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형 리더십 연구의 새로운 지평: <박태준 사상, 미래를 열다>에 대한 서평

        최경춘 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4 No.1

        The current book review is an attempt to find a prototype of Korean Leadership Styl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a recently published book titled, <Thoughts of Park Taejoon, Avenue to the Future> written by Song, Choi, Jun, Kim, & Baik, 2012). Above all, Professor Song interpreted Park’s life as a personification of ‘Sunbee(Korean classical scholar) spirit’, and, based on Park’s prototypical life, suggested four behavioral norms such as ‘Will’, ‘Righteousness’, ‘Ethics’, and ‘Love’. Throughout Korean history, many Sunbees enchanted such spirit, but Park Taejoon may be the only person who practiced it in his everyday life. Professor Choi proposes “desperate patriotism” as the core concept of Park’s thoughts, which is claimed to serve as a soul motivator to dedicated military service, entrepreneurship, and a political move. Professor Jun, defining heroism as a social asset, proclaims that Park Taejoon was a genuine hero who put action before words. He also emphasized that despite defiance from the people side heros are the priceless instrument who can open up the avenue that leads to future vision of a society. Professor Kim analyzes that Park Taejoon set another axis to the Korean society by building up POSCO and educational institutes and helped overcome people’s over-reliance upon the state that prevailed during his era. Finally, Professor Baik proposes MBS(Management By Spirit) as Park’s core thoughts, which enabled him to iron out all the seemingly impossible obstacles such as deadly poverty, nil resources, lack of capital, no technology or human resources. Fighting out these obstacles and making impossible possible, he argues, cannot be explained by the management principles developed on rationality assumptions, but only by the Spirit he carried. Review of all these essays on Park’s thoughts made us reach a firm conclusion that Park Taejoon fits very well with the 8-factors prototype of Korean Leadership Style. 본 서평은 최근에 발간된 <박태준 사상, 미래를 열다>(송복․최진덕․전상진․ 김왕배․백기복, 2012)의 내용을 검토하여 한국형리더십의 전형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우선 송복 교수는 박태준의 생애를 한국인들의 ‘선비사상’을 보여준 전형으로 해석하고 의지의 ‘지(志)’, 옳음의 ‘의(義)’, 청렴의 ‘렴(廉)’, 자애의 ‘애(愛)’를 구체적 행동지침으로 제시한다. 과거의 많은 선비들이 이러한 사상을 부르짖기는 했지만, 행동으로 실천한 사람은 박태준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최진덕 교수는 “결사적인 조국애” 를 박태준사상의 핵심으로 제시한다. 이는 군인, 기업인, 정치인 박태준이 사심을 버리고 주어진 역할에 헌신하도록 했던 가장 강력한 동인이라는 주장을 편다. 전상인교수는 영웅을 사회적 자산이라고 규정하고 박태준을 행동하고 실천하는 진정한 “영웅”이었다고 평가한다. 한 사회의 영웅숭배는, 민중론 지지자들의 배척에도 불구하고, 미래 비전을 가꿀 수 있는 소중한 출구라는 점을 강조한다. 김왕배 교수는 당시 한국은 ‘국가포섭형 사회’였음에도 민간 차원에서 보국이념을 구현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새로운 축을 형성케 한 인물이 박태준이라고 주장한다. 국가 아니면 개인이라는 단순사회구조 속에서 기업과 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것이다. 백기복 교수는 “용혼사상”(熔魂思想)을 박태준 사상의 핵심으로 제시한다. 절대빈곤, 자원부재, 자금제로, 기술과 인력부재 등의 무 상황에서 유를 창조한다는 것은 경영학적 합리주의 방식으로는 해석할 수 없으며 모든 것을 녹여내는 강력한 ‘혼’(魂)의 개념에 의해서만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들을 한국형리더십의 8요인에 대입하여 박태준이한국형리더십의 전형이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시간제 보육 제공기관 담당자의 생각과 경험 연구: 어린이집 및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권종애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시간제 보육 제공기관 담당자의 생각과 경험 연구:어린이집 및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권 종 애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간제 보육 제공기관 담당자들의 생각과 경험을 어린이집 및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시간제 보육의 장단점과 개선방안, 향후 방향 등을 파악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시간제 보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시간제 보육 제공기관 담당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시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내용: 시간제 보육은 부모들의 여가 활용과 양육 부담을 줄일 수 있고, 기본 보육 반 등록으로 연결되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긍정적인 도움이 된다. 교사 혼자서 세 명의 영아 보육, 연령의 차이가 클 때 보육의 어려움이 발생하며, 교사 처우개선, 휴게시간 사용의 어려움, 홍보의 어려움 등을 토로하고 있었다. 결론 및 제언: 시간제 보육은 필요하며, 긍정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시간제 보육의 어려움 개선사항 해결을 위한 노력, 국가 차원의 홍보, 대상 연령을 5세로 확대해 시행하며, 이용자 확대, 시간제 보육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제안한다. 시간제 보육 활성화 방안을 포함하여 시간제 보육이 나아갈 방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핵심어: 생각, 경험, 시간제 보육, 어린이집, 육아종합지원센터 A Study on the Thoughts and Experiences of Thosein Charge of Part-time Childcare Providers:Focusing on Daycare Centers and Childcare Support Centers Jongae Kwon*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thoughts and experiences of staff at part-time child care providers, focusing on day care centers and child care support centers.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pros and cons of part-time childcare, improvement measures, and future directions, provide basic data, and seek ways to revitalize part-time childca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eople in charge of part-time child care provider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Part-time childcare can reduce parents’ leisure use and childcare burden, leads to registration in basic childcare classes, and is a positive help in infant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Teachers were complaining about the difficulties of taking care of three infants alone, the difficulty of childcare when there is a large age difference, the improvement of teacher treatment, the difficulty of using recess time, and the difficulty of public relations. Part-time childcare is necessary, and in addition to its positive effects, efforts to improve the difficulties of part-time childcare, publicity at the national level, expansion of the target age to 5 years old, expansion of users, and various studies on part-time childcare are proposed. There is a need to look at the direction in which part-time childcare will move, including ways to revitalize part-time childcare. Key Words: Thoughts, Experiences, Part-time Childcare, Daycare Centers, Childcare Support Centers □ 접수일: 2024년 1월 19일, 수정일: 2024년 2월 13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0일* 서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Professor,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owon Univ., Email: angelpiano64@hanmail.net)

      • KCI등재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메타인지의 조절효과

        최서진,정하나,김정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Effects of Adolescents’ Automatic Thought on TheirAnxiety: Moderating Effects of MetacognitionSeojin Choi, Hana Jung, & Jungmin Kim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influence of adolescents’ automatic thoughts and metacognition on anxiety, and examines whether metacogni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matic thoughts and anxiet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1.0 and SPSS Process Macro for adolescents located in Gyeonggi and Seoul. First, physical threat cognition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adolescents' anxiety. Second, positive meta-worry and negative meta-worry, subdomains of metacognition, were confirmed to have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threat perception (or depression cognition) and anxiety,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s for metacognition to reduce adolescent anxiety were sought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Key Words: Automatic Thought, Metacognition, Positive Meta-worry, Negative Meta-worry, Anxiety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메타인지의 조절효과최 서 진**ㆍ정 하 나***ㆍ김 정 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와 메타인지가 불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 자동적 사고와 불안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경기, 서울 소재지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SPSS Statistics 21.0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청소년의 불안을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신체적 위협 인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인지의 하위영역인 긍정적 메타걱정과 부정적 메타걱정은 신체적 위협 인지(또는 우울 인지)와 불안 간의 관계를 각각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및 제언: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메타인지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방법을 모색하고,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핵심어: 자동적 사고, 메타인지, 긍정적 메타걱정, 부정적 메타걱정, 불안 □ 접수일: 2022년 1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1월 29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Myongji Univ.)*** 공동저자,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겸임교수(Professor, Myongji Univ., Email: hana0324@mju.ac.kr)**** 교신저자,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Myongji Univ., Email: jmkim122@mju.ac.kr)

      • KCI등재후보

        동학사상과 대순사상의 자생적 근대성 비교 연구

        최원혁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동학사상과 대순사상의 자생적 근대성 비교 연구 최 원 혁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자생적 근대성으로 조명받고 있는 동학사상과 대순사상을 비교하여 한국의 자생적 근대성의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연구 방법: 종교인류학의 상관적 사유, 리미널리티, 재활성화 개념을 중심으로 두 사상의 삼계관에 나타난 근대성을 비교한다연구 내용: 첫째, 동학과 참동학이라는 이름과 같이 두 사상은 공통적으로 자생적 근대성을 종교적으로 추구하였다. 둘째, 두 사상은 모두 상관적 사유에 기반한 삼계관과 삼계관에 따른 수양적 근대성을 추구하였다. 셋째, 두 사상은 삼계관의 차이에 의하여 동학사상은 동학농민혁명운동으로 대순사상은 종교사상으로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였다결론 및 제언: 동학사상의 삼계관이 보편성과 추상성을 강조하는 근대성을 강조했다면 대순사상의 삼계관은 근대성에서 나타난 새로운 문제점을 극복한 탈근대성의 특징이 나타난다. 핵심어: 대순사상, 동학사상, 참동학, 근대성, 탈근대성 Comparative Study on Indigenous Modernity ofDonghak Thought and Daesoon Thought Wonhyuk Choi*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spontaneous modernity by comparing Donghak Thought and Daesoon Thought, which are being highlighted as Korea’s autonomous modernit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cepts of correlational thinking, liminality, and revitalization in religious anthropology. By comparing two thoughts, the results this article finds are as below. First, as the names of Donghak and True Donghak suggest, the two ideologies had in common a religious pursuit of self-generated modernity. Second, both ideologies pursued a view of the three worlds based on correlational thinking and a cultivating modernity according to the view of the three worlds. Thir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view of the three worlds, the two ideologies develope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Donghak ideology as a Donghak peasant revolution movement and Daesoon ideology as a religious ideology. While the view of the three worlds of Donghak thought emphasized modernity that emphasizes universality and abstraction, the view of the three worlds of Daesoon though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ty, overcoming new problems that emerged in modernity. Key Words: Daesoon Thought, Donghak Thought, True East Studies, Modernity,Post-modernity □ 접수일: 2024년 2월 10일, 수정일: 2024년 2월 18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8일* 대진대학교 대순종학과 박사과정 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Daejin Univ., Email: whchoi7@naver.com)

      • KCI등재후보

        『손자병법』의 병략(兵略)에 내재된 음양오행 사상

        이수동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손자병법』의 병략(兵略)에 내재된 음양오행 사상 이 수 동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백성의 생사와 국가의 존망과 관련된 전쟁에서의 병략(兵略)을 기술한 『손자병법』의 음양오행 사상을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손자병법』에 기록되어 있는 적을 이기기 위한 전술, 적을 공격하는 여러 가지 방법, 장수가 갖춰야 할 덕목, 오음과 오색을 통해 음양오행 사상을 연구한다. 연구 내용: 『손자병법』에 기록되어 있는 아군의 실(實)로써 적군의 허(虛)를 공격하는 전술, 공격방법으로서의 오재(五材), 장수가 갖춰야 할 덕목으로서의 지·신·인·용·엄(智·信·仁·勇·嚴), 오음과 오색은 음양오행 사상과 관련이 있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 『손자병법』 기저의 사상은 춘추시대로부터 전래되어 온 음양오행 사상이다. 이 연구가 『손자병법』의 음양오행 사상 연구에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 핵심어: 손자병법, 음양, 음양오행, 오재(五材), 허실(虛實) The Idea of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Inherentin the Strategy of the Art of War Sudong Lee* Abstract: This thesis was studied aiming at doing thought that forms the base (基底) of The Art of War for life or death of the people and the nation. The result has found that underlying thought of the base of The Art of War is yin and yang thought which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actics that attack enemy troops' emptiness (Xu, 虛) with our troops’ substance (Shi, 實), can be yin and yang thought and its mutual destruction thought. And it can be guessed that there was five Elements thought in wisdom/trust/benevolence/bravery/solemnity (智·信·仁·勇·嚴), five sounds, and five colors. Especially, ‘Five Elements -a victory never repeats (五行無常勝)’ in ‘Emptiness (Xu) and substance (Shi)’ of this literature can be the surest words to support five Elements thought and the five element theory that a victory never repeats (the five destruction theory). Key Words: The Art of War, Yin and Yang,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Thought, Emptiness (Xu) and Substance (Shi) (虛實) □ 접수일: 2024년 1월 22일, 수정일: 2024년 2월 16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0일* 원광디지털대학교 외래교수(Lecturer, Wonkwang Digital Univ., Email: gigong@naver.com)

      • KCI등재

        조자신 사상의 근대 정신적 특성 연구

        강지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f Modern Spirit’s Character Embeddedin the Philosophy of Zhao ZichenJiyeon Kang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dern spirit’s character embedded in the philosophy of modern Chinese thinker T. C. Chao (Zhao Zichen, 1888-1979) through the use of inter-cultural philosophical methodology. Enlightenment thinkers rejected the authority of God as the ascriptive origin of human behavior. Instead, they regarded the enlightening reason of humans as an endowment-gift- from their God, which led to shift their focus by critically delving into and examining human nature. As a result, all these pursuits of exploring and probing human nature later developed further into establishing the underlying principle for social construction. Zhao Zichen attempted to change the lives of Chinese grassroots people by presenting his philosophical thought as signifying a rejection of or even as a diametric opposite to traditions and practices. Zhao’s this line of criticism is closely related to his examination of Hegel’s critical work that criticizes “positivity of Christianity.” The philosophy of Zhao as a Chinese philosopher of the twentieth century is shaped by his view that the religious principle is based on human critical reason and so can be taken as greatly foregrounding the principle of subjectivity of human reason. Key Words: Zhao Zichen, Contemporary Chinese Philosopher, Asian Studies, Confucianism, Political Thought’s Character 조자신 사상의 근대 정신적 특성 연구강 지 연**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중국의 현대 사상가 조자신(赵紫宸, 1888-1979)의 철학사상이 갖는 근대 정신적 성격에 관해 사회 혁신적 의의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 본연구는 상호철학적 연구방법론을 도입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내용: 서구 근대를 연 유럽 계몽주의자들은 인간 행위의 원천으로서 신의 권위을 기준으로 두기보다,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이성의 능력, 즉 인간의 본성을 문제 삼았고, 이것을 통해 사회 구성의 원리로서 삼고자 했다. 조자신 역시 그 근대 정신의 핵심을 이해하고, 자신의 사상을 관습과 기존 전통에 대한 거부, 적대화와 연결하여 중국 민중의 생활세계를 변화시키고자 했다. 이를 통해, 현대 계몽사상의 원칙에 적응하고 부합한 내적, 외적 변화가 중국사회에서 일어날 것이라고 희망하면서, 중국적 기독교 사상을 일종의 계몽주의, 근대 정신의 부활로서 보고 전개하였다. 그의 이런 비판적 시각은 그가 탐독한 헤겔의 ‘기독교의 실정성 비판’과 연결되어 있다. 헤겔의 종교비판은 정치와 종교의 재결합을 모색하는 단계로 나아가는데, 그것은 인륜적 종교성의 회복을 위해 필요한 지적 작업이다. 그의 구도에 따르면 종교사상은 시민들의 공동체적 유대를 주는 기반으로서, 도덕의 원천이 될 기반을 정립한다. 결론 및 제언: 20세기 중국철학자, 조자신의 사상은 종교의 원리를 인간 이성의 비판성에 근거하게 했고, 인간 이성의 주체성의 원리를 부각시킨 의의가 있다. 핵심어: 조자신(赵紫宸), 중국현대철학자, 아시아학(동양학), 유가, 정치철학적 성격 □ 접수일: 2022년 9월 11일, 수정일: 2022년 9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21-2022학년도 창원대학교 연구년 교수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국립창원대학교 철학과 부교수(Professor, Changwon National Univ., Email: lightsolemn2@daum.net)

      • KCI등재

        불교와 가톨릭의 수행체계 비교

        한성열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formance SystemBetween Catholic and BuddhismSungyul Han Abstract: Among the various religions that exist in Korea, Buddhism and Catholicism are the representative religions that lead the life of a princess based on their own refined rules. The performance systems of the two religions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of leading the life of a princess of the same kind, disconnected from the secular world. In addition, a certain period of joining is required, and there is a central organization in charge of this. However, there is an indescribable doctrin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ligions, that the subject of salvation is magnetism and inerti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religions that exist despite these differences. To this end, the timing of occurrence, the process of Korean tradition, and the current standing process were examined, a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 the early days of the denomination, there was something in common that could not be obtained from the existing life and began to live the life of a princess with a group of the same kind. However, this is only a common feature of the beginning,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directionality of the final purpose. Key Words: Asceticism of Buddhist, Catholic Monastic Order, Religious Thought, Benedictine Order, Procedure Receiving Commandment of Buddhist 불교와 가톨릭의 수행체계 비교한 성 열(탄탄)* 요약: 한국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교 가운데 본인들만의 정제된 규칙을 중심으로 공주의 삶을 영위하는 대표 종교는 불교와 가톨릭이다. 두 종교의 수행체계에는 세속과 단절된 채 동류만의 공주의 삶을 영위하는 공통적 특징을 지닌다. 또한 일정 기간의 입교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주관하는 중심 단체가 있는 점도 공통점이다. 그러나 두 종교는 구원의 주체가 자력과 타력이라는 좁힐 수 없는 교리적 차이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존재하는 두 종교에서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발생 시원과 한국 전래의 과정, 현재의 입교과정을 살펴보고 공통점과 상이점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교단 초기 기존의 삶에서 얻을 수 없는 것을 찾아 동류의 무리와 공주의 삶을 살기 시작했다는 공통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시작의 공통적 특징일 뿐, 최종 목적의 지향성과는 다름에서 오는 상이점을 알 수 있었다. 핵심어: 불교 수행, 가톨릭 수도회, 종교 사상, 베네딕트 수도규칙, 조계종 수계 절차 □ 접수일: 2022년 2월 28일, 수정일: 2022년 3월 21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중앙승가대학교 문화재학과 강사(Lecturer, Sangha Univ., Email: han3783@hanmail.net)

      • KCI등재후보

        한국 개화기 근대학교의 교육이념 연구

        서재복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종합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ducational ideology and character in enlightenment period. The periodic background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ideology and character of public school, mission school and private school from 1880 to 1910 years in Korea. As a research of this study, enlightenment education inquired out a little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 as to the spirit of establishment. Common feature is educational concerned with the spirit of educational nation salvation. It is recognized that education is the best method for establishment as thinking of periodic situation.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school is as follows; Public school is forcus on the national education, Mission school is focus on the democracy education and the spirit of independence based on the mission spirit. Private school emphasize education of national leader and patriotism into the heart of people through education.

      • KCI등재

        고체상 추출법(SPE: Solid Phase Extration)을 이용한 과불화화합물 분석 특성

        이채홍,김동훈,박소연,심기태,석광설 대한환경공학회 201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0 No.11

        In the past, SPE using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d) cartridges was widely used to analyze PFCs (perfluorinated compounds) in multi-media, but recently the trend goes to using WAX (Weak Anion-eXchange) cartridges. HLB and WAX cartridges were used for studying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PFC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orage materials on PFCAs, the SPE extracted samples were stored in glass and pp vials and concentration change was measured over time. PFCAs (perfluoroalkycarboxylic acids), PFASs (perfluoroalkansulfonate) and precursors were analyzed. Analysis using WAX cartridges showed that some of the PFCAs, PFASs and precursors were higher than those of HLB cartridges, while some of them were low. The PFBA (C4) and PFPeA (C5) of the PFCAs show higher efficiency in the WAX cartridge with increasing sample concentration. Over time, in PFCAs less than C11 (PFUnDA) and PFASs, no large concentration was observed on both glass and pp materials. But in the case of the PFCAs higher than C13 (PFTrDA), the concentration was gradually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PFOA and PFOS did not change much after 144 hours regardless of storage materials. As a result of decrease in ΣPFCs (22 species) concentration, it is thought that PFCs (22 species) were converted into another PFCs that were not analyzed. 과불화화합물은 여러 매체에서 분석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매체에서 고체상 추출(Solid Phase Extration, SPE) 방법으 로 분석을 하고 있다. 과거에는 SPE에서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d) 카트리지를 범용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WAX (Weak Anion-eXchange)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추세이다. HLB와 WAX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과불화화합물의 추출 특성 및 유리와 PP 재질에 보관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재질에 흡착되는 과불화화합물의 농도 변화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 항목은 PFOA를 포함한 PFCAs (perfluoroalkycarboxylic acids : 13종), PFOS를 포함한 PFASs (perfluoroalkansulfonates : 4종), precursors (5종)를 분석하였다. WAX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PFCAs, PFASs, precursors의 일부 항목은 HLB 카트리지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높게 나오는 반면, 일부 항목은 낮게 나오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PFCAs의 PFBA (C4), PFPeA (C5)는 시료의 농도가 높을수록 Intensity ratio가 점차 증가되는 결과로 WAX 카트리지의 효율이 우세한 것으로 보여진다. 시 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리와 PP 재질에 보관하여 분석한 결과 PFCAs 계열에서는 탄소 개수가 C11 (PFUnDA)이하와 PFASs의 계열은 큰 농도 변화를 보이지 않지만, PFCAs의 탄소 개수가 C13 (PFTrDA) 이상의 항목에서는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동일 한 현상을 보였다. 보관 재질에 상관없이 시료가 144시간이 경과한 후에 PFOA, PFOS의 농도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지만, ΣPFCs 농도는 감소하는 결과로 분석한 과불화화합물 (22종)외 다른 과불화화합물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