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렌즈에세이(Lens Essay)’ 글쓰기 특징과 의미-비교과를 중심으로-

        남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9 사고와표현 Vol.12 No.3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writing method and the actual case studies of ‘Lens Essay’, which is one of the extracurricular subjects and immersion programs, and attempt to reveal the features and meanings. Lens Essay writing is different from foreign college writing curriculum, so it is not in the discourse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research or education on this has rarely been done. Nevertheless, lens essays have elements and advantages that can be fully utilized in Korean college writing education. I also ultimately emphasize that lens essay writing is a useful and effective way to communicate. Furthermore, I suggest how lens essay subject should be opened in college not only as the extracurricular but also as the regular curriculum. Lens essay writing is a kind of figurative writing, but it is a writing that combines emotion and reason(logic) and reveals it through the lens. Lens essays allow to write individual style and creative writing. In particular, it has value and meaning in that it is useful for lowering the boundaries of scholarship to understand other studies and for converging thoughts and writing. In addition, beyond the standardized writing pattern, there is a wide range to write freely. If the lens essay writing method is used in the curriculum, it is recommended for seniors 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basic course of writing rather than freshmen. On the other hand, lens essay can be used not only for writing but also for speaking. I hope that this paper may contribute to the education and research on writing lens essays. 본 논문은 비교과 몰입프로그램 중 하나인, ‘렌즈에세이(Lens Essay)’에 대한글쓰기 방법과 실제 운영했던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특징 및 의미를드러내고자 한 연구이다. 렌즈에세이 글쓰기는 외국의 대학 글쓰기 교육과정과달라서, 국내의 대학 글쓰기 교육 담론 안에 들어와 있지 않았다. 따라서 이에대한 연구나 교육이 이루어진 경우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렌즈에세이는 한국의대학 글쓰기 교육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요소와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궁극적으로 렌즈에세이 글쓰기가 의사소통에 유용하고 효과적인 한 방법임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대학에서 비교과뿐만 아니라, 교과로서 렌즈에세이 과목을 어떻게 개설해야 하는지 의견도 제시하였다. 렌즈에세이 쓰기는 비유적 글쓰기의 일종이지만 감성과 이성(논리)이 결합되는 글쓰기이고 그것을 렌즈를 통해 드러낸다. 따라서 렌즈에세이를 통해 개성적인 글쓰기, 창의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다. 특히 학문의 경계를 낮추어 타학문을 이해하고 융복합적 사고와 글쓰기를 하는데 유용하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의미가있다. 또한 정형화된 글쓰기 패턴을 넘어 자유롭게 글쓰기를 할 수 있는 폭이 넓다. 렌즈에세이 글쓰기 방법을 교과에서 활용한다면 신입생보다는 글쓰기의 기본과정을 배운, 고학년이나 그 과목을 이수한 학생에게 권장한다. 한편 글쓰기뿐만아니라 말하기에서도 렌즈에세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논문을 계기로 렌즈에세이 글쓰기에 대한 교육 및 연구가 확산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해양생태시에 나타난 고래의 표상과 그 상징성

        남진숙 문학과 환경학회 2012 문학과 환경 Vol.11 No.2

        This is a research paper about the symbolism of the whal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whales appeared in Korean marine ecology poetry. How much is the existence of the whale recognized to a poet as the weight of as? The various representations of whales that appeared in the text is not a mere slogan that we have to protect the sea creatures going extinct. The poet are singing the lives of human beings and whales through whales. The followings are symboliz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whales First, it symbolizes the source of life and death in the unified form of the whales and humans. That is to say, whales to humans are the origin of life. In addition to the biological features that whales and humans are mammals, it means the symbiosis and coexistence of whales and human via the keyword ‘life and death’. The recognition that the lives of humans and whales each other mutually recursive structure, revealed its wholeness to the most primitive matter of life and death beyond the anthropocentric logic. In other words, the wholeness of humans and whales enables life sustain, sustainable and lasting beyond mere biological life. Second, the whale is substituted as waiting, dreams, and longing. The whale is not only the longing about mystique because we often can not see the creatures, but also is sometimes poet’s living hope and is symbolized as the longing for the presence of source of ‘mother and father’. Also, civilization and anti-civilization reveals more its symbolism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whales. Third, the whales show a fresh vitality to fishermen living on the grounds of sea its existence in itself. Roaring streams whales spouting in the ocean are the energy of life, and a sort of oasis. The dynamic vitality of the whale gives a strong vitality to fishermen at sea, the scene of life. Currently, the text study on Korean marine ecology poetry is standing at the starting line with the whales. A variety of implied meanings and symbolism on whales will bring the expansion of Korean marine ecology poetry. Also, if the attention is expanded from the whales to a variety of species, the expansion of rich text and research on marine ecology poetry will be accelerated.

      • KCI등재

        PBL(Project based Learning)을 활용한 융복합 교양교과목 운용 및 의미 -<미래환경과 위험사회> 교과목을 중심으로-

        남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3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rough a class case of a convergence liberal arts curriculum using project-based learning(PBL). Curriculums such as project development and operation, task process, output,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Future Environment and Risk Society> were targeted for research. The characteristic contents of the educational course operation results are that first, five project types are specifically presented. This eliminates vagueness when selecting a project topic, helps learners to set a specific project topic, and makes them aware that it is a convergence subject. Second, because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s important, a detailed project operation plan was established and feedback was continuously provided. It emphasized that the role of the instructor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subject is a facilitator. This means that when operating a convergence subjec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it will be a person with convergence competency as a major. Third, it was analyzed and inferred from the sample in which part the learner was able to actively engage in convergence learning through the PBL development style and results. Fourth, through lecture evaluation and learners’ subjective opin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PBL teaching method can show very effective learning outcomes even in convergence liberal arts subjects. Fifth, after taking the subject of <Future Environment and Risky Societ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s in learn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global issues through the reflective journal questions. Based on this, using PBL in convergence liberal arts education subjects is positive in that it can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d to classes in which students directly participate. 본 논문은 PBL(Project based Learning)을 활용한 융복합 교양교과목 수업 사례의 특징과 의미를 분석한 연구이다. <미래환경과 위험사회>라는 교과목의 프로젝트 개발 및 운영, 과제 프로세스, 산출물, 평가 등 교육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교과목을 운영한 결과 특징적인 내용은 첫째, 5가지 프로젝트 유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이다. 이는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할 때 막연함을 없애고 구체적인 프로젝트 주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며 융복합 과목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였다. 둘째, 교수자는 융복합 교과목에서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의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융복합 교과목을 운영할 때, 교수자의 자격으로서 융복합적인 역량을 갖춘 자, 전공자여야 한다는 선입견을 없앨 수 있다는 의미이다. 셋째, 학습자가 프로젝트 개발과 결과물을 통해 융복합적인 학습을 어떤 부분에서 능동적으로 할 수 있었는지 샘플을 통해 분석, 추론하였다. 넷째, 프로젝트 수업 방식이 융복합 교양교과목에서도 매우 효과적인 학습성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강의평가 및 학습자의 의견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다섯째 <미래환경과 위험사회> 교과목을 수강 한 후, 성찰저널을 통해서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태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융복합 교양교육 과목에서 PBL을 활용하는 것은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높이고,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수업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 글쓰기 첨삭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법

        남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3 사고와표현 Vol.6 No.2

        본고는 대학의 글쓰기 교육 과정에서 퇴고와 첨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글쓰기 첨삭 지도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동국대학교의 <작문과발표> 교과목을 통해 살펴본 연구 논문이다. 실제 강의 시간에 실시하는 첨삭의 방법과 글쓰기센터의 연계 첨삭지도를 중심으로 하였다. 글쓰기 첨삭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제시된 것은 첫째, 학생들 과제물에서 잘못된 문장을 찾아서 수업 샘플로 활용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문장이나 단어에 대한 퇴고나 첨삭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학생들도 부담이 적다.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높다. 이는 이론과 실습이 하나로 접목된 방법이다. 둘째, 한 편의 짧은 글을 학습자들간에 상호피드백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상호피드백을 실시하기 전에 교수자는 상호 첨삭의 기준을 제시한다. 본고에서는 사설을 상호피드백 대상으로 삼았다. 학습자들간의 1차 첨삭이 끝나면, 교수자는학습자들이 상호 첨삭한 과제물을 걷어서, 학생간 피드백이 잘 되었는지 2차 첨삭을 한다. 이렇게 하면 피드백을 두 번 받는 셈이고 학습자들 또한 한 편의 글에 대한 퇴고를 온전히 경험하게 된다. 셋째, 글쓰기센터의 반복피드백이다. 이는 학내 글쓰기센터와의 연계성을 통하여 면대면 글쓰기 첨삭지도를 강화하는 방식이다. 이 역시 시간적 한계는 있지만,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반복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방법은 간단하지만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키우는데 매우 효과적이며,쓰기와 퇴고의 순환적 구조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글쓰기 첨삭지도는 물리적인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수업 시간을 통하여 퇴고 및 첨삭을 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강좌 당 수강 인원을 줄여야 교수자가 좀더 현실적인 글쓰기 첨삭지도를 할 수 있다. 교수자의 강의를 통한 이론 학습이나쓰기 역량의 신장은 첨삭이라는 피드백을 통해서 강화된다. 그러므로 앞으로 교수자의 글쓰기 첨삭지도 방법도 꾸준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is a research paper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elaboration and correction in the proces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and looks over the actual writing elaboration and correction throughthe course of Dongguk University’s <Writing and Presentation>. It isfocused on the correction ways conducted by real lectures and linkedcorrection teaching of writing center. The presented effective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writingcorrection are as follows. First, find the incorrect sentence in studentshomework and utilize the sample in lesson. It is less reluctance tostudents because of starting from elaboration and correction of a basicsentence or word. Above all, the students’ interests and concerns arehigh and it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Second, conduct interaction feedback among the learners throughshort articles. Before performing mutual feedback, teaching person hasto present mutual correction standards to students. In this paper,editorials are presented as the mutual feedback. After the ends of 1stcorrection among the learners, the teaching person gathers thecorrected assignments and conducts the 2nd correction. Through thisway learners receive double feedback and experience elaboration fully. Third, repeat feedback of the writing center. This is strengtheningface-to-face writing correction method through the linkage of Donggukuniversity writing center. This is also a time limit, but it hasadvantages that students receive repeat feedback continuedly. Though above presented ways are simple, it is very effective toraise the students’ writing skills, and has a cyclic structure of writingand elaboration.

      • KCI등재

        각 대학 교양교육 전담교수 위상 및 개선 방향

        남진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4

        The status and treatment of professors in charge of general education are low and poor reality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In this study, I surveyed professors who are responsible for general education at 27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nd analyzed 17 detail items such as basic information, treatment, lecture and research conditions, and other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is paper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 status of professors in charge of general education is about 92 percent of non-tenure track. In relation to treatment, about 66.6 percent of universities earn less than 40 million won per year. This situation is not different for large and medium sized universities in Seoul, as well as those in other province. In addition, the professors in charge of general education have rarely become the subject of decision on general education. Also, problems regarding treatment and status are found in research conditions and various categories(see the result of each item in the text of the paper). As a result, this situation is likely to weaken the position of the professors in charge of general education and ultimately cause fundamental problems such as the direction and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Therefore, the fundamental improvement in the Education Ministry’s approval rate for nontenure track professors should be made.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positive role of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and a change of perception of school authoritie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communicate with and continuously resolve issues with each school members. In this paper, it is meaningful that the actual treatment and status of professors in charge of general education a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made public in the field of learning through empirical data. 교양교육 전담교수들의 위상 및 처우는 교양교육의 중요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고 열악한 현실이다. 이에 전국 27개 대학교 교양교육을 전담하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기본정보, 처우, 강 의 및 연구여건, 기타 항목과 17개 세부항목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논문은 조사 결과를 토대 로 교양교육 전담교수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설문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교양교육을 담당하는 교원들의 지위는 비정년트랙이 약 92% 이다. 처우와 관련, 연봉이 4천 이하인 대학이 약 66.6%이다. 이러한 현황은 서울의 대형대학 을 비롯하여 지방의 중대형 대학도 다르지 않았다. 또 보직을 맡아 교양교육에 대한 결정 주체 가 되는 일은 거의 전무하였다. 이밖에도 연구 여건 및 여러 항목에서 그 처우와 위상에 문제점 이 실증적(각 항목에 대한 결과 수치는 논문의 본문 참고)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현황은 결과적으로 교 원의 직위를 약화시키고 궁극적으로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성, 질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야기 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교육부의 비정년트랙 교원 인정률에 대한 근본적인 제도 개 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적극적인 역할과 학교 당국의 인식 변화가 있 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각 학내 구성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 및 문제인식을 갖고 지속적으로 해결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양교육을 담당하는 교원들의 실질적인 처우 및 현황을 조사, 그 결과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최초로 학문의 장에서 공론화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1930년대 ‘순수’, ‘서정’에 대한 의미 고찰 : 1930년대 문예지를 중심으로

        남진숙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09 人文論叢 Vol.26 No.-

        This work is focussed on the meaning of the pure and the lyricims related to the pure lylic poetry(순수서정시) in 1930`s through literary magazines(『시문학』, 『문예월간』, 『문학』, 『시원』).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aid for those who are in search of information about the pure lylic poetry since 1930`s. The meaning of the pure laregely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in this paper. First, it generally pursuits the security of literary originality which is seperated from socitey, reality, political affairs and so on. Also, poetry itself is rearded as a independent being and means the pure that has not impurities in it. Second, it means the most instinctive emotionlal state which is created by the poet's imagination and embodied the feelings under the condition of that abstractive elements are eliminated from it. Third, it is to confirm the homogenetiy of korean people through korean language. In other wrords, to express Korean people's feeling means the pure. This means that the ego in the pure is in the open world and palys a important role as a barrier against the criticism that the pure escaped from the real world. On the other hand, first, the lyricims generally means revealing people's unrestrained and exaggerated enthusiasm and feeling, and includes the point that it is the most noble sprit. It seems that people of the age implicitly undertstand the meaning of the lyricism. Second, it is overlaped with the pure and contains bothe individual feelings and people's feelings. Third, it means a organic life that is full of vitality and moves as if living creature Putting all accounts together, in 1930`s the menaing of the pure lyric poetry is found that it is mixed with in texts and passages though in some parts it can be clearly dictinguished between the pure and the lyricims. Because it does not make marked poetic theory in the lyric poetry genres from the beginning, people who are pursuit the pure lylic poetry used the mixed meaning. To prove these surmises, literary magazines and newspaper puplished in 1930`s and poet's works have to be made a detailded study.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next time.

      • KCI등재

        『디지털시대의 글쓰기』교재의 특징 및 방향성 -동국대학교 e-book을 중심으로-

        남진숙,김지오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1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Dongguk University 『Writing in the Digital Age』 e-book textbook, and furthermore,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common writing textbook for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Dongguk University’s 2023 new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reated in the form of an e-book to reflect the digital age and utilize digital tools and devices. Second, the content and format of textbook are structured to enable learner-centered writing. In particular, through practice such as Korean orthography, sentence writing, PBL, and new types of writing, learners can develop active and proactive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This is meaningful in that even in this era when ChatGPT appeared,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can be improved through writing. Third, it is a textbook tha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Dongguk University as a university established by Buddhism. In terms of content, it is a point that connects the Buddhist training process with writing, and in terms of desig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trengthens the sense of familiarity and belonging to students by using Ako, the mascot of Dongguk University. Above all, the significance of the new textbook is that it can contribute to further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and ability to write. Therefore, it is clear that writing textbooks, which are essential liberal arts subjects, should aim for ‘textbooks that can reflect and utilize the changes of the times, learner-centered textbooks, and materials that can contain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in both content and form. 본고는 동국대학교의 『디지털시대의 글쓰기』 전자책 교재의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고, 나아가 대학의 글쓰기 공통교재의 방향성을 제시한 논문이다. 동국대학교 2023년 새 교재의 특징은 첫째 디지털 시대를 반영하여 디지털 도구와 기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e-book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둘째 학습자중심의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교재의 내용과 형식을 구성하였다. 특히 한글정서법, 문장쓰기, PBL 등의 실습과 새로운 글의 종류를 통해 학습자가 능동적이고주도적인 학습, 문제해결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챗GPT가 등장한이 시대에도 글쓰기를 통해 사고하고 문제 해결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불교종립대학교로서 동국대학교의 개성과 정체성이 드러나는 교재이다. 내용적인 면에서는 불교의 수행 과정을 글쓰기와 접목하여 연결하였으며,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동국대학교의 마스코트인, 아코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친근감, 소속감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처럼 새 교재는 전자책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통해 시대의 변화를 담고 교재의 정체성과 개성을 분명히드러내며, 무엇보다도 학습자들의 글쓰기 능력을 더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교양필수 교과목인 글쓰기 교재는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재, 학습자 중심의 교재, 각 대학의 정체성과 개성을 담을 수 있는 교재’를 지향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 KCI등재

        영화를 통해 본,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교수학습법에 대한 제언 -<피나 바우쉬의 댄싱 드림즈>를 중심으로-

        남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1

        This paper extracts nonverbal elements from the documentary film <Pina bausch’s Dancing Dreams> and suggests how they can be used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educational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nonverbal elements of this film, such as gestures, facial expressions, touch, and sound (sound), this study analyzed how the instructor approached the learner and achieved the learning goal(dance performance) through the process. In addition, the meanings of the non-verbal elements in the movie were extracted by linking them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this, it was emphasized that the linguistic element is also important in university educ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but the teaching learning method using non-verbal elements is also important.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non-verbal element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teaching-learning method of meeting, teaching-learning method of empathy, and teaching-learning method of ratio of language/nonverbal elements’. Furthermore, in university education, if various factors such as subject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type of instructor, type of learner, number of lectures, and intimacy are reflected and sporadic data are collec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non-verbal factors can be categorized, systemized, and theorized. will b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the possibility of using non-verbal elements as a method or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films. 본 논문은 다큐멘터리 영화 <피나 바우쉬의 댄싱 드림즈> 에 나타난 비언어적 요소를 추출하여, 그 요소가 어떻게 교육적 소통에 있어 교수학습법에 활용될 수 있는지 제언한 논문이다. 이 영화의 비언어적 요소인 몸짓과 표정, 손길, 음향(소리)을 중심으로 교수자가 어떻게 학습자에게 다가가며, 그 과정을 거쳐 학습목표(무용극 공연)에 도달할 수 있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 영화 속 비언어적 요소를 교수학습법과 연관하여 그 의미를 각각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교육 및 의사소통 교육에서 언어적 요소도 중요하지만, 비언어적 요소를 활용한 교수학습법도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비언어적 요소를 활용한 교수학습법으로 ‘만남의 교수학습법, 공감의 교수학습법, 언어/비언어적 요소의 비율 교수학습법’ 등 3가지를 제언하였다. 나아가 대학 교육에 있어서도 교과목과 학습의 특징, 교수자의 유형, 학습자의 유형, 강의 횟수, 친밀도 등 여러 요소를 반영하고 산발적인 데이터를 모으면, 비언어적 요소에 따른 교수학습법을 유형화하거나 체계화, 이론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영화를 통해 비언어적 요소를 교수학습법의 한 방법이나 모형으로서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에코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본 여성 주체의 태도와 인식

        남진숙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9 No.-

        This study is focused on ecofeminism poetry to find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female speaker in females' image and to make clear that the females' image in the ecofeminism discussion is not only symbolized by which the male made. The female's experience w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male showed up on poetry. And it is dissimilar from the females' image made by the male in the start of recognition. In this work I carefully dig into the symbolized things that stand for biological female or females' image and also looked over the female's self-determination, autonomy and so on. In these approaches I considered carefully it in three aspects. First is the start of the female's self-determination through experienced nature and females' image. Second is the finding of self-determination through female's self. Third is the course of interaction and balance through females' image in the relation with others. The nature that the female experienced and the identity on the nature are not regarded as the monopoly of the female. It means that females' image, maternity and naturalness revealed by the biological features such as menstruation, pregnancy, birth, etc. are not only belong to the female It can be confirmed when the self recognize and respond subjectively. Like this, when nature and female are identified, at that point females' images can be symbolized. The confirmation of self related to the self-determination shows the strong self-recognition system. It means that the self-determination for body and ego should be interpreted in parallel.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sexual determination has to be made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reality. The self-recognition in the relation of others works toward interdependence and equality and sometimes the self looks like others. Because interdependence and coexistence are linked with, there is a desire to make a new ego when ego and others meet. It seems that females recognize their life actively and separate and share the feelings and changes took place in the relation of others. These are not occurred without the self-recognition. These correlation can show new possibility of females' image through affluent spirit of life. 이 글은 에코페미니즘적 관점을 통하여 ‘여성성’에 대한 여성 화자의 주체적 인식을 찾아내고, 에코페미니즘의 담론에 있어 ‘여성성’의 문제가 더 이상 남성이 만들어놓은 것에 의해서만 상징화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남성과는 변별되는 여성의 경험이 주축이 되어 텍스트에 드러나고, 이는 남성이 만들어 놓은 여성성과는(설령 상징화된 것이 같거나 유사할지라도) 그 인식의 출발에서부터 다르게 된다. 이 글에서는 생물학적인 여성이나 여성성으로 대표되는 것들로만 상징화되었던 것들에 대해 재고찰을 하였으며, 여성이 주체가 되어 선택할 수 있는 ‘자기결정’이나 자율성, 그리고 타자와의 관계에서 어떻게 여성이 자아를 인식하고,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주체적으로 표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단순히 자연으로서의 여성이 아니라 삶의 새로운 대안적 관점과 에코페미니즘 담론에 대한 발전적 내용을 담보하기도 한다. 첫 장은 ‘체득한 자연과 여성성’을 통해 여성 주체인식의 출발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장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 놓인 ‘여성성’을 통한 균형과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고, 마지막 장은 ‘여성 주체와 전복의 전략을 통한 ‘자기결정권 찾기’를 보여주었다. 이 같은 분류는 자연과 성, 현실과 일상의 문제에 대한 여성 주체의 태도에 주목한 것이다. 여성이 체득한 자연과 그 자연에 대한 동일화는 여성의 월경, 출산, 임신 등 생물학적인 특징으로만 여성성 혹은 모성성, 자연성을 강조하고 도식처럼 상징화한 것이 여성의 전유물로 곧 등식화되는 것은 아니다. 자아가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그것에 반응할 때 비로소 가능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자와의 관계’에서 살펴본 자아 인식은 상호의존성과 평등성을 지향하고 자아가 곧 타자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거기에는 공존성과 독자성이 함께 존재하여 자아와 타자가 만났다가 다시 새로운 자아를 형성하고자 하는 자아의 욕구가 일정정도 공존한다. 그런데 그때의 욕구 혹은 욕망이라는 것은 목적적이거나 목표적인 것이 아니라 여성이 경험적 주체로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인식 수용하고,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정서와 변화들을 유연성 있게 분리, 융합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상호연관성은 풍유로운 삶의 정신 사유의 확장으로, 새로운 ‘여성성’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성성은 생물학적인 관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인간 삶과 인간관계의 새로운 형성에 기여하게 된다. ‘자기결정’과 관련된 자아의 확인은 세상을 전복시킬 만큼 강한 자아 인식 체계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몸(육체)만을 위한 자기결정권뿐만 아니라 자아에 대한 자율적인 결정권이 병행되어 해석되어야 함을 인지시킨다. 거기에는 성의 결정권이 어떠한 현실적 상황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행해져야 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창의적인 수업모델과 그 의의-이공계열을 중심으로-

        남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3 사고와표현 Vol.6 No.1

        This paper is the result of the first study to present a creative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tilizing PBL(Problem-BasedLearning) teaching methods in the way of writing statement(explanation,reasoning, description, narrative)The study subject is the writing and presentation, one of thecompulsory subjects of the second quarter of 2012 Dongguk University,and targeted a class, department of science. In this paper, PBLproblems created by researcher, the process of the lessons, andwriting results are included. Writing classes that utilize PBL, eliminates the banality of theexisting teaching methods in the way of writing statement, and is themost significant that proposed a new teaching model. It provides the learning motivation to learners in the classroom. Also, it improves the understanding, analyzing, and solving skills about the problem as scientists and engineers, the ability of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writing using PBL. This increased the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the writing to thelearners, department of Science. And it was carried out veryeffectively by connecting with the abstract writing education and thepractical problems, by going to find the solution themselves. Theother hand, in the writing class utilizing the way of PBL, there areproblems that every time teacher has to configure the learner’s newmajor and interest, create the actual PBL reflecting the reality. To make more useful class it is necessary of the verification to theprocess making PBL and the education major’s advice on the made PBL. Forward in the wake of this paper, I hope that the PBL be utilizedmore widely in the method of the writing statement and college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the writing style utilized in the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ill be able to be extendedother departments. 이 논문은 글쓰기의 진술방식 4가지(설명, 논증, 묘사, 서사)를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 방식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글쓰기 교수학습법을 제시한 최초의 연구 결과물이다. 대상은 동국대학교 2012년 2학기 <작문과 발표> 필수과목이며, 이과계열 한 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응용하여 만든 PBL 문제와 수업의 과정 및 글쓰기 결과물도 함께 제시하였다. PBL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은 글쓰기 진술 방식에 대한 기존 수업 방식의 식상함을 없애고, 새로운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학습자들에게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과학기술자로서 문제에 대한 이해⋅분석⋅해결 능력은 물론 PBL을 활용한 글쓰기를 통해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을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는 이과계열 학습자들에게 글쓰기의 참여와 흥미를 높이는 것으로, 추상적인글쓰기 교육을 현실적인 문제와 연결하여 그 해결 방안을 스스로 찾아가는 과정에서 글쓰기 진술방식의 이론과 실습수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한편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수업을 진행할 때, 교수자로서 어려운점은 매번 학습자의 전공과 관심 분야, 현실을 반영하는 실질적인 PBL 문제를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어려움은 있다. 교육학 전공자들에게 PBL 문제만들기에 대한 조언과 PBL 문제가 잘 만들어진 것인지에 대한 검증의 과정을 거친다면 이러한 고민도 일정정도 해결될 것이며, 더 유용한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것이다. 앞으로 이 논문을 계기로, 글쓰기 진술방식을 비롯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 PBL이 더 다양하게 활용되길 바라며, 이과계열 뿐만 아니라 다른 계열에도 충분히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