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Effects of Flipped Classroom based on Smart Learning on Self-directed and Collaborative Learning

        Sang-Hong Kim,Nam-Hun Park,Kil-Hong Joo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nd Automation Vol.7 No.12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effects of smart-based flipped learning activities on learners’ study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formation use ability.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112 6th-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P in Gympo-si, Gyeonggi-do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this research experiment group (Flipped classroom based on smart-learning, and normal flipped learning) as well as the control group (traditional ICT-based class learning). They were examined for 11 weeks from the 2nd week of March to 2nd week of May, 2014. In the Flipped classroom based on smart-learning, the participants studied at home in advance with materials made by their teachers. Then, in class, they searched data instantly by using smart pads, used applications for learning or as a tool, and conducted online evaluation, etc. The normal flipped learning-based education group studied at home in advance with videos made by their teachers and, in class, they were instructed to focus on knowledge sharing among themselves and discussions. As a result, an effect on study achievement was found between the flipped learning and traditional ICT-based learning methods. And the smart-based flipped learning was found to have improv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ore than the general flipped learning and traditional ICT-based method. Collaborative learning ability and information use ability were found to be more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mart-based flipped learning group than the other groups.

      • KCI등재

        대학 교수자를 위한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 개발

        조영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that includes the guidelines of flipped learning and reflects the professor's require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we reviewed the guidelines of flipped learning included in the previous research about the design principle of flipped learning or flipped design strategy. Of the reviewed guidelines, we finally selected the guidelines judged by the researcher to be closely related to good component of flipped learning. In order to deduce professor's requirement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we interviewed 6 university professors with instructional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We developed the first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to include the deduced instruction of flipped learning and to include professor's requirement.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developed guide and correcting the guide, we made 2 reviews of expert and 2 evaluation of usabilit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is a print material of 45 pages. The guide covers both the analysis phase and design phase of instructional design for a flipped learning. The analysis phase includes the learner analysis,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the content analysis. The design phase includes the selection of content for flipped learning, the detailed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instructional type. There are three instructional types: the general flipped learning, the debate flipped learning,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flipped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의 지침을 포함하고 대학 교수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플립드 러닝 설계 원리 또는 플립드 러닝 설계 전략에 관한 선행 연구에 포함된 지침들을 검토하였다. 검토된 지침 중 효과적인 플립드 러닝의 구성요소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연구자가 판단한 지침들을 최종 선정하였다.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에 대한 교수자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하여 플립드 러닝 수업 경험이 있는 대학 교수자 6명을 면담하였다. 도출된 플립드 러닝의 지침과 교수자의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1차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가이드의 타당성 검증과 가이드 수정을 위해 전문가 검토 2회와 사용성 평가 2회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는 45쪽 분량의 인쇄물 형태이며, 분석과 설계단계에 따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에서는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내용 분석에 대한 활동이 포함된다. 설계에서는 플립드 러닝 적용 내용 및 수업 유형 선정, 수업 유형별(일반형 플립드 러닝, 토론형 플립드 러닝, 문제중심학습형 플립드 러닝) 설계 활동이 포함된다.

      • KCI등재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교육평가’ 수업의 성과: 예비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지혜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8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how the value of flipped learning, which has been applied to educational evaluation class among teaching profession courses, a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o help understanding on the application and use of flipped learning. To that end,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were first, to analyze participation in flipped learning class of educational evaluation course, secon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eam learning during flipped learning, and third, to analyze the good and insufficient aspects of flipped lear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educational evaluation course among teaching profession courses was found to increase the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Second, the heterogeneous composition of groups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ird, various team activities can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class and expand their scope of thinking. Fourth, various methods of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team activities. Fifth, convenience should be improved to facilitate pre-learning, and the meaning of pre-learning should be searched. Sixth, the biggest achievement of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educational evaluation course was the confidence developed in pre-service teachers that they can apply flipped learning to their own classes when they entered the teaching profession. 이 연구는 대학 교직 과목 중 ‘교육 평가’ 수업에 적용된 Flipped Learning이 새로운 교직 과목 교수-학습방법으로 가치가 있음을 밝히고, Flipped Learning의 적용과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첫째, ‘교육 평가’ 교과목의 Flipped Learning 수업에의 참여도를 분석하고, 둘째, Flipped Learning 수업 중 팀 학습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셋째, Flipped Learning 수업에서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을 분석하는 것을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평가’ 교직 교과목에 Flipped Learning 적용은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구성시에는 이질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양한 팀 활동은 In Class에서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고 사고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넷째, 팀 활동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할 경우 다양한 평가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사전학습의 활성화를 위하여 편의성을 개선하고, 사전학습에 대한 의미를 찾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교육평가 교과목에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가장 큰 성과는 예비 교사들이 교직에 진출하였을 때 자신의 수업에 Flipped Learning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된 것이다.

      • KCI등재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회계교육의 효과성 분석

        이성희,김정애 한국상업교육학회 2018 상업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Flipped learning 적용이 회계교육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 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Flipped learning을 통한 회계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Flipped learning을 통한 회계수업이 학습자의 수업태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Flipped learning을 통한 회계수업이 학습자의 학업성취 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A 대학교의 회계원리 계절학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은 총 3주간 3차시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측정도구로는 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양적 연구와 더불어 질 적 연구를 위해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Flipped learning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보다 학습만족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회계수업 이 학습자들의 수업 관련 활동에서 행동적, 인지적 측면에서 능동적, 자발적으로 개입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학습방법에 비하여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Flipped learning 수업이 회계학 수업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므로 각 대학의 회계교육자들이 회계교육의 질을 제 고하기 위해 Flipped learning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연구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we analyze whether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accounting course. Specifically, first, we investigate whether accounting class through flipped learning affects learner's satisfaction. Second, it is analyzed whether accounting class through flipped learning affects the perception of learner's attitude. Third, it is conducted whether the accounting class through flipped learning affects th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To achieve the purpos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or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counting principle class at A university in Gyeongsangnamdo.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3 weeks,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In addition to quantitative research, students were interviewe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lipping learning class showed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than traditional class. Second, it is found that the accoun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can intervene actively, cognitively, and voluntarily the learner's class related learning activities. Thir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class with flipping learning has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lipping learning can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accounting clas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give accounting educators at university opportunity to use flipping learning.

      • KCI등재

        플립드 러닝 운영의 효율적 교수법 방안 모색-『사고와 표현』 2를 중심으로-

        이영란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9 사고와표현 Vol.12 No.3

        Flipped learning is a method of pre-learning through homework and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t home and online lectures at h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teaching method called flipped learning is appropriate for the “thinking and expression”2 course through the operation case of flipped learning in Chosun University’s “thinking and expression”2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with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The reason fo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Thinking and Expression”2, is firstly that students learn and follow the lectures so that learning activities (discussion, writing) in the classroom can be performed smoothly. The second is that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re done in the classroom, which gives them instant feedback. Third is the proper teaching method of student participation classes. Fourth, instructors can conduct classes centering on their role as facilitators and advisors to support student activitie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students generally responded positively. The students said that team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which was an effective strategy. In addition, the flipped learning method has positive effects on the practice of this class while enabling individual player learning. However, if you make some improvements with the flipped learning class, you will be able to run a more efficient class. First, flipped learning lessons requir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allocate the suitable amount of students who can get feed-back. Third is the division of class according to the level of writing. Fourth, the time of effective video and skill. Introducing flipped learning lessons into the curriculum will require more careful and careful review. 본고는 조선대학교 『사고와 표현』 2 플립드 러닝의 운영 사례를 통해 플립드러닝이라는 교수법이 『사고와 표현』 2 교과목에 효율적인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좀 더 효율적인 교수법을 모색하여 수업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데 이 글의목적이 있다.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은 학교에서는 과제해결 및 다양한 학습활동을, 집에서는 온라인 강의를 통해 사전학습을 하는 수업방식이다. 이 교수법을 『사고와 표현』 2에 적용하기로 한 이유로 첫째는 학생들이 강의 내용을 숙지하고 옴으로써 교실 안에서 행할 학습활동(토론, 글쓰기)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학생들의 학습활동이 교실 안에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에게즉각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는 학생참여 수업의 적절한 교수법이라는것이다. 넷째는 교수자가 학생 활동을 지원하는 촉진자 및 조언자로서의 역할을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플립드 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결과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생들은 팀별활동이 자기주도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효과적인전략이었다고 하였다. 또한 플립드 러닝 방식이 개별적인 선수학습을 가능케 하면 서 본 수업에서의 실습을 수행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도 하였다. 다만 플립 러닝 수업과 관련하여 몇 가지 개선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수업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개선사항으로 첫째, 플립드 러닝 수업은 학생의 자발적, 능동적 참여가 필수적이다. 둘째, 피드백 가능한 만큼의 학생 배정이 필요하다. 셋째, 글쓰기 수준에 따른 분반 구성이다. 넷째, 효과적인 동영상의 시간과 기술이다. 이와 같이 플립드 러닝 수업을 교과목에 도입하는 데에는 더욱 신중하고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 실행을 위한 구글 클래스룸 활용의 질적 연구: S교회 고등부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성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1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experiences of teachers using flipped learning in church school using Google Classroo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Google Classroom is suitable as a platform for church school flipped learning and to identify tasks for continuing flipped learning in church schools. This was the case of the S Church high school in the province where there is no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platform construction. After 3 months of prepar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flipped learning using Google Classroom for 1 month. Then, the researcher conducted research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1:1 interview and researcher's observation records. Research has shown that if teachers have enough staff to run Google Classroom, Google Classroom is the right platform to run flipped learning in church schools. Teachers reporte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benefits of Google Classroom and flipped learning prior learning video contents,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teaching efficacy.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motivation problem that encourages students to see the pre-study videos before come to the church. And in order to continue flipped learning in church schools, it is necessary to have knowledge, emotional and spiritual support through seminars and workshops so that teachers do not be discouraged by failures in new attempts, to train professional staff to maintain flipped learning even if educator change. Also the church educa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from the Kindergarten to the discussion-oriented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s such as flipped learning. In the conclusions suggest discussion and impl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는 구글 클래스룸을 활용하여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실행하고 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한 질적 연구다. 연구 목적은 구글 클래스룸이 교회학교 플립러닝을 위한 플랫폼으로써 적합한지 밝히고,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지속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에 플립러닝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없고, 플랫폼 구축에 어려움이 있는 지방에 소재한 S 교회 고등부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약 3개월간 준비기를 거쳐 1개월 동안 구글 클래스룸을 활용하여 플립러닝을 실행하고 난 뒤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 1:1 면담,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구글 클래스룸을 운용할 수 있는 인력만 확보한다면 구글 클래스룸이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플랫폼이라고 진술하였다. 교사들은 구글 클래스룸의 장점들과 플립러닝의 선행학습 동영상 콘텐츠, 학생과의 의사소통, 교수 효능감에서 대체로 만족하였다. 한편, 학생들이 선행학습 동영상을 보고 교회에 오도록 하는 동기부여 문제가 대두되었다. 또 교회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새로운 시도에서 오는 실패들에 낙심하지 않도록 세미나와 워크숍을 통한 지식적, 감성적, 영적 지원이 필요하며, 교역자가 바뀌어도 플립러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 유치부부터 플립러닝과 같은 토론 위주 및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으로 교회교육체제가 전환되어야 한다는 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초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Flipped Learning 강좌 개선을 위한 질관리 체계의 설계 및 운영

        박시용(Si Yong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논문에서는 Flipped Learning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질관리 체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Flipped Learning 질관리 체계는 강의운영 전부터 강좌운영 후까지 한 학기동안 진행한다. 자기주도 학습을 강조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선행학습 후 실제 강의실에서 다양한 응용 학습을 진행하는 Flipped Learning은 대학 등의 고등교육 기관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교육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Flipped Learning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기존의 수업방법을 선행학습이 이루어지는 PreClass와 강의실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을 통해 PreClass의 내용을 심화할 수 있는 수업 방법으로의 강좌운영 전 재설계가 필수적이다. 또한 재설계되어진 수업에 따라 학생들이 PreClass와 연계된 InClass의 학습 활동이 잘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모니터링과 컨설팅을 통해 수업을 개선하여야 하며 강좌운영 후에는 강좌운영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제안하는 Flipped Learning 질관리 체계는 강의 재설계와 강좌 운영 개선 및 자아 성찰의 과정을 모두 포함하여 설계되었으며 운영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제안하는 질관리 체계의 우수함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quality control system to improv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Class. The proposed quality control system is conducted during a semester from a stage before a lecture to a stage after lecture. To emphasize self directed learning, Flipped Learning, which studies various application learning after prerequisite learning of students, is widely used not only in higher education such as a university but also various educational fields. In order to efficiently run a Flipped Learning lecture,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lecture. This is consists of a PreClass which is studied prerequisite learning of students, and a InClass which can deepen the contents of a PreClas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ion and students in the lecture room. In addition, the lecture is improved through the monitoring and the consulting about a InClass. After the lecture is run, reflection on the operation of the class should be done. The proposed Flipped Learning quality control system is designed to include the course redesign, lecture management improvement, and self - reflection process. The analysis of the Flipped Learning operation shows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quality control system.

      • KCI등재

        Flipped PBL 과 Flipped Learning 간의 흥미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 대학교양수학수업 사례

        강인애,허정필,최성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3

        Mathematics is presented as a compulsory course at university, but many students are reluctant to listen to mathematics comfortably, and if they are not interested in learning, they will lose their academic ability as a result.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apply PBL-based Flipping Learn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Flipped PBL Learning") as a prescription for this. The Flipped PBL is a video presentation of the problem, so that students are interested in what they are learning before the lesson It can be used as a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by induc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active discussion and participation with colleagues during actual class time. In the present study, We studied 160 students lacking the basic concepts of mathematics in D university from the September 22 to October 27 in 2016. 80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80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control group.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Flipped PBL learning metho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Flipped learning. Since then, We investigated change of the attitude and interest through the reflection journal and we also analyzed academic acheivement through results of 6 examination. As a result, the inter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eatly improved by reflection journal analysis, a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attitude, too.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group that applied the Flipped PBL learning clas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수학은 대학에서 교양필수 과목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많은 학생들은 수학을 재미없고 잘 듣고 싶지 않아 한다. 학업에 대한 흥미가 없이는 결과적으로 학업성취도가 떨어지게 되기 마련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처방으로서 PBL기반 Flipped Learning(이하 Flipped PBL Learning)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Flipped PBL은 문제제시를 동영상으로 하며 수업 전 학생들이 학습할 내용에 흥미를 가지고 탐구하도록 유도하고, 실제 수업시간에는 동료들과 적극적인 토론과 참여가운데 학습하도록 하는 학습자중심의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6년 9월 22일부터 10월 27일까지 D대학교 신입생 중 특히 수학에 대한 기초개념이 부족한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하여 80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학생80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Flipped PBL Learning방식으로 진행하고, 통제집단은 기존 Flipped learning에 따른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후 두 집단의 성찰일지를 통해 태도 및 흥미도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총 6개의 사전 사후 지필 시험결과를 활용하여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찰일지분석에서 실험집단의 흥미도가 많이 향상되었고,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또한 학업성취도의 경우 통제 집단보다 실험집단이 평균 20점 이상 높게 나와 Flipped PBL learning수업을 적용한 집단의 결과가 더 교육적 효과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A Study on the Effects of Mobile-based LMS on Flipped Learning: Focused on the Affective Pathwa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Hae Ja Heo,Bo Ae Chun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and Vol.10 No.12

        Flipped learning is a type of blended learning that has recently emerged as an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is study, a mobile-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is developed in order to support flipped learning for mobile-friendly learn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focused on a problem-solving approach on the affective pathway.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mobile-based LMS facilitates flipped learning compared to the PC-based Web environment. A series of instructional design of flipped learning for a math clas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undergraduate students at C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self-reflection journals for 6 weeks (12 peri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tudents and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board in the mobile-based LMS were analyzed using Nvivo, in order to track a series of changes of the affective pathwa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students gained high self-esteem, motivation, and interest regarding academic activities, which eventually cultivated a positive local affect. Furthermore, there was convincing evidence of changes from the “flipped classroom” to “flipped learning”, where students wer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mobile-based LMS. Compared to the PC-based Web environment, students were 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using the new environment proactively and creatively.

      • KCI등재

        Flipped Learning이 대학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률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6

        대학기초수학 교과목은 많은 대학에서 필수 과목으로 개설 운영하고 있으나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는 수학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대안적 방법으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흥미를 갖고 협업을 통해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 교수법으로 잘 알려진 Flipped Learning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Flipped Learning 수업을 본 교과목에 적용함으로써 강의식 수업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학습능력을 향상하고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지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lipped Learning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기존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의 비교연구에서 교육적 효과성을 알아본 결과 첫째, 단원테스트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평균이 20점 이상 높게 나타나 학습능력 향상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성찰저널 분석에서도 통제집단과 달리 실험집단에서는 어렵게만 느꼈던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의견의 내용이 많이 나와 흥미도 향상에도 효과가 있었다. Flipped Learning is being suggested which is well known as a teaching method which lets students learn the contents they will learn in advance through the advance online video and have a discussion through the team interaction in the main class for them to solve the assignment through the cooperation in a self-initiated way.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firm if the flipped learning class could improve the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raising the interest in math by complementing the problem on the lecture-type class by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class to the college basic math subject. As a result, in the unit test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than 20 higher than one of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Flipped Learning had a great effect on improving the learning ability, and as for the introspection journal analysis, many subjec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 they felt difficult unlike ones from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terest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