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고려홍삼 무역량의 변동과 의미

        이철성,Lee, Chulsung 고려인삼학회 2019 인삼문화 Vol.1 No.-

        이 논문은 1797년 고려홍삼 무역이 포삼제(包蔘制)라는 공식적인 제도로 시행된 이후 그 수출량과 홍삼세의 규모를 살핌으로써 고려홍삼 무역의 변동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19세기 조선의 고려 홍삼무역은 조선 정부가 받아들이는 세금만으로도 공무역의 비용을 능가하였다. 조선은 인삼을 재배하는 농업기술과 저장 기간을 늘리는 홍삼 증포 기술을 바탕으로, 은화의 유출을 막고 중국의 완제품 및 원료를 들여와 국내 상업계와 수공업 및 광업부문을 자극했다. 더우기 조선정부는 고려 홍삼수출로 19세기 후반 매해 20만 냥에 달하는 재정 수입을 올릴 수 있었고, 한때는 중국에서 말굽 모양의 은을 사와서 호조에 비축하기도 했다. 세도정권하에서도 상업계가 전반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개성상인 의주상인 서울상인의 활동이 두드러진 것은 이러한 사정에 따른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the official Korea Red Ginseng(Hongsam) trade in 19th century. The Hongsam trade activities of the 19th century also show that the collected amount of Posam taxes (Hongsam taxes) alone outweigh the amount of cost spent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o launch tributary actions. It is quite obvious that the Chosun dynasty, supported by the developed techniques of ginseng cultiva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managed to stop the silver leaks while also stimulating the domestic commerce, handicraft business and mining operations, by exporting Hongsam to China and importing raw material and other finished products in return. The Chosun government also managed to secure considerable amount of marginal profit which at times mounted to almost 2 hundred thousand Nyangs of silver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anks to this Hongsam trade activities, and accumulated the hoof-shaped pieces of silver ingot at the office of Ministry of Taxation. Even under the mostly undesirable political environment featuring unjustified deeds of the powerful houses, the commercial activities were being strongly maintained, and the transactions conducted by merchants of the Gaeseong, Euiju areas and the capital city were prospering.

      • KCI등재

        일제강점기 개성상인 崔善益의 언론・문화사업

        이철성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7

        This is a case study of Choi Sun-ik, an entrepreneur from Gae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changed from being a ginseng capitalist in Gaeseong to being a modern entrepreneur, and gradually moved his activities from his hometown of Gaeseong to Seoul while investing in newspapers and cultural businesses. Choi Sun-ik, the son of a wealthy person in Gaeseong, suddenly became a millionaire when he inherited a huge fortune at the age of 16. His father Choi Seong-gu's foundation was engaged in traditional Gaeseong industries such as ginseng cultivation and a loan business. However, in the 1920s, he invested in electronics, rubber, and weaving in the form of a joint stock company in connection with the wealthy and youthful elites of Gaeseong. He actively engaged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such as directly operating Gaeseong Trading Co., Ltd. In the 1930s, he expanded his operations to Incheon and Seoul, also operating trade, finance and liquor companies. He was described by the media as a “young cultural entrepreneur” and he was very active in the 1920s and 1930s. This is because,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he jointly took over the publishing rights of the Chosun Ilbo with Shin Seok-woo in 1925, and took over the publishing rights of the Chosun JoongAng Ilbo in 1932. Also, in 1925, he invited a professional operator and childcare teacher and opened the Susong-dong Kindergarten equipped with the latest facilities. Choi Sun-ik's human network was formed of three elements. First, he entered Seoul Choongang High School without going to high school in Gaeseong ; second, he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traditional aristocrats and new intellectuals while living in Bukchon, Seoul ; Third, he was in close contact with Gaeseong people who studied in Seoul or Japan. As a result, he made connections with influential figures of the time such as Kim Seong-su, Ahn Jae-hong, Song Jin-woo, and Yeo Woon-hyeong, as well as Kim Dong-seong, Lee Seon-geun, Gong Seong-hak, Ko Han-seung, Jin Jang-seop, Ma Hae-song, Kim Young-bo, etc. Using those connections, he was able to advance into newspapers and cultural businesses. However, at that time, newspaper management suffered from severe financial difficulties, frequent business suspensions, and increasing debt. In the process, Choi Sun-ik also suffered huge personal losses as he gave up the management of the newspaper and the operation of the Susong-dong Kindergarten. It is clear that newspapers and cultural business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quired managers with a clear will rather than a clear investment profit. After leaving the Chosun JoongAng Ilbo, Choi Sun-ik lived as an entrepreneur and did not engage in cultural business. After liberation on August 15th, he again stood at the center of social controversy as an executive of Kyungsung Electric Co., Ltd. Research on this episode of his life is a task for the future.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개성 출신의 실업가 崔善益(夢草, 1904~?)을 통해서, 개성의 인삼 자본가가 근대 기업가로 변신하고, 다시 언론・문화사업에 투신하면서, 활동 무대를 고향 개성에서 중앙의 경성으로 서서히 이동시킨 실증적 사례 연구이다. 최선익은 개성 갑부의 아들로서, 불과 16세의 나이에 막대한 재산을 물려받은 벼락부자였다. 그의 경제적 기반은 인삼 재배업, 농지경영, 市邊 등 개성의 전통적 산업이었으나, 최선익은 1920년대 개성의 부호와 신진 엘리트들과 연계하여 주식회사 형태의 전기・고무・직조업 등에 투자하고, 직접 개성상사주식회사를 운영하는 등 근대적 기업활동을활발히 전개했다. 그리고 1930년대에는 사업장을 인천과 경성으로 확대하면서, 무역업・매매업・금융업 및 주류 회사도 운영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언론은 최선익을 ‘청년문화사업가’로 규정하고 그의 행보에 지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이는 그가 3.1운동 이후인 1924년 신석우가 조선일보 경영에 나설 때 공동투자했고, 1932년에는 조선중앙일보의 판권을 인수하여 여운형을 사장으로 자신은 부사장으로 활동했기 때문이었다. 또한1920년대 당시의 최고 전문 운영자와 보육교사를 초빙하고 최신의 설비를 갖춘 수송동유치원을 개원 운영했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최선익이 청년 문화사업가로서 주목받으며 활동할 수 있었던 기반은 첫째, 그가 고향 개성이 아닌 경성의 중앙학교[중앙고보] 로 진학하여 폭넓은 학연을 맺었다는 점, 둘째, 경성 북촌 일대에서 생활하면서 전통양반 및 신지식인층과 교유하고 인연을 형성할 수 있었다는 점, 셋째 개성 출신으로경성이나 일본에서 유학한 인사들과 긴밀히 교유하고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선익은 김성수, 안재홍, 송진우, 여운형 등 당대의 영향력 있는 인사들과김동성, 이선근, 공성학, 고한승, 진장섭, 마해송, 김영보 등 개성 출신 인사들과의 인연을 맺고 있었고, 이것이 결국 그가 언론・문화사업에 진출할 수 있었던 인적 기반이 되었다. 이러한 인적・물적 기반을 바탕으로 최선익은 조선일보와 조선중앙일보에 투자하고, 수송동유치원을 운영했으며, 각종 사회단체 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그러나 그의 청년 문화사업가로서의 10여 년은 결코 성공적이지 않았다. 당시 언론사 경영은 잦은 정간과 폐간 등으로 각종 채무를 증가시켜 자금난에 부딪쳤고, 출자금 증자에 따른 경영권 분쟁도 심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최선익 역시 언론사 경영과 수송동유치원 운영을 접었고, 개인적으로는 엄청난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즉 일제강점기 언론・ 문화사업은 투자 이익을 기대하기보다는 손실의 위험이 더 큰 사업이었고, 언론 문화사업에 대한 분명한 철학과 경영 의지가 있어야 가능한 사업이었다. 하지만 최선익의활동은 개성의 전통적 산업에 기반을 둔 자본가가 근대 기업 및 언론문화 자본으로 전환한 구체적인 실증적 연구로서 주목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李德馨의 임진왜란 중 외교 활동

        이철성 한국인물사연구소 2007 한국인물사연구 Vol.7 No.-

        본고는 이덕형의 一生 가운데 壬辰倭亂의 開戰(1592년, 32세)부터 終戰(1598년, 38세)까지를 다시 세 시기로 나누어, 그의 활동을 살피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동북아시아의 국제정세와 조선의 사회적 성격 변화를 가져왔던 임진왜란을 인물사에 접목시켜 역사의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내용을 재구성 하려고 하였다. 이덕형은 初戰期(1592.4~1593.4) 왜군의 북상을 늦춰 보려는 의도에서 일본과의 화의 교섭에 나섰으며, 평양성을 포기하고 선조의 御駕가 의주로 옮겨가는 상황에서 명나라의 원병 파병을 촉구하기 위해 請援使로서 요동에 들어가 明軍 派兵을 成事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이여송의 접반사로 평양성 전투와 벽제관 전투를 목격하면서, 명군의 적극적인 진격을 촉구하는 한편 명군 및 왜군의 戰況과 情報를 조선 정부에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외교통이었다. 강화 교섭기(1593.5~1596.12)에도 이덕형은 대명관계를 담당하는 외교가로서의 역할과 함께 兵曹判書로서 訓練都監의 창설에 관여하여 군사양성과 병법 및 군사시설 확충에 주도적 역할을 했으며, 건주여진에 대한 방어 대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훈련도감이 상설군영으로 변모하여 조선후기 중앙 군사력의 핵심이 되었다는 사실과 신충일을 통한 대 여진 정보 수집이 광해군대 대후금정책의 기본적 자료가 되었던 점 등을 고려하면, 그의 활동이 조선후기 對淸 정책에도 영향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재침기(1597.1~1598.11) 이덕형은 명나라 경리 양호와 제독 유정의 접반사로서, 명․일의 강화교섭 및 왜군의 동태를 국내에 전달하고 조선 정부의 입장을 관철시키려는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덕형의 외교적 입장은 명분론 보다는 실리적 차원에 있었다. 이덕형은 초전기 의주로 御駕를 옮기고 명군의 파병을 주장 했다. 재침기에는 일본의 조선 통신사 요구에 대해, 이를 거부하기는 힘들 것이며 跟隨陪臣을 보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는 來附論․講和論의 입장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덕형은 초전기 요동으로 들어가 명군 파병을 이끌어냈고, 명군의 消極戰을 외교적 입장에서 변화시키고자 노력했다. 또한 丁應泰의 무고사건이 일어나자 主戰論 입장에 서 있던 유격 양호를 적극 변호하는 한편, 소극전을 펼친 유정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또한 퇴각하는 왜군을 쫓아 대마도를 정벌하도록 주장한 것은, 이덕형이 사안에 따라 현실론으로 대응하는 기민한 외교가였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임진왜란 이후 전쟁의 수습단계와 광해군대 이덕형의 활동을 다루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덕형의 정치적 입장과 서인과 북인의 정치적 동향에 대한 분석을 총체적으로 가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차후 연구를 통해 이점을 보완하면서, 人物史를 통한 일반사의 재조명과 그를 통해 드러나는 역사의 새로운 측면을 구성해 보려 한다.

      • KCI등재

        淵齋 宋秉璿의 黃山舟遊와 문화경관 인식-「遊黃山及諸名勝記」를 중심으로-

        이철성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0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Yuhwangsangi」, the full name is 「Yuh wangsan geup jemyeongseunggi(遊黃山及諸名勝記)」 by Yeonjae Song Byeong-Seon from an integrative viewpoint encompassing history, philosophy and literature. Song wrote 「Yuhwangsangi」 at the age of 31(1866). The demolition of Mandongmyo(萬東廟), the shrine erected to honor the last emperor of Ming China (Apr. 1865) had brought him a great grief. In the following month of May, he began to work on 『Songjadaejeonsucha(宋子大典隨箚)』 and 『Dongsa (東史)』. The journey was arranged for the purpose of straightening the doctrine of Confucianism with a focus on Chunchudaeui(春秋大義) and learning from the history. The fellow travelers involved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the 『Songjadaejeonsucha』. The apparent reason for the journey was to follow the 「Hwangsanjihoe (黃山之會)」(1653) performed 210 years previously by Seoin(西人). However, the actual reason was to visit the cultural landscapes of Hoseo Confucianism along Geumgang River, and identify his ideological origin for its reinterpretation. For this reason, he chose historic sites as his destination instead of scenic spots. The journey took 15 days from his departure to his return home to Seoknam in Hoedeok Prefecture(Apr. 6-20 on the lunar calendar). The early part of the journey, he made a visit to Gumdam Seowon(書院), Bomanjeong, Gumdam Seowon, Seongbongseosa, Changgang Seowon and Busan Seowon. The visits were all associated with personal and ideological unity with Kim Jang-Saeng(金長生), Kim Jip(金集), Song Si-Yeol(宋時烈) and Song Jun-Gil(宋浚吉),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think of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emphasized by Lee Gui, Lee Si-Baek, Lee Si-Bang, Hwang Sin and Lee Gyeong-Yeo. The most meaningful destination of the journey was Ganggyeong(江景). Here, he visited Palgwaejeong Pavilion, Imlijeong Pavilion and Jungnim Seowon. This allowed Song Byeong-Seon to revive Song Si-Yeol’s empha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China and Barbarians. The latter part of the journey involved the way back home along Yeonsan and Gyeryongsan Mountain. Song paid tribute at the graves of Seong Sam-Mun and Kim Jang-Saeng, Donam Seowon and Shrine for Kim Jip. From there, he confirmed the historical reinterpretation of the six martyred ministers or Sayuksin and clarified the origin of Yehak thought. In short, 「Yuhwangsangi」 by Song Byeong-Seon is a record of a journey, written while completing the theory of Honor China and Repel Barbarians (Jonhwayangi, 尊華攘夷), with the aim of underscoring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and correctness doctrine, and of differentiating the morality of the wise from the acts of barbarians for moral balance. Moreover, the journey through the cultural landscapes of Hoseo Confucianism contribute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facts of Jonhwayangi theory. 이 글은 淵齋 宋秉璿이 31세 되던 해(1866)에 쓴 「遊黃山及諸名勝記」를 역사・철학・문학의 융합적 시각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여행은 송병선이 만동묘 훼철령(1865.4.)에 개탄을 금치 못한 직후 『宋子大典隨箚』 작업에 참여하고, 『東史』 편찬을 시작한 직후에 이루어졌다. 즉 여행은 春秋大義를 중심으로 유학의 정신을 바로잡고, 역사를 통해 교훈을 얻고자한 분위기에서 기획되었다. 여행은 표면적으로는 1653년 西人 주요 인사들의 「黃山之會」를 따라하고 싶어서였지만 실제는 금강을 따라 펼쳐진 호서지역의 문화경관을 방문하여 자신의 사상적 연원을 확인하고 역사적 재해석을 시도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방문지는 景勝地가 아니라 역사적 遺蹟地가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 여행의 전반부는 문의현 부강에서 출발하여 강경에서 머무는 기간으로, 송병선은 검담서원, 보만정, 성봉서사, 창강서원, 부산서원을 참배했다. 이는 모두 김장생, 김집, 송시열, 송준길과 연결되는 인적・사상적 연대감 속에 이루어졌으며, 춘추대의를 강조한 이귀, 이시백, 이시방, 황신, 이경여 등을 회상하기 위한 것이었다. 특히 강경의 죽림서원, 팔괘정, 임리정에서는 華와 夷의 단호한 구별을 강조했던 송시열의 정신을 되새긴 시간이었다. 여행의 후반부는 성삼문묘, 김장생 묘역, 돈암서원, 김집 사당을 찾는 추모의 일정을 보내고, 동학사에서 講會를 열었다. 이를 통해 송병선은 사육신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와 예학의 연원을 재차 확인하였다. 요컨대 송병선의 「遊黃山及諸名勝記」는 19세기 중반 春秋大義 정신과 直 사상을 강조하고, 聖人의 道와 夷狄의 행위를 구분하여 도덕적 중심을 지키고자 한 尊華攘夷論을 완성시키는 단계에서 이루어진 여행기였다. 아울러 호서 지역의 자연경관을 둘러 본 단순한 여행기가 아니라 존화양이의 실천적 史實에 대한 평가와 이해를 한 단계 높이려 한 여행기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