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dazolam 투여시 선행성 건망증 발현에 관한 연구

        이정하,김미라,이난영,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3

        최근 의식하 진정요법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Midazolam의 임상적 효과로는 항불안, 진정, 수면, 항경련, 근이완, 기억상실 등이 있는데, 이중 기억상실효과는 주로 선행성 건망증(anterograde amnesia)으로 약물투여 후 약물의 작용이 지속되는 동안에 경험한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는 시술 중 환자의 협조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시술 후 환자는 시술중의 불편한 과정을 기억하지 못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임상적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Midazolam 투여 시 선행성 건망증의 발현 양상을 평가할 목적으로 약물에 대한 기왕력이 없으며 미국 마취학회 전신상태 평가기준에 따라 1등급으로 판정된 조선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위약, 경구용 Midazolam 투여, 주사용 Midazolam의 비강내 투여 후 Snograss와 Vanderwart에 의해 표준화된 260개 그림 시리즈를 이용하여 선행성 건망증의 발현정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가 위약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1). 2. Midazolam의 비강내 투여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가 경구투여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3.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모두 약물투여 15분 후부터 선행성 건망증을 보이기 시작하여 경구투여시는 45분, 비강내 투여시는 30분에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4. 약물투여 30분이 지나면서 비강내 투여보다 경구투여에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와 진정정도가 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본 결과로 미루어 보아 Midazolam을 투여한 후 선행성 건망증은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모두 약물투여 15분 후부터 나타났으며 30분 전까지는 비강내 투여에서 30분이 지나면 경구투여에서 더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된 바, 치과치료시 Midazot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를 이용한 의식진정요법을 시행함에 있어 국소마취 등의 고통스러운 과정은 최소약물투여 15분 후 시행하는 것이 향후 치과진료에 대한 환자의 긍정적 자세를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terograde amnesic effect of Midazolam administrated by in-tranasal and oral route. Fifteen healthy volunteers(ASA I) were administrated with placebo, oral Midazolam (15mg), intranasal Midazolam (0.25mg/1kg) every 2 weeks. First picture cards were shown to volunteers before medication. At 15, 30, 45 minutes, other picture cards were shown to volunteers. BP, SpO₂ and sedation scores were measured. After 24 hours, the volunteers were questioned about their memory of pictures. To assess amnesic effect, recall and recognition test were performed using a series of picture cards designed for this purpos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ed to placebo, Midazolam group(oral and intranasal) experienced a significant anterograde amnesic effect (P<0.01). 2.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ral and intranasal Midazolam (P>0.01). 3. Anterograde amnesic effect of oral and intranasal Midazolam group began at 15minutes. It became increasingly, oral Midazolam group experienced extremely amnesic effect at 45minutes, intranasal Midazolam group was at 30minutes. 4. After 30minutes of Midazolam administration, anterograde amnesia of oral Midazolam group is more effective than intranasal Midazolam group.

      • KCI등재

        소아환자에서 midazolam 정주 및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 하 치과치료의 특성

        김현태,송지수,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신터전 대한소아치과학회 202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7 No.1

        Midazolam is a short-acting benzodiazepine that is widely used in pediatric dental sedation. However, its clinical effectiveness as an intravenous sedative agent in children has not been widely documented.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intravenous midazolam and nitrous oxide inhalation sedation in pediatric dental treatment. The subjects were 115 patients (118 cases) who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intravenous midazolam and nitrous oxide inhalation sedation. Demographic factors, general health status, sedation time, midazolam and nitrous oxide dosage, and success rate of sedation were evaluat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Behavioral management was the main reason of choosing sedation. Mean duration of sedation was 56.7 minutes for surgical treatment, and 74.4 minutes for restorative treatment. The initial dosage of intravenous midazolam was 0.051 ± 0.019 mg/kg. In 34 cases (28.8%), additional midazolam of 0.036 ± 0.057 mg/kg was delivered during the treatment. The concentration of nitrous oxide was maintained between 40% and 50%. The success rate of sedation was 99% (n = 117). In 1 case, laryngospasm occurred and the patient was reversed with benzodiazepine antagonist, flumazenil. Intravenous midazolam sedation with nitrous oxide was shown to be clinically effective for the dental treatment in children, if administered by trained personnel and patients are careful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guidelines. Midazolam은 단기 작용 benzodiazepine 계열의 약물로서 소아치과 영역의 진정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소아환자의 치과치료시 정주진정법으로서의 midazolam의 임상적인 효과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의 치과치료시 midazolam 정주진정법 및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해 후향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Midazolam 정주 및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 하 치과치료를 시행한 115명(11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소, 환자의 전신상태, 진정시간, midazolam 및 아산화질소의 용량, 진정법의 성공률에 대해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진정법은 행동조절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평균 진정 시간은 수술 치료의 경우 56.7분, 수복 치료의 경우 74.4분이었다. 정맥내 midazolam의 초기 투여량은 0.051 ± 0.019 mg/kg이었다. 34건(28.8%)에서 치료 중 0.036 ± 0.057 mg/kg의 추가적인 midazolam 의 투여를 시행하였다. 아산화질소의 농도는 40 - 50%로 유지되었다. 진정법의 성공률은 99%(n = 117)였다. 1 건의 증례에서 후두 경련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치료 중단 후 환자는 benzodiazepine 길항제인 flumazenil으로 가역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아산화질소 흡입진정을 동반한 midazolam 정주진정법이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진정법을위해서 모든 과정이 훈련받은 전문인력에 의해 시행되어야 하고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적절한 환자 선택이 필요하다.

      • KCI등재

        Flumazenil의 투여 방법에 따른 혈장내 농도와 midazolam에 의해 유도된 진정 상태의 환원 효과

        박성규,이상호,이창섭,이난영,오유향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Flumazenil의 투여 방법에 따른 혈중 농도와 midazolam에 의해 유도된 진정 상태의 환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3-25세의 학생을 대상으로 비강으로 midazolam을 투여하여 진정시킨 후 flumazenil을 비강내과 정맥내를 통하여 투여한 다음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농도의 변화와 함께 생징후 및 진정 정도를 측정하여 flumazenil의 길항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idazolam에 의한 진정 상태에서 flumazenil의 투여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동맥혈 산소포화도 등의 생징후는 변화가 없었으나 맥박은 일시적인 상승이 있었다(P<0.05). 2. Flumazenil은 비강내 투여 및 정맥내 투여 등 투여 방법에 관계없이 midazolam에 의한 진정 상태를 일시적으로 환원시키며 투여 방법에 따른 발현 시간의 차이는 없으나 환원 정도와 지속 시간은 정백내 투여에서 크게 나타났다(P<0.05). 3. Flumazenil의 비강내 투여는 최고 혈중 농도에 2분, 정맥내 투여는 4분 후에 각각 도달하므로써 흡수 속도는 비강내 투여와 정맥내 투여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4. Flumazenil의 투여 후 수 분 동안 midazolam의 혈중 농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flumazenil은 midazolam에 의한 진정 상태에서 생징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진정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특히 비강내 투여는 정맥내 투여와 발현 시간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으로 midazolam에 의 한 부작용 발현시 응급 처치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reversion of sedation induced by midazolam with flumazenil and to determine the plasma concentration of flumazenil according to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Intranasal and intravenous flumazenil were administered to sedated health volunteers aged from 23 to 25 years, in doses typical of those used clinically to induce sedation with midazolam and for reversal with flumazenil. Objective assessment for degree of sedation and vital signs, plasma concentration were made for 2 hours period. 1.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pO₂ were not changed by adminstration of flumazenil in sedated subject with midazolam, but pulse rate was increased temporarily. 2. Flumazenil showed the reversal of the sedative effect induced by midazolam regardless of administration methods. But intravenous administration showed more effect on the degree and the duration of reversion than intranasal administration with the exception of on set time. 3. Peak plasma concentration of flumazenil administered by intranasal route reached after 2 min and that of flumazenil administered by intravenous route was 4 min. Thus uptake of flumazenil did not showed any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adminstration route. 4. Administration of flumazenil resulted in the temporary increase of midazolam plasma concentration.

      • KCI등재

        Midazolam protects B35 neuroblastoma cells through Aktphosphorylation in reactive oxygen species derived cellular injury

        정원석,현창림,박민규,Jeong-Min Park,Hyun-Ouk Song,Taejin Park,Young Su Lim,조춘규,강포순,권희욱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2 No.2

        Background: Soman, a potent irreversible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 induces delayed neuronal injury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idazolam is used in patients with pathologic effects of oxidative stresses such as infection, hemodynamic instability and hypoxia. We investigated whether midazolam protects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from soman intoxication.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midazolam protects B35 cells from ROS stress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an application of midazolam to soman intoxication. Methods: Glucose oxidase (GOX) induced ROS stress was used in a B35 neuroblastoma cell model of ROS induced neuronal inju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dazolam on cell viability, LDH assays and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 was performed. Western blotting was used for evaluating whether Akt-phosphorylation is involved in cell-protective effects of midazolam. Results: GOX derived ROS injury decreased cell viability about 1.6-2 times compared to control; midazolam treatment (5 and 10 μg/ml) dose-depende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during ROS injury. On western blots, Aktphosphorylation was induced during pretreatment with midazolam; it was diminished during co-treatment with LY-294002, an inhibitor of Akt-phosphorylation. FAC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cell protective effect of midazolam is mediated by an anti-apoptotic effect. GOX-induced apoptosis was inhibited by midazolam and the finding was diminished by LY-294002. Conclusions: Midazolam protects neuronal cells from GOX-induced ROS injury; this effect is mediated by an antiapoptotic effect through Akt-phosphorylation. This shows that midazolam may be useful in soman intoxication.

      • KCI등재

        소아환자의 Midazolam의 정맥투여 용량에 따른 진정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김은영,김종수,유승훈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소아환자는 치과치료시 다양한 방법의 진정요법이 요구된다. 정맥내 투여방법은 약효의 발현이 빠르고, 진정의 심도 및 시간을 술자의 의도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idazolam은 현재 의과 및 치과영역에서 성인의 진정요법에 가장 널리 쓰이며, 심혈관계와 호흡계에 대한 영항이 적은 진정 약제이다. 그러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진정요법의 소아치과에서의 사용에 대한 연구와 보고는 적은 편으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에서의 midazolam을 이용한 정맥내 투여시 효과적이고 안전한 초기 투여용량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진정요법으로 2회 이상의 구치부 치료가 필요한 건강하고 비협조적인 행동을 보이는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54.7±10.7개월, 평균 몸무게는 18.1±3.0kg이었다. 술전 투약으로 0.3mg/kg, 최대 5mg의 midazolam을 근육내 투여 후 30~50%의 N₂O-O₂를 병용투여한다. 이중 맹검법에 의해 모든 환자는 두 번의 내원 중 임의로 한번은 0.1mg/kg(Ⅰ군)을, 다른 한번은 0.2mg/kg(Ⅱ군)의 초기 용량의 midazolam을 정맥내 투여하여 치료하였고, 추가투여시에는 초기용량의 1/2을 투여하였다. 치료시 환자의 생징후를 측정하였고, 행동양상은 Ohio State University Behavioral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술자는 Houpt가 제시한 기준을 응용하여 임상적 치료의 성공과 실패를 평가하였다. 몸무게에 대한 총 투여용량은 Ⅰ군에서 0.16mg/kg, 2군에서 0.24mg/kg이었다. 생징의 경우 두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상태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행동양상평가에서 Ⅱ군에서 바람직한 행동양상(Quiet)의 비율이 높았고, 임상적 성공률은 Ⅱ군에서 높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p>0.05). 작용 발현시간은 Ⅱ군에서 회복시간은 Ⅰ군에서 빨랐고, 약물 투여 횟수는 Ⅰ군에서 많았으나,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Intravenous sedation have many advantages of rapid onset and recovery, ability of control sedation levels and duration through titration. Midazolam is most commonly used intravenous medication for sedation in pediatrics, endoscopy, oncologic procedures and so on. But in dentistry, midazolam intravenous sedation is usually for adult, and there are few reports for children. Todays, children who need sedation become more and older, intravenous sedation technique is going a matter of concern in pediatric dentis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edation and clinical success for different initial dosage of midazolam in intravenous sedation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16 healthy children (male 10, female 6), mean age 54.7±10.7 months, who needed at least two separate treatment visits requiring local anesthesia were chosen for this study. Every children were taken 0.3mg/kg, maximum 5mg of midazolam by intramuscular route, and then 30~50% N₂O-O₂ for 10 minutes was given. On every visits, one of the following 2 different initial dosage was given by intravenous route : (1) Group Ⅰ : 0.1mg/kg Midazolam (2) Group Ⅱ : 0.2mg/kg Midazolam. Additional dosage was half of the first dose. Physiologic parameters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respiratory rate, end-tidal carbon dioxide pressure) was recorded by ten procedure steps. Behavior was videotaped and rated using Ohio State University Behavioral Rating Scale and Automated Counting System by one investigator, blind to administered dosage. After the treatment, operator evaluated the clinical success. Physiologic parameters were stable and within normal range during treatment in both groups. The analyzed sedative effect, in behavioral evaluation, ratio of favorable Quiet was higher in group Ⅱ, and clinical success rate of group Ⅱ was better than group Ⅰ. Induction time was rapid in group Ⅱ, and recovery time was rapid in group Ⅰ.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every results.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상부 위장관내시경 검사 시 Midazolam 투여에 따른 생명활력징후의 변화 및 진정 효과

        백승연,고홍,정기섭,Baek, Seoung Yon,Koh, Hong,Chung, Ki Sup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2

        목 적: 상부위장관 내시경은 위장관계 질환을 검사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검사이나, 소아에서는 검사에 따른 불안과 불편감으로 시행에 어려움이 많다. 최근에 midazolam 등의 진정제 투여로 이런 것들을 상당부분 개선하고 있다. 저자들은 midazolam 투여시 소아의 활력징후 변화를 측정하여 약제투여의 안전성과 진정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8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에 내원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받은 244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midazolam 투여군과 비투여군에서 검사 전과 검사 도중의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의식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midazolam 투여군과 비투여군 사이에 생명 활력 징후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내시경검사 시 투여된 midazolam의 용량과 의식상태 및 산소포화도 변화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산소포화도는 비투여 및 투여군 양 군에서 검사 전보다 검사 도중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양 군 모두에서 산소포화도는 95% 이상으로 유지되어 임상적 의미는 없었다. 심박동수는 비투여 및 투여군 모두에서 검사 전보다 검사 도중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p<0.01), 양 군 간의 심박동수 증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투여 용량의 증량에도 진정효과가 더 잘 유도되지 못했으며 대부분의 환아가(76.1%) alert한 의식상태를 유지하여 진정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저용량 midazolam을 투여하였을 때 생명활력징후의 안전성은 확인하였으나, 충분한 진정효과 및 기억 상실 효과를 얻기에는 다소 미흡하였다. Purpose: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is a very useful procedure in diagnos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However, there can be some difficulty in performing this procedure in children due to the associated discomfort. Recently, sedative agents such as midazolam have been introduced to alleviate this problem quite successfully. In our study, we attempted to confirm the safety and efficacy of midazolam use by monitoring the vital signs of children undergoing endoscopy. Methods: We analyzed data on 244 children who received EGD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t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between August 2003 and July 2005. We evaluated $O_2$ saturation, heart rate and change of mental status before and during the procedure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he SPSS 12.0 package (Chi-square test, cross table method, etc.).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tal signs measured before and during EGD between midazolam treated and non treated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idazolam given and $O_2$ saturation or a change of mental status. Regarding the $O_2$ saturation, it was decreased during EGD in both groups with p<0.01 though no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groups; the $O_2$ level was maintained above 95% in all patients. The heart rate was also increased during EGD in both groups with a p<0.0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We confirmed the safety of low dose midazolam by evaluating the vital signs of children during endoscopies. However, the doses used were not sufficient for sedation or to obtain an amnestic effect.

      • Midazolam을 전투약한 환자에서 propofol 용량에 따른 의식 소실과 무호흡의 빈도

        황정원,오용석,한성희 대한정맥마취학회 1997 정맥마취 Vol.1 No.2

        Propofol은 작용발현과 회복이 빠르고 작용지속시간이 짧은 정맥마취제이지만 고용량을 투여했을 경우 위험한 합병증으로 혈압이 감소하고 호흡이 억제된다. 저자들은 propofol 마취시 투여용량에 따른 무호흡의 발생 빈도 및 지속시간과 의식소실의 빈도를 관찰하고 midazolam의 마취전투여가 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수술 전 의식이 명료하고 호흡억제가 없었던 194명의 성인남녀를 선택하여 대조군과 midazolam을 투여한 midazolam군으로 나눈 후 propofol의 용량에 따라 다시 세군으로 나누었다. Midazolam군은 마취유도 10분 전에 0.06 ㎎/㎏의 midazolam을 정주하였고 대조군은 마취전 투여를 시행하지 않았으며 propofol(1, 1.5, 2 ㎎/㎏)의 일시정주 후 기도를 유지하면서 안면마스크를 이용해 100%의 산소를 투여하였다. 각 군별 의식소실의 빈도와 10초 이상 지속되는 모호흡의 빈도와 지속시간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대조군과 midazolam군 모두에서 propofol의 용량 증가에 따라 무호흡의 빈도 및 지속시간이 증가하였다. Propofol 투여용량이 같을 경우 대조군과 midazolam군의 무호흡의 지속시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무호흡의 빈도는 1.5 ㎎/㎏의 propofol을 투여했을 경우에만 midazolam군이 87.1초로서 62.5초의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고 다른 용량에서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의식소실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61.1%, 75.0%, 97.1%로서 propofol의 용량증가에 따라 의식소실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나 midazolam 군에서는 96.9%, 100%, 100%로서 propofol의 용량과 무관하게 거의 모든 환자에서 의식이 소실되었다. 결론: propofol을 이용한 마취시midazolam을 전투여하면 의식소실을 위한 propofol의 투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무호흡의 빈도 및 지속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 KCI등재

        Population Pharmacokinetics of Midazolam in Healthy Koreans: Effect of Cytochrome P450 3A-mediated Drug-drug Interaction

        신광희 한국임상약학회 2016 한국임상약학회지 Vol.26 No.4

        Objective: Midazolam is mainly metabolized by cytochrome P450 (CYP) 3A. Inhibition or induction of CYP3A can affect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midazolam.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population pharmacokinetic (PK) model and evaluate the effect of CYP3A-mediated interactions among ketoconazole, rifampicin, and midazolam. Methods: Three-treatment, three-period, crossover study was conducted in 24 healthy male subjects. Each subject received 1 mg midazolam (control), 1 mg midazolam after pretreatment with 400 mg ketoconazole once daily for 4 days (CYP3A inhibition phase), and 2.5 mg midazolam after pretreatment with 600 mg rifampicin once daily for 10 days (CYP3A induction phase). The population PK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nonlinear mixed effect model (NONMEM® 7.2) based on plasma midazolam concentrations. The PK model was developed, and the first-order conditional estimation with interaction was applied for the model run. A three-compartment model with first-order elimination described the PK. The influence of ketoconazole and rifampicin, CYP3A5 genotyp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PK parameters was examined. Goodness-of-fit (GOF) diagnostics and visual predictive checks, as well as bootstrap were used to evaluate the adequacy of the model fit and predictions. Results: Twenty-four subjects contributed to 900 midazolam concentrations. The final parameter estimates (% relative standard error, RSE) were as follows; clearance (CL), 31.8 L/h (6.0%); inter-compartmental clearance (Q) 2, 36.4 L/h (9.7%); Q3, 7.37 L/h (12.0%), volume of distribution (V) 1, 70.7 L (3.6%), V2, 32.9 L (8.8%); and V3, 44.4 L (6.7%). The midazolam CL decreased and increased to 32.5 and 199.9% in the inhibition and induction phas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in control phase. Conclusion: A PK model for midazolam co-treatment with ketoconazole and rifampicin was developed using data of healthy volunteers, and the subject's CYP3A status influenced the midazolam PK parameters. Therefore, a population PK model with enzyme-mediated drug interactions may be useful for quantitatively predicting PK alterations.

      • KCI등재

        Comparison of Behavioral Response between Intranasal and Submucosal Midazolam Administration

        Kim, Yunhee,Jung, Sanghyuk,Baek, Kwangwoo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3

        진정 법을 이용한 소아환자의 치과치료 시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을 복용 후 추가로 midazolam을 비점 막내로 분무하는 것과 구강 점막 하로 주사했을 때 행동 반응과 진정 효과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등급 1급 (ASA I)이며, 협조가 안되는 24-72개월 소아 환자 중 진정법을 통해 2개 치아 이상의 보존 치료 및 발치 치료를 받은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chloral hydrate 50 mg/kg와 hydroxyzine 1 mg/kg 복용하였다. 45분 후 한 군은 비강내로 midazolam 0.2 mg/kg을 추가 투여하였고 다른 군은 구강 점막 하 midazolam 0.2mg/kg을 주사하였다. 치료하는 동안 두 군 모두 50 % nitrous oxide를 유지하였다. 맥박 산소 계측기와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기를 이용하여 산소 포화도, 맥박수, 호흡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기록하였다. 행동 반응은 Quiet(Q), Crying(C), Movement(M) 그리고 Struggling(S)를 이용하여 총 40분 동안 매 2분마다 기록하고 모든 진정 치료 과정은 비디오로 촬영하였다. 모든 자료는 chi-sqaure test와 two sample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군 간의 평균 도입 시간과 최대 치료 시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활력 생징후도 모두 정상 범위이며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행동 반응 비교에서는 치료 시작 10분 동안 비강내 투여 군이 점막 하 투여 군보다 개선된 행동 반응을 보였다(P<0.05). 치료 시작 10분 이후에는 두 군사이의 행동 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복용 후 nitrous oxide 50%로 유지하는 진정법에 비강내로 midazolam 을 추가 투여하는 것은 점막 하로 추가 투여와 유사한 진정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비강내 midazolam추가 투여하는 것은 구강 점막 하로 추가 투여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비침습적이고 상대적으로 통증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비강내 midazolam 추가 투여는 침습적인 구강 점막 하 추가 투여를 대체할 만한 방법 이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ehavioral response and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dditional intranasal (IN) and submucosal (SM) administration of midazolam during pediatric sedation for dental procedure. Material and methods. Thirty-three cases of healthy (ASA I ), uncooperative children aged from 24 to 72 month old at pediatric dental clinic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Children received oral chloral hydrate 50 mg/kg with hydroxyzine 1.0 mg/kg. After waiting for 45 minutes, midazolam 0.2 mg/kg was administrated via IN route and via SM route randomly maintaining 50% of N₂O. A pulse oximeter and a capnograph were used for measuring vital signs (SpO₂, PR, RR, EtCO₂) throughout the sedation. Behavioral response was evaluated as Quiet (Q), Crying (C), Movement (M) or Struggling (S) in every 2 minutes for 40 minutes. Results. There were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tal signs of the two groups. The behavioral response for the first ten minutes during sed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first ten minute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IN midazolam to the combination of oral chloral hydrate with hydroxyzine and nitrous oxide/oxygen inhalation is as safe and effective as that of SM midazolam in pediatric sedation for dental proced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