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와 영유아동물보호교육 필요성 인식 및 교사교육 요구

        강정원,이경진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ndency of infant teachers' attitude toward animal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eachers' attitude on teacher education demand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animal protection education for infants. The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n 220 infant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animal attitude of infant teach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val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infant animal protection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A relatively low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nimal attitude of infant teachers, the necessity of infant animal protection education, and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nimal attitude of infant teachers influenced the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by partially mediating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infant animal protection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are required to improve the animal attitude of infant teachers and to search measures for infant animal protection education.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동물에 대한 태도의 경향을 살펴보고, 교사의 동물 태도가 영유아 대상 동물보호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을 매개로 하여 교사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영유아동물보호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220명에게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가치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동물보호교육 필요성 인식과 교사교육 요구 사이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와 영유아동물보호교육 필요성 인식, 교사교육 요구 간에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는 영유아동물보호교육의 필요성 인식을 부분매개로 하여 교사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교사의 동물태도 개선과 영유아동물보호교육의 방안 모색을 위한 예비교사교육과 현직교육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대한 개념적 고찰

        이선희,이승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 of infant teachers’ sensitivity systematically based on domestic studies on infant teachers’ sensi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 articles focusing on infant teachers’ sensitivity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06 to 2018, and Rodgers’ (2000) method of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m. The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n infant teachers’ sensitivity was based on attribute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affecting factor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wo major attributes of infant teachers’ sensitivity were identified: cyclic process of signaling and responding, and infant teachers’ emotional expressions and professional responsive behaviors. Second, the antecedents for infant teachers’ sensitivity were infant teachers’ emotional stability and infants’ needs and cues. Third, the consequences of infant teachers’ sensitivity were promoting infants’ development and facilitat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urth, the positive affecting factors to their sensitivity were infant teachers’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feeling of happiness, childhood experienc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professionalism,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infants’ age, while the negative affecting factors to their sensitivity were psychological burnout and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se results imply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infants’ signaling and teachers’ responding together in future research on sensitivity since the concept of infant teachers’ sensitivity includes the cyclic process between infants and their teachers.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대한 국내연구들을 대상으로 민감성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영아교사의 민감성 관련 논문 총 32편을 대상으로, Rodgers(2000)의 진화론적 방법에 기초한 개념적 구조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민감성의 개념적 구조 분석을 위해 민감성의 속성, 선행요인, 결과, 영향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본 연구 결과는 첫째, 민감성의 속성은 ‘신호와 반응의 순환과정’, ‘교사의 정서적 표현과 전문적 반응행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감성의 선행요인은 ‘교사의 정서 안정성’과 ‘영아의 요구와 신호’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 민감성의 결과는 영아에게는 ‘영아의 발달’을 촉진시키며, 교사에게는 ‘전문성 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요인은 교사의 효능감, 직무만족도, 행복감, 아동기 경험, 영아 발달지식, 전문성, 조직문화, 원장의 감성리더십, 영아의 연령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요인은 심리적 소진,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민감성이 영아와 교사의 순환적인 신호와 반응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향후 민감성 관련연구에서 영아와 교사의 신호와 반응 과정을 함께 살펴보아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린이집의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공유정(Kong, Yu jung),정가윤(Chung, Ka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 46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PS 21.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어린이집 기관 유형 변인과 교사 변인에 따라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영아 그림책 읽기가 매일 이루어진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기관의 유형의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유놀이시간에 그림책 읽기가 주로 이루어진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교사 학력과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반복읽기에 있어 영아들이 원할 때까지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어준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영아 그림책 읽기 목적에 대해 언어 발달 촉진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기관 유형과 담당 학급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영아 그림책 읽기의 어려움은 영아들의 주의 집중력 유지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다 체계적인 교사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영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가 현장에서 좀 더 의미 있게 진행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infant teachers organized picture-book reading practices in classroom and what was their perception on picture-book reading to infants. The researchers surveyed 466 teachers in infant-toddler classes at day care center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data were represen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were analyzed using x ²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institution and teacher’s variables lik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levels and ages of infant they were teaching. First, the teachers the most likely to read picture-books to infants everyda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reading to infa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Second, most teachers read picture-books to infants during free play tim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the teachers read to infants in accordance with education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of the teachers. Third,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to infants repetitively as many time as the infants desir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repetition of reading depending on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Fourth, the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 purpose of reading picture-books to infants was to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pose of reading to infants in terms of institution types and ages of infants the teachers were teaching. Fifth, the most teachers had difficulty in reading picture-books to infants because infants lost interest easily and had short attention span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fficulty the teacher felt when they were reading to infants regarding institutional type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ultimately allowing infants’ picture-book reading to develop in a more meaningful way.

      • KCI등재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서희,김상옥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3

        Objective: Teacher’s professionalism means the ability to apply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lated to child care effectively to carry out the child care process. Depending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may be affected and the job satisfaction may b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erceived level of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aimed to help the infant teachers themselves to measure their own abilities and qualities and to develop individual growth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daycare center. Method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29 infant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ages between 0 and 2 yea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 WIN 24.0 program. Firs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ubfactors of the infant teachers were determined in order to know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e conducted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subfactor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subfactors. Results: Teacher professionalis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caring interaction and teacher-parent-community relations were found to affect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addition, teacher professionalism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child development, curriculum, and teacher-parent-community relations were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Influence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subfactor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selectively raise the level of teacher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infant teachers in each region.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0세∼만2세반 담임을 맡고 있는 보육교사 32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전문성, 교사-영아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의 수준에서 영아교사의 전문성은 돌봄의 상호작용이 가장 높고,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행동적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는 직무자체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전문성, 교사-영아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교사 전문성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전문성의 하위요인 중 돌봄의 상호작용과 교사-부모-지역사회관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전문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 전문성의 아위요인 증 영아발달과 교육과정과 교사-부모-지역사회관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아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영아-교사 간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

        유주연 ( Joo Yeon Ryu ),이승연 ( Seung Yeo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3개월에서 24개월 사이의 영아 80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4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마음 읽어내기 코딩 매뉴얼 2.1판(Meins & Fernyhough, 2012)’과 ‘정서적 가용성 척도 제 4판, 영유아 버전(Biringen,2008)’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는 영아의 마음과 관련된 적절한 발화를 마음과 관련된 적절하지 않은 발화보다 더 자주 사용하였으며, 영아의 마음을 적절하게 읽는 말과 적절하지 않게 읽는 말 간에는 유의한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다. 변인의 측면에서는 영아의 월령, 성별, 교사의 경력, 영아반 경력, 영아 대 교사 비율, 어린이집 유형과 교사의 마음 읽어내기 간에 유의한 관련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변인의 측면에서는 영아의 월령, 어린이집 재원 기간, 영아와 교사가 함께한 기간, 교사의 연령, 자녀유무, 영아 대 교사 비율, 어린이집 유형과 유의한 관련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영아-교사 간 정서적 가용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는 마음 읽어내기와 정서적 가용성의 개념을 사용하여 영아교사의 인지ㆍ언어ㆍ신체ㆍ정서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pects of infant teachers’ mindmindedness and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0 infants (from 13 to 24 month olds) and their 40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were Meins and Fernyhough’s (2012) Mind-Mindedness Coding Manual Version 2.1 and Biringen’s (2008) Emotional Availability Scales (infancy/early childhood version, 4th edi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 teachers made more appropriate mind-related comments than non-attuned mind-related comm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inds of comments. In terms of variables, the infant’s age and gender, the teacher’s whole teaching career and infant teaching career, the infant to teacher ratio, the type of the child care center were related to infant teachers’ mind-mindedness. Second, the level of infant-teacher emotional availability was above average. The infant’s age, the total period that the infant had attended the child care center, the period that the infant had been together with the teacher, the teacher’s age, whether or not the teacher had their own child, the infant to teacher ratio, the type of the child care center were related to emotional availability. Third, mind-mindedness and emotional availa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comprehensive and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n infant teachers’ cognitive, verbal, phys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s by using the new concepts of mind-mindedness and emotional availability.

      • KCI등재후보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 인식 및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고영자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infant music education and the efficacy of music pedology. To do it,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present infant teachers and would-be infant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outcome surveyed of 116 present infant teachers and 104 would-be infant teachers, there i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plies by present and would-be infant teachers in the importance, the aim and contents of music education and the capacity of teachers. Mean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plies by the two groups of infant teachers in the precondition of music activities. Finally, the analytic outcome of the efficacy of music pedology among the two groups of infant teachers shows that would-be infant teachers account for a higher rate compared with present infant teachers.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promote and encourage infant music education and learning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sent and would-be infant teachers. 본 연구는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직유아교사 116명, 예비유아교사 1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 음악교육에 대한 중요성, 교육목적, 교육활동 내용, 교사역량에 있어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간의 응답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에 반에 음악활동을 위한 전제조건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간의 응답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간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해 알아본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현직유아교사보다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음악연수 및 장학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기철(Kim Ki Cheol),신애선(Shin Ae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G시, I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71곳에 재원중인 만 0, 1, 2세 영아교사 307명과 그들의 영아 307명이며,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 영아발달에 대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은 영아발달과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보육신념은 부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영아발달 전체에 대한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의 수업전략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영아발달 증진을 위한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효능감 및 보육신념의 관계를 밝히고,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아 영아발달을 증진시키는 데 의미 있는 정보를 제시하여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and child-care belief on infant developmen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307 teachers for infants aged 0, 1, and 2, and their 307 infants of 71 day-care centers located in J, G, and I cities, Jeollabukdo. Rating scale for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child-care belief, and infant development was utilized to infant teachers. Date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and teacher-efficacy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ant development, while child-care belief did in part. Second,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and child-care belief on infant development in general showed that the teaching strategy of teacher-efficacy had the greatest influence. The study can be said to be very suggestive, in that it revealed the connection of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and child-care belief with infant development and suggested effective and valuable information in improving infant development by finding out the factors affecting infant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성숙 ( Kim Sungsuk ),이유미 ( Lee Youm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5세반 담임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말까지 약 7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의 역할 수행 수준은 기본생활습관 지도, 사회정서 지원, 학습능력 향상, 부모와의 협력, 교수계획 순이며 유아교사의 교직경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 수행 수준은 유아교사의 전문성 상, 중, 하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유아교사의 개인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역할 수행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직업윤리와 전문적 지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50.1%로 나타났다. 특히, 유-초 연계를 위한 유아교사 대부분의 역할 수행에 대해서는 유아교사의 직업윤리가 영향을 미치며 특별히 유-초 연계를 위한 교수계획 수행에 있어서는 유아교사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on their performance in the role of infant teachers for the continuity between infant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213 infant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5-years old clas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for about seven weeks from January to February 2017. The data collected are statistical processing by SPSS 230. The study found that First. the level of infant teacher’s performance for the continuity between infant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in the order of basic lifestyle guidance, social emotional support, improvement of learning skills, cooperation with parents, and teaching plans. And the level of infant teacher’s performance for the continuity between infant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ant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and type of service institution. Second, the level of infant teacher performance for the continuity between infant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fant teachers’ expertis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 Finally, with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under control, the effect of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infant teachers’ role for the continuity between infant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ethics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infant teachers, with a explanatory of 50.1%. In general, the role of an infant teacher for the continuity between infant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effected by job ethics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an infant teacher. However the performance of teaching plans for the continuity between infant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as effected by the socio-economic status of infant teachers.

      • KCI등재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정서조절책략의 매개효과

        김래은,장우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InfantTeacher: Focusing Mediating Effect of Emotion Control StrategyRaeeun Kim & Wooshim Ch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9 infant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tested for teacher efficacy,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using the SPSS 18.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econd, the teacher efficacy significantly explaine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ignificantly explaine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Sobel's te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s a factor that can supplement the teacher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Key Words: Infant Teacher, Teacher Efficacy,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 Control Strategy, Mediating Effect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정서조절책략의 매개효과김 래 은*ㆍ장 우 심**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책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대구・부산・경북・경남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정서조절책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Sobel-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첫째,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정서조절책략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영아교사의 정서조절책략 중 내면행위와 자연행위 책략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책략이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 검증 결과, 영아교사의 정서조절책략은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서조절책략은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보완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핵심어: 영아교사, 교사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정서조절책략 □ 접수일: 2022년 7월 15일, 수정일: 2022년 9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유원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U1 Univ., Email: versus486@u1.ac.kr)** 교신저자, 유원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U1 Univ., Email: cws5501@u1.ac.kr)

      • KCI등재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미연 ( Mi Yeon Bae ),이순복 ( Soon Bok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 167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교사관계는 Pianta(2001)의 영아-교사관계 척도를,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은 Waters(1987)의 한국판 애착 Q-set을, 영아의 어린이집적응은 Jewsuwan, Luster, Kostelink (1993)의 어린이집 적응 질문지(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 PAQ)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ASW Statistics)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영아-교사관계,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 어린이집 적응간의 다중공선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교사관계,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는 서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영아의 교사애착안정성은 영아-교사관계의 하위요인인 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영아-교사관계의 하위요인의 대부분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infant-teacher relationship on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teachers and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67 infants and their 44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in P-city. To determine infant-teacher relationships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by Pinanta(2001) was used. To determine teachers` attachment security for infants we used attachment Q-set by Waters(1987). To determine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by Jewsuwan, Luster, Kostelink(1993) was used. Data for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PASW Statistics)20 program.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multi-collinearity among infant-nursery teacher relationships,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teachers, and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of daycare entry was practic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fant-nursery teacher relationships on teachers` attachment security and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teachers and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Secon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their teachers had significant impact on conflict, which was a lower factor to infant-teacher relationship. Third, most infant-nursery teacher relationships affected most infants` adjustment in day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