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디지털리터러시 연구 동향분석 - 2011-2015년과 2016-2020년 비교분석

        김영환,김우경,박지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4

        In a digital environment, digital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correctly understand and use digital technology to lead a valuable life in a digital environment, explore and use information, critically analyze, evaluate, communicate, and create,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Its necessity has increased rapidly, and it is functioning throughout society. However, since there has been no convergent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the trend of digital literacy research has until recently been examined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the past 10 years. To understand the quantitative change of digital literacy research, keywords, degree centrality, and cluster map, this study condu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a quantitative change in the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from 2011 to 2020. Such change increased by about 3.5 times in the latter five years (2016-2020) than in the first five years (2011-2015). Second,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map of digital literacy revealed those with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were “education,” “digital,” “digital literacy,” and “literality,” and “competency” and “information” were added in the latter five years. In addition, the network map also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nodes and a complex change in the network. Third, by analyzing the cluster map, five large clusters were formed in the first five years and nine large clusters were formed in the latter five years. Through this,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research and various expansion of the research field were confirm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opos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apidly increasing digital literacy research and emphasized the need for exploration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topic of digital literacy focused on “education.” The reinforcement of convergent research was also discussed. 디지털 환경에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가치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여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며 비판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소통하고 창조하는 역량인 디지털리터러시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후로 급격하게 그 필요성이 증대되어 사회 전반에서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디지털리터러시에 초점은 둔 다양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디지털리터러시 연구의 동향을 지난 10년간의 연구 동향을 4차 산업혁명의 기점이 되는 2016년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디지털리터러시 연구의 양적 변화와 핵심 키워드, 연결중심성과 클러스터 맵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2011-2020까지 디지털리터러시에 관한 연구의 양적 변화가 전기 5년(2011년2016년) 보다 후기 5년(2016년-2020년)간의 연구가 약 3.5배 정도 증가함을 파악하였다. 둘째, 디지털리터러시의 키워드 네트워크 맵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교육’, ‘디지털’, ‘디지털리터러시’, ‘리터러시’이고 후기 5년에서 ‘능력’, ‘정보’가 발견되었으며, 네트워크 맵에서도 노드 수가 증가와 연결망의 복잡한 변화를분석하였다. 셋째, 클러스터 맵 분석 결과 전기 5년에서는 5개의 큰 군집이, 후기 5년간 크게9개의 군집이 형성되었고 이를 통해 연구의 양적 증가와 연구 분야의 다양한 확장을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급증하는 디지털리터러시 연구에 대한 질적 분석을제안하였으며 “교육”에 편중된 디지털리터러시의 연구 주제의 확장과 더불어 사회전반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탐색의 필요성을 역설함으로써 디지털리터러시에 대한 융합적 연구의 강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네트워크시대의 글로벌 시민성

        박기범(Park, Kee Burm)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0 글로벌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디지털 네트워크시대에 요구되는 바람직한 시민성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정보사회에 적합한 시민성을 논하기 위한 선행 조건으로 디지털 네트워크 사회의 특징을 탐색해보았다. 디지털 네트워크사회의 특징으로 ① 시·공간의초월, ② 짧아진 지식의 생성과 소멸 주기, ③ 정보공유의 평등성과 민주성, ④ 정보생산의 대중성, ⑤ 디지털 사회적 관계망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구되는 시민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자신이 갖고 있는 스키마를 넘어서, 문제 상황에 대한 새롭고 융통성 있는 시각을 갖는 탈환원주의적 시각을 갖추어야한다. 둘째, 정보 생산에 참여하는 지식생산자로서의 자질이 필요하다. 셋째, 전통적 교실 수업에서 실현하지 못했던, 실천력을 갖고 있는 사회 참여자로서의 태도를 요구한다. 넷째, 학습하는 방법을 터득하는 능력과 태도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focuses on discussion for good citizenship required to digital network society For suitable citizenship to information society, I searched digital network social features. Features of digital network society are ①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② short cycle of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knowledge ③ the equality and democracy of information sharing, ④ the popularity of information production, ⑤ digital social network. the citizenship required is as following. First, Overcoming schema that own has in old, we must own ir-reductive lens that sees flexibly about problems. Second, the society needs quality as knowledge producer who takes part in information production. Third, although we did not realize in traditional classroom class, digital network society requires attitude as society participant who have action faculty. Fourth, Digital network society needs ability and attitude that understand method that studies.

      • KCI등재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연구

        이용욱(Lee, Yongwook)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인터넷은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의식적 공간이다. 이 공간의 핵심 가치는 네트워크이며, 연결의 중심에 하이퍼텍스트가 있다. 문자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지식의 형식과 내용이 변화하고 총체적, 선형적, 인과적, 누적적이었던 텍스트의 구성과 작동원리가 파편성, 비선형성, 우연성, 휘발성으로 해체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가 ‘연결된 정보망’인 네트워크-공간에서 진행되면서 우리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리터러시를 요구받고 있다. 특히 4차산업혁명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작금의 시기에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연구는 학문의 다양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주제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디지털리터러시의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능력의 필요충분조건이 되는 하이퍼텍스트와 네트워크-공간의 특징을 살펴보고, 디지털리터러시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는데 있다. 궁극적으로는 최적화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할 것이다. 미래의 지식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완성된 작품에 대한 독서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블록(하이퍼텍스트)이 모여 키트(텍스트)가 되고, 읽기와 쓰기가 서로 연결돼 있듯이,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 관계 역시 상호 보완적이다. 작가와 독자, 시간과 공간, 층층과 겹겹, 선형성과 비선형성, 중심과 탈중심은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조화를 이루어 네트워크-공간을 채워야 한다. 디지털리터러시는 현실과 가상, 아날로그와 디지털,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를 연결하고 그 경계를 허무는 것이다. 인문공학적 입장에서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방향성은 텍스트와 하이퍼텍스트를 아우르는 메타컨텍스트 교육이 될 것이다. The Internet is not a physical space but a networked conscious space. The core value of this space is the network, and there is hypertext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The form and content of knowledge change from the text to the hypertext, and the constitution and the working principle of the text which are collective, linear, causal and cumulative are disintegrated into fragmentation, nonlinearity, contingency and volatility. And above all, as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knowledge progresses in network-space, which is connected information network, we are demanding new literacy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The problem is that even though it has been more than a decade since the new literacy has been named Digital Literacy, there is still no proper academic discussion about what it is and what it is and how to educate i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and network - space, which ar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communication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of digital literacy, starting from such a problem, and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digital literacy. Ultimately, we will propose a direction for optimized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advance to the knowledge of the future, the experience of reading about the finished work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Just as blocks (hypertext) come together as kits (text) and read and write are interconnected, text and hypertext relationships are also complementary. Writers and readers, time and space, stratification and layering, linearity and nonlinearity, center and decentralization should not be confronted with each other, but should be harmonized to fill network-space. Digital literacy connects real and virtual, analog and digital, text and hypertext, and breaks the boundaries. Digital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done in order to improve literacy in educational engineering. The direction should be meta - context education that includes text and hypertext.

      • KCI등재

        논문 : 모바일 네트워크 플랫폼 사회의 디지털 시네마에 대한 연구

        이지영 ( Ji Young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4 시대와 철학 Vol.25 No.1

        미래 영화의 변화라는 광범위한 연구의 첫 단계로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네트워크 플랫폼 시대의 영화의 존재 방식에 대해 질 들뢰즈의 철학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영화의 변화 속에서 과연 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존재론적 물음과 관련된 논쟁들을 들뢰즈의 이미지 존재론의 입장에서 고찰함으로써, 아날로그 영화뿐만 아니라 디지털 영화의 존재론적 물음에도 들뢰즈의 영화 철학이 유효한 이론임을 보이고자 한다. 또한 디지털에서 모바일 네트워크 사회로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융합’과 ‘공유’ 개념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변화의 핵심에 ‘관객의 운동성’이 있음을 고찰한다. 이러한 관객성의 변화는 단순히 기계들과 물체들의 융합만이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공유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며 생성하고 있는 새로운 인터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께 이루어진다. 복잡하게 얽혀있는 디지털 네트워크의 구조와 영화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들뢰즈의 ‘배치’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고찰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서 ‘영화가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재정의를 제시하였다. 즉, 영화를 둘러싸고 있는 변화된 여러 층의 미디어 환경 전반을 이해하기 위하여 단일 작품으로서의 영화가 아니라 집합적 개념으로서의 ‘네트워크-시네마’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관객의 운동성’과 ‘네트워크-시네마’라는 새로운 개념들의 제안을 통해 현재 급변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의 영화의 아이덴티티 문제 혹은 영화의 새로운 재영토화를 철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통해서, 다만 영화 이론 분야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유효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meaning of new cinematic mode of existence in the age of mobile network platform through the Deleuze`s philosophy as a first step for a broader research of future cinema project. This research tries to show that Deleuze`s film philosophy is still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ontological questions not only of analog cinema, but also of digital cinema via the examination of arguments over the ontology of cinema in the transformation from analog to digital cinema. For understanding the change from digital to mobile network culture, the concepts of ‘convergence’ and ‘share’ are discussed as central concepts, and it is claimed that there is ‘mobility of the spectator’ in the center of the change. This changed spectatorship is possible in the convergence of machines, bodies and media, and is also possible with the intermedial environmental changes that are incessantly changing and becoming through the share on the network. In order to comprehend this complicated structure of digital network and the cinematic change, this essay uses a Deleuzian concept of ‘assemblage’. In so doing, I suggest a redefinition of cinema: ‘Network-Cinema’. It is not an individual work, but a collective concept that can enable us to understand the multi-layered media environment which surrounds us. Through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cinematic identity or cinematic reterritorialis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surroundings, while inventing the new concepts, ‘mobility of the spectator’ and ‘Network-Cinema’, this article tries to cross the border of film studies and suggest a useful perspective for the comprehension of the world we live in.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에서 좁은 세상 현상과 디지털 아이템 구매 간의 동적 상호 관계

        이희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3 마케팅논집 Vol.3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ll world” phenomenon on the network and the behavior of purchasing digital items through the panel VAR(PVAR) model. In addition, we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the main driver of the small world in the network is the clustering of networks using PVAR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IRF). In this study, we used panel and time series data analysis methods to empirically study the dynamic and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in- and out- closeness centrality indicating how close the members of the network are, the amount of digital item purchases, and the clustering coefficient indicating the density of the net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loser people are to other people, the more they purchase digital items, and conversely, the purchase of digital items narrows the distance from other network members. Second, as the clustering decreases, the distance between people decreases. In summary, this study revealed that digital item purchase and distance on the network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teraction, and that reducing the clustering plays a role in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people. 본 연구는 네트워크상에서 “좁은 세상” 현상과 디지털 아이템 구매 행동과의 관계와 네트워크에서 “좁은 세상”을 만드는 주요한 동인이 네트워크의 군집성인지를 panel VAR(PVAR) 모형과 충격 반응 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IRF)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내 구성원들간의 거리가 얼마나 가까운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지표인 내향 및 외향 근접중심성, 디지털 아이템구매 금액, 네트워크의 밀도를 나타내는 군집계수 간의 관계를 패널 및 시계열 데이터 분석 방법을 이용해 동적이며 상호작용이 있는 관계를 실증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사람들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사람들일수록 디지털 아이템 구매를 더 많이 하고, 역으로디지털 아이템 구매는 다른 네트워크 구성원들과의 거리를 좁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집도가감소할수록 사람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네트워크상에서 디지털 아이템구매와 거리는 유의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군집도 감소가 사람들 간의 거리를 감소시켜 좁은세상 네트워크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혔다.

      • KCI등재

        현대중국 인터넷 공간의 사회문화적 의미 : 장소로서의 디지털 네트워크

        이응철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2

        This study tries to observe Chinese young people how to use their mobile devices and to analyze the placeness of digital network in contemporary China. Digital network or online space, as like any other physical space as well, has its own placeness.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some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produced by digital devices and digital network in China. In conetemporary China, the distribution rate of digital devices is increasing and people take a profound interest in digital world more than ever. This brings so many changes in everyday life, including the interaction with friends. For example, interest in social network services like WeiXin, WeiBo, RenRenWang, etc. among young Chinese people is growing faster. Chinese young people present their own point of view to some social issues at internet BBS, SNS, etc.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online shopping can be an act extending placeness of purchase demands reconceptualization of place. Moreover, although it's true that due to the spread of digital network, the freedom of speech in China is less impeded and the place where one can express his/her opinion is wider than before, but we must remember that it's not the only result of digital network. Spread of digital devices and digital network raises various questions to the placeness. Digital space which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physical space enables experiences crossing the border of physical place and this demands some revised conceptualization of place. Moreover, this must be considered in Chinese particular socio-cultural context.

      • KCI등재

        디지털정당의 유형과 특성: 플랫폼정당과 네트워크정당

        박경미 ( Kyungmee Park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1 분쟁해결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정당 유형과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하는 정당을 모두 디지털정당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새로운 정치환경에 적응한 진화한 정당유형으로서 디지털정당의 기능과 역할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그에 따라 디지털정당 하위유형으로서 플랫폼정당과 네트워크정당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탈리아 오성운동, 스페인 포데모스, 스웨덴과 독일 해적당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플랫폼정당과 네트워크정당의 공통점은 정치적 외부자가 창당하고 새로운 이슈를 제기한 이슈정당이라는 점이었다. 차이점은 정치적 전략과 조직적 전략에서 나타났는데, 플랫폼정당은 기존 정당이나 정치인과의 연대에 집중하였던데 반해 네트워크정당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당원제와 의사결정과정 제도화에 주력하였다. 디지털미디어 활용이 모든 정당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어떤 방식으로, 또 어떤 목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정당 권력과 자원이 집중 혹은 분산의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to distinguis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digital party type. All digital parties cannot be divided into the same type of parties while the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systemic composition. Digital parties can divide into platform party type and networked party type, and then four parties are analyzed; Movimento 5 Stelle in Italy, Podemos in Spain, Piratpartiet in Sweden Piratenpartei Deutschland in Germany. Platform parties and networked parties share that political outsiders founded the parties, and new issues were emphasized politically. However, platform parties have focused on the alliances with the established parties and politicians while networked parties have paid attentions on the organizational expansion with online networks. It implies that digital media uses makes different effects on each party and the concentration and diffusion of party powers and resources depend on the goals and method of digital media uses.

      • A Study of Digit Recognition Algorithm for Meter based on Rough Set and Neural Network

        Xiaochen Zhang,Yuanchang Zhong,Jiajia Shen,Kun Li,Congjun Fe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10 No.8

        Due to the low recognition accuracy, the remote meter reading technology based on camera direct reading has been developed slowly. Although there is a variety of features data for recognizing digit in image using BP neural network, some of data cannot be used to recognize digit accurately. Moreover, the BP network has a slow rate of convergence, low accuracy and easily fall into local minimum. To solve the above questions, a new digit recognition algorithm of meter based on rough set and neural network which are optimized by genetic algorithm is proposed. The improved genetic rough set algorithm is used for reducing the data, and then the minimum feature attribute sets after reduction are input to genetic neural network for identifying digi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lgorithm can effectively reduce the number of decision attributes and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neural network with high identification accuracy and short training time, which improve the generalization 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neural network.

      • KCI우수등재

        독일의 디지털 역사학 현황

        문수현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40

        If the digital humanities in North America are demonstrating a centrifugal force, the digital humanities in Europe are evaluated to be centripetal. In Europe, which is a relative latecomer when compared to the US, digitization is continuing mainly through government support. DARIAH, CLARIN, and a number of large-scale platforms such as EUROPEANA, a European digital culture platform with 3,500 institutions across Europe, and www-digitale-bibliothek, a German version of EUROPEANA, as well as many “International archives” were representative. Beyond such digitization of the historical materials, research in the field of “digital history”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The “Digital History” was created as a separate research group under the German Historians’ Association in the 2012. Although there is criticism that the digital history just resembles the existing quantitative approach or did not suggest a new historical methodology, it is undeniable that the Digital History already showed a number of meaningful research results. Ultimately, future historical researches should not be “either digital or analog” but rather “how much digital”. 북미의 디지털인문학이 원심력을 보이고 있다면 유럽의 디지털 인문학은 구심력을 보인다고 평가되고 있다.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유럽의 경우 주로 정부지원을 통해서 디지털화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DARIAH, CLARIN 등을 필두로 하여 유럽전역에서 3,500개의 기관이 참여한 유럽의 디지털문화 플랫폼인 EUROPEANA, 유로피아나의 독일판인 www-digitale-bibliothek 등 대규모 플랫폼들이 다수 개발되었고, “Intentional archive” 혹은 “thematic research archive” 등도 만들어졌다. 이와 같은 역사학 자료의 디지털화를 넘어서 “디지털 역사학” 분야의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출간되고 있다. 디지털 역사학이 독일역사학계에서 얼마나 받아들여졌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는 독일역사학대회 발표문이라 할 것이다. 2012년 독일역사학대회에서 독일역사가협회 산하 연구그룹으로 “디지털 역사학”이 만들어졌고, 아직 경험적인 연구성과들이 많이 보이기보다는 여전히 방법론적인 모색과 논의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2012년부터 각각 4~6개 섹션을 확보해오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인 디지털인문학 연구 성과들은 Semantic web, Digitale Edition, GIS-Visualization,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매핑 연구인 “1800년 이래 유럽 역사학의 디지털 지도”, 토픽 모델링과 텍스트마이닝 파트에서 “아동의 세계”, 네트워크 분석 관련해서는 베를린에 생존한 유대인 조력자 네트워크 분석에 대해 소개했다. 이러한 연구들이 기존의 양적인 접근과 유사한 방법론이라거나 새로운 역사학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선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지만, 의미있는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결국, 향후 역사가들의 연구는 “디지털이냐 아날로그냐”가 아니라 “얼마나 디지털이냐”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무선네트워크에서 XML 서명을 위한 WXDS 시스템 구현

        김석훈,정두용,장창복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0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5 No.2

        As wireless network was grown and performance of wireless device was increased, M-Commerce was activates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Therefore many user downloaded various multimedia data(picture, movie, music) by use the wireless network. But for using the multimedia data, it need authentication of user for paying. So authentication technology, such as WPKI and WPLS, Hermes system, is studying. But if authentication systems was implemented to heterogeneous, system that used WPKI technology is difficult to implement, it's not interoperate with authentication system on wire internet, not support XML digital Signature. Hermes system also not interoperates with XML digital signature system. So our paper designed WXDS(Wireless XML Digital signature System) that can interoperate with other digital signature systems and use to XML document to apply XML digital signature technology on wire and wireless network, and then implemented system that can sign to XML digital signature by java card. Through system that suggested by us can supply XML digital signature on the mobile phone. And user can sign multimedia data whereas on wire network and mobile ph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