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취업률 경로 분류와 취업률 결정 요인-대학 진로・취업 지원 현황을 중심으로 = The Factors Determining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mployment Rate - focusing on the career development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higher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system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methods of analysis include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the Logit model and the multinomial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higher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system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methods of analysis include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the Logit model and the multinomial Logit model.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 the employment rates collected from the website of Academyinfo and the ‘2019 Career Employment Statu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LCGA results in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graduates showed two and three development trajectories, respectively. The location and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y graduates. Also,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ies graduates turned out to be ‘job guidance and support’ for full-time faculties, online system use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details,’ and networks such as alumni associations. In the case of colleges, the key determinants fo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included the college location, ‘job guidance and support,’ and the development of 'career guidance courses' for full-time facul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취업 지원 체제가 대학 취업률에 유의하게 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잠재계층성장모형(LCGA), 이항로짓, 다항로짓모형이며, 분석자료는 대학알리미 7개년 ...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취업 지원 체제가 대학 취업률에 유의하게 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잠재계층성장모형(LCGA), 이항로짓, 다항로짓모형이며, 분석자료는 대학알리미 7개년 취업률 자료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취업 현황조사’이다. LCGA 분석한 보정취업률 경로는 4년제는 3개 집단, 전문대 2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4년제 대학은 비수도권에 있는 대학일수록 ‘중-유지’나 ‘고-유지’ 집단보다 ‘저-유지’ 집단, 사립대학이거나 대학 구성원이 ‘진로지도 및 상담 내역 관리’를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할수록 ‘저-유지’보다 ‘중-유지’ 집단, 대학이 졸업생·동창회의 정기적 오프라인 모임을 개최할수록 ‘저-유지’나 ‘중-유지’보다 ‘고-유지’ 집단일 가능성을 보였다. 전문대는 ‘진로 및 취·창업 교육과정 개발’이나 ‘취업 지도 및 지원’에 전임교원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고-유지’ 집단일 가능성을 높이고, 비수도권 전문대학일수록 ‘고-유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낮추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KOSIS)"

      2 신혜숙,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및 취업성과에 대한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의 효과 분석" 교육연구소 15 (15): 201-223, 2014

      3 문영만,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165-187, 2017

      4 강동우, "청년층 지역이동의 특징과 지역 특성의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47-60, 2019

      5 윤윤규, "청년고용의 현실과 정책방향" 한국노동연구원 3-4, 2019

      6 장인성, "청년 취업준비생 증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노동연구원 7-19, 2019

      7 이민욱,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대응을 위한 4년제 대학 교수의 진로지도 역량 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2 (52): 67-95, 2020

      8 유한구, "지방대학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균형인재 육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18): 58-71, 2015

      9 김희삼, "지방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와 지역별 교육격차" 한국개발연구원 32 (32): 55-92, 2010

      10 류장수,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28 (28): 1-27, 2005

      1 "통계청(KOSIS)"

      2 신혜숙,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및 취업성과에 대한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의 효과 분석" 교육연구소 15 (15): 201-223, 2014

      3 문영만,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학회 25 (25): 165-187, 2017

      4 강동우, "청년층 지역이동의 특징과 지역 특성의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47-60, 2019

      5 윤윤규, "청년고용의 현실과 정책방향" 한국노동연구원 3-4, 2019

      6 장인성, "청년 취업준비생 증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노동연구원 7-19, 2019

      7 이민욱,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대응을 위한 4년제 대학 교수의 진로지도 역량 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2 (52): 67-95, 2020

      8 유한구, "지방대학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균형인재 육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18): 58-71, 2015

      9 김희삼, "지방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와 지역별 교육격차" 한국개발연구원 32 (32): 55-92, 2010

      10 류장수,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28 (28): 1-27, 2005

      11 송지은, "지방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1-47, 2018

      12 황규희, "전공특성을 고려한 대학취업률지표 개선방향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13 채구묵,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35-61, 2007

      14 김병주, "신규 대졸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243-268, 2013

      15 조영하,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437-462, 2008

      16 윤수경, "대학생의 취업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131-160, 2014

      17 박천수, "대학생 진로교육 참여와 노동시장 성과" 한국노동연구원 18 (18): 51-75, 2018

      18 이영민, "대학생 선호직장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취업준비행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3 (53): 337-374, 2014

      19 신혜숙,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성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211-235, 2013

      20 허균, "대학 진로・취업 프로그램이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47-61, 2016

      21 유동형, "대학 전공계열과 졸업 후 첫 일자리의 성과분석- 예체능 계열과 다른 계열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사회과학원 27 : 149-182, 2012

      22 노경란,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 참여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여부, 고용형태, 일자리 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학회 49 (49): 63-92, 2011

      23 임다희, "대졸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금 및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6 (16): 529-554, 2014

      24 조희숙, "대졸자의 첫 직장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대학특성 요인" 교육종합연구원 12 (12): 263-280, 2014

      25 김영식, "대졸자의 사회적 자본과 취업 및 임금 간의 관계 분석: 공식·비공식 조직에의 참여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6 (16): 171-193, 2018

      26 이만기,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준비활동의 영향 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5 (5): 115-138, 2015

      27 길혜지, "대졸자의 고용형태 결정요인 분석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26, 2014

      28 박환보, "대졸자 취업에 미치는 개인배경과 대학 특성의 영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14): 1-25, 2011

      29 채창균,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89-107, 2009

      30 이규용,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3 (3): 69-93, 2003

      31 황여정,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3, 2008

      32 김희삼, "고등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와 서열구조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8-47, 2007

      33 Galego, A., "Understanding the transition to work for first degree university graduates in Portugal" 33 : 44-61, 2011

      34 Pozzoli, D., "The transition to work for Italian university graduates" 23 (23): 131-169, 2009

      35 Biggeri, L., "The transition from university to work: a multileve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the time to obtain the first job" 164 (164): 293-305, 2001

      36 Biggeri, L., "The transition from university to work: a multileve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the time to obtain the first job" 164 (164): 293-305, 2001

      37 Salas-Velasco, M., "The transition from higher education to employment in Europe: the analysis of the time to obtain the first job" 54 (54): 333-360, 2007

      38 Betts, J., "The role of university quality in determining post-graduation outcomes: Panel evidence from three recent Canadian cohorts" 2000

      39 Livanos, I.,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education and labour market in Greece: the weakest link?" 60 (60): 473-489, 2010

      40 Jaunky, V. C., "The School-to-Work Transition for University Graduates in Mauritius: A Duration Model Approach" University of Finland 2-7, 2007

      41 Andruff, H., "Latent class growth modelling: a tutorial" 5 (5): 11-24, 2009

      42 Reimer, D., "Labor market effects of field of study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 analysis of 22 European countries" 49 (49): 233-256, 2008

      43 Granovetter, M., "Getting a job: A study of contacts and career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44 Reimer, D., "Gender differentiation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al specialization and labour market risks in Spain and Germany" Mannheimer Zentrum für Europ 2007

      45 Sagen, H. B.,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s on the initial employment success of college graduates" 41 (41): 753-767, 2000

      46 Greene, W. H., "Econometric Analysis" Pearson Education Limited 2012

      47 Ho, H. F., "Consolidating the University Career Service System in Taiwan" 10 (10): 148-154, 2017

      48 Jones, B. L., "A note on a Stata plugin for estimat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s" 42 (42): 608-613, 2013

      49 김정희, "4년제 대학교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진로교육전담기구 현황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28, 2016

      50 한상근, "2019 국가진로교육센터 운영 지원 1.진로교육 현황조사: 대학 진로취업지원 현황조사(2019)"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38 1.21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