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기독교인을 위한 기독교교양교과목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김선정(Seon-Jeong Kim),현우식(Woo-Sik Hyun),손호현(Ho-Hyun Soh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8 기독교교육정보 Vol.19 No.-

        This article studies the need of developing and providing Christianity courses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non-Christian students on the university level. As in many other Korean universities, Yonsei university was first founded in 1885 by Christian missionaries with a specific purpose of educating Christians to lead the Korean society based upon an understanding of Christian teaching. Yet, with changed social situations and demands over several decades, Yonsei and other Christian universities are also asked to educate non-Christian students as well and their numbers are gradually increasing. While the non-Christian students have little or no preliminary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religion at all, they are often asked to take mandatory Christianity courses which usually presuppose advanced knowledge of the religion. This situation of discrepancy between students and educational contents has resulted in the strong negative feeling of religious and cultural alienation to the non-Christian students. They often express their explicit dis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tents as well as their anxiety over academic performance. Even though many scholars have expressed concerns about this situation, there has been done no objective academic research about the need of Christianity courses specifically aimed for the non-Christian majority now in the university. This article offers a specific case study of Yonsei university to facilitate this debate. Running three experimental courses for the non-Christian in the spring semester of 2007 ("Christianity and Modem Society," "Christianity and World Culture," "Bible and Christianity") and comparing them to three regular courses with the same titles, our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oth the Christian and the non-Christian students have expressed the same opinion that there should be offered Christianity cours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non-Christian. Especially, the 92.4% of the non-Christia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has recognized this need. Second, the non-Christian students strongly prefer to take separated and specifically designed courses only for the non-Christian if they are given such a choice, while the Christian students are relatively disinterested with the course. Third, the non-Christia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courses demonstrate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ovided educational contents than others in the regular courses. The 82% of the non-Christian in the experimental groups sai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very adequate to them, and the 65% of them pointed out that their psychological anxiety over academic performance is largely solved. The article ends with several specific suggestions for such Christianity courses of the non-Christian students.

      • KCI등재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 반응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비교 연구

        정영인(Young In Chu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9

        본 연구는 20-30대 미혼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모자화 반응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차이를 알아보고, 모자화가 기독교 교육현장에서 청년들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거주 중인 20-30대 미혼 남녀 273명(기독교인 130명, 비기독교인 143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모자화 그림검사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effe-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심리적 안녕감 차이를 비교한 결과 기독교인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모자화 반응특성 차이는 아이상에서 형태, 표정, 신체부위 생략, 어머니상에서 형태, 표정, 모자상에서 종류, 신체 접촉, 눈 맞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모자화의 반응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은 기독교인은 아이상에서 크기, 어머니상에서 표정, 크기, 모자상에서 신체접촉, 크기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비기독교인은 아이상에서 형태, 얼굴 표현, 크기, 모자상에서 눈 맞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모자화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파악하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독교 청년의 심리를 파악하고, 비기독교인과의 차이를 통하여 20-30대 미혼 청년들의 기독교 교육의 중요성과 신앙인으로서 정체성 확립 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to fi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among 20-30 years old single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nd use the drawing as a tool to identify their actions in Christian education institute. Participants were 273 (130 Christians and 143 non-Christians) singles who are 20-30 years old in greater Seoul areas.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mother-and-child drawing tes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t-test, χ²-test, one way-ANOVA, and Scheffe-test a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Christians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stat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non-Christians. 2.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mother-and-child drawings among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rmality, expression, omission of body parts of child figures, and formality, expression, kinds of mother and child figures, body contacts, eye contacts of mother figures.3. Among Christian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respons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ze of child figures, and expression, size, body contacts of mother and child figures, size comparison of mother figures. Among non-Christians,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formality, facial expression, size, eye contact of mother and child figures of child figures. This study suggests the mother-and-child drawing can be used as a tool to identify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20-30 years old single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lso, this study recommends to use the drawing as a fundamental resource to acknowledge Christians’ actions an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Christian education by comparing 20-30 years old single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 청년기 이성교제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이우금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2 피어선 신학 논단 Vol.1 No.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love stories of young adults in a narrative inquiry. The subjects of inquiry are what young adults experience through love, what the love in young adults means to their life, and how different Christian’s love and non-Christian’s love are. The research shows that experience of love and the meaning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religion or not.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derived from the inquiry are as in the following. The first similarity between Christian young adults and non-Christians is that love changes. The second similarity is that love stories are being shaped by their own world views. The subjects(participants) in this inquiry had different love stories; Christian had their own love stories based on Christian world view; Non-Christian based on non-Christian world view. Third, the love is influenced by their original families. Fourth, the common feeling through love is happiness. The subjects(participants) described their feeling while they love the other; the feeling they expressed in common is happiness. The difference of love between Christian young adults and non-Christian young ad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ource of love is different. The starting point of love is different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Second, two different groups have different priority of romance and commitment in the composition of love. Third, the meaning of commitment is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Fourth, non-Christian young adults and Christian young adults have different priority for their future stories in story profile. This inquiry tries to provide opportunities of reinterpreting individual love stories to consolidate relational identity with God. It was meaningful in the aspect of counseling to inquire what young adults experience through love and through which how the experience influence their life because young adults’ existential matter can be practically approached.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청년들의 사랑이야기를 심층연구를 하였다. 청년들은 사랑을 통하여 무엇을 경험하고, 청년기의 사랑이 청년기의 삶에 주는 의미는 무엇이며, 그 경험과 그 의미가 기독청년과 비기독청년의사랑에서는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청년들의 사랑의 경험과 의미는 신앙의 유무에 따라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의결과로 도출되어진 공통점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기독청년과 비기독청년의 사랑이야기에서 도출된 공통점은 첫째, 사랑은변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대로 사랑이야기를 만들어 나간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청년들은 기독교인은 기독교인의 세계관으로, 비기독교인은 비기독교인의 세계관으로 다른 사랑이야기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사랑은 원가족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넷째, 사랑을 통하여 공통적으로 느끼는 감정은 행복이었다. 참여자들은 사랑을 하면서 느끼는 감정을여러 가지로 표현했는데 공통적으로 나온 감정은 행복이었다. 비기독청년과 기독청년의 사랑이야기에서 도출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기독교인과 기독교인은 사랑의 근원이 다르다는 것이다. 사랑의시작점이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비기독교청년과 기독청년의 사랑의 구성에 있어 낭만과 헌신의 우선순위의 다르다는 것이다. 셋째, 비기독교인과 기독교인의 헌신의 의미가 다르다는 것이다. 넷째, 비기독청년과기독청년의 이야기 프로파일은 미래이야기에 대한 우선순위가 다르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적인 사랑이야기의 지평을 하나님과의 관계적 정체성의 이야기로 확장시켜 주는 지평의 융합이라는 재해석과정에 이르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청년들이 사랑을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은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 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청년들의 실존 문제를 실재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서 상담학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었다.

      • KCI등재

        비대면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선옥,강진구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3

        This study compares and verifies the effects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s for stress reduction among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Live Zoom.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 of 12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as an experimental group. From the last week of October to the third week of November 2020, it was hel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a total of 4 times for 480 minut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In conclusion the non-face-to-face cinematherapy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way university students deal with stress and reduce stres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se effects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This is as meaningful result of performing cinematherapy using general cinema for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t has been shown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need to have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the difficult psychological state faced by non-Christia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activities can reach non-Christians outside churches. 본 연구는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라이브 Zoom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도시에 소재한 A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2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여 2020년 10월 마지막 주부터 11월 셋째 주까지 주 1회 120분, 총 4회 480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반응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반응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한 영화치료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기독교 대학생과 비기독교 대학생 간에는 이러한 효과들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를 대상으로 일반영화를 활용한 영화치료를 실행했을 때 거둔 의미있는 결과이다. 기독교 영화치료사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기독교인이 처한 어려운 심리상태를 돌보고자 하는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기독교 영화치료사의 활동영역이 교회를 벗어나 비기독교인들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기독교 교양교육에서 종교별 분반 구성과 교육성과 : 연세대학교의 성서 교육 사례 연구

        김선정(Seon Jeong K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9 기독교교육정보 Vol.22 N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ing and result of the Christian liberal art education which is specially designed for students, who has a diverse religious background, in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For this research, I have selected the module, <the Bible and Christianity>, which was a part of the liberal Art setting in the 1st semester 2008 in Yonsei University. The class is consisted of two part of students. One is for Christian students and the other is the non-Christians. After finishing the module, I tried to analyse the educational result of how much does the aim of class successfully achieve. For this, my research is based on the student's enquete. The result shows that the separating class between the Christians and non-Christian students in Christian liberal art is more successful and fruitful than the ordinary class. The class usually stimulated the non-Christian students to study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s in the light of the liberal arts such as history, and literature, which strongly influenced on the western culture. Futhermore, the non-Christian students are more active when investigating the reasonable module for themselves. On the contrary, the Christian students did not show their special concern with the module as much as non-Christians did. Concerning the motivation, interesting,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at the module, it can be said that all attendance have usually evaluated the class positively. It means that the separating class is helpful for the Christian liberal art. For the Christian students, their educational motivation was very high and interesting in details before the class. It shows that the educational expectation of the Christian students is different from that of non-Christians. This tells us that the special module designed for the Christians will be needed. Meanwhile, the non-Christian students strongly support the necessity for the separating class. On the other hands, the Christians agrees with the class only 50 percent. It means that the Christian students has a diverse opinion of the separating class. According to the research, although the students have same religion they show the different interests in the module depending upon which class they belong to. Therefor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y are allowed to select the module by themselves. Compared with the ordinary class, the separating one will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the educational results if the information about the module will be provided to the attendances before the class.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will give many chances for the students who have a diverse religious background to take Christian liberal art course more freely. At the same time, Christian universities has to consider the more effective and open Christian-religious education as a liberal art corresponding with multi-religious society in Korea.

      • KCI등재

        가나안 성도의 교회 이탈 특징에 따른 효율적인 전도전략 연구

        이경선,하도균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8

        The growth of the non-religious and the growth of Christianity is the most critical point in the 2015 Census compared to the 2005 Census which indicates the decrease of Christianity. The increase of the Canaan Christian, considered as one of the reasons for Christianity’s growth,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the non-religious. The growth of Christianity is due to the increase of the Canaan Christians because the Canaan Christians are often classified as non-religious as they have no affiliation with the church despite their Christian identity. Therefore, they are the people on the border between the Christians and the non-religiou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logy, the Canaan Christians are very important targets of evangelism. Because the Canaan Christians are at the border between Christians and non-religious, they can bring a new group of non-religious people back to the church. Therefore, the study of Canaan Christian seems to be a very important mediator to activate evangelism in the postmodern era. 2015년 인구센서스의 종교인구 통계 발표에서 가장 핵심적인 이슈는 무종교인의 증 가와 개신교의 약진에 있었다. 개신교가 증가한 원인 중의 하나로 지목된 가나안 성도 의 증가는 무종교인의 증가와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가나안 성도는 비록 개 신교인이라는 정체성은 유지하고 있지만 교회에서 이탈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무종교 인 집단으로 분류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가나안 성도는 개신교 집단과 무종 교 집단의 경계에 서 있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전도학적인 입장에서 보면 가나안 성도들은 매우 중요한 전도의 대상자라고 할 수 있다. 전도대상자를 복음의 수용성에 따라 분류할 때 가나안 성도는 기독교에 대해 반 감을 가지고 있거나 완전히 무관심한 비수용적인 부류가 아니라 오히려 기독교에 대 한 호감과 관심이 높은 수용적인 부류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나안 성도는 기독교인과 무종교인의 경계에 있기 때문에 새로운 무종교인 집단을 교회로 돌아오게 할 수 있는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가나안 성도에 대한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전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 개신교 신앙과 사회의식 :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차이 없음”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연구

        이민형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4

        As “fairness”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Korean Society, people also pay attention to the concept of “equality.” The proposition that all human beings are dignified and should be treated equally is the basic logic of civil society and the realization of religious values. How, then, does the Christian faith affect the social practice of equality? To answer this question, Christi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Justice and Development surveyed 1,000 Korean Christians and 1,000 non-Christians each on their consciousness of equality. The initial plan for this survey was to 1) classify respondents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and religious affiliations and 2) examine how those affiliations affect their sense of equa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however, the religiosity of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did not work as a variable in their equality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ense of equality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Researchers were shocked to find that Christian faith or religiosity cannot make any difference in Christians’ consciousness of equality. Inevitably, they use the survey results asking respondents’ religiosity as evidence to interpret “no difference” rather than as a variable. What does “no difference” mean? This study rejects overly positive or critical evaluations of this result. Instead, it examines Korean Christians‘ religiosity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s, institutions, and culture of Korean Christianity. It figures out the reason why their religiosity does not develop into a particular social consciousness.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non-Christian respondents’ understanding of Korean Christianity and explore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Korean Christianity in Korean society. Ultimately, this reveals the current state of Korean Christians’ faith and social consciousness, and presents important topics that Korean churches should deal with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신앙 소그룹모임이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경규 한국대학선교학회 2014 대학과 선교 Vol.27 No.-

        This article surveys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small bible study meetinggroups for non-Christian new students in Kosin university. This article alsoanalyzes factors which influence to their satisfaction from those groups. Many Christian universities ask new students to join to their university chapelscompulsorily. Chapels are not only good opportunities to preach theGospel to non-Christian students, but also they are good ways to make identitiesof Christian schools and universities clear. However, most Christian universitiesseem to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managing their own chapels. Even though we may find many proper reasons for them, one of the biggestreasons is the rapid increase of new non-Christian students in the case ofKosin University. In fact, it is true that all of Christian universities are runningmany different types of chapels for non-Christian students, but their attemptsdo not seem to be working effectively.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research which were performed as the alternative program of chapel fornon-Christian students by Kosin University. Kosin University started this programsince 2008. Since approximately 30% of new students seems to be classifiedas non-Christians, Kosin university divides them into 20 small biblestudy groups with 10 to 12 student non-Christian members. First, we analyzedthe satisfaction of these group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se statistics shows 4.0995. It is quite high. In order to find any differences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test was performed, but there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n, I surveyed a correlation of each variables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which variables are moreinfluential. The result shows that all five variables have quite strongcorrelations. Especially, the professor related variables have the most strongcorrelations. Five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in this article, includingProfessor-Student Relationship(PSR), Professor’s Competence(PC), TeachingContents(TC), School Policy(SC), and Peer Relationship(PR), and, dependentvariable is the Satisfation of Students in small group Bible study meeting(SS). The conclusion of the analysis shows that SS has strong relationships with PSR,PC, TC, and has weak relationship with SP and PR, since SP is external variableand PR is uncontrollable by professors. Professor’s Competence(PC) has themost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for Satisfaction of Students(SOS), and italso causes PSR to be increased.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에 입학한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의 신앙소그룹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분석한연구이다. 기독교 정신위에 설립된 대부분의 대학들은 채플참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채플은 비기독교인들에게 복음을 전달할 수 있는 기회인동시에, 기독교대학으로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좋은 통로이기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대학들이 채플을 운영함에 있어다양한 현실적 어려움들에 처해 있다. 여러 원인들을 찾아볼 수 있겠지만,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기독교대학에 입학하는 비기독교인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사실 대부분의 기독교 대학들은 교목실을 중심으로 비기독교인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채플을운영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현재 지방의 고신대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을 위한 채플 대체 프로그램에 관하여 조사하고 연구 및 평가한 결과를기초로 하고 있다. 고신대학교는 2008년부터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소그룹 중심의 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채플에 대한 거부감을 약화시키고,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력을 높이려는 방안의 일환이었다. 고신대학교는 약 30%의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이 해마다 입학하고 있고, 이들을 약 20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1년 동안 채플을 대신하여 참석하도록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소그룹을 운영에 관하여 단순기술통계를 통하여소그룹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소그룹 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4.0995로 상당히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고, 남녀 간의 만족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는데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않았다. 또한 소그룹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어떤 것인지 알기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독립변수로 가정한 5개의 변인들이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조사되었는데, 특히 교수관련요인이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각 변인들이 관심변수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우관계와 교육내용이 설명력이 가장낮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모델설정 시에 세운 [가설 1]은 연구모델에서 ‘교수관계’와 ‘교수능력’을포함하는 ‘교수의 역할’을 중심에 두었는데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한 검증결과 [가설 1]과 거의 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능력’은 교육내용(.848)와 교수관계(.765)와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보여주고 있으나 교우관계(.535)와 외생변수로 설정한 학교정책(.674)은 앞의 세 변수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모델설정이 세운 [가설 2]와 같이 외생변수로 설정한 ‘학교정책’은 교수능력(.674),교수관계(.665), 교우관계(.506)에는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 교육내용(.706)과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결과는 우연성에 더 무게를 두고 싶다. [가설 3] 에서 ‘교수관계’는교수능력(.765), 교육내용(.747), 교우관계(.674), 학교정책(.665) 등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교우관계’는 교수능력(.535), 학교정책(.506), 교육...

      • KCI등재

        김교신의 ‘전적 기독교’ 신앙과 그의 기독교 사상

        양현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5 No.-

        This thesis analyzes the Christian ideologies of Kim Kyoshin, the exemplary educator and theorist of Korea's Protestantism. Kim understood Christianity as a ‘Wholehearted Christianity', which consists of relationship, requestive independence, directness, and practicability. Kim especially emphasized ‘the Resonance of the Gospel and Prophecy’, in the form of socio-ethical practices. Kim also applied his ‘Wholehearted Christianity’ to Korea that was on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mmunities and argued for ‘Christianity born from Korea.’ Through this ‘Christianity born from Korea,’ Kim tried to free a Korean spirit from the American and Japanese spiritual domination, and to achieve a cultural equality. A horizontal subjectivity of religion and culture established by Kim was structured in a futuristic way that opened doors to other nations, based on constant critical introspection. Kim's search for ‘Christianity born from Korea’ was the generally applicable answer to a question that every religious and cultural communities had to face upon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He chose ‘Non-Church’ for the format of his church, which made possible his faith in ‘Wholehearted Christianity.’ However, in insisting that only a “Non-Church” format is a guarantee for preserving the true Christian faith, the “Non-Church” cannot avoid becoming another kind of ‘church-ism,’ rather than an alternative for the ‘true-church.’ Despite this, the concepts of the “Non-Church” he advocated have significant pertinence to Korean Christianity today. These concepts include: faith as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the believing individual; the need for every church in the world to be aware of their own imperfection. Therefore, the need for them to constantly strive to transform and purify themselves; and the need for the individuals of such a church to be the believing individual that faith is inevitably an individual awakening before God.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가 낳은 탁월한 교육자요, 기독교 사상가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김교신의 기독교 사상을 분석한 것이다. 김교신은 기독교 신앙을 관계성, 의뢰적 주체성, 직접성, 실천성을 그 내용으로 하는 ‘전적 기독교’로서 이해했다. 그리고 ‘전적 기독교’의 사회 윤리적 실천으로서 복음과 예언의 공속성을 대단히 중요시했다. 한편 그는 ‘전적 기독교’를 조선이라는 역사 문화 공동체에 적용하여 ‘조선산 기독교’를 주장했다. ‘조선산 기독교’를 통해 김교신은 미국과 일본에 대한 종속으로부터 조선의 정신을 해방시키고 그 문화적 평등성을 확보하려했다. 김교신이 발견한 종교․문화적 수평적 주체성은 비판적 자기 성찰을 통해 늘 새로운 미래와 타 민족 앞에 개방되어가는 구조였다. 이러한 김교신의 ‘조선산 기독교’의 모색은 각각의 역사 문화 공동체에 기독교가 뿌리내릴 때 던질 수밖에 없는 질문이었고, 그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 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진 구조였다. 한편 그는 자신의 ‘전적 기독교’로서의 신앙을 담아내는 교회 형태로 ‘무교회’를 택했다. 그러나 매개를 두지 않는 무교회라는 형태의 교회에 의해서만 진정한 기독교 신앙이 보장된다고 주장될 때, 그러한 무교회는 이미 ‘교회주의’가 되기 때문에, 그 역시 ‘완전한 교회’의 대안을 제시하는 데는 이르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앙의 일차적 책임 주체는 신앙인 개인이라는 점, 지상의 모든 교회는 불완전한 것으로 늘 깨어 스스로를 개혁하고 정화해야 한다는 점, 이러한 교회 개혁과 정화의 주체 역시 신 앞에 깨어있는 개개의 신앙인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한국 교회사에서 선명하게 주장한 점에서 여전히 오늘날에도 커다란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김교신의 ‘전적 기독교론’에 대한 재고찰

        전인수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2

        본고는 김교신의 핵심 사상으로 논의되는 ‘전적(全的) 기독교론’을 재 고찰하였다. 기존 연구는 ‘전적 기독교’에서 ‘전적’에 방점을 찍고 ‘전적 신앙’ 혹은 ‘전적으로 드리는 신앙’이 무엇인지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본고는 전적 기독교를 이해함에 있어 ‘전적’이라는 말은 강조와 구별을 위한 수식어이기 때문에 ‘기독교’에도 방점을 찍어야 이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으며, 전적 기독교론은 김교신의 독자적인 사상이라기보다는 우치무라 간조의 무교회주의에 대한 충실한 이해라고 보았다. 김교신의 전적 기독교는 ‘일차적으로’ 기독교 신앙의 정수를 간직하고 있는 ‘기독교 복음’ 자체 혹은 ‘기독교’ 자체라는 뜻이다. 그래서 전적 기독교를 ‘whole Christianity’ 혹은 ‘holistic Christianity’보다는 ‘진정한 기독교’(authentic Christianity)로 봐야 한다. 김교신이 무교회주의를 이렇게 파악한 이유는 당시 무교회주의가 교회주의를 비판하는 하나의 교회론으로 국한되어 이해되거나 하나의 종파적 신앙으로 굳어지는 위험성을 목격했기 때문이다. 이에 김교신은 무교회주의를 진정한 기독교, 즉 기독교 자체라고 정의함으로써 복음의 진수를 간직한 보편적인 기독교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theory of) Jeonjeok Christianity’, which is the core philosophy of Kim Kyo-shin. Previous studies emphasized ‘Jeonjeok’ in ‘Jeonjeok Christianity’ and attempted to interpret what ‘whole faith’ and ‘wholly offered faith’ is. Regarding this, this article was written based on views that emphasis must be placed on ‘Christianity’ in order to understand Jeonjeok Christianity, as the word ‘Jeonjeok’ is a modifier for emphasis and distinction, and that Jeonjeok Christianity is not simply a personal philosophy of Kim Kyo-shin, but a faithful understanding of the Non-Church Movement of Uchimura Ganzo. The Jeonjeok Christianity of Kim Kyo-shin primarily refers to ‘the Christian gospel’ or ‘Christianity itself’, which contains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Thus, Jeonjeok Christianity should actually be viewed as Authentic Christianity. Kim Kyo-shin understood the Non-Church Movement in this way because he witnessed the risks of the Non-Church Movement simply being understood as a form of ecclesiology that criticizes churchism or of it being solidified as a sectarian faith. At this, Kim Kyo-shi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Non-Church Movement from contexts of universal Christianity that retain the essence of the Gospel by defining the Non-Church Movement as true Christianity, or in other words, as Christianity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