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취업률 경로 분류와 취업률 결정 요인-대학 진로・취업 지원 현황을 중심으로

        송선혜,유한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higher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system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methods of analysis include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the Logit model and the multinomial Logit model.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 the employment rates collected from the website of Academyinfo and the ‘2019 Career Employment Statu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LCGA results in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graduates showed two and three development trajectories, respectively. The location and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y graduates. Also,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ies graduates turned out to be ‘job guidance and support’ for full-time faculties, online system use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details,’ and networks such as alumni associations. In the case of colleges, the key determinants fo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included the college location, ‘job guidance and support,’ and the development of 'career guidance courses' for full-time faculties.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취업 지원 체제가 대학 취업률에 유의하게 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잠재계층성장모형(LCGA), 이항로짓, 다항로짓모형이며, 분석자료는 대학알리미 7개년 취업률 자료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취업 현황조사’이다. LCGA 분석한 보정취업률 경로는 4년제는 3개 집단, 전문대 2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4년제 대학은 비수도권에 있는 대학일수록 ‘중-유지’나 ‘고-유지’ 집단보다 ‘저-유지’ 집단, 사립대학이거나 대학 구성원이 ‘진로지도 및 상담 내역 관리’를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할수록 ‘저-유지’보다 ‘중-유지’ 집단, 대학이 졸업생·동창회의 정기적 오프라인 모임을 개최할수록 ‘저-유지’나 ‘중-유지’보다 ‘고-유지’ 집단일 가능성을 보였다. 전문대는 ‘진로 및 취·창업 교육과정 개발’이나 ‘취업 지도 및 지원’에 전임교원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고-유지’ 집단일 가능성을 높이고, 비수도권 전문대학일수록 ‘고-유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낮추었다.

      • KCI등재

        수학교과 사교육경험패턴, 성별, 자율학습시간과 수업이해도 변화탐색

        박혜숙(Hye Sook Par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수학교과 수업이해도가 성별, 자율학습시간, 사교육 참여패턴에 따라 6년(중1-고3) 동안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살펴보았다. “한국교육종단연구2005”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잠재계층성장분석(LCGA)과 2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사용하여 세 개의 잠재계층 즉, 지속적 높은 사교육참여그룹, 사교육참여감소그룹, 지속적 낮은 사교육참여그룹을 발견하였고, 그 정보를 다층모형의 2수준에 성별, 고등학교 종류와 같은 개인 특성 변인과 더불어 사용하였다. 다층모형 분석결과, 평균 수업이해도에 있어서 고교특성을 통제한 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지속적 높은 사교육참여그룹과 사교육참여감소그룹이 비교그룹인 사교육 지속적 낮은 참여그룹보다 수학교과 수업이해도가 더 높았다. 자율학습시간이 학습이해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사교육 참여패턴의 효과크기보다 더 컸다. 또한 청소년 학습자들의 수업이해도는 학년이 높아감에 따라 낮아졌으며 남학생의 수학수업이해도는 여학생보다 더 감소하였다. 그러나 수업이해도의 감소 크기에 있어서 사교육참여감소그룹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지속적 높은 사교육참여그룹의 순이었다. 이 결과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gender, independent study hours, and private education pattern affect Korean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school math instruction over a span of six years from middle school 1st grade to high school 3rd grad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collected by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05 (KELS2005) over a six-year period. Analyses were done using both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and a two level HLM growth modeling. Using LCGA, the researcher identifies three latent classes, 1) high participation group, 2) decreasing participation group, and 3) low participation group. Students in the high participation group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private education. The decreasing participation group participated in private education at the beginning and stopped as time passes by. Students in the low participation group continue to be low in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These three groups were used for building a two level HLM model. Results of a two level HLM analysis show that controlling for types of high school, compared to females and the low participation group respectively, males, high participation group, and a decreasing participation group reported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math instruction.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independent study hour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ir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pattern on school math subject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math instruction decreases as they advance in years, and male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 decreases more than females``, The decreasing participation group`s understanding of school math subjects decreased most followed by high participation group. Implications for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장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궤적 유형과 예측요인 탐색: 잠재계층성장분석(LCGA)을 이용한 종단연구

        김호정(Kim, Ho Jeong),남석인(Nam, Seok In)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4

        본 연구는 중·장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궤적 유형을 탐색적 차원에서 확인하고, 도출된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궤적 유형과 사회경제적 요인, 개인 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의 관계를 검증하여 중·장년기의 건강한 노후를 맞이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12차(2007년~2017년)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중·장년기 2,418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궤적 유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적용하였으며, 건강상태에 있어 안정집단과 위험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수준-유지형(46.3%)’, ‘저수준-유지형(19.6%)’, ‘감소형(17.5%)’, ‘증가형(16.6%)’의 4가지 유형이 확인되었다. 건강상태와 밀접한 요인인 만성질환 변화를 통제 하였음에도, 지속해서 경제활동을 할수록 ‘저수준-유지형’보다‘고수준-유지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 록 ‘감소형’ 보다 ‘고수준-유지형’에 속하고,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이 증가할수록 ‘저수준-유지형’ 보다 ‘고수준-유지형’으로, 가족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록 ‘저수준-유지형’보다 ‘증가형’에 속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장년의 건강을 지속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국가 체계의 정책적 제언과 현장 중심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 trajectories patterns of Self-Rated Health in middle aged, to identify socioeconomic factors, self-esteem, family relationship factors, and to identify relevant predictors. For this purpose, the 2,418 middle aged, who married couples were extracted from the 2nd to 12st waves of Korea Welfare Panel Survey data. The data analysis include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change trajectories patterns of self-rated health in middle aged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1) high state-retained type(46.3%), (2) low state-retained type(19.6%), (3) reduced type(17.5%), (4) increasing type(16.6%). Despite the control of chronic diseas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ealth, when the low state-retained type, which is a crisis group, was set as the reference group for the self-rated health, the economic participatio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of the family relationship had a more inadequate effect than the high state-retained type. Likewise, when the reduced type, which is a crisis group, was set as the reference group for the self-rated health, the economic participation, self-esteem, satisfaction of the family relationship, and family stress had a more effect than the increasing typ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to maintain the proper health,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 KCI등재

        교실수업 및 평가에 대한 중학생 인식의 종단적 변화 탐색: 학생 특성 및 교사-수업 요인과의 관계

        이빛나,박민애,김난옥,손원숙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three subjects(Korean, Mathematics, English) and to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instructional factors in middle school. For these purposes, we used the three-point data from the fourth grade panel of SELS(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irst, we assumed that the growth trajectory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perception during middle school would appear as a heterogeneous type and conducted LCGA(latent class grow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all subjects, the latent classes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perceptions are divided into three such as a) a high-level maintaining group(65.6∼69.5%), b) a increasing-group(22.9∼24.3%) and c) a decreasing-group(7.6∼10.1%). Second, Whe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positive, th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level maintaining-group. Third, the high-level maintaining group showed the highest learning effort, learning method,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three latent class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on effective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교과별(국어, 수학, 영어) 수업 및 평가 인식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학생 특성 및 교사-수업 요인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4패널 4~6차년도의 세 시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수업 및 평가 인식은 교사의 교수활동 및 과제점검에 대한 학생의 인식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시기 수업 및 평가 인식 변화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성장궤적이 이질적인 유형으로 나타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3-step 방식에 기반한 잠재계층성장분석(Asparouhov & Muthen, 2013)을 실시한 결과, 모든 교과에서 수업 및 평가 인식 변화의 잠재계층은 수업 및 평가 인식이 3년 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상유지집단(65.6∼69.5%), 인식이 점차 높아지는 상승집단(22.9∼24.3%), 인식이 낮아지는 하락집단(7.6∼10.1%)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모든 교과에서 교사-학생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하락집단 및 상승집단 보다는 상유지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학습노력, 학습방법, 수업참여, 학업성취도는 상유지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및 평가에 관한 교육적 시사점 및 논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자금대출 수혜 경험이 있는 대졸 취업자의 초기 노동시장 임금 변화궤적 및 예측요인

        김동화,반지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trajectories of wage changes in the early Labor market of college graduates among student loan beneficiaries and factors affecting each type. Among the data from the 3-5th year of the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KOSAPS), 1,153 college graduates with experience in receiving Student loa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LCG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A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latent class of the early Labor market wage change trajecto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type that continues to increase(Class 1), increases rapidly after decreasing(Class 2), and increases gradually after decreasing(Class 3).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 predicting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for the trajectories of change in wages in the early Labor market were examined. Most of all, the higher the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total amount of living expense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Class 1 than 3. Next, the male, the non-metropolitan area, the private college, the regular work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the higher scholarship, and the lower the total cost of living,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Class 2 than 3. Last, the non-metropolitan area, the private college, the regular worker, the lower the burden of repaying student loans, and the lower the total cost of living,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Class 3 than 1.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학자금대출 수혜자 중 대졸 취업자의 초기 노동시장 임금에 대한 변화궤적을 탐색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장학패널조사의 3-5차년도 자료 중 학자금대출 수혜 경험이 있는 대졸 취업자 1,153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잠재계층성장모형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기 노동시장 임금에 대한 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3개 집단(지속적 증가형, 감소 후 급격한 증가형, 감소 후 완만한 증가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초기 노동시장 임금의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비 총액이 많을수록 ‘감소 후 완만한 증가형’ 집단보다 ‘지속적 증가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남자일수록, 학교 소재지가 비수도권일수록, 졸업한 대학교의 설립유형이 사립일수록, 정규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을수록, 한국장학재단의 장학금 수혜 금액이 낮을수록, 생활비 총액이 낮을수록 ‘감소 후 완만한 증가형’ 집단보다 ‘감소 후 급격한 증가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소재지가 비수도권일수록, 졸업한 대학교의 설립유형이 사립일수록, 정규직일수록,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낮을수록, 교내 장학금 수혜 금액이 낮을수록, 생활비 총액이 낮을수록 ‘지속적 증가형’ 집단보다 ‘감소 후 급격한 증가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교육학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좋은일자리 서열화를 통한 장애인근로자 고용의 질 변화유형과 예측요인 연구

        서지혜 ( Seo Ji-hye ),이수용 ( Lee Soo-y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근로자의 고용의 질의 변화유형을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에 대해 밝혀 그 특성에 맞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차웨이브 1차년도부터 8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의 질과 관련 요인 간 영향관계를 분석한 차이검증에서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현재 건강상태가 좋은 편일 때, 학력이 고졸 미만일 때 보다 고졸 이상일 때,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며 직장에서 직책을 가지고 있을 때, 임시직·일용직보다 상용직일 때, 연령이 낮을수록, 일자리와 적성이 부합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고용의 질이 높았다. 둘째, 장애인근로자의 고용의 질 변화유형은 3가지 계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지속해서 좋은 일자리를 유지하는 ‘좋은 일자리 유지형’, 중간 일자리를 지속해서 유지하고 있는 ‘중간 일자리 유지형’, 나쁜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일자리의 질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나쁜 일자리 지속 악화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나쁜 일자리 지속악화형’과 ‘중간 일자리 유지형’을 구분하는 변수로는 종사상지위와 직책이었고, ‘나쁜 일자리 지속 악화형’과 ‘좋은 일자리 유지형’을 구분하는 변수로는 최종학력, 직책, 일자리 적성 부합 여부, 자격증 보유 여부로 나타났으며, ‘중간 일자리 유지형’과 ‘좋은 일자리 유지형’을 구분하는 변수로는 성별, 최종학력, 종사상지위, 직책, 일자리적성부합여부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근로자의 고용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면 첫째, 장애인근로자가 좋은 일자리에 근무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가진 능력과 특성에 맞는 직무개발과 배치가 이루어져야 하며 직장 내에서도 최대한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편의제공과 근로지원인 제공 등의 서비스가 필요하다. 둘째, 구직을 원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직무 적성검사가 체계적으로 실행되어야 하고 장애인 고용사업체에 직무분석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훈련 담당 교사들에게 장애이해에 필요한 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그들이 쉽게 교육기관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갖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장애인을 위한 적합 직종 개발 및 여성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멘토링 시스템 등을 통해 지속해서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좋은 일자리 유지를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changes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m and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ir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data from 1st year to 8th year of PSED 1st wave were used. First, gender, health status, education, qualifications, position, regular employment, qualifications, age, and aptitude affect quality. The types of employment quality chang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iers. 'High Level Employment Retention Type' which maintains good jobs continuously, 'Middle Level Employment Retention Type', which maintains intermediate jobs, and 'Low Level Employment Worsening Type', in which the quality of jobs is steadily declining. The variables that distinguish between 'bad job persistent aggravation type' and 'intermediate job retention type' were job position and position. The variables that distinguish between "bad job persistent aggravation type" and "good job retention type" are final education, job title, job aptitude, and qualification. The variables that distinguish between 'intermediate job retention type' and 'good job retention typ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such as sex, final education, job status, job title, and job ap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mployment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get in good jobs, they need to develop and deploy jobs that match their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And services such as provision of labor support are needed. Second, a job aptitude test should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want to get a job, and a job analysis system should be provided to the employer with disabilities. Third, there is a need to provide training teachers with awareness improvement education necessary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and more importantly, to provide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so that they can easily access educational institutions. Fourth, the development of suitable job categorie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entoring system for women with disabilities should continue to provide support for the maintenance of good job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 차별경험 변화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궤적에 대한 연구

        곽지영,이은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3 장애와 고용 Vol.33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t discrimination typologies experienc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a longitudinal study and to identify the stress trajectory according to each discrimination typology. Method: For this purpose, 4,152 data, which derived from the 2nd wave of the PSE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between 2016 and 2021 were utilized. In keeping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of all, two types of groups, one is the low discrimination and the other is the high discrimination-reduction, were derived. For each type of group,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employment status, degree of disability, and type of disability. Finally, after verifying the stress trajectory according to each group, the group who experienced high levels of discrimination-reduction showed higher levels of stress in the stress trajectory compared to the group who experienced low levels of discrimin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pproach which considered intersectionality and enhancement of awareness of Disabled Discrimination Act were needed.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종단적으로 장애인의 차별경험의 변화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궤적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애인의 차별경험의 변화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2차 웨이브 1~6차 조사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여 장애인 4,15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잠재계층성장분석, 다집단 잠재성장모형, 기술통계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장애인의 차별경험의 변화유형으로는 “낮은 차별 집단”과 “높은 차별-감소 집단”의 두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별로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학력, 취업 여부, 장애정도 및 장애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궤적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형별 스트레스의 궤적을 검증한 결과, “높은 차별-감소 집단”이 “낮은 차별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궤적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결론: 이를 토대로 장애인의 차별경험에 대해 교차성을 고려한 접근과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인지도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잠재계층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을 활용한 초기 아동기 체질량 지수 변화 궤적의 유형화 -사회 · 정서발달의 차이를 중심으로-

        은선민(Eun, Sunmin),박영아(Park, Youngah),김충일(Kim, Chungil),이강이(Lee, Kangyi) 한국아동복지학회 201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6

        본 연구는 취학 전후 아동의 체질량 지수(BMI) 변화 궤적이 차별적인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유형에 속한 아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사회 · 정서 발달에서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조사의 7-9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초등 1학년, 초등 2학년 시기에 걸친 체질량 지수의 변화 궤적은 3계층(잠재적 비만형(13.5%), 비만 완화형(6.5%), 정상 유지형(81.1%))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확인된 유형에 따라 사회 · 정서 발달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등 2학년 시기에 비만 위험집단으로 분류되는 잠재적 비만형의 경우, 정상유지형 아동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전반적 행복감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적 비만형 아동은 비만 완화형과 정상 유지형 아동에 비해 또래적응 능력이 낮고, 또래문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아동기 체질량 지수의 변화 궤적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을 뿐 아니라 변화 궤적의 개인차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입학을 전후로 비만 위험군에 진입하는 집단과 비만 위험이 완화되는 집단이 교차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초등학교 입학 후에 비만 위험군으로 진입하는 집단이 또래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점을 밝혀, 비만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해 아동의 정서 및 또래관계 측면에 개입해야 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utilized longitudinal data of child body mass index (BMI) to explore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to examine whether this trajectory change could be classified into heterogeneous types. The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each type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7th- through 9th-year data (2014-2016)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for analysis. A total of 967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patterns of change in child BMI across children aged 5 and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potential obesity”, “obesity alleviation”, “normal-maintaining”.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were found among the three types. Specifically, children in the “potential obesity” type, considered being at risk of obesity during the second grade, had lower levels of self-esteem and overall happiness than those in the “normal-maintaining” type. In addition, “potential obesity” children were shown to have lower peer adaptability and to experience more peer problems than those in the “obesity alleviation” and “normal-maintain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change trajectories of early childhood BMI at an individual level. By paying additional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the rationale for intervention in obese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