법을 1차 설계한다. 셋째, 1차 정립한 교수법을 기반으로 수업에 직접 적용한다. 수업 적용 후 학생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교수법의 문제점과 특징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적용 결과 분석을 통해 2차 PBL 교수법을 정립한다. 창의융합 공학자 양성을 위해 적합한 PBL 교수법에 대해 논하여 앞으로 공학분야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재무회계학 교육에서의 PBL(Problem-Based Learning)방식 도입 사례

        최미화 한국회계정책학회 2018 회계와 정책연구 Vol.23 No.3

        [Purpose]PBL(Problem-Based Learning) is appropriate for business education emphasizing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reality. PBL is a learner-directed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 where learners acquire relevant knowledge in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s in teams. [Methodology]This case study shows how an innovative learning method, PBL could be applied to Intermediate Accounting courses in different academic programs. This study introduces PBL cases applied to Intermediate Accounting courses in Korean at undergraduate programs at B University. [Findings]The detailed description of critical factors of PBL, problems creation, team creation, processes, and evaluation is provided based on several years’ in-class experience.It implies that better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will lead to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 accounting courses based on the PBL approach.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Implications]The detailed description of key success factors when applying PBL is provided in this paper and the paper also addresses some limitations of the PBL approach. [연구목적]본 연구는 학습자중심 교수법으로 알려진 PBL방법론을 재무회계관련 교과목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고 PBL방법론의 수업적용을 통해 PBL방법론에서 지향하는 자기주도학습 및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며, 또한 이러한 능력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PBL은 비구조화 된 특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팀을 구성하여 필요한 지식을 습득해 나가는 학습자주도 학습법으로 B대학교의 재무회계관련 교과목의 학부과정 강의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PBL방법론의 핵심적인 성공 요소인 문제개발, 팀구성, 수업진행 및 평가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전문가컨설팅에 기초한 수업적용사례를 제시하며 수업진행 전후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정도 및 이를 통한 PBL수업효과와 학업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한다. [연구결과]PBL 수행 이후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이 학습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3요인 중 2요인(학습계획, 학습실행), 문제해결능력 5요인 중 3요인(문제명료화, 대안개발, 수행평가)이 학습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많은 주제와 학습양을 다루어야하는 재무회계관련 교과목수업에서도 주제에 따라 또는 수강자의 수강목적 및 특성에 따라 PBL방법론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선행연구들은 원가관리회계 교과목 관련을 주로 다루었으나, 본 연구는 전반적인 재무회계관련 교과목에서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였고, PBL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요인인 수업에서 개발한 문제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PBL수업의 시도를 위한 연구들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PBL수업진행 후,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친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PBL수업의 실제적인 학습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KCI등재

        PBL학습법이 항공영어 교과목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홍명수(Myungsu H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고의 목적은 국내 대학의 항공서비스학 전공에 개설된 항공영어 교과목에서 PBL 학습법을 적용하여그 교육적 효과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 혁신적 교수법 적용 교과목 개발을 추진 배경으로 선정된 항공영어 교과목의 수강생 71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고차적 사고, 정보 및기술 활용, 문제해결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5개 역량영역에서 사전-사후 역량진단을 조사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 결과 대분류 5개 역량의 하위 역량 중, 자기표현과 비판적 사고를제외한 이해와 공감, 조정과 협력, 논리적 사고, 창의적 사고, 체계적 자료접근, 정보분석 처리, 창의적생산 및 공유, 원인분석, 대안개발, 계획 및 실행의 10개 영역에서 학습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분류에 속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영역은 PBL을 통해 두드러지는 학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BL 학습법에 대한 교수자의 수업 구상, 문제설정, 평가방법 등에 대한 과제가 남아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pplying the PBL method in aviation English courses offered within the aviation service major at domestic universities. A pre-post competency assessment was conducted on 71 students enrolled in the selected aviation English course. The assessment covered five competency area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igher-order think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utilization, problem-solving skills,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e paired sample t-test indicated that, among the sub-competencies within the five major competencie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n areas. Particularly, the sub-competency related to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a noticeable improvement through PBL.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challenges remaining for instructors in terms of course design, problem setting,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context of PBL learning.

      • KCI등재

        혁신적 회계교육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사례를 중심으로

        최미화 한국세무회계학회 2019 세무회계연구 Vol.0 No.60

        Innovative Teaching Method is appropriate for business education emphasizing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reality. PBL(Problem-Based Learning) is a learner-directed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 where learners acquire relevant knowledge in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s in teams. This case study shows how an innovative learning method, Flipped Learning and PBL could be applied to Intermediate Accounting courses in different academic programs. This study introduces Innovative Teaching Method cases applied to Intermediate Accounting courses in Korean at undergraduate programs at B universit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critical factors of PBL, problems creation, team creation, processes, and evaluation is provided based on several years’ in-class experience.It implies that better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will lead to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 accounting courses based on the PBL approach.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ey success factors when applying PBL and Flipped Learning ares provided in this paper and the paper also addresses some limitations of the PBL approach. 본 연구는 혁신적 교수법으로 알려진 플립러닝 및 PBL을 회계교육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고, 이러한 스마트러닝 방법론들이 회계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스마트 러닝은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형태와 능력을 고려하고 학습자의 사고력, 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개발을 높이며 협업학습과 개별학습을 위한 기회를 창출하여 학습을 보다 즐겁게 만드는 학습법의 하나이다. 따라서 현실적인 문제해결능력을 중요하게 다루는 회계학 교육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학습법이라 할 수 있겠다. B대학교의 회계관련 교과목의 학부과정 강의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수업진행 및 평가의 구체적인 내용을 전문가컨설팅에 기초한 수업적용사례를 제시하며, 수업진행 전후의 설문조사를 통해 혁신적 교수법에서 지향하는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정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한 수업효과와 학업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주제와 학습양을 다루어야하는 회계학 관련 교과목수업에서도 주제에 따라 또는 수강자의 수강목적 및 특성에 따라 스마트러닝의 방법론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