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고등교육기관의 교육환경 요소 분석

        이정현,안병훈,Ishiwatari Atsuki,Kawanami Reina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의 교육환경요소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 중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4급 이상 획득한 학생비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대학환경의 네 가지 요소인 학교 고정적 특성, 국제적 요소, 경제적 요소, 교육시설 등 각 요소들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에듀데이터서비스(EDSS: EduData Service System)에서 제공하는 8년간의 자료(2014~2021년)를 활용하여 연도별 200개 내외 대학을 분석하였다. 기간동안 6년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는 요소는 수도권 소재지인 경우, 대규모인 경우, 사립의 경우, 분교의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적 요소에서 외국인 유학생 비율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소와 시설에 관한 변수의 경우 이번 분석 결과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내 교육환경 개선방안의 기초자료, 각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재정지원 방안의 기초자료, 각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지원 프로그램 설계에 활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비율 증가에 따라 한국인 학생과 교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확대와 지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university's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ffect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Using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obtained TOPIK level 4 or higher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examined how each factor affects four areas of the university environment: school fixed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educational facilities. Eight years of data (2014-2021) provided by EduData Service (EDS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lightly different from year to year, but in the loc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large-scale, private, and branch school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Regarding international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had a negative impact. In the case of variables related to economic factors and facilities,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used to design basic data on how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universities, basic data on financial support pla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t each university, and learning support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t each university. Finally, as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creased, it was suggested that programs to interact with Korean students be expanded and supported. Accordingly, as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creases, developing and supporting programs that can interact with Korean students is suggested.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과 학교 수준 학업성취도 간 관계 분석

        문찬주,정설미,이영선,정동욱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4

        Although the free semester in middle schools is expanding, the concern about a decline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mai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ementing the free semester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free semester's implementation rate on academic achievement by applying the two-way fixed effect model using EDSS data from 2011-2018. The results show that the trends of academic scores and the rate of underachievers in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have repeatedly fluctuated; the correlation was not clear. Next, the effect of the free semester's implementation rate on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scale scor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ree semester's implementation rat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creasing in under-achieved students' rate in Korean language subjects. Regarding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and developing policies based on empirical evidence. Also, governments and schools may consider implementing basic educational programs in parallel to ensure minimum academic standards. 중학교 자유학기제가 도입되고 자유학년제로 전면 확대 시행되기까지 일각에서는 학생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시행과 관련하여 정책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 즉 학력 저하가 발생하는지 실증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향후 자유학년제 안착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에듀데이터(EDSS) 2011년~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시․도별 자유학기제 시행 비율이 학교 수준 학업성취도 및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모형으로는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3년 이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과 학업성취도 변화 추세는 증감을 반복하여 점진적으로 확대된 자유학기제 시행 추세와 뚜렷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시․도별 자유학기제 시행 비율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국어, 영어, 수학 척도점수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유학기제 시행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중학생 학업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를 객관적으로 재확인하고, 실증적 근거를 바탕으로 정책이 보완・발전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자유학기제가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유의하지 않을지라도, 이를 예방하는 적극적 대응으로써 기초학력 보장 프로그램의 병행 운영을 고려해볼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초·중학교 과밀학급 발생의 영향요인 분석

        안해연,서경숙,이선복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3

        본 연구는 지역별 과밀학급의 현황과 쟁점,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중등학교의 과밀학급이 어떤 내·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에듀데이터 서비스 시스템(EDSS)에서 제공하는 전국 행정구역 단위 학급당 학생수 데이터를 통해 과밀학급의 현황을 분석하고, 언론기사 토픽모델링(Topic Modeling) 자료를 바탕으로 쟁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육 내·외부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 대상 학교의 교육 공공데이터와 학교가 위치하는 행정동의 인구 및 주택 데이터를 결합하여 파이썬(Python)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인 K-평균 군집분석(K-means clustering)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요인, 정책 요인 등이 과밀학급에 주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요인은 주거지 유형, 학원가, 선호 학군, 학원수 등이며 정책 요인으로는 신도시 개발 및 주택 공급제도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밀학급이라는 현상을 복잡성과 다양성 관점에서 영향 요인 분석을 시도한 점, 최근 발전하고 있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점에서 실질적·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특성에 따른 과밀학급 유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향후 교육기본법에 명시된 학급당 적정 학생수 유지를 위한 정책 과제를 발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Unraveling Advanced EFL Learners’ L2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xtramural Digital Settings

        Alimorad, Zahra 범태평양 응용언어학회 2022 범태평양응용언어학회지 Vol.26 No.1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as a critical component of effective pedagogy (MacIntyre et al., 1998), the present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d the affordances extramural digital settings (EDSs), as newly emerged popular environments, offer to advanced EFL learners. To this aim, we asked a purposeful sample of 8 Iranian undergraduate English students of both genders (4 males, 4 females), with an age range of 19 to 21, to partake in the study. Results of the analysis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suggested that despite providing advanced EFL learners with unique opportunities for the use of the target language, different aspects of EDSs might have diverse effects on each individual's L2 WTC. More specifically, L2 WTC was subject to considerable fluctuations because of the simultaneous and aggregate effect of different factors and the fluctuations exhibited substantial variation from learner to learner, moment to moment and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purposes. The factors identified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Affectiv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contextual (interlocutor, social disapproval and cultural influences), and linguistic (language proficiency)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offer insights into materials development by suggesting the integration of some activities and tasks which focus on the use of various social media platforms to the course materials. Moreover, English instructors need to acquire information on which social media platforms are more appropriate and could create an interesting and collaborative environment for students to communicate in the target language. For instance, they could form groups on social media to engage students in regular authentic interaction in L2 outside of the classroom context.

      • KCI등재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가 전문대학 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정현,안병훈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al internationalization competency certification system introduced to manag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main competency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along with the increase in foreign students. To this e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ducational internationalization competency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were analyzed using the university notification provided by the Edu Data Service System (EDSS) of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KER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the variable factor, scholarships and the rate of securing full-time teachers per studen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case where the school location wa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the major item sector. Through the certification system, it was possible to empirically confirm the virtuous cycle structure of university competenc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use of it as basic data for internationalization research o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but also to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measur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It was suggested that the policy effects should be continuously reviewed by establishing information on schools and information on foreign students in a time series.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고등직업교육 입학자원의 감소 속에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와 더불어 이에 관한 교육의 질관리 차원에서 도입된 교육국제화 역량인증제와 대학의 주요 역량 특성과의 연계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의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SS)에서 제공하는 대학 알리미, 교육부의 고등교육 통계, 한국유학종합시스템의 전문대학 외국인 유학생 데이터의 통합데이터 세트를 활용하여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와 전문대학의 특성 사이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변인 요소에서 지역 부문이 학교 위치가 수도권인 경우와 주요 항목 부문에서 재학생 1인당 장학금과 전임 교원 확보율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제를 통해 대학역량의 선순환 구조를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고등직업교육 국제화 연구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 뿐 아니라 지원방안 수립 및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만족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보았다. 학교의 정보와 외국인 학생의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구축하여 정책효과를 지속적으로 검토해야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노인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특징 및 시사점

        전수경 ( Jun Soo Koung ),류숙희 ( Ryue Sook H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평생교육시설을 통해 공급된 2015년도 노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노인교육의 확대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연구를 위해 에듀데이터서비스(EduDataService System: EDSS)에서 제공하는 KEDI의 평생교육 통계 중 2015년도 평생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자료를 가지고 프로그램 규모를 비교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공급 기관 유형, 프로그램 주제, 재정지원 형태, 교육기간, 그리고 남성 참여자비율을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세대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평생교육시설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중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규모정도는 다른 연령대와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은 평생학습관과 사업장부설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그룹을 위한 프로그램은 다른 연령대와 마찬가지로 문화예술 및 인문교양이 많았고, 그리고 노인세대에는 다른 세대에는없는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었다. 넷째, 노인세대를 위한 프로그램은 다른세대보다 재정지원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다른 세대에 비해 장기적인 프로그램이 더 많았다. 여섯째, 노인세대의 경우 남성 학습자가 20% 미만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결론적으로 노인들은 소규모의 오프라인 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하고, 세대 특성과 재정적 형편에 맞는 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하였다. 앞으로 더 많은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를 위해서는 노인의 다양하고 개별적인 욕구와 사회경제적 상황이 다양한 노인그룹들의 교육적 요구와 필요를 충족시키는 좀 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고, 질적으로도 더욱 향상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learning programs in the learning institutions that are covered by the Lifelong Education Law in 2015 by 4 different groups of participants(children, youth, adults and seniors),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programs of senior people, and to suggest opinions for promoting lifelong learning of senior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database of Lifelong Education Statistics in KEDI in 2015 by EduData Service System(EDSS). The number of programs by 4 groups was calculat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he comparisons of the institutional types, program subjects, funding types, the period of learning, and the rate of male learners by 4 groups were analyzed with the method of cross-tab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number of programs for the seniors was lower than any other groups of participants. Second, while general adults tended to use cyber-based learning institutions, the seniors participated more programs in the local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in the business-based culture centers. Third, for the seniors, the programs of culture/arts and humanistic liberal arts were provided like other groups but distinctively,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s were provided only for the seniors. Fourth, the senior programs tended to be funded more than other age groups. Fifth, the learning period of the senior programs was longer than other groups of participants. Finally, the cases in which the rate of male senior participants was lower than 20%, were the most while in the adult groups, there were over 20% of programs having the male participants by over 80% in each course. Considered that the senior people are not homogeneous, the learning opportunities should be delivered to older people who do not have high educational backgrounds or high socio-economic status for the intra-generation equality as well as inter-generation equality.

      • KCI등재

        자하거 약침 단독치료로 호전된 다발성 경화증 치험 1례

        황규상,유근정,이수영,이준영,김두리,홍가경,신선호,신용진,Hwang, Gyu-sang,Yu, Keun-jeong,Lee, Su-yeong,Lee, Jun-yeong,Kim, Du-ri,Hong, Ka-kyung,Shin, Sun-ho,Shin, Yong-jee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8 No.2

        Objectives: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effect of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HPP) on multiple sclerosis. Methods: A multiple sclerosis patient with gait disturbances, tremors, spasms of both lower limbs, and diplopia was treated with only HPP for two week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PP on the balance ability of the patient, the Functional System (FS) scale, Expanded Disability Statue Scale (EDSS), visual analog scale (VAS), manual muscle test (MMT), and Berg Balance Scale (BBS) were used. Results: The HPP treatment reduced the patient's gait disturbance, tremors, spasms of the lower limbs, and diplopia. According to the FS scale, the patient's cerebellar and optic functions were enhanced. In addition, the patient's performance on the EDSS improved from 4.0 to 3.0.3. As shown by the MMT, the lower extremities showed a mild improvement (from F+ to G.4). Furthermore, the VAS showed a considerable improvement, decreasing from 9 to 6.5 post-treatment. The patient's performance on the BBS, which denotes balance ability, showed a considerable improvement, increasing from 38 to 49. Conclusion: Treatment with only HPP could help to ameliorate the symptoms of multiple sclerosis.

      • KCI등재

        교과교실제가 일반계고등학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박성호,신철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敎員敎育 Vol.33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effects of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on achievement in general high school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cause the effects. For this purpose, data derived from School Information System, Korean Education Statistics, and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were linked to carry out 3-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Data were limited to 98 general high school which located in Gyeonggi-do. As a result,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English achievement. Within the same school, English achievement score was higher in the year that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was applied. However direct effect of the policy was not found, only mediated effect by school conditions, such as student-teacher ratio, weekly teaching hours per teacher, teachers' average age, percentage of invited teachers. Regarding Math achievement, both direct and mediated effects were not found. With respect to Korean achievement, there was no effect of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However, school condi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These results shows that improvement on overall school conditions could make positive effects on English and Korean achievement. It suggests that in applying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the focus should be on improving school conditions not on expanding the policy itself without deep consideration. 본 연구는 정책 실시 후 실증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책 효과를 정확하게 검증하는 것이 정책 발전 측면에서 필요하다는 관점 하에, 교과교실제 정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평준화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학교정보공시, 교육통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자료를 연계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2010∼2012년 국가수준 영어, 수학, 국어 학업성취도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3-수준 다층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교실제의 효과는 영어 교과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같은 학교 내에서 교과교실제를 운영한 시기가 운영하지 않은 시기보다 영어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그런데, 이러한 교과교실제의 효과는 정책의 고유 효과라기보다는 교사 1인당 학생 수, 수업교원의 주당 평균 수업시간, 수업교원의 평균연령, 초빙교원 비율 등과 같은 수업 여건 및 교사 상황을 매개하는 간접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는 교과교실제의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교사 1인당 학생 수, 수업교원 평균연령, 초빙교원 비율의 변화에 따른 학생의 국어 학업성취도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수학에 대해서는 교과교실제 실시 여부에 따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교실제 정책이 유의미하게 현장에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책 실행에 수반되는 제반 여건과 교사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그 제반 여건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 동시에 수반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에 대한 대학기관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전재은(Jon, Jae-E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탈락과 관련된 대학기관 수준의 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난 10여년 간 국내 외국인 유학생 인구는 대폭 증가하였지만, 외국인 유학생의 이탈과 불법체류 및 취업 등 사회적 문제도 대두되었다. 정부는 이를 관리하기 위해 2011년부터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를 실시하였지만, 아직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탈락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2012년도 에듀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167개교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소재지와 규모가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ing factors at the institutional level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For more than the last decade, the international student population in Korea has drastically expanded, and the social issues such as their drop-out, illegal stay or employment have emerged. Against this background,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to implement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and management’ from 2011. However, academic research on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in Korean higher education has not received proper attention yet. Accordingly,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on institutional-level factors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in Korean higher education. Using 2012 data from the EDSS(EduData Service System) of the KERIS(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 total of 167 four-year institutions were included in analysis. Findings showed that the location and the size of institution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rat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provided.

      • KCI등재후보

        다발성 경화증에 대한 한방치료 치험 1례

        전용태,박상훈,고연석,Jeon, Yong-Tae,Park, Sang-Hun,Ko, Youn-Seok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4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Vol.9 No.2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improvement of the patient with multiple sclerosis treat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Methods : The patient diagnosed as multiple sclerosis treated by acupuncture, bee venom pharmacupuncture, chuna manual therapy, and herbal medici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we used manual muscle test(MMT), the standard for assessment of the effect of stroke treatment, functional system(FS), visual analog scale(VAS). Results : 1. The patient's pain and optic dysfunction were reduced by the above therapy. 2. There was no change in manual muscle test(MMT), but there was mild improvement in finger joints function in the standard for assessment of the effect of stroke treatment. 3. In functional system(FS) scale, there was enhancement in optic function within a range. And there was improvement in expanded disability statue scale(EDSS) from 4.0 to 3.0. 4. In visual analog scale(VAS), there was considerable improvement from 9 to 6. Conclusions : The korean medical treatment was reduced pain and optic dys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