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취업률 경로 분류와 취업률 결정 요인-대학 진로・취업 지원 현황을 중심으로

        송선혜,유한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higher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system on the employment rate of higher education graduates. The methods of analysis include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the Logit model and the multinomial Logit model.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 the employment rates collected from the website of Academyinfo and the ‘2019 Career Employment Statu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LCGA results in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graduates showed two and three development trajectories, respectively. The location and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y graduates. Also,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ies graduates turned out to be ‘job guidance and support’ for full-time faculties, online system use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details,’ and networks such as alumni associations. In the case of colleges, the key determinants fo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the employment rates included the college location, ‘job guidance and support,’ and the development of 'career guidance courses' for full-time faculties.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취업 지원 체제가 대학 취업률에 유의하게 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잠재계층성장모형(LCGA), 이항로짓, 다항로짓모형이며, 분석자료는 대학알리미 7개년 취업률 자료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취업 현황조사’이다. LCGA 분석한 보정취업률 경로는 4년제는 3개 집단, 전문대 2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4년제 대학은 비수도권에 있는 대학일수록 ‘중-유지’나 ‘고-유지’ 집단보다 ‘저-유지’ 집단, 사립대학이거나 대학 구성원이 ‘진로지도 및 상담 내역 관리’를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할수록 ‘저-유지’보다 ‘중-유지’ 집단, 대학이 졸업생·동창회의 정기적 오프라인 모임을 개최할수록 ‘저-유지’나 ‘중-유지’보다 ‘고-유지’ 집단일 가능성을 보였다. 전문대는 ‘진로 및 취·창업 교육과정 개발’이나 ‘취업 지도 및 지원’에 전임교원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고-유지’ 집단일 가능성을 높이고, 비수도권 전문대학일수록 ‘고-유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낮추었다.

      • KCI등재

        베이지안 공간 모형을 이용한 고등학교 경제 교과의 지역 차 분석

        송선혜,한경동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228개 시군구 자료를 이용하여 고등학교 경제 교과 개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한다. 경제 교과 개설 학교 수의 공간상관관계를 Moran’s I test로 확인하고, 베이지안 접근법인 INLA(Integrated Nested Laplace Approximation)를 이용한 공간모형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지역의 인구, 경제적 특성, 자율고 설치, 투표율이 경제 교과 개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둘째, 특목고 설치 여부와 문화시설은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일반사회 교사 수나 사설학원 수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influencing factors on opening economics course in high school by using 228 data from SIGUNGU(district level). Spatial correlation of the number of high school opened economics course in the 228 SIGUNGU was detected by Moran`s Ⅰtest. This paper used the spacial model fitted Beysian methods, INLA(integrated nested Laplace approximations) with main focus on count data.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ⅰ) population,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autonomous high school, and the turnout of local regions had positive impact on opening economics course in high school and ⅱ)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cultural facilities had negative effect on opening economics course in high school. Finally, it was founded that the effect from the number of social studies teachers an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pening high school economics course.

      • KCI등재

        경제학 이해도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송선혜 ( Seon Hye Song ),장경호 ( Kyungho Jang ),한경동 ( Kyungdong Hahn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5 경제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는 성별 간 경제학 이해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일경제신문사가 주관하는 매경테스트 2013년 제17회 자료를 활용하여 Z-점수를 산정하고, t-검증과 OLS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t-검증에서 남자의 경제 영역 Z-점수가 1점 미만 수준으로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내용 영역, 행동 영역, 문항 형식, 자료 제시 형식 등의 모든 문항 유형에서 여자보다 남자의 Z-점수가 높게 나타난다. 둘째, OLS 분석 결과 경제 영역과 모든 문항 유형에서 여자보다 남자의 Z-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경계열, 대학교 3·4학년생, 서울시 응시자일수록 Z-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t-검증과 OLS 분석 결과에서도 남자의 Z-점수가 여자보다 우위를 보였다. 또한, 대학생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에서는 성별 차뿐 아니라 학년 차이도 확인되었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gender difference in economics knowledge understanding, using the MK test organized by the Maeil Business Newspaper. Z-scores are calculated, and t-tests and OLS analyses a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Z-scores of males a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s in all item types such as realm contents, item formats and data presentation types. Second, the results of OLS analyses also show that males have higher scores than females in all item types. In addition, the students majoring economics or business, being junior-senior, and taking the test in Seoul get higher scores. Third, the results of t-tests and OLS analyses targeted at college students show that males perform better than females, and grade gap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in economics knowledge understanding are identified.

      • KCI등재

        직업계고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 진로지도 및 취업지원을 중심으로

        송선혜(Song, SeonHye),유한구(Ryu, Hangu),이영석(Lee, YoungSeok) 한국노동연구원 2021 노동정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KEEPⅡ) 자료를 사용하여 학교의 진로지도와 취업지원이 직업계고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할 때 발생하는 표본편의 문제를 고려하여 Heckman 표본선택모형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동아리 경험을 제외한 진로교육 경험은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거나 부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취업지도 변수 중 취업상담, 구직활동지도, 취업처 연계만 취업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현장견학을 제외한 진로지도 변수들은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취업지도 변수들도 일자리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계고 졸업생들이 양질의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도록 교내 학교 내 진로·취업 지도 경험의 내실화가 필요함을 내포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career guidance and job support in school on outcomes in the labor market for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secondary education, using the data of 「Korea Education Employment Panel Survey II(KEEP II)」. We used the Heckman sample selection model for analysis to overcome sample selection bias, which is generated by perform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only information on the employed.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guidance variables, excluding career club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or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Second, among the job support variables, only job counseling, job search guidance, and company connections had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Third, career guidance variables other than field trip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mployment, and job guidance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qua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career guidance and job support in school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high school graduates are able to get jobs.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일반사회 교과목의 성적 등급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고용패널을 이용하여

        송선혜 ( Seon Hye Song ),한경동 ( Kyung Dong Hahn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4 경제교육연구 Vol.21 No.2

        This paper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performance level of students who select economics, law and society, politics, or society and culture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using the 5th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from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select economics for CSAT had significantly better scores on language, mathematics, and foreign language than those who select politics, and society and culture; second, the results of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indicate high school types and school grades are significant factors that determine performance levels for CSAT.

      • KCI우수등재

        HPTLC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염색 원단의 알러지성 분산염료 정량분석에 관한 연구

        강미영,송선혜 한국섬유공학회 2022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9 No.3

        In this study, allergenic dispersed dyes Red1, Blue3, and Orange3 were dyeing at 0.05%, 0.1%, and 0.5% o.w.f. concentrations on polyester fabrics, and the dyeing fabrics were extracted with Pyridine and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HPTLC(high 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developing solvent of the HPTLC stationary phase(plate) was mixed and development in a ratio of toluene: acetone (20:1 v/v), the concentration of the calibration curve of each allergenic dispersed dyes was 0.1 to 10 g/l,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was 0.999 or more. The quantitative limit was about 0.012 to 0.033 g/l and the detection limit was 0.039 to 0.105 g/l, and as a result of the precision test, the dispersion coefficient (C.V.) was less than 0.9%.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HPTLC and HPLC,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ach mixed dye allergenic dispersed dyes can be measured by HPTLC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