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번영의 관계에서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반지윤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of university life in the effect of the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flourish,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type. For this purpose, the 3rd data from KOSAPS were used; the number of the subject was 413. First, the stress of university lif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prosperi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of university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prosperity differed per the university type. To put it concretely, the stress of university lif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burden on a student loan repayment on flourish in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y group, while the stress of university life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burden on a student loan repayment on flourish in the private university group. In the multiple-group analysis, however, per the type of univers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effect of the burden on a student loan repayment on flouris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at efforts such as strengthening the publicness of higher education and equality of opportunitie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flourish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student loan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에 대한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장학패널조사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41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대학 설립유형의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번영의 관계에서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대학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국·공립 집단에서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한 반면, 사립 집단에서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집단 간 경로의 차이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자금대출의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대학생의 번영감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고등교육의 공공성 강화 및 기회 균등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이버폭력 주변인의 연구동향 분석

        반지윤,김동화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5

        Using Text M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Bystander at Cyberbullying. For this purpose, 54 KCI articles on Bystander at Cyberbullying in the past 24 years selected and final 733 keywords were extracted on the abstract. Analysis of unstructed data utilized NetMiner 4.5 version to conduct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Keyword Occurrence Frequency was high in the order of ‘Victim’, ‘Influence factor’, and ‘Bully’ while keyword sets were high ‘Bully-Influence factor’ and ‘Influence factor-Adolescent’; According to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core keywords, ‘Influence factor’, ‘Role behavior’, ‘Adolescent’, ‘Bully’, ‘Victim’, ‘Sexual’, and ‘Untact’ ranked within top ten, respectively; After Topic Modeling Analysis, 5 topics were the most suitable. Base on these results, Academic direc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Bystander at Cyberbullying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사이버폭력 주변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24년간 KCI 등재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사이버폭력 주변인과 관련된 54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국문초록을 중심으로 최종 733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비정형 데이터의 분석을 위하여 NetMiner 4.5를 활용하였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키워드 출현빈도는 ‘피해자’, ‘영향요인’, ‘가해자’ 순으로 높았고, 키워드 쌍은 ‘가해자-영향요인’과 ‘영향요인-청소년’이 가장 많은 동시출현빈도를 보였다. 중심성 분석 결과, ‘영향요인’, ‘역할 행동’, ‘청소년’, ‘가해자’, ‘피해자’, ‘성(Sexual)’, ‘비대면’의 7개 핵심 키워드가 연결 및 매개 중심성 모두에서 상위 10위 이내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5개의 토픽이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사이버폭력 주변인의 학문적 발전을 위하여 연구 방향성을 검토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가 사회적 낙인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 다중집단분석 적용

        반지윤,이정민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igma and whether the mediation has a gap by gende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parental abuse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 on their life satisfaction. To that end, on the subject of totally 594 you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econd-year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ducted by the NYPI.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 was found to directly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and partial mediation of social stigma was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by gender,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parental abuse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 upon social stigma was larger in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parental abuse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igma turned out to be partial in male students group but full in female students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낙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효과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학업중단청소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59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낙인감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가 사회적 낙인감에 미치는 영향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학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낙인감의 매개효과는 남학생 집단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인 반면에, 여학생 집단의 경우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감의 영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지니는 의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공격성을 매개로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성별 다중집단분석 적용

        반지윤(Ban, Jiyoon),오인수(Oh, Inso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에 대한 성별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1패널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2,541명(남학생 1,375명, 여학생 1,166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성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공격성이 완전매개하였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학생 집단에서는 거부적․강요적․비일관성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공격성이 각각 완전매개한 반면, 여학생 집단에서는 거부적․비일관성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공격성이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집단에서는 강요적 부모양육태도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공격성이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다중집단분석에서 집단 간 경로의 차이는 거부적 부모양육태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논의하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가 지니는 교육·상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the effect relations, and to test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s according to gender. To this end, SEM was analyzed among 2,541 participants and thi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by using the 1st year of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of the KCYPS 2018 conducted by the NYPI. First, aggression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differed according to genders i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egative nurturing attitudes of paren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Specifically, aggression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s of the rejective, coercive and chaotic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the male student group, while aggressiveness completely mediated the only effects of the rejective and chaotic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the female student group. In other words, it can be construed that aggression did not mediate the effects of coerciv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e difference of inter-group path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effects of rejectiv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gg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cyberbullying perpetration as well a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 KCI등재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의 역량에 대한 개념도 연구

        김현수,반지윤,오인수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교사교육연구 Vol.6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의 역량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다음의 연구절차를 수행하였다. 첫째,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 초점질문을 개발하고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현장 경험이 풍부한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11명이며, 초점질문을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둘째, 진술문 추출단계에서 61개 진술문이 추출되었고 연구자 3인의 합의를 통해 총 34개 진술문을 확정하였다. 셋째, 유사성 분류 작업과 중요도-수행도 문항 평정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앞선 초점질문 인터뷰에 참여했던 10명을 포함하여 26명으로, 모두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직무 경력을 가진 현직 교사이다. 넷째, 개념도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유사성 분류 결과를 기초로 집단 행렬을 작성하고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개념도를 시각화하였다. 또한, 중요도와 수행도 조사를 통해 군집별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 군집을 포함하는 2차원(개입-이해, 조직화-상호작용)의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개념도의 각 차원을 중심으로 개념도 및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1) 이해: 학생지도의 기본 조건인 학생 이해, 2) 개입: 발달 수준을 고려한 섬세한 개입, 3) 상호작용: 교사가 재구성하는 특별한 수업, 4) 조직화 : 학생지도의 전제가 되는 교사의 동기 및 태도의 네 가지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homeroom teachers’ competencies when help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adapt to school life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were performed. First, in the stage of idea generation, focus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 homeroom teachers in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ith extensive field experience,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focal questions. Second, based on the 61 statements derived from statement structuring stage, 34 statements were finalized through the agreement of three researchers. Third,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performance rating were carried out.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were 26 teachers, including 10 who took part in the previous focal question interview. All of them were incumbent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first grade homeroom teachers. Fourth, the concept map result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concept map was visualized by creating group matrix based on the similarity classification resul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perform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n addition, the average value of each cluster was analyzed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surveys. Finally, a two-dimensional (intervention-understanding, organizing-interacting) concept map containing six clusters was derived. Focusing on each dimension, th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map and results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ere discussed in the following four points: 1) Understanding: understanding students, which is the basic condition of student guidance, 2) Intervention: delicate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development, 3) Interacting: a special class restructured by the teacher, 4) Organizing: teacher's motivation and attitude, which are the premise of student guidance.

      • KCI등재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에 대한 개념도 분석

        오인수,반지윤,김현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ask of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during early entrance and to reveal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ch percep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semi-structured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leven first-grade homeroom teachers with significant field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conceptual analysis, sixty-one conceptual statements were derived on school adjustment during early admission, and thirty-eight key statements were finalized after the agreement of the three researchers. The confirmed statements were conducted a classification method of similarity for twenty-six people. Following this, 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evaluation were conducted in the stated orde. Results: Finally, a two-dimensional concept map including six clusters (adaptation in the environment vs. internal control, adaptation in the group vs. individual adaptation) was derived. The final clusters are specifically about acclimatizing to the environment and routine of an elementary school that is different from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cluster 1), overcoming anxiety and fear in unfamiliar situations and maintaining psychological stability (cluster 2), and cultivating basic learning abilities and basic lifestyle habits (cluster 3), concentrating attention and controlling impulsiveness(cluster 4), getting along well with friends and being considerate (cluster 5), and living safely by following school rules (cluster 6).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plored the core concept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school adjustment during early admission of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experiencing ecological transfer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e elementary education, has garnered attentio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를 밝히고 그러한 인식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현장 경험이 풍부한 1학년 담임교사 11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초점집단 면담을 수행하였다. 개념도 분석 절차에 따라 입학 초기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 과제에 대한 61개의 개념 진술문을 도출한 후 연구진 3인의 합의를 거쳐 38개의 핵심 진술문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정된 진술문에 대해 26명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를 수행하고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 중요도와 수행도 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6개의 군집을 포함하는 2차원(환경 적응 vs, 내적 조절, 집단 적응vs 개인 적응)의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최종 군집은 구체적으로, 유아교육 기관과는 다른 초등학교의 환경과 일과에 익숙해지기(군집1), 낯선 상황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이겨내고 심리적 안정감 유지하기(군집2,) 기초학습 능력 및 기본생활습관 기르기(군집3), 주의집중하고 충동성을 조절하기(군집4),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며 배려하기(군집5), 학교 규칙을 지키며 안전하게 생활하기(군집6)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서 초등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을 경험하고 있는 초등학교 1학년의 입학 초기 부적응에 대한 중요성이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관련 요소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학자금대출 수혜 경험이 있는 대졸 취업자의 초기 노동시장 임금 변화궤적 및 예측요인

        김동화,반지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trajectories of wage changes in the early Labor market of college graduates among student loan beneficiaries and factors affecting each type. Among the data from the 3-5th year of the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KOSAPS), 1,153 college graduates with experience in receiving Student loa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LCG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A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latent class of the early Labor market wage change trajecto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type that continues to increase(Class 1), increases rapidly after decreasing(Class 2), and increases gradually after decreasing(Class 3).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 predicting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for the trajectories of change in wages in the early Labor market were examined. Most of all, the higher the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total amount of living expense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Class 1 than 3. Next, the male, the non-metropolitan area, the private college, the regular work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the higher scholarship, and the lower the total cost of living,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Class 2 than 3. Last, the non-metropolitan area, the private college, the regular worker, the lower the burden of repaying student loans, and the lower the total cost of living,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Class 3 than 1.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학자금대출 수혜자 중 대졸 취업자의 초기 노동시장 임금에 대한 변화궤적을 탐색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장학패널조사의 3-5차년도 자료 중 학자금대출 수혜 경험이 있는 대졸 취업자 1,153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잠재계층성장모형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기 노동시장 임금에 대한 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3개 집단(지속적 증가형, 감소 후 급격한 증가형, 감소 후 완만한 증가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초기 노동시장 임금의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비 총액이 많을수록 ‘감소 후 완만한 증가형’ 집단보다 ‘지속적 증가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남자일수록, 학교 소재지가 비수도권일수록, 졸업한 대학교의 설립유형이 사립일수록, 정규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을수록, 한국장학재단의 장학금 수혜 금액이 낮을수록, 생활비 총액이 낮을수록 ‘감소 후 완만한 증가형’ 집단보다 ‘감소 후 급격한 증가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소재지가 비수도권일수록, 졸업한 대학교의 설립유형이 사립일수록, 정규직일수록,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낮을수록, 교내 장학금 수혜 금액이 낮을수록, 생활비 총액이 낮을수록 ‘지속적 증가형’ 집단보다 ‘감소 후 급격한 증가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교육학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매개를 통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생-교사 애착 수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오인수,반지윤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f daily hassles in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s toward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student-teacher attachment levels.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Results: First, daily hassle was foun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happiness and democratic parental attitudes. On the other hand, daily hassle was identified as a perfect mediator between happiness and authoritarian parental attitudes. However, daily hassl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permissive parental attitudes. Seco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student-teacher attachment. As for the students showing high level of student-teacher attachment, daily hassle showed a perfec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democratic/authoritarian parental attitude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students showing low level of student-teacher attachment, daily hassles showed a perfec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nly between happiness and authoritarian parental attitudes. In addition, as for both groups, daily hassl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permissive parental attitud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effect of daily hassles in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parental attitudes was be discussed. In addi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student-teacher attachment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효과가 학생-교사 애착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대도시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 5~6학년 399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민주적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인 반면, 권위적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허용적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매개효과가 학생-교사 애착의 고・저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학생-교사 애착의 수준이 높은 집단은 민주적, 권위적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한 반면, 애착을 낮게 인식한 집단은 권위적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만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허용적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영향을 논의하였고, 학생-교사 애착의 관계를 고려한 변인의 관계가 지니는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국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장정연,오인수,반지윤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Beijing, China, and the data from 358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a path model. The bootstrapping method and phantom variables were us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overall and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secure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Second, emotional clarit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hile completely mediated that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but did not mediate that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NS addiction proneness and the pedagogic implication of adult attachment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