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 경제관계와 `일대일로(一帶一路)` 대응방향

        곽복선 ( Kwag Bok Sun ) 현대중국학회 2016 現代中國硏究 Vol.18 No.3

        이 글은 한·중 경제관계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향을 분석한다. 중국정부가 2013년부터 추진해오고 있는 일대일로 전략에 대해 국내외 자료들은 주로 미·중의 세력 재균형, 사회간접자본 건설, 자원, 물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연계 등 시각에서 다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을 달리하여 한국과 중국, 한국과 일대일로 국가들과의 무역, 투자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입장에서 일대일로전략에 대한 대응방향을 찾아보았다. 분석결과 한국의 입장에서 일대일로 국가들은 중국과 같은 정도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국가들에 대한 진출은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의 프레임 안에서의 신규 진출과 프레임 밖에서 기존의 진출을 확대하는 것이 모두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진출이 부진하거나 중국의 주도권이 강한 지역에서는 중국과의 협력기반을 통해 진출해야하며, 동남아시아와 같이 기존의 경제협력 관계가 많은 지역은 기본적으로 한국의 독자적 진출가능 영역을 심화 확대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중국과의 협력진출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중국을 통해 현지 정부, 기업과 협력 프레임을 만드는 방향을 모색해야 하며, 가능한 경우 무역과 투자 자유화의 수준을 높이는 FTA같은 협력 프레임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 일대일로와 관련 중국 자체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향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일대일로의 연결을 현실화하는 것은 물론, 서부지역과 푸젠성(福建省) 등 중국 내부의 일대일로 건설 중점지역에서의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실제화 하는 것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중국과는 이미 이루어져있는 한·중 FTA라는 경제교류 자유화 프레임을 강화하는 방향에 초점이 주어져야 하며, 이러한 협력기반 위에 일대일로 국가들에서 양국 경제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Korea-China economic relations and counter measures for Korea on China`s One Belt & One Road strategy. On One Belt & One Road strategy which is being pushed forward by China since 2013, many domestic and foreign papers mainly handle it from a viewpoint of power rebalancing between USA and China, SOC projects, energy resources development, logistic channels, Eurasia initiative etc. This paper studied comparatively on situations of trade volumes and FDI both of Korea-China and Korea-One Belt & One Road countries and tried to find out counter measures for Korea different from existing angles on One Belt & One Road strategy.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known that One Belt & One Road countries have a same importance as China from Korea`s viewpoint. So, Korea should try to expand market developments in these countries within frame of One Belt & One Road led by China`s initiative and at the same time try to strengthen already existing footholds in those countries outside from that frame. Therefore, it is suggested as follows. In those countries where Korea has a weak basis or China has a great influence, Korea should enter those countries through cooperative relations with China and in those countries where Korea has established a good basis of economic cooperations as like ASEAN countries, Korea should expand and deepen her own domains regardless of China. In those regions where demand cooperative entering with China, Korea should construct cooperation frame with those countries` governments and companies through cooperative basis with China. and try to establish cooperative frames to promote level of liberalization on trade and investment as like FTA with them. Within China territory, Korea should try to connect Eurasia initiative and One Belt & One Road project and substantialize economic cooperations with China in core regions for One Belt & One Road project as like China`s western provinces and Fujian province. In addition to those cooperations, Korea should try to strengthen Korea-China FTA as a basic frame for economic exchange liberalization and on such basis, make an effort to create economic cooperations with China in One Belt & One Road countries.

      • KCI등재

        원 코리아(One Korea) 운동과 한인 디아스포라

        전진호(Jeon, Jin-ho)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30 No.-

        1985년 오사카에서 ‘원 코리아(One Korea)’를 구호로 내건 축제가 시작되었다. 이 축제는 해방 40주년이 되는 해에 재일한국인, 재일조선인의 구별을 없애고 하나가 되자는 운동이었다. 일본사회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동포들이 한국계의 민단, 북한계의 총련으로 나뉘어 이념논쟁과 대립을 하지 말고 하나의 민족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갖자는 것이다. ‘원 코리아’ 운동은 대중예술을 통해 일본인의 한국인에 대한 고정 이미지를 바꾸고, 한국계 동포와 북한계 동포의 화합을 이뤄내자는 축제로 시작되었다. ‘원 코리아 운동’은 일본 사회에서 살아가는 재일한인들이 자기 정체성을 가지게 하고, 동포사회의 정신적, 문화적 토양을 두텁게 하는 대중, 문화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원 코리아 운동’은 정치조직이 아니라 문화 활동을 통한 한인 디아스포라의 연대를 강화하는 조직이다. ‘원 코리아 페스티벌’은 그동안, 일본에서 <하나>가 되지 못하고 반목과 갈등을 겪고 있는 재일한인의 화합을 위해 노력해 왔다. 재일한인이 먼저 화합하여 ‘하나’가 되고, 조국과 해외 코리안의 가교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원 코리아’의 실현에 공헌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평화롭고 창조적인 ‘동아시아 공동체‘를 지향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원 코리아’ 운동의 형성과 전개, 일본사회 내의 ‘원 코리아’ 운동의 의미, 한인 디아스포라 운동으로서의 함의, 일본에서의 일시적인 거류(居留)가 아닌 영구한 정주(定住)로서의 ‘원 코리아’ 운동의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In 1958, a festival was held in Osaka under the slogan “One Korea.” The festival started with the purpose of having real team spirit as one ethnic group instead of suffering from ideological conflicts between pro-Seoul Korean Residents Union(Mindan) and pro-Pyongyang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Chogryon). The aim of the One Korea Festival was to change Japanese’ fixed and preconceived image of Korean through popular art and to achieve national harmony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The One Korea Festival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ocial movement that helps young Koreans in Japanese society to embrace their identity and strengthens the mental and cultural grounds of their communities. In other words, the festival is not a political organization but rather an organization that strengthens the solidarity of Korean Diaspora through cultural activities. The One Korea Festival is aiming to unite Korean-Japanese together first and play a key role in bridging the gap between overseas Koreans as well as contribute to realize ‘One Korea’, ultimately bringing about a peaceful and creative East Asian community. In this regard, this paper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creation and evolution of the One Korea Festival, the significance of the festival within Japanese society, the implication of Korean Diaspora and the importance of One Korea Festival as a permanent settlement in Japan rather than a temporary residency.

      • KCI등재

        一帶一路와 한-중 FTA가 새만금사업에 주는 법제적 시사점

        김명아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5 韓中關係硏究 Vol.1 No.2

        중국은 최근 일대일로(一带一路; One Belt and One Road) 구상을 빠른 속도로 구체화해 나가고 있으며, AIIB 창설과 함께 민간참여가 가능한 실크로드기금 조성을 통하여 일대일로 에 필요한 자금 융통 방안을 구축해가고 있다. 중국은 일대일로의 방향을 각 관련국의 경제전 략과 상호연계하여 비교우위산업 간 협력을 추진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2015년 6월 1일 한중FTA 서명식에서는 한중FTA가 일대일로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연 결고리가 될 것임을 확인한 바 있으며, 이에 향후 한중FTA를 통한 양국의 구체적인 경제협력 방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중FTA는 서비스분야 및 투자분야 등의 후속협상을 예정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지향적인 FTA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후의 후속협상 과정에서 양국 지방경제협력 시범지역 운영과 한중산업단지 조성 방식을 통한 다양한 협력사업을 통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협상의 방향을 정해 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중FTA 협정문 제17장 경제협력 제17.26조에서는 한-중 산업단지/공업원 지정 및 협력에 관한 사항을 두고 있으며, 2015년 6월 22일 한국측은 새만금을 한중 산업단지로 운영하기로 한 바 있다. 새만금 한중경제협력단지 내에 설치되는 한중FTA산업단지는 한중FTA 제17장에 규정된 한중산업단지에 관한 내용을 토대로 향후 규제특례지역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중국이 제시하 고 있는 일대일로 행동 추진 방안과 새만금 규제특례지역 조성방안은 많은 부분에서 직접적 인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연결요소들이 있으므로, 향후 중국의 일대일로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해가야 할 것이다. 또한, 중국정부의 일대일로 구상과 중국 국내의 각 정책들이 모두 일관성을 가지고 국내의 각지역 특성별로 상호보완적으로 수립해가는 점에 착안하여, 우리나라도 향후 대 중국 경제협력 정책과 관련하여 국내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일관된 정책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다. 새만금사업의 경우 관련 특별법이 제정되어 있으며, 중앙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정책 수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특구들과 연계한 일관된 한-중 경제협력 사업을 수행해간다면 충분히 그 사업의 성과가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China is proceeding to take the initiative of One Belt and One Road at a rapid rate, making a financing plan necessary to build composition of the initiative by raising a Silk Road Fund induced by private-sectors’ participation,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AIIB. When it comes to the direction of One Belt and One Road, China has explained that it will promote a cooperation between comparative advantage industries by correlating with the economic strategy of the respective countries involved. Both Korea and China verified in FTA signing June 1, 2015, the Korea-China FTA would be the link between the Eurasian initiatives and One Belt and One Road, drawing a attention to specific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future. Korea-China FTA can be evaluated as future-oriented one because of a follow-up negotiations on such services and investment sectors, and it is expected to determine direction of the subsequent negotia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rough which various initiate pilot cooperation projects such as the operation of Local Economic Cooperation Demonstrations Area and the composition scheme of Korea-China Industrial Complexes/Parks. The details on specifying the Korean-Chinese economic cooperation and operation in the industrial Complexes/Parks are stipulated in article 17.26 of chapter 17 in Korea-China FTA Agreement and government of Korea designated Saemangeum as the industrial Complex between two countries. Korea-China FTA Industrial Complex planned to be installed in the area of Saemangeum Industrial Complex is expected to be built as a special regulation Area on the basis of Korea-China industrial Complex stipulated in Chapter 17. It will be needed to observe and analyze policies related to One Belt and One Road because there are lots of connecting elements between the promoting behavior measures of One Belt and One Road and the composition scheme of special regulation Area in Saemangeum, to lead to direct cooperation in many field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inese government’s initiative on One Belt and One Road is consistent with each of its related domestic policy to complement each other in establish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also necessary for Korea to make consistent policies and their implementatio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etwork in relation to the future economic cooperation policy for China. In the case of the Saemangeum project, related special laws are enacted and the active policy of the central government can be established, so, in this background, it is fully expected to ensure the performance of its business, if a consistent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the two nations are proceeded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zones.

      • KCI우수등재

        한국형 一國兩制의 특징 및 북한법제에의 적용 방안 ― 중국 一國兩制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정연부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6 No.4

        The unification of the North and South is the most difficult problem which the Korean Peninsula has not been able to solve for a long time. Nobody can predict when and how the unification would come true. The unification could happen suddenly like Germany. Thorough preparation is the only way to utilize the unification as a chance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a new growth power for Korea. If the unification should happen without thorough preparation, the unification might be unfavora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an Peninsula. Therefore, Korea has to be well prepared for all possible scenarios of the unification. It should be prepared for scenarios including not only a case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such as during the Pyeong Chang Winter Olympics but also a case of conflic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such as North Korea's continued missile launches. Lots of general researches on the unification have been cumulated for a long period since the unification was left as a difficult problem to solve. A more various and concrete study on the unifi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 Model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and the acceptability of it in North Korea, based on comparison with the legal systems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in China and Hong Kong. This is a kind of integrated study fusing researches such as the unification legislation, the One Country-Two Systems, and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This is also a specific study in some respects. For example, this paper analyzes the One Country-Two Systems which is one of the concrete topics among the researches on the unification legislation. Further, this study looks for a way to realize the One Country-Two Systems. Finding the way is one of the more specific subjects among the studies on the One Country-Two Systems. This study, in chapter II, compares the One Country-Two Systems of China and Korea from some aspects like the background of the One Country-Two Systems, the elements of the Two Systems and the elements of the One Country. In this comparison, the One Country-Two Systems of China itself could be the subject for comparison because it is an existing system. However, the conditions for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s considered as the subject for comparison with the One Country-Two Systems of China because the One Country-Two Systems of Korea is not a present system but just a supposed model.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this paper draws the conclu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ne Country-Two Systems. The methods for application of the Korean One Country-Two Systems to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in chapter III, is also researched from all the above aspects for comparison. 통일은 한반도가 오랫동안 풀지 못한 난제이다. 어느 순간, 어떻게 통일이 올 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독일과 같이 갑자기 찾아 올 수도 있다. 철저한 준비만이 통일을 민족적 발전과 한국의 신성장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만약 철저한 준비 없이 통일을 맞게 된다면, 그것은 민족적 호재가 아니라 악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한국은 선제적으로 발생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해 통일 준비를 해 두어야 한다. 평창 동계올림픽ㆍ남북정상회담 등과 같이 화해와 협력이 배경이 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북한의 계속되는 미사일 발사 때와 같이 남북의 갈등이 배경이 되는 경우 등 모든 시나리오를 대비해 두어야 한다. 통일이 난제가 된 긴 시간 동안, 통일에 대한 총론적인 선행연구가 많이 축적되었다. 이제는 통일에 대한 다양한 각론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한국형 一國兩制의 특징 및 북한법제에의 적용 방안을 중국 一國兩制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이는 종래의 통일법제에 대한 연구, 一國兩制에 대한 연구, 북한법제에 대한 연구 등을 융합한 연구이다. 또한, 통일법제연구 중에서도 각론적인 성격을 지니는 一國兩制, 그리고 一國兩制연구 중에서도 다시 각론적인 성격을 지니는 一國兩制의 실현방안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통일법제연구의 최전선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각론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II. 중국 일국양제 對比 한국형 일국양제의 특징’에서 一國兩制의 배경, 양제적 요소, 일국적 요소를 기준으로 중국 一國兩制와 한국형 一國兩制를 비교한다. 다만 중국 一國兩制는 현행 제도이므로 그 자체가 비교대상이 될 수 있지만, 한국형 一國兩制는 예상 모형이므로 한반도의 통일상황을 비교대상으로 삼는다. 양자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한국형 一國兩制의 특징을 도출한다. ‘III. 북한법제에의 적용상 과제와 방안’ 역시 중국 一國兩制와 한국형 一國兩制의 비교 요소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형 一國兩制를 북한법제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지방분권을 제시한다. 지방분권은 최근 한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적 과제 중 하나이다. 비록 최근 논의에서는 지방분권의 통일적 의미가 다루어지고 있지 않지만, 본 연구는 통일법제적 관점에서 지방분권을 활용하고 있다. 지방분권을 통해 국가-도시의 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一國兩制의 핵심요소들을 적용하는 방안을 분석한다.

      • KCI등재후보

        오사카 원코리아페스티벌의 패러다임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충남 한국지방정치학회 2022 한국지방정치학회보 Vol.12 No.1

        This study analyzes the switching factors in the paradigm of One Korea Festival, Osaka. One Korea Festival, Osaka was launched in 1985 as part of the Reunification Culture Movement. A change of the paradigm was promoted into One Korea of pointing to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until 1989, into One Asia Community from 1990 to 1999, into East Asian Community from 2000. In a change of the paradigm, the 1st paradigm is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the European Community, to the global trend of post-cold war, to the creation of Asian citizens with universality, and to the multicultural symbiosis in Japanese society. The 2nd paradigm was relevant to the factors such as a change in inter-Korean relations, a historic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a territorial conflict between China and Japan, and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Global Network.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intersect over the two paradigm shifts. But the proposal of community in One Korea Festival needs to be evaluated in a declarative sense. Meanwhile, the participation rate appeared to be low because of being influenced by external variables such as President Lee Myung-bak's statement of the emperor apology and visit to the Dokdo Island, a protest against Korea, the far-right mayor’s non-cooperation, the non-cooperation between the Civilian Party and the Central Headquarters of Chongryun (North Koreans in Japan), the lack of an interest due to the hosting of various festivals by Japaneses and Koreans in Japan in Osaka. In terms of internal variables, the transition in the paradigm, the operation of a uniform program, the one-off events, the aging in organizers, the lack of financial resources worked in combination, thereby having been degenerated into a small festival. As for implication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cation movement were diluted, resulting in being faced with difficulty to obtain momentum. Second, there is a need to recruit young people. Third, the stable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secured for the sustainability of opening the festival. 이 연구는 원코리아페스티벌의 패러다임의 변화 요인을 분석한다. 1985년 통일문화운동의 일환으로 원코리아페스티벌이 출범하였다. 1989년까지는 한반도 통일을 지향하는원코리아, 1990년~1999년까지는 원아시아 공동체, 2000년부터 동아시아 공동체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추진하였다. 패러다임 변화에서 제1차는 유럽 공동체의 등장, 세계적인탈냉전 추세, 보편성을 갖고 있는 아시아 시민의 창출, 일본사회의 다문화공생과 관계되어 있다. 제2차 패러다임은 남북한 관계의 변화, 한일의 역사 갈등, 중일의 영토 갈등, 코리안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의 요인과 관련되어 있었다. 두 차례에 걸친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해 긍정과 부정의 평가가 교차하고 있지만 원코리아페스티벌의 공동체 제안은 선언적 의미로 평가되어야 한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의 천황사죄 발언과 독도 방문, 혐한시위, 극우성향 시장의 비협조, 민단과 조총련 중앙본부의 비협조, 오사카에서 일본인 및 재일코리안의 다양한 축제 개최로 인한 관심의 부족 등 외부 변수가 영향을 주어 참여율의 저조로 나타났다. 내부 변수로는 패러다임의 전환, 획일적인 프로그램의 운영, 일회성 및 이벤트성 행사, 주최 측의 노령화, 재원의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소규모 축제로 전락하였다. 시사점은 첫째, 통일운동의 특징이 희석되어 동력 확보의 어려움에 처해 있다. 둘째, 청년들의충원이 필요하다. 셋째, 축제 개최의 지속성을 위해 안정적인 재원 확보가 요구된다.

      • KCI등재

        내선일체론의 역사교육 적용

        김한종 한국역사교육학회 2014 역사교육연구 Vol.- No.20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hich was officially declared by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late 1930s, was the principle of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policy. The subject, in which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as well reflected, was history education. This study researched how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as applied to history education during late 1930s and early 1940s from the aspects of national curriculum, history subject matters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as the principle that colonial Korean and Japanese were unified with the real meaning of Japanese national body(國體). It was argued to know sacred achievements of Japanese emperors to realize the real meaning of Japanese national body because Japanese imperial family had preserved it. The origin of founding Japanese, great achievements of imperial family and so on were stressed to be main subject matters in history teaching.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teaching was not just knowledge education but spirit education, and ‘Japan and Korea are One’ theory was an argument that Korean and Japanese should internalize one nation people beyond understanding. Understanding and practice were both two elements and integrated one of ‘Japan and Korea are One’. What people should understand was the essential outline of National history(Japanese history), while what practicing was Japanese national body's holy reason. Any independent Korean history units disappeared in the revised Elementary National History(『初等國史』), and their contents were integrated in Japanese history units. But Korea and Japan relative history was described more in Elementary National History than Primary School National History(『普通學校國史』). Contents on Japan's conquering Korea were decreased, while interchanging and friendly relationship of both countries were increased. Such the trends were strengthened in National History and Geography(『國史地理』) published for a four-year course ordinary elementary school(尋常小學校) children. Spirit training, the utilization of intuitive teaching aids and the interrelating with other subjects teaching were recommended to teach national history for cultivating nation people to know Japanese national body and to have Japanese spiritual purity. Fostering nation's emotion through reliving historical facts was emphasized in national history learning. Understanding theory argued by Dilthey, German philosopher, was discussed on this purpose. 193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제기된 내선일체론은 조선총독부의 시정방침이었을 뿐 아니라 학교교육의 원리였다. 내선일체의 논리가 잘 반영된 교과 중 하나는 국사였다. 이 글은 내선일체론이 국사교육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교육과정과 내용, 교수학습방법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내선일체론은 조선인과 일본인이 일본 國體의 本義로 하나가 된다는 의미였다. 국체를 유지해온 것이 황실이므로, 국체의 본의를 깨닫는 것은 천황의 聖業을 아는 것을 통해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肇國의 유래, 황실의 위업 등이 국사교육의 내용으로 강조되었다. 국사교육은 지식교육뿐 아니라 정신교육이었으며, 내선일체론은 이해를 넘어서 몸으로 체득해서 실천해야 하는 논리였다. 이해와 실천은 내선일체론의 두 측면이면서 통합된 하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국사(일본사)의 大要였으며, 실천해야 할 것은 ‘國體의 존엄한 所以’였다. 개정된 『초등국사』 교과서에서는 조선을 독립적으로 서술하는 단원이 사라지고 내용이 일본사와 통합되었다. 그러나 한일관계사 서술은 오히려 늘어났다. 일본의 한국 정벌이나 우위를 서술하는 내용이 줄어든 대신 두 나라의 교류나 우호관계를 쓰는데 비중을 두었다. 4년제 심상소학교 역사교과서로 새로 간행된 『국사지리』의 서술에서는 이런 관점이 더욱 뚜렷했다. 국사교육의 방법으로는 정신교육, 직관교편물의 이용, 다른 교과와의 연계교육 등을 권장하였다. 국체를 아는 것과 국민으로서 정조를 가지는 것은 국사교육의 양면이었다. 국사학습에서 체험을 통한 국민적 정서의 함양이 강조되었다. 독일 철학자인 딜타이의 이해 논리를 차용한 것도 이를 위한 것이었다.

      • KCI등재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의 경쟁과 협력

        문희철(Hee Cheol Moo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6 전자무역연구 Vol.14 No.1

        연구목적: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유라시아와 관련하여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의 주요내용을 살펴봄으로써 2개 정책상의 경쟁과 협력을 연구하여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성공적 추진에 기여하는 것이다.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유라시아지역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하나의 대륙, 평화의 대륙, 창조의 대륙을 완성하는 것이고, 이 전략이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2개의 전략은 협력과 경쟁을 필요로 하고 있다. 논문구성/논리: 본 논문은 총 5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배경과 연구목적을 기술하고 있으며, 제2장은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대한 선행연구분석을 다루고 있다. 제3장은 한국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주요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주요 핵심사업의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제4장은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을 분석하였는데 실크로드 경제벨트구축과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구축을 중심으로 모색하고 있다. 제5장은 결론을 내리고 있는데 본 논문을 요약하면서 경쟁과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결과: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하나의 대륙, 평화의 대륙, 창조의 대륙에 근거하고 있고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2개의 전략이 아시아지역에 치중하고 있고 유라시아를 통한 물류네트워크 구축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을 살펴본 결과 중국은 상당히 오랜 기간을 통하여 정책을 수립하여 왔고 특히 21세기 해상 신실크로드 구축계획을 수립하기 이전에 이미 대서양 목걸이 전략을 전개함으로써 주요항만의 이용권을 확보하고 있어 일대일로정책에 따른 물류, 통신, 에너지 망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한국은 장기적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첫걸음을 딛게 되었으며, 중국의 많은 성과에 비해 아직은 초라한 성적이다. 독창성/가치: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을 비교분석함으로써 Win-Win게임으로서 경쟁과 협력을 논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성공을 위해서는 미국, 러시아, 일본, 북한의 역할론을 제시하고 있다. 유라시아 지역에서 중국,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라시아 지역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정립하고 물류, 에너지, ICT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의적절하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경쟁과 협력차원에서 이러한 전략을 비교분석하고 있는 논문이 없다는 점에서도 본 논문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war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Korea’s Eurasia Initiative by studying possibilities of mutual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y analyzing the core contents of Korea’s Eurasia Initiative and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Both strategies need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s Eurasia Initiative is aiming at completing ‘One Continent,’ ‘Creative Continent,’ and ‘Peaceful Continent’ through construction of effective network in Eurasia region and this initiative has close relations with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Composition/Logic: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I presents the introduction and explain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II analyzes literature survey on Korean Eurasia Initiative and Chinese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Chapter III deals with the main contents of the Eurasia Initiative and the outcomes of main logistics projects. Chapter IV deals with China’s strategy in view of the Silk Road Economic Belt and the 21st-century Sea New Silk Road. Chapter V concludes the study and suggest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both strategies. Findings: Korean Eurasia Initiative is based on ‘One Continent,’ ‘Creative Continent,’ and ‘Peaceful Continent’ and has a close relation with Chinese One Belt, One Road strategy, considering both are focused on the Asia region and pertain to the logistics network across Eurasia. China has been working on the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for a long time and China has the possibility in winning in Eurasia competition by securing the ports in sea route of the Atlantic in particular as China undergone the Pearl Necklace Strategy before China plans twenty-first century Sea New Silk Road. However, Korea undergone the first step for long term Eurasia Initiative, so there are a few outcomes of this strategy in spite of many outcomes of Chinese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Originality/Value: As a distinctive attribute, this study presents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s a win-win situation by comparing the core contents of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Strategy and Korea’s Eurasia Initiative. The study also emphasizes on the roles of the United States, Russia, Japan, and South Korea in the success of the Eurasia Initiative. These countries have a key role to play in Eurasia, and they have plans in place for improving the area and bolstering its logistics, energy, and ICT networks. This study also carries academic value, considering there is no prior study dealing with the comparative works of these strategies in view of mutual cooperation and competition.

      • KCI등재

        일대일로와 새만금 개발 - AIIB등 중국 주도 신금융질서와 한중 FTA를 기초로 -

        오광진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5 韓中關係硏究 Vol.1 No.2

        중국의 부상은 저성장에 머무는 한국 경제에 위협이 될 수 있지만 성장동력으로 다가오기 도 한다. 중국의 부상은 한국의 통제 범위 밖의 일이지만 그 것을 기회로 만드는 건 한국의 전략에 달려있다. 이를 위해선 한국에 영향을 끼치는 중국 부상의 흐름을 잘 읽어야한다. 중국 의 일대일로(一帶一路)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설립 주도 그리고 한중 자유무역협정 (FTA)체결은 한중 경제교류에 큰 영향을 끼치는 주요 변화다. 이들 3가지 변화에서 중국의 부상을 한국의 성장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접점을 찾는 게 필요하다. 중국이 해외에 조성하 는 산업단지와 위안화 국제화에서 그 접점을 찾았다. 한중FTA의 한국 내 유일한 한중산업단 지로 지정된 새만금 개발과 이들 접점을 연계하는 국가차원이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 새만금 을 중국의 해외 첨단산업단지로 키우고, 위안화 금융상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시스템을 새만금에 갖출 필요가 있다. The rise of China could be threat to Korea economy which growth rate has been low, but it also could be new developing engine of Korea economy. The rise of China is the one which Korea could not control. China’s rise could become Korea’s opportunity, which depends on Korea’s strategy. For that, we should figure out well trends of China’s rise which have influenced on Korea. China’s One Belt One Road, China’s initiative of AIIB development, Korea-China FTA are the new changes which could give big influence on Korea-China economic interchanges. Among these three changes, we need to find out a point of contact which could be use for the purpose of using China’s rise as Korea’s growth engine. China’s overseas industrial park and renminbi internationalization could be the point of contact. According to the Korea-China FTA and Korean government, Saemangeum has been designated as the only one Korea-China industrial park in Korea.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us to develop national strategy which link between the development of Saemangeum and these points of contact. This article suggest that Korea and China develop Saemangeum as China’s high tech industrial park model and new financial system should be equipped to offer renminbi as capital using for the development of Saemangeum.

      • 일대일로와 한중열차페리 연계추진 방안

        조응래,이수행,홍명기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The Chinese government is working on a program called “One Belt, One Road” which will strengthen the economic ties between Central Asia, South East Asia, Middle East, and Europe. The Korean government suggested a program called “Eurasia Initiative” in order to develop relationships with Northeast Asia countrie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y proposed two programs called “Trans Korea Railways” and “Trans Siberia Railway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North Korea is hindering the railway to China and Russia, which is also hindering the way to Europe. As a result, Korea has to find a new way to transport goods to China and Europe. One of the best ways to do this is to connect Pyeongtaek and Yantai through rail fer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nect China and Korea through the rail ferry system and to extend Korea’s transportation of goods all the way to Europe and back. China’s economy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economies in the whole world. As China becomes crucial in the world economy, Korea needs to find a way to regulate international trade more conveniently. There are three strategic ways to develop this rail ferry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First is to strengthen the linkage of logistics hubs between Korea and China. Second is to facilitate the truck ferry system. Third is to find a metho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transportation. First, to strengthen the linkage of logistics hub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two countries need to connect the rail ferry between Pyeongtaek and Yantai. After that Korea needs to go further and extend the transportation to Jinan, Jeongjou, and Xian, which are some of the most important logistics hubs in China. Secondly, Korea needs to facilitate the truck ferry system because the reclamation of Pyeongtaek Port is still on-going. And in order to activate the rail ferry system, the reclamation of Pyeongtaek Port has to be firstly done. Another benefit of the truck ferry system is that the transportation of Yantai and Jinan only takes around 4 hours and 45 minutes. Lastly, to find a metho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transportation, Korea and China would need a fast ferry. Also, both countries would need some high-tech machines that would be able to move the containers efficiently. Another method is to share logistics in the containers so that a variety of companies could choose which empty containers to deliver to their consumers. The final metho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transportation would be to improve and amend the logistic laws between the two countries. If Korea and China are able to accomplish the rail ferry system, they would be able to develop an efficient logistics transportation system and improve the way of trading goods to Eurasia countries.

      • KCI등재

        재일동포사회의 통일문화운동 원코리아페스티벌

        김희정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8 디아스포라 연구 Vol.12 No.2

        This study has analyzed and evaluated “The One Korea Festival(“TOKF”)” by application of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es on the notion of “reunification culture” that embodies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sensitivit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conducted studies on TOKF from the perspective of reunification movement or cultural movement, but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use the notion of reunification culture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OKF has been unifying the cultural value and method with reunification, and such experiences are the example of reunification cultural movement that has promoted the cultural engagement and sensitivity. TOKF, which was held for the 33rd time in 2017 since it began in 1985, pursues the cooperation and engagement in discourses arou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Japanese community through the abstract symbolism of “One Korea” and “One”. Also it is a strategy to present the practical possibilities of open and inclusive reunification to Koreans in Japan through various cultural means such as performances and festivals. TOKF, as a reunification cultural movement, sought to (i) approach reunification in a cultural and symbolic way rather than a political and direct method, (ii) establish the reunification agenda and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Koreans in Japan through reunification cultural movements that combined culture and reunification, (iii)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consolidate an ethnic identity, promote an inclusive integration, and cooperation with Japanese society and (iv) overcome the middle-ground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ideology, and nationality by sparking the interest of Koreans and Japanese people who are indifferent to the problems by using culture as a way of engagement. 본 연구는 ‘통일문화’ 개념의 문화감수성과 문화다양성의 이론적 접근과 실제적이고 현상적인 접근을 동시에 적용하여 ‘원코리아페스티벌’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원코리아페스티벌’에 대해 통일운동이나 문화운동의 관점에서 연구된 것은 소수 있으나 통일문화 개념을 분석틀로 적용한 것은 본 연구가 최초의 시도이다. 문화적 가치와 수단을 통일과 결합하여 실천 해 온 원코리아페스티벌의 실천 경험들은 문화적 소통과 감수성을 촉진시켜 온 통일문화운동의 사례이다. 1985년에 제 1회가 시작되어 2017년까지 33회를 개최해 온 원코리아페스티벌은 ‘원코리아’, ‘하나’ 라는 상징성을 통해 재일동포 공동체의 공생과 통일 담론의 포용을 추구했다. 또한, 공연, 축제 등 다양한 문화적 수단을 통한 상징 표출은 열린 통일, 포용적 통일의 실천적 가능성을 재일동포 사회에 제시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문화운동으로서 원코리아페스티벌은 첫째, 통일을 정치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이 아닌 문화적, 상징적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둘째, 문화와 통일을 결합시킨 통일문화운동으로 재일동포 사회의 갈등을 극복하고 화합의 통일 의제를 설정하고자 했다. 셋째, 문화다양성의 관점에서 열린 민족정체성 확립과 포용적 통합, 그리고 일본 사회와의 공생을 추구하고자 했다. 넷째, 문화를 소통방식으로 활용하여 민족문제에 무관심한 젊은 세대들, 냉소적이고 방관자적인 재일동포와 일본인의 관심을 촉발시킴으로써 세대 간, 이념 간, 국적 간의 중층적 갈등을 극복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