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데거와 여성: 보부아르의 『제 2의 성』과 해석학적 여성학

        박유정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3 No.2

        In meiner Arbeit handelt es sich um den hermeneutischen Feminismus. Der hermeneutischer Feminismus ist eine philosophishe Herausforderung, daß wir Simone de Beauvoirs Le Deuxième Sexe durch Heideggers Hermeneutik erläutern wollen. Und diese Herforderung wird eine philosophische Erläuterung über der Literatur. Zunächst behauptet Le Deuxième Sexe als die Feminismus Klassik die Fraubefreiung. Die Fraubefeiung, die Le Deuxième Sexe behauptet, wird erworben durch Existenz Aufstellung der Frau. Denn der Mensch seine Befreiung nur durch seine Existenz hat. Aber In Historie mißlang die Frau ihre Existenz zu aufstellen, und deshalb wurde sie der zweite Sexus. So könnte die Frau erwerben ihre Befreiung durch ihre Existenz Aufstellung. Aber Existenz Befreiung ist nicht, in heideggerschem Standpunkt, eine aktuelle Befreiung. Denn die ontologische Kondition der Frau durch Existenz Befreiung nicht erschlossen wird. Das heißt, das Existenzmodell der Fraubefreiung hat nur “menschliche Wahrheit,” denn diese Wahrheit kann nicht die ontologische Wahrheit, Aletheia erschließen. diese Aletheia in Heidegger wird “feministische Wahrheit” genannt. So sollte vorwärts gehen die Wahrheit der Existenz in Le Deuxième Sexe zu die Wahrheit als Aletheia, die kann die wirkliche Fraubefreiung gewähren. Folglich gelangen wir zu dem Schluß, daß die aktuelle Fraubefreiung könnte in ontologische Warhrheit der Frau verwirklichen werden. Diese Behauptung durch Heideggers Ontologie hat ihre Bedeutung zu erläutern Literatur wie Le Deuxième Sexe. 이 글은 하이데거의 해석학을 보부아르의 『제 2의 성』에 비판적으로 응용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보부아르의 『제 2의 성』이 선택된 이유는, 그것이 페미니즘의 고전으로서 그 논쟁의 중심에 서 있는 글이기 때문이다. 즉 『제 2의 성』은 페미니즘의 문제를 실존철학 및 현상학과 같은 현대 철학을 가지고 분석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문예적 향취를 가지고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하이데거의 해석학을 통해 페미니즘의 고전인 보부아르의 『제 2의 성』을 분석하여 이른바 ‘해석학적 여성학’을 전개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우선 보부아르는 『제 2의 성』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제 2의 성으로 강등된 이유를 분석하고, 그러한 역사적 사실을 고발한다. 그리고 이렇게 여성이 제 2의 성으로 자리 매김 된 것은 ‘여성의 선천적 열등성’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여성의 후천적 예속성’에 기인한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예속성은 그것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여성신화’를 만들어내고, 그러한 신화 속에서 여성교육이 행해지면서 여성은 자신을 예속된 존재로 느끼는 여성의 ‘여성체험’을 형성하기에 이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여성의 상황으로부터 보부아르는 여성이 해방되는 길을 제시한다. 그것은 여성이 자신의 실존적 초월을 통해 주체성을 확립하는 데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여성의 예속은 여성이 그녀의 실존적 주체 확립에 실패한 데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즉 인간은 자신의 실존투쟁 속에서 그의 본질을 초월에 의한 주체확립에서 확보해야 하는 존재인데, 여성이 그러한 실존적 초월에 실패함으로써 그녀는 남성의 주체에 대한 타자로서 그에 예속되고 말았던 것이다. 따라서 여성의 진정한 해방은 여성이 자신의 열등성이 예속성임을 자각하고, 그로부터 자신의 진정한 실존적 주체를 확보하고자 초월하는 데서 시작된다고 보부아르는 주장한다. 이에 비해 하이데거의 해석학은 그러한 실천철학적인 함축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그것은 오로지 존재물음을 해결하고자 하는 존재론적인 열망에 집중되어 있다. 그렇지만 하이데거의 존재론은 윤리학을 포함하는 존재론으로서 전통적인 영역존재론을 넘어서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이데거 존재론이 가지고 있는 진리개념을 분석한다면 보부아르의 논의를 분석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하이데거에서 진리는 비은폐성으로서 ‘알레테이아’이다. 이것은 그의 전․후기의 사유 속에서 변화를 겪지만, 일관되게 그것은 존재자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개시성(Erschlossenheit)이자 밝힘(Lichtung)이다. 이러한 존재진리는 사유이자 회상으로서 진리의 여신적 성격, 즉 ‘여성적 진리’에 다름 아니라고 하이데거는 말한다. 즉 아르케의 확보로부터 피어난 서구의 전통철학은 남성적 진리를 발견하는 데 그쳤다면, 하이데거의 알레테이아는 그러한 진리의 존재론적인 조건을 비은폐시키는 근원적인 진리로서 여성적 진리인 것이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존재진리로서 이러한 근원적인 진리를 남성적 아르케의 진리조건을 감추면서 비은폐시키는 알레테이아로 해석하고, 이를 여성적 진리라고 규정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비추어 볼 때 보부아르의 여성해방의 메시지는 남성적 진리를 주창하는 데 머물고 있다. 즉 보부아르의 논의는 제 1차와 제 2차에 이르는 여성해방 운동의 역사에서 제 1차 운동을...

      • KCI등재

        ‘참된 삶’?: 스벤야 플라스푈러의 『힘 있는 여성』으로 읽는 ‘페미니즘’

        김진환 ( Kim¸ Jin Hwa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0 독일언어문학 Vol.0 No.90

        페미니즘은 이론이 아니다. 페미니즘은 운동이자 정치다. 미투 운동은 1970년대 정점을 이뤘던 급진적 페미니즘을 다시 부활시킨 듯 보인다. 그러나 둘 사이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미투는 사회 모든 층위에서 폭력적 권력 구조가 작동하고 있음을 폭로한다. 하지만 이때 여성과 남성의 관계는 철저하게 이분법적으로 고착된다. 이 관계에서 여성의 (수동적인) 욕망은 남성의 (적극적인) 욕망의 반응으로만 이해된다. 여성은 언제나 피해자다. 여성은 언제나 폭로할 ‘수밖에’ 없는 위치로 환원된다. 그러나 범죄의 폭로와 처벌은, 그자체로 요구되어야 하는 과정임에도, 여성의 온당한 권리와 자기 이해를 증진해주는가? 스벤야 플라스푈러는 ‘힘 있는 여성’을 제안한다. 힘 있는 여성은 자신의 잠재력과 내재하는 가능성을 인식하는 여성이다. 힘 있는 여성은 남성을 수동성과 부정성의 늪으로 끌어내리는 대신 자신이 적극성과 긍정성의 장으로 나아간다. 역사적으로 언제나 성차별적 구조를 가졌던 사회가 규정하는 여성의 욕망을 반전시켜야 한다. 페미니즘은 보편적 페미니즘으로서 인종(인종주의), 문화(제국주의), 계급(계급차별주의) 등 여러 층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작동하는 성차별적 위계질서 자체를 겨냥해야 한다. 플라스푈러가 제안하는 ‘힘 있는 여성’은 그러한 ‘99%를 위한 페미니즘’에 기여하는 하나의 가능한 정치일 수 있다. 세계는 여전히 기울어진 운동장이며 주체는 그러한 운동장의 틈이 되어야 한다. Feminismus ist keine Theorie. Er ist ein Movement, Politik. Die MeToo- Bewegung scheint den Geist des radikalen Feminismus der 70er Jahren wiederbelebt zu haben. Doch gibt es einen wesentlichen Unterschied. #MeToo enthüllt eine auf allen Ebenen der Gesellschaft funktionierende gewalttätige Machtstruktur. Dabei wird die Beziehung zwischen Mann und Frau stets als eine dichotomische angesehen. Das Begehren der Frau ist ein Reaktionäres auf das des Mannes. Es wird immer auf die Position derjenigen, die keine andere Wahl hat, als sich zu wehren, zurückgeführt. Bei aller Notwendigkeit, kriminelle Gewaltakte bestrafen zu müssen, könnten wir fragen: Führt dieser Weg zur Etablierung ‘gerechter’ Rechte und eines entsprechenden Selbstverständnisses der Frauen? Svenja Flaßpöhler schlägt ‘die potente Frau’ vor. Sie ist der Potentialität und Möglichkeit ihrer selbst bewusst. Sie schreitet eher selbst vornan auf die Positivität hin als die Männer auf die Negativität herabzuziehen. Es ist nun notwendig, das Begehren der Frauen umzudrehen. Darüber hinaus hat der Feminismus auf die gesamte gesellschaftliche Struktur abzuzielen. Denn Rassismus, Imperialismus, Klassismus usw. haben dieselbe sexistische Wurzel. Flaßpöhlers ‘potente Frau’ kann eine mögliche Politik für einen solchen universellen Feminismus sein.

      • KCI등재

        시로 ‘페미니즘’ 읽기: 기억에서 상상으로

        김진환 ( Kim¸ Jin Hwa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1 독일언어문학 Vol.- No.92

        이 글이 시도하는 바는 두 가지다. 하나는 시 연구의 외연확장에 일조하는 것이다. 문학연구 및 교육은 문화학과 결합하게 된 이래 하나의 흐름을 형성했다. 이런 배경에서 ‘고전적인’ 양식으로 여겨지는 시는 길이의 경제성을 내세워 오히려 효율적인 매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페미니즘을 ‘대중화’하는 것이다. 페미니즘은 지나치게 이론화되어온 경향이 있다. 70, 80년대 ‘여성학’으로 자리 잡은 페미니즘 담론은 초기 여성인권 운동의 본질로부터 멀어졌다. 엘리트주의적으로 진행된 페미니즘 담론은 다시 대중화되어야 하며 페미니즘 교육은 삶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시들을 선별해 여성의 목소리가 어떻게 기록, 기억되어왔으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한다. 우선 드로스테-휠스호프의 시는 사회의 제약 속 억압된 여성의 위치를 보여준다. 내면의 욕망을 부정할 수밖에 없는 사회적 맥락은 20세기 바흐만에게서 욕망의 긍정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때 여전히 남성중심주의적인 서사는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울라 한과 콜레카 푸투마의 시들은 여성의 위치가 수동성에서 능동성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플라스푈러가 오늘날 페미니즘의 경향성을 비판하듯 단순 비판이라는 방식은 여성이 자신의 잠재력을 독립적으로 인식하고 발전시켜갈 수 있게 해주지 못한다. 자신만의 가능성을 상상하고 탐하는 길로서의 페미니즘이 요구된다. Der Zweck dieses Artikels ist zweifach. Einerseits besteht er darin, neue Möglichkeiten für die Lyrikforschung zu erkunden. Die Literaturforschung hat dank ihrer Zusammenarbeit mit der Kulturwissenschaft eine neue Richtung eingeschlagen. Hier bietet sich die Lyrik aufgrund ihrer Ökonomie der Länge als ein effizientes Medium an. Der zweite Zweck ist, den Feminismus wieder zu popularisieren. Der Feminismusdiskurs, der in den 1970er und 1980er Jahren als “Gender studies” etabliert wurde, fing an, sich vom Wesen der frühen Frauenrechtsbewegung zu entfernen. Er muss wieder zur ‘Politik’ popularisiert werden und die feministische Bildung muss als elementar anerkannt werden. Im vorliegenden Artikel werden Gedichte ausgewählt, die die Tendenz der jeweiligen Entstehungszeit widerspiegeln, um daran aufzuzeigen, wie die Stimmen von Frauen erinnert wurden und wie sie fortzuentwickeln sind. Droste-Hülshoffs Gedichte zeigen die Position unterdrückter Frauen unter Zwängen der Gesellschaft. Bei Bachmann und Hahn sind die sich selbst ausdrückenden Stimmen klarer zu hören. Weitere Gedichte von Hahn und Putuma zeigen, wie sich die Position von Frauen von passiv auf aktiv verlagert. Wie Flaßpöhler kritisiert, kann das Kritisieren allein den Frauen nicht dazu verhelfen, ihr eigentliches Potenzial zu fördern. Ein Feminismus, der die Frauen sich ihrer eigenen Möglichkeiten bewusst werden läßt, ist erforderli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삶의 정치로서의 친밀성

        권수현 한국여성철학회 2011 한국여성철학 Vol.15 No.-

        현대사회에서 섹슈얼리티는 포괄적인 의미에서 사람들이 성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사회문화적 방식이다. 그것은 개인에게 있어서 자아형성과 사회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자, 사회에 있어서는 사람과 사람 간에 근본적인 소통과 상호작용의 영역이다. 그런 까닭에 섹슈얼리티는 자아 정체성의 문제이자 정치적 문제이고, 섹슈얼리티에 관한 현대사회의 정치적 관심은 민주주의의 문제로 귀결된다. 그러나 우리가 마주하는 친밀성의 현실은 평등이나 사적 영역의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있다. 부르주아 시대의 새로운 도덕적 질서 하에서 친밀성은 ‘평등한 두 사람의 인격적 관계에 대한 협상’으로 등장하지만 실제로는 산업자본주의의 요구와 부르주아 가정의 이데올로기가 결합한 가운데 여성을 억압하는 사회적 장치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친밀성의 현주소는 근대화 시기 여성작가의 소설과 한국 기혼남녀의 섹슈얼리티와 친밀성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서 잘 드러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등한 친밀성에로의 개념적 구조변동은 삶의 정치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한다. 이는 공적영역 중심의 성찰성과 의사소통 가능성의 뿌리를 평등한 관계 추구의 사적 영역으로부터 들추어내어, 이를 다시 공적 영역에서 자유와 평등을 활성화시키는 기초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사적 영역의 민주주의가 인간해방을 위한 모더니티 기획의 여성주의적 연대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

        “비늘 달린 여자는 다 죽어버려라” - 다와다 요코의 _목욕탕_에 나타난 비늘 달린 여성의 의미와 타자성 연구

        정항균 ( Jeong Hang-kyun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21 독일어문화권연구 Vol.30 No.-

        In Das Bad von Yoko Tawada tritt die Schuppenträgerin in verschiedenen Varianten auf: Sie erscheint z.B. in einem Volksmärchen als Fischfrau oder in der Zirkus-Szene als Ich-Erzählerin, die sich selbst in die Fischfrau verwandelt. Oder sie tritt auch als Schuppenvogel auf, der wiederum auf die fremde Frau am Straßenrand verweist.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e ich auf das Motiv der Schuppenträgerin ein, um die Bedeutung der Fremdheit zu erkunden. Dabei wird es sowohl aus feministischer Sicht als auch aus Sicht der Kritik am Orientalismus betrachtet. Aus feministischer Sicht kann man die Schuppenträgerin als Mischwesen verstehen, in dem die Hybridität von Mensch und Tier sichtbar wird. Hier wird die Frau zum Status des Tiers und zugleich zum leckeren Gericht für die Männer, d.h. zum sexuellen Gegenstand degradiert. Jedoch sollte man nicht übersehen, dass diese Hybridität aus der Sicht des psychoanalytischen Feminismus als Zerstörung einheitlicher Identität und als vielfältige Subjektivitäten auch positiv beschrieben wird. Aus der Sicht der Orientalismus-Kritik gibt die Figur Xander als europäischer Mann der Ich-Erzählerin Ratschläge, dem Schuppenvogel mit dem Schwert in den Schuppen zu stoßen und ihn zu befreien. Dabei betrachtet er die fremden Frauen als Barbaren und gibt sich als ihren Retter aus. Dieses arrogante Verhalten kann man im Rahmen der Kritik am Orientalismus betrachten.

      • KCI등재
      • KCI등재

        테아 도른의 페미니즘 드라마 『마를레니』 - 20세기 두 독일 여성예술가의 이중전기

        함수옥 ( Ham Suok ) 한국브레히트학회 202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50

        테아 도른의 『마를레니』는 독일 영화사의 스타인 마를레네 디트리히와 레니 리펜슈탈의 가상의 만남을 그린 드라마이다. 베를린 출생의 동시대 예술가인 두 사람은 나치 시대와 제국주의 전쟁을 겪으면서 각기 반대 진영을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부상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독일의 집단기억(역사) 속에는 둘 다 불편한 존재로 각인되었다. 두 사람의 생애를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재구성한 문학적 이중전기라고 할 수 있는 『마를레니』는 제목이 암시하듯 처음에는 반목하던 두 주인공 마를레네와 레니가 영화를 만들기 위해 소통하면서 서로에게 다가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대립과 공감이 교차하는 이들의 대화에서는 예술가로서의 주체성, 배우와 감독의 위계적 관계, 시선의 대상으로서의 여성, 노화와 트라우마 등 여성예술가라는 이들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진다. 정치적으로는 반파시즘과 파시즘의 아이콘으로, 예술적으로는 배우와 감독으로, 성역할에서는 팜 파탈/어머니와 무성적 존재로서 각기 상반된 유형을 대변하던 두 주인공이 종국에는 그들만의 독창적 예술작품을 함께 완성한다는 극의 결말은 1970∼1980년대 페미니즘의 자매애적 연대를 상기시킨다. 2000년 초연된 이 작품은 성역할의 한계에 도전했던 20세기 두 여성예술가에 대한 오마주이면서 당시까지도 나치 부역자로 배척당하던 리펜슈탈에 대한 도른의 문학적 변론이다. Thea Dorns Marlenie ist ein Theaterstück über die fiktive Begegnung von zwei Gigantinnen der deutschen Filmgeschichte, Marlene Dietrich und Leni Riefenstahl. Die beiden Berlinerinnen, die während der Nazizeit bzw. des imperialistischen Kriegs zu Ikonen der gegnerischen Lager wurden, haben aber gemeinsam, dass sie als unbequeme Figuren in das kollektive Gedächtnis Deutschlands eingegangen sind. Das Stück basiert zum großen Teil auf wahren Begebenheiten, ist jedoch eine literarische Rekonstruktion der Biografien der beiden Künstlerinnen aus einer feministischen Perspektive. Wie der Titel ‘Marlenie’ bereits andeutet, handelt es sich in dem Stück um einen Annäherungsprozess der Protagonistinnen, Marlene und Leni, die sich in gegensätzlichen Positionen befinden. Im Verlauf des Dialogs werden verschiedene Themen im Zusammenhang mit der Identität der Künstlerinnen angesprochen. Dazu gehören die künstlerische Subjektivität, die hierarchische Beziehung zwischen Schauspielern und Regisseuren, weibliche Objekte des Blicks und das Altern als Trauma für Frauen. Das Ende des Stücks, in dem Marlene und Leni, die politisch als Antifaschistin und Faschistin, künstlerisch als Schauspielerin und Regisseurin und geschlechtlich als Femme fatal/Mutter und asexuelles Naturkind unterschiedliche Typen vertraten, gemeinsam ihr originelles Kunstwerk schaffen, erinnert an die schwesterliche Solidarität des Feminismus in den 1970er und 1980er Jahren. Dorns Werk ist sowohl eine Hommage an zwei deutsche Künstlerinnen des letzten Jahrhunderts, die die geschlechtlichen Grenzen herausforderten, als auch eine literarische Verteidigung von Riefenstahl, die bis dahin als Nazi-Kollaborateurin unerbittlich geächtet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