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울의 선교사역과 삶의 본질과 원동력 : 십자가와 부활이해를 중심으로

        신경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3

        선교사역의 핵심은 '십자가의 도'인 복음을 전하는 일이다. 바울의 선교사역과 삶에 있어서 십자가의 의미가 충만하게 채워져 있으며, 그는 이 십자가만을 전하고자 애썼다. 바울에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이 선교의 내용이었을 뿐 아니라, 자신이 선교사로서 사역을 함에 선교 행위 자체의 근거가 되며, 형식이고, 목표였다. 바울에게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은 선교의 근거가 된다. 바울은 사도로 부르심을 받아 이방인들에게 '십자가의 도'인 복음을 전하였고, 단순히 그 내용만 전한 것이 아니라 십자가와 부활의 삶을 살면서, 고난 가운데 '십자가의 도'를 전하였다. 바울은 전도 인으로서 자신이 겪었던 고난의 삶을 통해 부활하신 주님을 몸소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의미를 깨닫게 되었다. 그것이 그로 하여금 일생을 그리스도께 충성하는 전도 인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바울은 복음을 전하면서 겪는 고난은 필수적인 것이라고 생각했다.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자신도 가지고 다닌다고 했다. 이런 의미에서 바울에게 있어서 십자가와 부활은 선교 행위의 형식이었다. 바울은 선교사역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고난을 겪었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위한 고난이라는 의미에서 '십자가 고난'이었다. 십자가의 능력은 바울 선교사역의 원천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고난 중에서도 그는 부활의 기쁨을 잃지 않았으며, 성령의 능력을 체험하면서 그 고난은 능히 이기면서 사역하였다. 바울은 복음전파의 과정에서 당하는 고난을 기뻐하였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으로 인한 구속이 자신의 선교사역을 통해 완성되기를 소망하였다. 아울러 십자가와, 부활, 그리고 성령의 능력 아래 있는 삶은 그의 성품과 삶을 그리스도와 닮게 하였고, 이는 그리스도인으로서 타인에게 모범된 삶을 영위하게 하여 복음증거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The essence of missionary work is proclaiming the Gospel. The meaning of the cross was filled in the ministry and life of the apostle Paul. Paul wanted to communicate the Gospel, and only the Gospel. To Paul, the cross and resurrection fo Jesus Christ were the foundation, form and goal of his ministry, as was the content of his message. He was called as an apostle for the heathen. Not only did he proclaim the Gospel to them, but ha also lived the life of cross and resurrection. He himself experienced sufferings of the cross throughout his missionary work. Paul suffered a lot throughout his ministry because fo the Gospel, and he realized the meaning of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rough his suffering. In that sense, it can be called "the suffering of the cross." Though he experienced much suffering, he did not lose the power and joy of the resurrection.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he could overcome those sufferings and performed his ministry. He rejoiced his sufferings during his ministry of evangelizing the heathen, and hoped to accomplish the redemptive ministry of Jesus Christ through his life and ministry. All these factors-suffering of the cross and resurrection, experience of the power of the Holy Spirit-helped Paul form his Christ-like personality and it, furthermore, became the foundation to communicate the Gospel with others.

      • 선교 공동체로서의 기독교대학 : 선교인력의 양성 방안에 관한 일 고찰

        신경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5 고신신학 Vol.- No.7

        그리스도인의 공동체로서의 기독교대학은 본질적으로 학문공동체로서 동시에 그리스도인의 모임이라는 의미에서 예배공동체이다. 예배공동체로로서의 기독교대학은 자연스럽게 선교공동체의 본질을 가지게 된다. 기독교대학에 소속된 그리스도인 학생들은 다양한 전공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에서 사회의 전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주권을 선포하고 그리스도의 문화로 변혁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해외선교의 측면에서는 복음에 소외된 지역에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직업적 전문성을 가지고 나아갈 수 있는 매우 탁월한 인재들의 모임(pool)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기독교대학생들은 재학 중이거나 졸업 후이거나를 막론하고 전문인선교를 위한 귀중한 인적 자원이 된다. 기독교대학의 본질이 광의적인 선교에 귀착된다면 학생들을 이러한 선교 인적자원으로 양성하고 독려하며 학교의 체제를 그러한 방향으로 지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적 자원은 재학 중 방학기간이나 휴학을 하고 해외선교사를 돕거나 직접 단기선교를 체험하기도 하고, 선교사의 자녀(MK)를 지도하는 등 다양한 사역을 감당할 수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재학 중인 학생들을 위한 동기부여(유인, incentive)가 필요하다. 적절한 유인에는 학점의 유인과 재정적 유인이 있을 수 있다. 학점의 유인으로는 단기선교, MK지원사역, 선교실습 등의 과목을 통해 방학 중이나 휴학기간 중에 해외선교사역을 통해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재정적 유인으로는 지역교회와 연계하여 여비와 사역비의 일부분을 제공해 주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해외선교는 가는 방법뿐만 아니라 오는 외국유학생에게 복음을 제시함으로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대학의 신입생이 줄어드는 한국의 현실 가운데 중국 등 외국에서 유학오는 학생들에게 멘토제도 등을 통해 적절히 케어하면 기독교대학 내부에서도 선교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숙사, 한글학당, 한국어교육중심의 교양과정개설 등의 제도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당국이 선교하려는 의지가 분명해야 하고 이것이 전제된다면 이를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구적 조직구조 또한 필요하다. 학교에 세계 선교센터를 설립하여 선교지망 학생들을 보살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교사를 돕고, 교회와 연계하여 선교동원과 훈련 등 선교지원사역을 통해 대교회관계도 원활해 질 수 있다. The ultimate purpose of a Christian university as a Christian community is to pursue the glory of God. A Christian university is a community of worship, missionm and scholarship. A Christian university is not a local church, however, it is like a church, since it is a community of saints in its nature. If it has similart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the purpose of the church can be the same as a Christian university.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hurch is 'worship to God', and it leads to its other purpose, which is 'mission'. This can be applied to Christian universities as well. A Christian university is an excellent envirnment for training students as present and future missionaries can use their time to be short-term missionaries and to help missionary kids during their vacations and semesters of temporary absence from school. A Christian university also has very good conditions to rear and send tentmakers, because it usually has various majors which are urgently needed in the mission fields, in developing non-Christian countries and those which prohibit traditional missionaries. Futhermore, a Christian university has excellent settings for training missionaries, which include training and education in the Bible, Christian doctrines, theology as well as offer activities in mission circles, and spiritual exercises in chapel. Christian university has to have incentives for training and sending students as foreign missionaries or helpers, which include financial support and credit incentives. The opportunutues of serving as a short-term missionary and of helping to educate missionary kids during vacations and semesters of temporary absence from school need to be granted as regulart school credits. A Christian university can be a mission-oriented organization by performing this kind of supports for students. If it has such a spirit as to be a mission-oriented community, it has to have a support system in a whole organizational dimension.

      • KCI등재후보

        전문인 선교: 신학과 전략

        신경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09 복음과 선교 Vol.11 No.-

        Tentmaker Mission is a mission strategy with its firm and clear foundations on the Bible with many sources. Furthermore, it is one of the most urgent mission strategies in the situation of the rapid expansion of the missionary restricted areas in the world. Tentmaker mission has been continued throughout world church history too. Tentmakers in orthodox church, Roman Catholic Tent maker missionaries, workers and chaplains of east India corporation, Moravian tentmakers, Tentmakers of Basel mission in Switzerland, William Carey and his co-workers, financial supporters of Student Volunteer Movement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ent-maker mission who used their occupation as mission tools or targets. Hans Küng affirms the apostacy of all Christians before God, which implies all Christian can be missionaries, not just ordained ministers. Furthermore, Hendrik Kraemer also supported tentmaker mission with the concept and theology of laity. Lausanne Conferences have been continuously reaffirming the theological foundations of tentmaker mission as a biblical strategy (1974, 1989, - 45 - 2004). All these shows that tentmaker mission is a firm and biblically founded mission strategy which can be and should be widely used in modern world both restricted and open mission fields. In order to activate and motivate tentmaker mission, mission concept of church members has to be changed or modified in the first place. Christians' concept of missionary to be ordained pastor is main factor that hinders tentmaker mission. Futhermore, mission structure which is mainly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missionaries of ordained pastors also has to be changed. Church structure needs to be changed to mobilize and support tentmaker missionaries. Tentmaker miss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mission strategy in modern world mission. Tentmaker Mission is a mission strategy with its firm and clear foundations on the Bible with many sources. Furthermore, it is one of the most urgent mission strategies in the situation of the rapid expansion of the missionary restricted areas in the world. Tentmaker mission has been continued throughout world church history too. Tentmakers in orthodox church, Roman Catholic Tent maker missionaries, workers and chaplains of east India corporation, Moravian tentmakers, Tentmakers of Basel mission in Switzerland, William Carey and his co-workers, financial supporters of Student Volunteer Movement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ent-maker mission who used their occupation as mission tools or targets. Hans Küng affirms the apostacy of all Christians before God, which implies all Christian can be missionaries, not just ordained ministers. Furthermore, Hendrik Kraemer also supported tentmaker mission with the concept and theology of laity. Lausanne Conferences have been continuously reaffirming the theological foundations of tentmaker mission as a biblical strategy (1974, 1989, - 45 - 2004). All these shows that tentmaker mission is a firm and biblically founded mission strategy which can be and should be widely used in modern world both restricted and open mission fields. In order to activate and motivate tentmaker mission, mission concept of church members has to be changed or modified in the first place. Christians' concept of missionary to be ordained pastor is main factor that hinders tentmaker mission. Futhermore, mission structure which is mainly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missionaries of ordained pastors also has to be changed. Church structure needs to be changed to mobilize and support tentmaker missionaries. Tentmaker miss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mission strategy in modern world mission.

      • 선교적 영성의 제 유형과 성경적 모형

        신경규 고신대학교 선교연구소 2004 고신선교 Vol.- No.3

        이상에서와 같이 기독교의 영성을 성경,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을 중심으로 성육신의 영성, 복음전도의 영성, 변화산의 영성, 십자가와 부활의 영성, 오순절의 영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네 가지 중심적인 영성은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 라는 점이다. 필자의 견해로서는 기독교의 영성은 십자가와 부활의 사건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이 이루어진 개인과 교회는 오순절에서 그 신앙의 역동성을 갖추어 그 뜨거운 신앙 속에서 점차적으로 성육신의 낮아짐의 영성 속으로 나아가 궁극적으로 십자가와 부활의 영성을 소유하는 것이 이상적인 영성의 흐름이라고 본다. 물론 그 경로는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그종국의 귀착점은 십자가와 부활의 영성이어야 한다 이러한 십자가와 부활의 영성은 섬김과 위엄, 고난과 영광, 낮아짐과 존귀함이 조화 속에서 공존하는 영성이다. 또한 이러한 영성의 소유자는 오순절의 영성이나 변화산의 영성을 무시하거나 부인하지 않는다. 그것은 자신이 이미 그러한 체험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오순절의 능력을 받아 십자가로 내려가야 한다성경에서 말하는 영성의 핵심적인 모델은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과 삶 자체이고 그것은 본질적으로 선교적 영성이다. 따라서 성경적 영성이란 곧 선교적 영성올 기축으로 하고 있으며 선교적 영성은 성경적 영성의 핵심에 자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영성은 타인을 위하여 말없이 자신을 희생하는 영성이었다. 타인을 위한 침묵적 고난과 자기희생이 십자가의 영성이다 자신을 위하여 아무 변명도, 정당화도, 항의도 없이 침묵하고, 자신을 위하여 아무 것도 탐하지 아니하고, 세속적인 영광과 승리를 추구하지 않은 채 오직모든 사람을 사랑하고 마침내는 자신의 죽음마저 수락하는 영성이다 131l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이시나 하나님과 동등 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 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빌 2:6-8) 이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영성이며 변화산과 오순절을 체험한 성육신의 영성, 십자가와 부활의 영성이다.

      • Missio Dei 개념의 본래적 의미와 의미변화에 관한 고찰

        신경규 고신대학교 선교연구소 2007 고신선교 Vol.- No.4

        기독교 신학과 선교학계에서 ‘하나님의 선교 (missio Dei)' 개념은 대단히 중요하며 또한 많은 학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일한용어를 사용하면서도 신학적 펀향성에 따라 내용이 판이하게 다른 것 중 하나가 missio Dei 개념과 그에게서 해석된 신학이다. 신학적으로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지들은 그들 나름대로 선교의 주체가 하나님이라는 의미에서 이 개념을 사용하고, 신학적으로 자유주의에 속한 그룹에서도 이 용어를 그들 나름대로의 확장, 변질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동주는 복음주의와 자유주의 두 신학을 명확하게 양분하여 두 진영에서 사용하고 있는 missio Dei 개념과 신학의 상이점을 소상하게 언급하고 있다 5) 그렇다면본래 missio Dei라는용어의 의미하는바가무엇이었는개그용어의 개념이 변질되었다면 어떻게 변했으며, 어떤 과정을 통해 변질되었는가 변질되지 않은 본래의 개념을 회복하려면 어떠한 노력이 있어야 하는가? 이러한질문들이 본논문의 문제의식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은 missio Dei라는 개념의 본래적 의미와 그 변질된 의미를추적해 봄으로써 그용어의 보다성경적인 의미를 살펴봄과동시에 선교개념의 상이점에서 오는 양 진영의 신학적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식멸하고 아울러 그들이 사용하는 missio Dei 개념의 공통점을 추적해 봄으로써가능한일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missio Dei 개념의 시작과 등장하게 된 배경을 밝히고 그 이후 이 개념이 해석되어온 과정, missio Dei 개념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진행되면서 전개된 전제와 내용의 차이점, 그렇게 함으로써 missioi Dei 개념의 본질을회복할기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한다.

      • KCI등재

        선교적 교회론의 과제에 관한 통합적 고찰

        신경규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9 No.-

        근 들어 한국 선교학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중 하나가 선교적 교회론과 그것을 적용한 선교적 교회에 관한 것으로서이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물들이 쏟아져 나온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에서는 이들 연구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신학적인 선교적 교회론과 실천적 선교적 교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체적인 문제점들과 이에서파생되는 과제들을 정리해 봄으로써 앞으로 선교적 교회론의 논의가나아가야 할 방향을 바로 잡는 것이 시급한 일인 것으로 사료된다. 선교적 교회론과 선교지향적 교회에 관한 논의에서는 크게 신학적인 과제와 실천적인 과제로 대별하여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신학적과제에서는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가 주로 에큐메니컬 진영에서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파생되는 과제들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핵심적인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첫째, 교회 내적 과제로서 선교적 교회론 논의가 광범위하게는 교회론(신학 혹은 이론)에 관한 논의인지, 아니면 선교가 교회의 기능(실천) 중 중심적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는 것인지에 관한 문제가 핵심논점 중 하나다. 교회의 실천적 방향의 문제일 경우에는 기존의 교회론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나, 교회론에관한 문제일 경우 교회론 전반을 고쳐야 하는 지극히 난해한 과제가 남게 된다. 둘째, 일단 선교적 교회론이 성경적이고도 바른 교회론이라 고 한다면 선교적 교회론에서 신학적 방향성에서 파생되는 합의성의도출에 관한 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신학적으로 자유주의적 성향을 지닌 에큐메니컬 선교신학을 한국교회의 주종을 형성하고 있는 보수주의적 교회현장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과제이다. 세 번째로는 에큐메니컬 선교신학에서 지향하는 ‘세계내적 존재’로서의 교회에 대한 관점이‘교회내적 존재’로 자신을 규정하고 있는 교회 내의 보수주의적 성향을 어떻게 극복가능한지에 관한 과제이다. 이와 연관된 것으로서 세계내에서의 하나님의 직접적인 활동을 강조하는 에큐메니컬 신학이 과연 하나님께서 교회를 통해 세상에 일하신다는 신념을 지닌 현실의 한국교회에게 얼마만큼 호소력을 지닐 수 있는지에 관한 과제이다. 실천적 과제로서는 의식변화의 과제로서 여기에는 먼저 신학교육 을 통한 목회자의 의식변화가 우선적인 과제로 떠오른다. 교회구성원들 의 의식변화는 이미 길들여진 타성으로 인해 변화되기 매우 힘든 문제이다. 그러나 리더로서의 목회자의 의식이 변화되면 교회구성원들의의식변화는 보다 용이하게 변화될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구조적, 실천적 과제가 따른다.기존의 구조와 교회의 선교적 실천의 방향성을 바꾸는 과제로서 교회의정체성인 거룩성과 세속성의 균형을 이루어야하고 선교와 예배, 교제의균형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 Recently, one of the most popular and frequent subjects in missiological society is ‘missional eccelesiology’ and, its following theme, missional church. Therefor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those studies and suggesting its following tasks for establishing missionary church in practice. There are two main tasks in the study of missional church: one is theological task, and another is practical one. First subject of theological task is whether it is a task of defining and constructing a new ecclessiology or a task of establishing mission-oriented church. Up to now, the task of missional ecclesiology might seem to be theological issue. If it is ecclessiological task, it has a long way to found its theological basis. If it is directing and changing church on its missionary nature, the essence of the church, it might be relatively easy one. Second, since the researchers on the study of missional church are mostly ecumenical theologians, it is doubtful for Korean conservative Christians to accept results of their studies. Scholars have to have their results to satisfy Bible-loving conservative Korean Christians. Though ecumenical theologians and missiologians are seeking world-oriented theology, evangelical ones are persuing church- oriented theology and missi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wo kind of researchers to work together and have results on their consensus. There are also practical tasks of the subject on missional church, because theology has to be applied in present church situation. First one of the practical tasks is conceptual one, so to speak, changing the theology of church members and their minds into those of missional ecclesiology and missional church. In achieving this goal, changing mentality of church leader is the most important task. Changing structure and orientation of tradition church into missional church is another difficult task to be overcome.

      • KCI등재후보

        신앙 소그룹모임이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경규 한국대학선교학회 2014 대학과 선교 Vol.27 No.-

        This article surveys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small bible study meetinggroups for non-Christian new students in Kosin university. This article alsoanalyzes factors which influence to their satisfaction from those groups. Many Christian universities ask new students to join to their university chapelscompulsorily. Chapels are not only good opportunities to preach theGospel to non-Christian students, but also they are good ways to make identitiesof Christian schools and universities clear. However, most Christian universitiesseem to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managing their own chapels. Even though we may find many proper reasons for them, one of the biggestreasons is the rapid increase of new non-Christian students in the case ofKosin University. In fact, it is true that all of Christian universities are runningmany different types of chapels for non-Christian students, but their attemptsdo not seem to be working effectively.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research which were performed as the alternative program of chapel fornon-Christian students by Kosin University. Kosin University started this programsince 2008. Since approximately 30% of new students seems to be classifiedas non-Christians, Kosin university divides them into 20 small biblestudy groups with 10 to 12 student non-Christian members. First, we analyzedthe satisfaction of these group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se statistics shows 4.0995. It is quite high. In order to find any differences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test was performed, but there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n, I surveyed a correlation of each variables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which variables are moreinfluential. The result shows that all five variables have quite strongcorrelations. Especially, the professor related variables have the most strongcorrelations. Five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in this article, includingProfessor-Student Relationship(PSR), Professor’s Competence(PC), TeachingContents(TC), School Policy(SC), and Peer Relationship(PR), and, dependentvariable is the Satisfation of Students in small group Bible study meeting(SS). The conclusion of the analysis shows that SS has strong relationships with PSR,PC, TC, and has weak relationship with SP and PR, since SP is external variableand PR is uncontrollable by professors. Professor’s Competence(PC) has themost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for Satisfaction of Students(SOS), and italso causes PSR to be increased.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에 입학한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의 신앙소그룹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분석한연구이다. 기독교 정신위에 설립된 대부분의 대학들은 채플참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채플은 비기독교인들에게 복음을 전달할 수 있는 기회인동시에, 기독교대학으로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좋은 통로이기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대학들이 채플을 운영함에 있어다양한 현실적 어려움들에 처해 있다. 여러 원인들을 찾아볼 수 있겠지만,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기독교대학에 입학하는 비기독교인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사실 대부분의 기독교 대학들은 교목실을 중심으로 비기독교인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채플을운영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현재 지방의 고신대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을 위한 채플 대체 프로그램에 관하여 조사하고 연구 및 평가한 결과를기초로 하고 있다. 고신대학교는 2008년부터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소그룹 중심의 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채플에 대한 거부감을 약화시키고,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력을 높이려는 방안의 일환이었다. 고신대학교는 약 30%의 비기독교인 신입생들이 해마다 입학하고 있고, 이들을 약 20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1년 동안 채플을 대신하여 참석하도록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소그룹을 운영에 관하여 단순기술통계를 통하여소그룹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소그룹 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4.0995로 상당히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고, 남녀 간의 만족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는데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않았다. 또한 소그룹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어떤 것인지 알기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독립변수로 가정한 5개의 변인들이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조사되었는데, 특히 교수관련요인이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각 변인들이 관심변수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우관계와 교육내용이 설명력이 가장낮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모델설정 시에 세운 [가설 1]은 연구모델에서 ‘교수관계’와 ‘교수능력’을포함하는 ‘교수의 역할’을 중심에 두었는데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한 검증결과 [가설 1]과 거의 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능력’은 교육내용(.848)와 교수관계(.765)와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보여주고 있으나 교우관계(.535)와 외생변수로 설정한 학교정책(.674)은 앞의 세 변수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모델설정이 세운 [가설 2]와 같이 외생변수로 설정한 ‘학교정책’은 교수능력(.674),교수관계(.665), 교우관계(.506)에는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 교육내용(.706)과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결과는 우연성에 더 무게를 두고 싶다. [가설 3] 에서 ‘교수관계’는교수능력(.765), 교육내용(.747), 교우관계(.674), 학교정책(.665) 등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교우관계’는 교수능력(.535), 학교정책(.506), 교육...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