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 그리고 우리에 관하여 : 1980년대 후반 김영현, 임철우, 최윤의 5.18 관련 소설을 중심으로

        김명훈(Kim, Myong-Hoon)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7 No.-

        1950년대에 출생하여 1980년에 막 성인이 된 세대인 김영현, 임철우, 최윤 등은 1987년 6월항쟁 전후에 5.18에 관한 소설을 썼다. 이 작품들이 지금도 문학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오월 소설’로 남아 있다는 점은 이 세대의 문제의식이 ‘오래된 현재’로서의 87년 체제를 사유하는 데에 중요한 참조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고에서는 이 세대의 5.18 서사가 ‘우리’라는 관념을 재사유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 착목하여 87년 체제와 함께 시작된 이들의 ‘오월 소설’ 창작과 그 속에 내재된 5.18에 대한 해석적·윤리적 판단의 의미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1951년 거창과 1980년 광주, 그리고 1987년 현재에 이르는 국가폭력의 구조적 동일성을 문제 삼은 김영현의 「불울음소리」는 서사적 개연성을 포기하면서까지 5.18을 희생자의 서사로 해석하고 재현한다. 이러한 해석적·미학적 판단은 5.18에 대한 ‘우리 세대’의 죄책감에 긴박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작가가 자기 세대의 세대적 정체성을 윤리적 판단에 의해 구체화하고 있다는 점이라 하겠다. 1980년 5월 광주를 ‘다큐멘터리적인 형식’으로 복원하겠다는 의도에 따라 창작된 임철우의 『봄날』은 일반적인 해석과는 달리 사실 재현의 욕망과 픽션의 욕망이 경합하는 작품이다. 한씨 일가의 연대기를 중심으로 ‘픽션적 욕망’을 강하게 드러내는 초반부와 달리, 『봄날』의 중후반부는 ‘사실 재현의 욕망’에 충실한 서술 방식으로 수렴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낙차는 87년 체제의 성립 이후 5.18이 지나간 역사로 정리되어 가는 현실과 화해할 수 없었던 임철우의 윤리적 판단으로부터 기인하는데, 이 화해의 불가능성은 최윤의 「꽃잎」에서 더욱 복잡하고 인상적인 방식으로 제시된다. 「꽃잎」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3, 6, 10장의 화자로 설정된 ‘우리’이다. 작품 속에서 ‘우리’는 죽은 친구의 누이를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 여행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밝힐 수 없는 공동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작품 속에 나타나는 ‘우리의 관계’는 모두 누군가의 죽음이나 떠남에 긴박되어 있기 때문이다. 프롤로그의 화자는 여행이 끝난 시점에서 더 이상 ‘우리’라는 말을 입에 담지 않음으로써 ‘밝힐 수 없는 공동체’로서의 우리를 승인한다. 이들의 소설에서 드러나는 ‘우리’에 대한 관념은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우리’라는 말의 무게와 책임에 민감하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세대의 ‘오월 소설’이 갖는 의의란, 87년 체제 이후 민주화라는 대의에 의해 통합되어 가던 우리의 ‘관계’ 내부에 여전히 수많은 죽음들이 분유되어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고 문학사에 기록해주었다는 점이라 하겠다. Kim Young-hyeon, Im Cheol-woo, and Choi Yoon, the generations born in the 1950s and just grown up in 1980, wrote novels about 5.18 before and after the June Uprising of 1987. The fact that these works still remain the most important ‘may novels’ in literary history suggests that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generation can be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contemplating the 87regime as the ‘old present’. In this paper, noting that the 5.18 narrative of this generation was constructed in a way that rethinks the notion of ‘we’, tried to specify the meaning of these writer’s creation of ‘May Novel’ started with the 87regime and interpretive and ethical judgment about the ‘May Gwangju’. Kim Young-hyeon s “Fire cries”, which took the structural identity of national violence into question, interprets 5.18 as a victim’s narrative, even giving up the narrative probabilities. This interpretive judgment is problematic in that it stems from the guilt (ethical judgment) of the generation Kim Young-hyun called ‘our generation’. Im Cheol-woo’s Spring Day,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restoring 5.18 as a ‘documentary form’, is a work in which the desire for representation and the desire for fiction are in conflict, unlike general interpretations. This is because unlike the first half, which strongly reveals ‘fictional desire’, centering on the chronology of the Han’s family, the mid-to-late half of Spring Day converges in a narrative style that is faithful to the ‘desire of factual representation’. This gap stems from Im Cheol-woo’s ethical judgment, who was unable to reconcile with the reality that 5.18 has been organized into histor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87regime. And this im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is presented in a more complex and impressive way in Choi Yun s “There A Petal Silently Falls”. In this regard, it should be noted that ‘we’ is set as the narrators of chapters 3, 6, and 10. In the work, ‘we’ is set to go on a trip to find the sister(girl) of a dead friend. Through this trip, ‘we’ realizes that we are a ‘community that cannot be revealed’. This is because the ‘our relationship’ that appears in the work is all urged to die or leave. Prologue s narrator approves us as a ‘community that cannot be revealed’ by not saying ‘we’ anymore at the end of the trip. The notion of ’we’ revealed in their novels differs little by little. However, it is common in that they are sensitive to the weight and responsibility of the word ‘we’. In that sense, the importance of this generation’s ‘May novel’ is that it has been recor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without forgetting the fact that many deaths still exist within our ‘relationship’, which had been unified by the cause of democratization after the 1987 regime.

      • KCI등재

        동학 문헌 『도원기서』와 『대선생주문집』의 선후 관계: 최제우 전기의 성립연대에 관한 비판적 고찰

        조성환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4 No.-

        Among the scriptures that convey the history of early Donghak, there is a book called “Dowongiseo(道源記書)” written in 1880. The first half records the biography of Choi Je-woo, the founder of Donghak, and the second half is about the activities of Choi Si-hyeong, who followed him and led Donghak. However, there is a document called “Taesŏnsaengjumunjip”(大先生主文集) that describes only the contents of the first half of the book. So, Taesŏnsaengjumunjip is a kind of a biography of Choi Je-woo. The poin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1985, Pyo Young-sam said that Taesŏnsaengjumunjip was first written, and based on it, Dowongiseo was written. However, in 2004, he revised his old theory and proposed a new one that Dowongiseo first written, and the first half of it was transcribed to be Taesŏnsaengjumunjip. In 2021, Kim Young-oak claimed in Tonggyŏngdaejŏn 1, “In 1865, Park Ha-seon wrote Taesŏnsaengjumunjip, and the revised version of it was Dowongiseo in 1880.” And he said that his argument was based on the doctrine of Pyo Young-sam. However, the theory of Pyo has changed around 2004. Thus, Kim’s theory corresponds to the old theory of Pyo Young- sam. In addition, the evidences presented by Kim are less persuasive. In the essay, I try to examine the fact that Dowongiseo was written before the Taesŏnsaengjumunjip through a critical examination of Kim’s theories. 초기 동학의 역사를 전하는 문헌 중에 1880년에 작성된 『도원기서(道源記 書)』가 있다. 전반부는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의 행적을, 후반부는 그 뒤를 이어 동학을 이끈 최시형의 활동을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전반부에 해당하는 내용만 따로 전하는 문헌으로 『대선생주문집(大先生主文集)』이 있다. 그래서 『대선생주문집』은 최제우의 전기에 해당하는 셈이다. 문제는 양자의 선후 관계이다. 1985년에 표영삼은 『대선생주문집』이 먼저 작성되었고, 그것을 토대로 『도원기서』가 집필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다가 2004년에는 자신의 학설을뒤집어서, 『도원기서』가 먼저 작성되었고 그것의 전반부를 필사한 것이 『대선생주문집』이라고 수정하였다. 그런데 최근에 김용옥은 『동경대전 1』에서“1865년에 박하선에 의해서 『대선생주문집』이 작성되었고, 그것을 보완한 것이 1880년의 『도원기서』이다”라는 주장을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학설은 표영삼의 견해에 근거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표영삼은 2004년 무렵에 학설이 바뀌었다. 따라서 김용옥이 말하는 표영삼의 학설은 1985년의 전기 학설에해당하는 셈이다. 뿐만 아니라 김용옥이 제시하는 근거는 설득력을 결여하고있다. 이 글에서는 김용옥의 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서 『도원기서』가『대선생주문집』보다 먼저 성립했음을 10가지 항목으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 KCI등재

        드라마의 극작법과 극적 장르의 문해력 - 김우진의 <이영녀> 분석을 통해

        김기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6

        In this article, the dramaturgie of Kim Woo-jin's <Lee Young-nyeo> (1925) was analyzed, and the dramatic characteristics of drama as a modern drama were examined, and the meaning of drama as a major dramatic form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literacy of dramatic genre(Dramatik). Western realism play, which were the subject of imitation to make new plays in the 1920s when the theory of Western drama theories were introduced, was drama. Drama is a third dramatic genre after tragedy and comedy in the world theater history. The dramatic form called drama was selected as the modern theater by the beginning of the modern age of the 19th century. Such as the novel as a modern narrative genre, the drama became popular reflecting the modern world view. Since then,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melodrama, and it is still popular such as movies, TV dramas and animations. Kim Woo-jin was a person who realized the New Drama Movement in the 1920s in both theory and practice. His four plays reflect the dramatic genres of the 20th century. That is, he presented new avant- garde forms of play, not drama forms such as expressionism and dream theater. Expressionism, impressionism, and dream theater would overcome the drama. Kim Woo-jin recognized the difference of them in the internal strategy and external form. Based on this recognition, Kim Woo-jin seems to have sought a dramatic form to be modern drama. Of his four plays, <Lee Young-nyeo> which was released in the form of a drama. The conflict between environment and Lee Young-nyeo revealed in this work, the accusation of reality through its dialectical orientation, and the episodic plot to reveal the life itself of female prostitute workers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rete ideology and implications of modern drama with <Lee Young-nyeo> in relation to the literacy of dramatic genre. It is also a work that suggests an “doing literacy”, beyond the understanding of the dramatic text on the theme and content. 이 글에서는 근대 드라마(drama)인 김우진의 <이영녀>(1925)의 극작법을 분석하여, 근대극으로서 드라마가 지니는 극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극적 장르의 문해력과 연관하여 고찰했다. 서구 극 이론이 본격적으로 소개되던 1920년대 희곡 창작의 모방의 대상이 된 서구적 리얼리즘 연극이란 드라마 형식이 구현된 희곡을 의미했다. 드라마는 비극, 희극에 이은 제3의 장르로 서구 유럽연극사에 등장했다. 드라마가 그 영향력을 발휘하던 시대는 19세기 근대의 시작과 함께 한다. 마치 소설이라는 장르가 근대적 서사장르로 선택되었던 것처럼, 드라마라는 극적 형식은 근대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근대극으로 인기를 끌었고, 이후 멜로드라마로 변주되면서 영화, TV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컨텐츠로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다. 초성(蕉星) 김우진(金祐鎭)은 현장의 연극 작업은 물론 평론 발표와 희곡 창작을 통해 1920년대 신극 운동을 실천과 이론면에서 모두 구현한 인물이다. 특히 김우진이 발표한 희곡 4편은 20세기 서구 유럽연극사의 장르적 각축을 고루 반영하고 있다. 곧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유럽의 드라마(drama) 형식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표현주의, 인상주의, 꿈의 연극 등 비(非)드라마의 각축을 반영하듯 표현주의, 꿈의 연극 등 드라마 형식이 아닌 새로운 전위적 형식의 희곡을 한 작품씩 발표했다. 이는 김우진이 단순히 문학으로서의 희곡이 아니라, 희곡 각각의 내적 전략이자 외화된 형식으로서의 극작법의 차이를 극 장르의 중요한 창작요소로 인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김우진은 근대극의 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 극적 형식을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1925년 탈고했으나 유고로 발표된 <이영녀>는 드라마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드러나는 환경과 인물의 갈등과 투쟁, 그것의 변증법적 지향을 통한 현실 고발, 특히 여성 성매매 노동자의 삶 그 자체를 리얼하게 행동으로 드러내기 위한 에피소드식 플롯 등은 당대 사실주의를 반영한 드라마의 극작법으로 김우진의 근대극의 이념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김우진이 드라마 형식을 통해 구현하려 한 근대극의 구체적 이념과 함의를 살펴보고, 그것이 지금 여기에서 여전히 유효한 문해하기의 대상임을 고찰했다. 이는 기존의 서사장르와 구분되지 않는 주제와 내용 중심의 희곡 독해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문화적 문해력을 위한 극장르의 문해력의 분석 항수를 제시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 KCI등재

        관동대지진, 소문과 증언과 문학

        권보드래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1

        관동대지진기 조선인 학살에 관한 문서 대부분은 학살의 잔혹상을 증언하는 내용이다. 사건 자체에 대한 증언을 넘어서 사건이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향방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질문되고 구성된 일은 드물다고 하겠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인 학살 관련 문학 텍스트를 통해 증언 이상의 문학화 시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김기진의 에세이와 김동환의 서사시, 그리고 정우홍의 소설과 송영의 소설·희곡을 다루되 관동대지진 관련 일본 텍스트 등과의 교차를 통해 그 의미를 입체화하려 했다. 김기진의 에세이(「마음의 폐허」) 등은 관동대지진 체험을 인류화·보편화한다는 점에서, 김동환의 장편 서사시 『승천하는 청춘』은 남녀간 사랑을 통한 학살 경험의 승화·초월을 기도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바 있다. 정우홍의 「진재전후」와 송영의 1923년 배경 소설 및 희곡은 대지진 경험을 좀더 긴 시간축에 위치시키면서 트랜스내셔널한 연대의 가능성을 재구성하려고 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김기진·김동환이 ‘숭고’의 전략을 구사한다면 정우홍·송영은 ‘연대’의 가능성을 시사함으로써 대지진기 경험을 문학화한다. 돌이켜보건대 당시 문학에서 대지진을 직·간접적으로 다룬 텍스트 중 학살의 잔혹상 자체를 초점으로 한 종류는 거의 없다. 검열로 인한 난관을 고려해야겠으나, ‘증언 이후’를 생각해야 할 현재 시점에서는 이들 텍스트를 회피나 우회로 평가하기보다 대지진기 경험을 그 시공간적 제한성을 넘어서 의미화하려 한 시도로서 기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massacre of Koreans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is an event that still casts a deep shadow over East Asia although 100 years have passed. Since 1945, through the dedicated efforts of many scholars and civic groups, a significant number of testimonies have been collected and recorded, making up most of the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the massacre of Koreans. As such, many of the documents created about this incident testify to the brutality of the massacre. Beyond the testimony of the incident itself, it is rare to be questioned and constructed what it had been in the afterliv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examine attempts to approach a variety of literary responses to the massacre rather than few commitment to testimony. To this end, I picked up Kim Ki-jin’s essay, Kim Dong-hwan’s epic poem, Jeong Woo-hong’s novel, and Song Young’s novel and play, and placed them in the intersection with texts of Japanese writers or voices from contemporary Korean-Japanese. Kim Ki-jin’s essay (“Ruins of the Heart”) universalizes the experience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s a revolutionary one, while Kim Dong-hwan’s long epic poem “Ascending Youth” prays for the sublimation and transcendence of the such a terrible experience of massacre through love. It is also noteworthy that Jeong Woo-hong’s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and Song Young’s 1923 background novel and play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possibility of transnational solidarity by placing the experience along a longer time axis. While Kim Ki-jin and Kim Dong-hwan use the strategy of ‘sublimity’, Jeong Woo-hong and Song Young recollect the experience by contemplationg upon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ll of them refused or evaded a representation of the massacre as nothing but a brutal genocide, but transformed it into a bitter but reflected experience for a rebirth of a nation and the world. This might be primarily due to censorship and their efforts were not successful, but we need to think about “a path beyond testimony” through these examples. In this sense, it is recommendable to remember these texts as an attempt to reappreciate the earthquake and the massacre rather than denying these texts as avoidance or detours.

      • KCI등재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주한 일본공사 이노우에의 개입과 대원군의 정치적 몰락— 이준용역모사건과 김학우암살사건을 중심으로 —

        김영수 수선사학회 2022 史林 Vol.- No.81

        At that time, diplomatic and personal records mainly focused on Dae-Won-Gun and Lee Jun-Yong, who were behind the assassination of Kim Hak-Woo in 1894. Most of the records of people who served as bureaucrats after the Gabo Reform(Kim Hong-Jib Cabinet) and diplomatic records of foreign missions in Korea were initially recorded as being the planners of Lee Jun-Yong and the masterminds of Dae-Won-Gun. However, as time passed, both the planners and the masterminds behind the Kim Hak-Woo assassination were identified as Dae-Won-Gun. In the end, Dae-Won-Gun planned the assassination of Deputy Minister of Justice Kim Hak-Woo in order to cover up Lee Jun-Yong's rebellion. In the course of a special court trial in April 1895, Minister of Justice Seo Gwang-Beom attempted to remove Lee Jun-Yong with extreme punishment. The Japanese minister in Seoul Inoue suspected the Ministry of Interior Park Young-Hyo and Queen Min. This means that Queen Min intervened behind her and instigated Lee Jun-Yong to be punished with extreme punishment. There is something peculiar about the judgment of the special court in April 1895. The first is the fact that no relationship can be found between Lee Jun-Yong and Dae-Won-Gun. The special court substantiated the charges against Lee Jun-Yong, but made no mention of any connection with Dae-Won-Gun. Second, Lee Jun-Yong did not intend to assassinate Queen Min. In the end, the special court deliberately concealed Lee Jun-Yong's assassination of Queen Min and Dae-Won-Gun's indirect intervention. Before and after the Gabo Reform, Dae-Won-Gun chose Lee Jun-Yong as the successor of King Gojong and tried to make his grandson the heir to the throne. The cases that prove this were the assassination of Kim Hak-Woo and the rebellion of Lee Jun-Yong. In this situation, King Gojong judged that Lee Jun-Yong was a threat to his throne and continued to check it. After that, Dae-Won-Gun planned Lee Jun-Yong's trip to Japan under the pretext of studying abroad. As a result, Lee Jun-Yong left Seoul on December 25, 1895 and fled to Japan. .

      • KCI등재

        1920년대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의 수용 연구

        황정현 ( Jung Hyun Hw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1

        이 논문은 카렐 차페크Karel capek의 희곡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Rossum`s Universal Robots(이하 R.U.R.이라 칭한다)」이 1920년대 국내에 수용된 양상을 고찰하고 시대적 의미를 찾고자 한다. 『R.U.R.』은 오늘날 과학 분야를 넘어 일상의 기본 개념 중 하나가 된 ‘로봇’이라는 용어를 처음 등장시킨 작품으로, 1923년 이광수에 의해 처음 국내에 소개된 이후 김기진, 박영희, 김우진 등 당대의 대표적인 문인들에 의해 재차 번역 또는 비평의 대상이 되었다. 이들은 『R.U.R.』 이해와 수용에 있어 상이한 방식과 관점을 취하는데, 이는 각자의 시대인식과 문학적 태도가 반영된 결과이다. 김기진과 박영희는 자신들이 주장한 프로문학의 맥락에서, 『R.U.R.』의 로봇과 인간을 각기 노동자와 자본가로 치환하고, 이 작품이 노동 계급 혁명의 승리를 그리고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원작의 플롯과 인물의 성격은 역술 과정에서 선택, 변형된다. 박영희의 역술 「인조인간에 나타난 여성」은 작품의 플롯을 취사선택하고 여성인물의 성격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비 노동 계급’과 ‘여성’에 대한 이중의 계몽 의식을 보여준다. 이광수와 김우진은 이 작품이 근대기술문명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고 보았지만, 구체적인 이해의 내용은 상반된다. 이광수는 「인조인」 역술에서, 인간의 내적 수양을 통해 로봇의 지배가 상징하는 물질문명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이해는 훗날 ‘상의 문학’을 주장한 그의 문학관과 상통하는 것이지만, 사회 구조의 문제를 개인의 차원으로 치환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반면 김우진은 일련의 평론에서 예술이 철저한 시대인식과 투쟁 의지를 담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R.U.R.』이 자본주의와 군국주의의 결탁 하에 발생하는 근대기술문명의 폐해를 잘 보여준다고 평가한다. 차페크와 『R.U.R.』에 대한 그의 평론들은, 차페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담고 있으면서, 동시에 당대 조선 문학에 대한 그의 비판적 견해와 확고한 문학관을 보여준다. 1920년대 『R.U.R.』의 수용 양상은, 식민지 경제구조에서 근대기술문명과 자본주의의 도입이라는 급격한 변화를 맞닥뜨려야만 했던 당대 문학 담당층의 시대인식과 고민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traces the context in which the Korean translation of Karel capek`s play Rossum``s Universal Robots (R.U.R. hereafter) was introduced and received in Korea of the 1920s, and also examines the contextual significance of the afore-mentioned phenomena. R.U.R. is the work where the term "robot", which has become a familiar concept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not restricted in the science filed, appeared for the first time. First introduced by Yi Kwang-soo in 1923, this play was translated by representative Korean men of letters of the time, such as Kim Gi-jin, Park Young-hee, and Kim Woo-jin, becoming the subject of criticism. The men of letters above take different methods and perspectives in the reception of R.U.R., which reflects each man of letters` unique recognition of the time and literary attitude. Kim Gi-jin and Park Young-hee, in the context of proletarian literature, identify robots with workers, and humans with capitalists in the play. As a result, the plot and the characters of the original text are selected and deformed in their work. Especially Park Young-hee`s Women Who Appear in the Android, in the course of interpreting the personality of women characters "non-working class," shows the double enlightenment awareness of the "female" and a "non-working class". Yi Kwang-soo and Kim Woo-jin regard that this play includes a criticism of the modern technology and civilization, but the specific contents of their understanding is contradictory. Yi Kwang-soo insists that the human being can get out of the material civilization, which is symbolized by the rule of robots, through the internal discipline. This idea has a limit in that it reduces the problem of social structure to the personal dimension. On the other hand, Kim Woo-jin, while claiming that art must have a through recognition of the time and strife consciousness, says that R.U.R. shows well the evil originated in the collusion of capitalism and militarism. Kim Woo-jin`s critical comments on Capek and R.U.R. displays not only deep understanding of the play, but also expresses his critical opinion and perspectives on Korean literature in the current days. In conclusion, the Korean reception of R.U.R. in the 1920s intensively illustrates the concerns and recognition of time shared by the contemporary Korean literary mens who were faced with the radical changes, that is, the introduction of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the capitalism.

      • KCI등재후보

        김수영과 박봉우 시의 현실인식 변화 연구

        김사홍(Kim, Sa-hong) 한국비평문학회 2014 批評文學 Vol.- No.54

        본고는 4·19혁명을 전후한 김수영과 박봉우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현실인식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한다. 우선 4·19혁명 이전, 즉 1950년대에는 두 시인 모두 객관 현실이 인간의 개별적 삶에 관계하는 양상을 형상화하기 보다는 자신의 신념이나 내적 가치 규준을 형상화 할 수 있는 대상을 찾고 그것에 자신의 내면을 투사하는 과정을 거쳐 작품을 만들어 낸다는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이라면 작품에서 드러나는 박봉우의 현실인식과 신념이 50년대 전후(戰後) 시기의 한국사회에서는 선구적인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지만 김수영의 경우에는 구체적이지 못하고 관념적 양상을 보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과 대면하는 두 시인의 모습은 4·19혁명 이후 극적으로 변화한다. 박봉우는 4·19혁명의 실패 이후 비통과 비관의 정조를 지속적으로 표출해 내지만 그 어디에서도 객관현실의 구체적 형상화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객관적 현실인식의 한계에 부딪쳐 관념적 양상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 김수영은 객관현실과 대면하는 자신의 내면에서 생성되는 긴장, 통찰의 순간들을 일상 속에서 형상화함으로써 현실인식에 있어서의 리얼리즘적 면모를 보여주며, 이 시기 한국 시문학사에 다시없을 미적 성취를 거두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o change of perception of reality around 4·19 revolution. Before 4·19 revolution, Two poets kept human personal life away from objective reality and searched a suitable object showing inner value and faith. It is their commonness. The difference is that Park"s perception of reality and faith was recognized as forerun thing in Korea 1950’. But in Kim’s case, It was abstract and spiritual. After failure of 4·19 revolution, Park expressed continuously a pessimism and grief but could not make a concrete shape. Park’s poetry showed an ideal aspect because of limit of perception of reality. On the other side, Kim shaped the moment of tension and insight from himself interviewing objective reality. Kim shows the realistic aspect in perception of reality. Kim had made the unique and the only asthetic achievement on history of Korean poetry.

      • KCI등재

        일제강점기 개성상인 崔善益의 언론・문화사업

        이철성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7

        This is a case study of Choi Sun-ik, an entrepreneur from Gae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changed from being a ginseng capitalist in Gaeseong to being a modern entrepreneur, and gradually moved his activities from his hometown of Gaeseong to Seoul while investing in newspapers and cultural businesses. Choi Sun-ik, the son of a wealthy person in Gaeseong, suddenly became a millionaire when he inherited a huge fortune at the age of 16. His father Choi Seong-gu's foundation was engaged in traditional Gaeseong industries such as ginseng cultivation and a loan business. However, in the 1920s, he invested in electronics, rubber, and weaving in the form of a joint stock company in connection with the wealthy and youthful elites of Gaeseong. He actively engaged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such as directly operating Gaeseong Trading Co., Ltd. In the 1930s, he expanded his operations to Incheon and Seoul, also operating trade, finance and liquor companies. He was described by the media as a “young cultural entrepreneur” and he was very active in the 1920s and 1930s. This is because,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he jointly took over the publishing rights of the Chosun Ilbo with Shin Seok-woo in 1925, and took over the publishing rights of the Chosun JoongAng Ilbo in 1932. Also, in 1925, he invited a professional operator and childcare teacher and opened the Susong-dong Kindergarten equipped with the latest facilities. Choi Sun-ik's human network was formed of three elements. First, he entered Seoul Choongang High School without going to high school in Gaeseong ; second, he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traditional aristocrats and new intellectuals while living in Bukchon, Seoul ; Third, he was in close contact with Gaeseong people who studied in Seoul or Japan. As a result, he made connections with influential figures of the time such as Kim Seong-su, Ahn Jae-hong, Song Jin-woo, and Yeo Woon-hyeong, as well as Kim Dong-seong, Lee Seon-geun, Gong Seong-hak, Ko Han-seung, Jin Jang-seop, Ma Hae-song, Kim Young-bo, etc. Using those connections, he was able to advance into newspapers and cultural businesses. However, at that time, newspaper management suffered from severe financial difficulties, frequent business suspensions, and increasing debt. In the process, Choi Sun-ik also suffered huge personal losses as he gave up the management of the newspaper and the operation of the Susong-dong Kindergarten. It is clear that newspapers and cultural business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quired managers with a clear will rather than a clear investment profit. After leaving the Chosun JoongAng Ilbo, Choi Sun-ik lived as an entrepreneur and did not engage in cultural business. After liberation on August 15th, he again stood at the center of social controversy as an executive of Kyungsung Electric Co., Ltd. Research on this episode of his life is a task for the future.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개성 출신의 실업가 崔善益(夢草, 1904~?)을 통해서, 개성의 인삼 자본가가 근대 기업가로 변신하고, 다시 언론・문화사업에 투신하면서, 활동 무대를 고향 개성에서 중앙의 경성으로 서서히 이동시킨 실증적 사례 연구이다. 최선익은 개성 갑부의 아들로서, 불과 16세의 나이에 막대한 재산을 물려받은 벼락부자였다. 그의 경제적 기반은 인삼 재배업, 농지경영, 市邊 등 개성의 전통적 산업이었으나, 최선익은 1920년대 개성의 부호와 신진 엘리트들과 연계하여 주식회사 형태의 전기・고무・직조업 등에 투자하고, 직접 개성상사주식회사를 운영하는 등 근대적 기업활동을활발히 전개했다. 그리고 1930년대에는 사업장을 인천과 경성으로 확대하면서, 무역업・매매업・금융업 및 주류 회사도 운영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언론은 최선익을 ‘청년문화사업가’로 규정하고 그의 행보에 지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이는 그가 3.1운동 이후인 1924년 신석우가 조선일보 경영에 나설 때 공동투자했고, 1932년에는 조선중앙일보의 판권을 인수하여 여운형을 사장으로 자신은 부사장으로 활동했기 때문이었다. 또한1920년대 당시의 최고 전문 운영자와 보육교사를 초빙하고 최신의 설비를 갖춘 수송동유치원을 개원 운영했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최선익이 청년 문화사업가로서 주목받으며 활동할 수 있었던 기반은 첫째, 그가 고향 개성이 아닌 경성의 중앙학교[중앙고보] 로 진학하여 폭넓은 학연을 맺었다는 점, 둘째, 경성 북촌 일대에서 생활하면서 전통양반 및 신지식인층과 교유하고 인연을 형성할 수 있었다는 점, 셋째 개성 출신으로경성이나 일본에서 유학한 인사들과 긴밀히 교유하고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선익은 김성수, 안재홍, 송진우, 여운형 등 당대의 영향력 있는 인사들과김동성, 이선근, 공성학, 고한승, 진장섭, 마해송, 김영보 등 개성 출신 인사들과의 인연을 맺고 있었고, 이것이 결국 그가 언론・문화사업에 진출할 수 있었던 인적 기반이 되었다. 이러한 인적・물적 기반을 바탕으로 최선익은 조선일보와 조선중앙일보에 투자하고, 수송동유치원을 운영했으며, 각종 사회단체 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그러나 그의 청년 문화사업가로서의 10여 년은 결코 성공적이지 않았다. 당시 언론사 경영은 잦은 정간과 폐간 등으로 각종 채무를 증가시켜 자금난에 부딪쳤고, 출자금 증자에 따른 경영권 분쟁도 심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최선익 역시 언론사 경영과 수송동유치원 운영을 접었고, 개인적으로는 엄청난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즉 일제강점기 언론・ 문화사업은 투자 이익을 기대하기보다는 손실의 위험이 더 큰 사업이었고, 언론 문화사업에 대한 분명한 철학과 경영 의지가 있어야 가능한 사업이었다. 하지만 최선익의활동은 개성의 전통적 산업에 기반을 둔 자본가가 근대 기업 및 언론문화 자본으로 전환한 구체적인 실증적 연구로서 주목될 것이다.

      • KCI등재

        1950-1970년대 권영우의 작품과 ‘동양화’ 개념의 변화

        정무정(Chung, Moojeo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6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2 No.-

        《Korea: Five Artists, Five Kinds of White》, a group show held at Tokyo Gallery in May 1975, is often credited as an epoch-making ev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so-called ‘Dansaekjo’ (monochrome) painting. The exhibition, which contributed to the elevation of ‘Dansaekjo’ painting as Korea’s representative modernism, featured works of art by Kwon Young-woo, Lee Dong-yeop, Hur Hwang, Suh Seung-won and Park Seo-bo. Kwon Young-woo (1926-2013) must have been quite an exceptional figure among the group. He was the eldest and the only one who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major in Eastern brush painting, while the other 4 artists all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with a major in Western oil painting. Kwon’s inclusion in the show can be seen as result of his hard efforts to open up a new type of Eastern painting, in which he excluded all the elements of Eastern brush painting except paper. It was his alternative to the then popular style of brush and ink abstraction. Thereby Kwon could succeed in modernizing Eastern painting and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a new meeting of Western and Eastern paintings, where the distinctions between West and East was any more insignificant.

      • KCI등재

        1980년대 한일 민간 협동조합운동 교류 연구 - 원주그룹을 중심으로 -

        김소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6 No.-

        This article focuses on the exchanges of Korea and Japan’s co-operative movements during the 1980s, when the Wonju Group was promoting overseas workshops during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 This includes Wonju Group’s visit to consumer co-operatives and labor associations in Saitama Prefecture, and the character of these groups; the change in scope and character of the social organizations that visited Japan in December 1984; and the activities of Japanese consumer co-operative and organic farming activists, who visited Wonju, Suwon and Seoul on the invitation of Wonju Group’s Kim Young-joo and Banwol Credit Union’s Lee Keun-woo. In May 1981, Wonju Group conducted overseas workshops in Hong Kong, Taiwan and Japan, and in January 1982 and July 1983, union leaders of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conducted overseas workshop in Japan. Through this process Wonju group was introduced to Ihori Shigeru, chairman of the board at the Japanese Consumers’ Co-operative Union. Shigeru opened the door for Wonju Group to visit consumer co-operative and labor associations in Saitama Prefecture, whose board members were from the ‘Ihori School’. In December 1984, the main leaders of the Korean Catholic Peasant Society attended a workshop in Japan led by Wonju Group’s Kim Young-joo and Lee Keun-woo. These rural leaders visited Seikatsu Club in Tokyo, Miyosimura in Chiba, Society of Introspecting the Age of Consumerism and Safe Agricultural Products Supply Center in Kyoto, focusing on consumer co-operatives based on organic farming and production movement. In the early 1980s, the board members of the Japanese Consumer Co-operative Union and the Saitama Women’s Association visited Wonju. Furthermore, Lee Keun-woo led the board members of Japanese Consumer Co-operative Union to visit Gyeonggi-do Credit Union, opening another stream of non-governmental co-operative movement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December 1984, the scope of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on-governmental co-operative movements started to grow. After Wonju Group’s workshop in Japan, many Japanese co-operative organizations also had workshops in Korea. Through Lee Keun-woo, board members of the Japanese Consumer Co-operative Union frequently visited Korea, including on-site visits concerning Korea’s co-operative and women’s movements. Likewise, Co-operative Metropolitan Federation nowadays Hansalim and Dure Co-operative- was founded in the 1980-90s as a result of these two branches of exchange. 이 글은 1980년대 전두환정권 하에서 원주그룹이 주도한 해외연수가 추진된 배경, 1980년대 초 일본연수시 주로 사이타마현 내 생협과 노동단체 등을 중심으로 시찰되었던 요인과 이들 단체의 성격, 1984년 12월 일본연수시 방문 대상지역과 사회단체가 크게 확장되고 성격이 변화된 점, 원주그룹의 김영주와 반월신협 이사장 이건우의 초청으로 원주와 수원, 서울지역 등을 방문했던 일본생협 및 유기농업 운동가들의 면모와 활동상 등을 중심으로 1980년대 한일 민간 협동조합운동의 교류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1981년 5월 원주그룹은 재해대책사업위원회 중심의 홍콩‧대만‧일본의 해외연수를 추진하였으며, 1982년 1월과 1983년 7월 한국노총의 주요 노조지도자들이 중심이 된 일본연수가 연이어 실시되었다. 당시 일본연수 추진과정에서 원주그룹은 일본의 전국생협연합회와 사이타마근로자생협 이사장 이호리 시게루와 연결되었고, 그의 소개로 ‘이호리학교’ 출신들이 주요 임원으로 있는 사이타마현 내 생협과 노동조합 등을 시찰하였다. 1984년 12월 원주그룹의 김영주와 반월신협의 이건우 등이 주도하고 한국가톨릭농민회의 주요 농민지도자가 참여한 일본연수가 실시되었다. 당시 연수를 통해서 농민지도자들은 도쿄의 일본생활클럽생협과 지바의 미요시무라, 교토의 ‘쓰고 버리는 시대를 생각하는 모임’과 ‘안전농산물공급센터’, 고베학생청년센터와 모토메루카이 등의 단체를 방문하면서 일본 내 유기농업운동과 산직운동에 기반한 생협운동 등을 중점적으로 시찰하였다. 이 연수는 1980년대 후반 원주소비조합, 한살림농산, 한살림공동체소비조합 등의 설립·운영과 한국가톨릭농민회 내 생명공동체운동으로의 전환에 있어서 일정하게 영향을 미쳤다. 1980년대 초 일본 전국생협연합회의 임원과 사이타마부인코펠회의 회장단이 원주지역을 방문하여 원주그룹이 주도하는 농촌과 광산지역의 소비조합들에 대한 시찰을 통해 한일 민간 협동조합운동 간 교류의 물꼬를 터 나갔다. 또한 반월신협 이사장 이건우의 주선으로 일본생활클럽생협의 주요 임원들이 신협 경기도지부와 소비조합중앙회,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여성평우회 등을 방문하면서 또 다른 흐름의 한일 민간 협동조합운동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1984년 12월 원주그룹의 일본연수 직후 일본의 다양한 생협조직과 유기농업 단체들이 방한하면서 한일 민간 협동조합운동의 교류가 확대되었다. 1985년 초 이후 반월신협 이건우 이사장의 주선으로 빈번히 일본생활클럽생협의 지도자들이 방한하면서 한국의 협동조합운동과 여성운동 등에 대한 시찰 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원주그룹의 김영주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사이타마현민공제생협의 임원들이 한국신협연합회를 방문하여 양 단체간 상호 교류계획을 세워 나갔다. 아울러 일본 효고현 고베‧이치지마의 소비자그룹과 유기농업 생산자그룹이 원주지역을 방문하면서 한일 민간 협동조합운동 교류의 폭을 넓혀 나갔다. 이러한 두 흐름으로 활발히 진행된 일본생협운동 단체들과의 교류과정과 영향 속에서 1980~90년대 (사)한살림과 두레생협연합회가 창립되고 활발히 활동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