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lculus Instructors and Students' Discourseson the Derivative

        박정은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학연구 Vol.21 No.1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alculus students' and instructors' discourses on the derivative using a communicational approach to cogni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s,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structors did not explicitly address some aspects of the derivative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rivative function (f'(x)) and the derivative at a point (f'(a)), and f'(x) as a function, and that students incorrectly described or used these aspects for problem solving. It is also found that both implicitness in the instructors' discourse, and students’incorrect descrip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use of the word, "derivative" without specifying it as "the derivative function" or "the derivative at a point." Comparis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discourses suggests that explicit discussion about the derivative including exact use of terms will help students see the relationship that f'(a)is a number, a point-specific value of f'(x) that is a function, and overcome their mixed and incorrect notion "the derivative" such as the tangent line at a point.

      • KCI등재

        파생상품투자는 성경적인가?

        성현모(Hyun Mo Sung)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5 로고스경영연구 Vol.13 No.1

        최근 들어 파생상품 투자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가면서 파생상품에 투자를 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거세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파생상품시장에 대한 규제를 없애고 파생상품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청지기의 역할을 감당해야하는 크리스천은 이 파생상품투자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지가 큰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파생상품투자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유추해 보았고 파생상품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라 크리스천으로서 파생상품 투자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투기적 목적으로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이유는 파생상품투자는 레버리지효과로 인하여 주식투자보다 훨씬 더 위험한 투자이고 주식투자와는 달리 제로섬 게임이기 때문이다. 둘째, 차익거래는 투기적 거래와는 달리 이론상 무위험투자이기 때문에 크리스천으로서 차익거래를 하는 것에 큰 문제는 없어 보이지만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여 파생상품의 시장가격이 이론적 균형가격으로 접근하지 않고 장기간 괴리가 생길 경우 큰 손실을 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셋째, 헤지거래는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미래의 위험을 회피하는 것은 지혜롭게 행하는 일이라 할 수 있고 또한 기업은 파생상품을 이용한 헤지거래를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음으로 크리스천이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유용한 거래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많은 파생상품들이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품구조나 위험구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파생상품에는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Recently, as risk in derivative investment is more widely recognized, there is a growing assertion that derivative investment should not be done. On the other hand, some argue that regulation in derivative market should be abolished and derivative market should be revitalized. If so, it is an important issue for Christians to know how to approach derivative investment. For this issue, this study derives biblical perspectives on derivative investment and looks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rivative securities. Based on that, this study summarizes the following points about how Christians approach derivative investment. First, it is not desirable to be involve in derivative investment for speculative purposes. The reason is that derivative investment is much riskier than stock investment due to leverage effect and on the contrary to stock investment, it is zero-sum game. Second, since arbitrage transaction using derivatives is theoretically risk-free investment, it seems that it is not a problem for Christians to be involved in arbitrage transaction using derivatives. However, there is a potential danger of big loss if a spread between the market price and the theoretical price of a derivative security remains large for a long time due to a sudden unexpected shock in the economy. Third, since a hedge transaction using derivatives can be regarded as a beneficial transaction because it can reduce future risk and it can also enhance firm value, Christians are encouraged to use hedge transaction actively. Fourth, since many derivatives have very complex structures and are hard to understand, it is not desirable for Christians to be involved in derivative investments which have very complex structure and are hard to understand.

      • KCI등재

        天台의 본적사상(本迹思想) 수용과 그 전개

        이기운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7 No.-

        본적 사상은 인도 전통 브라만 화신(化身)사상에서 그 원초가 보이고, 대승불교가 일어나면서 석가의 전생담이나 삼신(三身)사상 속에도 응화(應化)와 본지(本地)의 형태로 나타난다. 불교계에서 본적사상을 경문 해석에 처음 적용한 것은 승조(僧肇)와 승예(僧叡)였다. 승조는 본지와 수적(垂迹)의 입장에서 유마경 을 해석하였고, 승예는 법화경 을 9철(轍)로 나누어 제7을 본적무생철(本迹無生轍)이라 하여, 다보여래를 본지로 하고 석가불을 수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본적사상은 경문해석 전반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본적사상을 체계적으로 경문해석에 적용하여 법화경 해석의 새로운 경지를 연 것은 천태대사(天台大師)라 할 수 있다. 천태의 법화문구 에서는 천태사석(天台四釋) 중에 본적석(本迹釋)을 두었고, 법화현의 에서는 이들 적문과 본문의 불가사의한 법문의 내용을 적문 십묘(十妙)와 본문 십묘로 나누어 심오한 법화철학을 밝혔다. 그리고 마하지관 에서는 법화경 적문의 개삼현일(開三顯一)과 본문의 개근현원(開近顯遠)에 의해 십승관법을 조직하고, 열반경 의 부율현상(扶律顯常)에 의해 이십오방편이 조직되었다. 천태의 본적이문(本迹二門)사상은 후대 법화경 해석에 큰 영향을 끼쳤다. 담연(湛然)은 이를 십불이문론(十不二門 으로 정리하였다. 그는 법화현의 핵심인 본․적십묘(本迹十妙)사상을 10문(門)으로 따로 떼내어 본․적이 둘이 아니고, 교관이 일여(一如)하며, 해(解)․행(行)을 쌍수(雙修)해야 한다는 등 천태의 중요한 교관의 진의를 확립하였다. 일본의 일연(日蓮)은 천태의 본적이문사상을 받아들여 본문법화 적문법화로 해석하였다. 그는 지금까지 중국 천태학에서는 적문 중심의 법화교학을 폈다고 진단하고, 본문 「여래수량품」을 중심으로 한 본문 법화정신을 중시하였다. 또한 당시를 말법시대라고 하면서 이런시대에는 기존의 이(理)의 일념삼천설(一念三千說)에서 사(事)의 일념삼천설을 펼쳐야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그는 “나무묘법연화경” 다섯 글자를 본문의 본존(本尊)으로 하여 제목봉창을 수행의 근본으로 삼았다 이와 같이 천태는 본적사상을 적용하여 이전까지 단순한 법화경 의 평면적 해석을 입체적이고 심오한 법화철학으로 승화시켰고, 이후 담연이나 일연의 법화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Great Master Tiantai is rated as the one who applied the then existing 'thought of original and derivative'(本迹思想) in interpreting the Lotus Sutra, and then embraced such interpretation to the Tiantai doctrine developing it as the profound Lotus Sutra philosophy. This paper investigated Tiantai's acceptance of the idea of original and derivative; application of this idea to the doctrine of the Tiantai school; development of it in the Tiantai school; and influences on the later generations. The idea of original and derivative first appeared in the thought of the 'transformation body'(化身) of Brahma in India, and then in the form of 'manifestation in response'(應身) and 'original state'(本地) in the Sakyamuni's Jataka tales or in the three bodies theory when Mahayana Buddhism first arose. It was Sengzhao(僧肇) and Sengrui(僧叡) that applied the theory of original and derivativ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for the first time. Sengzhao interpreted Vimalakīrti-nirdeśa-sūtra in the light of the 'original state' and 'manifested forms'(垂迹); Sengrui, on the other hand, made the ‘nine divisions’(九轍) of the meaning of the Lotus Sutra, the seventh of which was the 'division of no birth of original and derivative'(本迹無生轍), interpreting Prabhūtaratna Tathāgata as the 'original state' but Śākyamuni Buddha as 'manifested forms'. But their ideas was not widely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utra. It was Great Master Tiantai who pioneer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Lotus Sutra by systematically applying the theory of 'original and derivative'. In his Fahua wenju(法華文句) Tiantai put the 'explanatio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original Buddha and his outward manifestations'(本迹釋) among the 'four types of explanations of the Lotus Sūtra'(天台四釋) and in Fahua xuanyi(法華玄義) he clarified the Lotus Sutra philosophy by dividing these mysterious Dharma talks into the 'ten subtleties of the derivative'(迹門十妙) and the ten subtleties of the original'(本門十妙). And in Mohe zhiguan(摩訶止觀) he organized the 'ten vehicles of meditation'(十乘觀法) by means of 'revealing the one'(開三顯一) in 'derivative aspect' and by means of 'opening the near and revealing the distant'(開近顯遠) in 'original aspect', and the 'twenty-five expedient preparations'(二十五方便) by means of the 'teaching which supports the rules and manifestation of the eternal'(扶律顯常) in the Nirvāṇa Sūtra. Tiantai's theory of 'two aspects of original and derivative'(本迹二門) was categorized by Zhanran(湛然) into the 'ten approaches to non-duality'(十不二門論). Zhanran clarified the true intent of Tiantai's doctrinal views by isolating the theory of 'ten subtleties of original and derivative'(本迹十妙) from Fahua xuanyi and asserting that the original and derivative are not dual; the doctrine and meditation are one; and understanding and practice should be cultivated simultaneously. Japanese Nichiren(日蓮) used Tiantai's theory of the two aspects to interpret the Lotus Sutra in two ways such as: the original aspect and the derivative aspect. Though Chinese Tiantai studies had been done around the doctrinal studies of the Lotus Sutra focusing on the derivative aspect, he emphasized the original aspect of the Lotus Sutra spirit while focusing on the 'Chapter on the Longevity of the Tathāgata'. Besides, he, defining his time as the latter Dharma, asserted that his age required propagating the theory of 'a chiliocosm in a single thought'(一念三千說) based on 'phenomenon'(事) but not on 'principle'(理). Therefore, he based his practice on reciting 'homage to the Lotus Sūtra'(南無妙法蓮華經) while considering it as the 'originally venerated one'(本尊) in original aspect. Like this, Tiantai elevated the then existing superficial interpretation of the Lotus Sutra into a solid and profound Lotus Sutra philosophy by employing the idea of original and derivative and also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Lotus Sutra philosophy of Zhanran(湛然) and Nichiren(日蓮) thereafter.

      • KCI등재

        민사집행절차상 집행당사자적격의 특수문제 - 주주대표소송상 집행권원에 기한 집행을 중심으로 -

        김효정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20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6 No.-

        민사집행절차상 집행당사자적격은 집행권원상 당사자 원고 및 일정한 요건 하에 집행권원의 집행력이 미치는 제 자에게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민사집행절차상 집행당사자적격의 문제는 누가 집행당사자적격을 가지는지문제보다는 집행당사자적격의 변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집행권원상 승소한 원고에게 급부를 명하는 경우와 달리 승소한 당사자 아닌 소외인에게 급부를 명하는 경우 그 소외인 외에 승소한 원고에게 집행당사자적격을 부여하여 집행당사자로서 집행절차에 참여하여 집행채권자의 권리를 실현하게 할 수 있는지는 매우 어려운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제3자 소송담당 가운데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당사자적격이 부여된 법정소송담당에서도 채권자대위소송의 경우에는 권리관계의 주체인 채무자에게 급부를 명하는 것이 아니라 대위행사하는 원고에게 급부를 명하는 반면 주주대표소송의 경우에는 원고 주주에게 급부를 명하는 것이 아니라 권리관계의 주체인 회사에게 급부를 명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는 특히 주주대표소송의 경우에 야기된다. 주주대표소송은 소수주주권에 기하여 회사의 권리를 행사하여 회사 내부의 이사 등 임원에 대한 책임을 추궁하는 소송이다 주주대표소송은 회사분쟁에 관한 소송으로서 결국 소송법적 문제 및 집행법적 문제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주주대표소송에 따른 집행절차에서 누가 집행당사자적격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민사소송법적 원리와 더불어 민사집행법적 원리의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주주대표소송을 법정소송담당으로 소박하게 도식화하여 주주대표소송의 성질을 이해해서는 주주대표소송의 소송법적인 여러 문제들을 제대로 풀어나갈 수 없게 된다. 주주대표소송은 대위소송적 성질과 대표소송적 성질을 지닌다. 주주대표소송이 대위소송적 성질을 지닌다고 하더라도 채권자대위소송과 동일한 평면에서 채권자대위소송의 성질을 그대로 차용 하는 것은 경계하여야 한다. 주주대표소송이 한편으로는 대위소송적 성질을 지닌다고 하더라도 주주대표소송은 소수주주의 공익권적 주주권에 기하여 제기하는 것이므로 일반 대위소송과는 그 성질이 결코 동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주주대표소송의 대표소송적 성격에 착안하면 주주대표소송은 회사 및 총주, 주의 대표기관으로 제기하는 것인 만큼 회사 및 총주주와 밀접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이들의 이익을 위하여 제기하는 소송이라는 성격이 보다 두드러지게 된다. 주주대표소송의 판결 등 집행권원에 기한 집행에서는 원고 주주에게 집행당사자적격이 있다고 보아 집행채권자의 지위를 부여하여야 한다. 이는 권리확정절차인 주주대표소송의 연장선에 있는 권리실현단계에서도 원고 주주가 집행담당자의 지위에서 집행당사자로서 관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주주대표소송은 채권자대위소송의 경우와 달리 집행채권자에게 급부하라는집행권원이 아니라 회사에게 급부하라는 집행권원이니만큼 그 집행의 방법은 매우 특수한 경우에 속한다. 집행채권자인 원고 주주가 집행절차상 배당받을 채권자의 지위에 있는 것으로 이해하되 이러한 배당받을 채권자의 의미를 회사가 배당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회사에 대하여 배당금을 지급할 수있도록 청구할 수 있는 채권자로 본다면 집행절차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복잡한 문제(배당표상 배당받을 자 배당절차상 배당이의 및 배당이의의 소의 당사자 등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배당기일에 배당금은 회사에 지급하여야 하므로 회사가 배당기일에 참석하지 아니하는 한이를 공탁하면 된다. 주주대표소송은 아직 활성화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주주대표소송이 온전하게 제도로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주주대표소송의 소송절차상 많은 논점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주주대표소송의 결과 집행권원에 기한 집행절차상 부딪치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 등에 대해서 논점들을 미리 철저히 정제하여 주주대표소송에 따른 집행절차에서 혼란을 겪는 일이 없어야 한다. The enforcement standing on the civil enforcement procedure lies in the prevailing party(the plaintiff) and the third party who is subject the final judgment or the other enforcement title under some requirements. Accordingly the traditional problems have focused the change of the enforcement standing in the enforcement procedure rather than revisiting some special problems facing particularly in the third party enforcement standing. In case when the judgment declares the payment by the losing defendant to the third party instead of the successful plaintiff, some tricky problems happen to arise as to where or not the plaintiff is entitled to the enforcement right despite the third party while not initiating the enforcement procedure on the third party’s own motion. Especially the shareholder’s derivative suit has triggered and intensified such problems in its enforcement procedure. The derivative suit is the shareholder’s litigation seeking the recovery of the damages incurred by the directors or inside officers on behalf of the company. We should need to avoid the unsettled and confusing problems in theory so that we would be well prepared in dealing with the derivative suit cases in the litigation and enforcement practice. In this regard we need to have a systemic understanding of the derivative suit on the perspective of the procedural matters in the derivative suit. This paper is predicated on the eclectic legal nature of the derivative suit, i.e. a subrogation claim as well as a representative claim. This suit is categoriz ed into the third party standing suit in which the minority shareholder has a standing for the sake of the company as a matter of law. We have to be careful in understanding the subrogation’s nature of the derivative suit so that we would not fail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creditor’s subrogation suit and the derivative suit having a subrogation’s nature of the derivative. If we would disregard the discrepancy of characteristics of both suit, we could not grasp the intricate nature of the derivative suit. The derivative suit is to be filed in the capacity of the shareholder’s right to the common interests of the whole shareholders as well as the corporation itself, making the suit uneq uivalent to the creditor’s subrogation suit. If we turn our eyes on the representative nature of the derivative suit, we are more easily able to understand that the derivative suit is aimed at pursuing the collective interests of at once the whole shareholders and the corporation. Consequently we could hardly resolve a wide spectrum of procedural problems facing in the litigation and enforcement, should we simply define the derivative suit as merely a suit categoriz ed into a third party standing. Regarding the enforcement the plaintiff shareholders shall be entitled to be provided with the enforcement creditor in the case where the company has not voluntarily initiated the enforcement procedure so that the plaintiff shareholders shall put in effect the enforceable title seeking the compulsory satisfaction of the payment on the losing defendant. In the enforcement procedure the plaintiff shall play a part as a positive party even if the dividend would ultimately be distributed to the company(in case when the company does not appear on the distribution date, the dividend shall be deposited). More definitively the plaintiff is in a position to be acreditor to be entitled to the dividend” in the enforcement procedure, meaning a legitimate status as an enforcement creditor to demand a dividend to be paid to the company. Conceptualiz ing the plaintiff's status uneq uivocally we would possibly have more useful avenues to explore the tricky issues such as a party who is entered in the dividend schedule, a party to whom the distribution demurrer or lawsuit is made, etc. The derivative suit in Korea has yet to widely been utilized. In this regard we have to more arduously delve into the enforcement matters by applying more exq uisite and advanced enforcement procedure theories and practices as well.

      • KCI등재

        개인투자자의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행태 분석

        차경욱(Kyung-Wook Cha)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개인투자자의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현황과 투자특성을 파악하고, 투자자 특성에 따라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유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며,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파생상품(선물, 옵션) 또는 파생결합증권(ELS, DLS, ELW)을 보유하고 있는 20대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총 448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은 주식 및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상품 당 평균 투자금액과 기대수익률은 선물이 옵션 보다 높았다. 투자자들은 평균 2.4개의 파생상품에 투자하고 있었고, 총 투자금액은 3,560만원이었으며, 가격변동 위험에 대한 대비 보다는 높은 기대수익률이 주된 투자 이유였다. 둘째,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파생결합증권의 70%는 ELS였고, 투자금액, 기대수익률도 DLS, ELW에 비해 ELS가 높았다. 투자자들은 평균 1.54개의 파생결합증권을 보유하고 있었고, 총 투자금액은 3,680만원이었다. 셋째, 연령이 낮고, 배우자가 없고, 월평균소득이 적을수록, 과거 투자경험이 있고,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며, 위험선호형에 해당하는 투자자일수록 파생상품에만 투자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대졸이상, 자가를 보유하고, 월평균소득이 높은 집단,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며, 감수할 수 있는 투자위험이 큰 집단의 경우, 파생상품과 파생결합증권 모두에 투자하는 경향이 높았다. 본 연구는 개인투자자의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행태를 이해하여, 개인의 투자의사결정과 금융회사의 상품개발, 판매과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investment characteristics of derivatives and derivative-linked securities of individual investor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derivatives and derivative-linked secur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ors, an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mount of investment in the derivatives and derivative-linked securit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48 individuals aged 20 and over who have derivatives (futures, options) or derivative-linked securities (ELS, DLS, ELW). The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futures and options with stocks and stock index as underlying asset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derivatives. The average amount of investment and the expected rate of return were higher for futures than for options. Investors had 2.4 derivatives on average and a total investment amount of 35,600,000 won. About 70% of the derivative-linked securities were ELS, and the investment amount and the expected rate of return were higher than those of DLS and ELW. Investors had an average of 1.54 derivative-linked securities, and the total investment amount was 36,800,000 won. Those who had lower income, and no spouse tended to invest only in derivatives. Those who invested in both derivatives and derivative-linked securities had higher income and large amounts of financial assets. The risk-preference group with investment experiences in derivatives or derivative-linked securities, and who were expecting high returns were more likely to invest in derivatives.

      • Constraint Methods of Directional Derivative for a Bivariate Rational Interpolating Spline Surface (ACDDE 2013)

        Yunfeng Zhang,Fangxun Bao,Caiming Zhang,Qiang Guo,Qi Duan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CAD/CAM학회 국제학술발표 논문집 Vol.2010 No.8

        Spline surface is a very important part in Computer Aided Geometric Design. A bivariate rational interpolation spline surface based on function values has been constructed in[9]. It can achieve good approximation effect with parameters, but it would also make the surface control difficult.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straint methods of partial derivative and directional derivative. the sufficient conditions to modified the partial derivative and directional derivative are derived. The partial derivative and directional derivative can be changed by selecting suitable parameter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interpolating data are not changed. Numerical example are given to show how the parameters can be chosen and the shape of surface changed.

      • KCI등재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Derivative - Literature Review of English and Korean Publications -

        박정은 한국학교수학회 201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5 No.2

        With a gradual increase in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calculus,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about students' thinking about the derivative. This paper reviews the results of the existing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These studies mainly have shown that how students think about the derivative is related to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ed concepts and the representations of the derivative. There are also recent studies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ow students learn the derivative including different applications of the derivative in different disciplines. However, the current literature rarely addressed how students think about the derivative in terms of the language differences, e.g., in Korean and English. The different terms for the derivative at a point and the derivative of a function, which shows the relation between concepts, may b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thinking of the derivative as a function. Future study on this topic may expand our understanding on the role language-specific terms play in students' learning of mathematical concepts.

      • SCISCIESCOPUS

        <small>L</small>-Trp and <small>L</small>-Leu-OEt Derivatives of the Monascus Pigment Exert High Anti-Obesity Effects on Mice

        KIM, Jong Hoon,KIM, Yong Ook,JEUN, Jungae,CHOI, Duck-Young,SHIN, Chul Soo Japan Society for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A 2010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74 No.2

        <P>High-fat diets (HFDs) supplemented with the <SMALL>L</SMALL>-Trp and <SMALL>L</SMALL>-Leu-OEt derivatives of the monascus pigment were fed to mice.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average body weight gain of the four HFD-pigment groups was decreased by 13.6–50.9%, and the intra-peritoneal adipose tissues weight was reduced by 16.7–30.5%. The derivatives also reduced the respectiv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f the mice by 9.7–14.4% and 12.5–17.2%. The <SMALL>L</SMALL>-Trp derivative greatly increased the HDL-cholesterol level by 64.8–66.4% and the HTR value by 73.8–81.7%. The <SMALL>L</SMALL>-Leu-OEt and <SMALL>L</SMALL>-Trp derivatives decreased the total cholesterol level in the mice liver by 9.7–24.2% and 36.2–39.9%, respectively. Reductions in the triglyceride level were 21.5–22.4% for the <SMALL>L</SMALL>-Leu-OEt derivative and 17.9–18.8% for the <SMALL>L</SMALL>-Trp derivative. The <SMALL>L</SMALL>-Leu-OEt derivative exhibited higher <I>in vitro</I>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MG-CoA reductase and lipoprotein lipase than the <SMALL>L</SMALL>-Trp derivative. An <I>in vivo</I> test with mice showed the <SMALL>L</SMALL>-Trp derivative to have higher anti-obesity effects than the <SMALL>L</SMALL>-Leu-OEt derivative.</P>

      • KCI등재

        천연가스산업에서 날씨파생상품의 헤지수요 및 성과분석

        문성주 ( Seongju Moon ),손판도 ( Pando Soh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날씨파생상품이 한국의 천연가스산업에서 어떻게 적용이 될 수 있고, 만약 개발된 기후파생상품이 헤지 수단으로 이용된다면 이러한 성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실증 검증한다. 기후파생상품은 최근에야 자연재해에 따른 헤지 수단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과거에는 자연재해에 따른 손실규모가 작아서 보험을 통하여 주로 헤지가 이루어졌지만, 최근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 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는 과거보다 훨씬 손실규모가 커서 보험으로만 현실적으로 커버될 수 없다. 이러한것에 대한 대안으로 날씨 파생상품이 이용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과거 미국의 경우를 보면 보험회사가 자연재해에 대한 손실을 커버하는 형태 이었지만, 이러한 방법은 자연재해의 규모 및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험회사들이 모든 손실보험금을 부보 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많은 보험회사들이 파산하는 사례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기상이변에 따른 위험관리 수단으로 금융시장 내 법적 규제 등이 완화되었고, 이러한 탈규제로 인하여 새로운 금융환경 및 상품의 혁신이 일어났다. 따라서 금융시장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른 대 재앙을 커버 하려는 새로운 상품이 탄생한 것이다. 기후이상 현상으로 기업들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에 직면하게 되고 이러한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 보다 더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기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많은 곡물생산 및 가공산업, 운송산업, 전기가전산업, 건설산업 등의 경우 기상이변 현상에 따라 해당 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직간접적 경제적 피해로 인해 기업의 이익변동성이 확대가 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기상이변에 따른 날씨파생상품을 활용한 위험관리가 기업활동을 하는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요성을 기초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에너지원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천연가스 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날씨파생상품의 헤지수요 및 헤지성과를 실증분석 하고자 한다. 즉 본 논문에서 날씨 파생상품이 국내 천연가스 산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만일 파생상품이 이용된다면 이에 따른 헤지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본 연구실증분석 결과로는 헤지수요 및 성과측면에서 천연가스산업에서 큰 헤지수요가 존재하였고, HDD 선물 및 옵션을 통해 헤지할 경우 무헤지 상태보다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위험허용수준을 초과하지 않았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천연가스산업에서도 날씨파생상품의 도입 및 위험헤지 기능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기업 및 개인들의 투자활동 영역이 확대되고 이러한 상품을 기초로 한 위험헤지 기능이 향상되어 자본시장의 모든 참가자들이 모두 다 날씨파생상품의 개발에 따른 혜택 뿐만 아니라 위험관리도 보다 더 쉽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보다 더 많은 날씨파생상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관련 산업 및 헤지 수단이 개발되기를 본 저자들은 기대한다. This paper develops and evaluate how weather derivative product is applied to natural gas industry. If developed weather derivative product is used as hedge tool, what is hedge performance from natural gas industry in Korea. Recently weather derivative product is developed as hedge tool because the loss from natural catastrophe in past time was small amount and also this loss is hedge easily. However, today, huge loss from natural hazard is not covered by only insurance coverage. Instead of insurance tool, many papers suggest the weather derivative product which is good tool to cover huge loss from natural catastrophe. A financial weather contract can be defined as a weather contingent contract whose payoff will be in an amount of cash determined by future weather events. The settlement as values of a weather variable measured at a stated location. A financial weather contract can take the form of a weather derivative or of a weather insurance contract. Whil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contracts might be important from regulatory and legal viewpoints,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both instruments share the common feature of being triggered by an underlying weather index. In discussing agricultural policy and risk management tools, this is probably the most relevant aspect. Weather derivative financial product contract can be used to hedge businesses exposition to weather variables. If the activity of a firm is influenced by temperature, snowfall or shushine, a derivative on the appropriate weather variable could be used to reduce revenue fluctuation. Weather has always been a source of risk for many economic activities, but it was not until the late 1990``s that firms explored the possibility of hedging against weather-related variability through weather derivatives. The impetus for developing weather markets was given by the deregulation of the US energy sector, when local monopolies had to start competing on broader markets and find measures to stabilize fluctuating revenues. Ordinary insurance and reinsurance tools were traditionally designed to target catastrophic events, and were probably too expensive and not sufficiently flexible for ordinary risk management practices that focus on fluctuations closer to the mean of the distribution. Faced with these challenges, energy traders started thinking of financial solutions for trading their exposure to weather risks within their own industry. In this paper, we focuses on the natural gas industry and investigates the hedge demand and performance using daily weather data. The natural gas industry is one of most important energy industry and thus analyzing this natural gas industry is contrubution to development of weather derivative product and hedge of huge natural catastrophe risk. From this paper, we develop the weather derivative product appropriated to Korean natural gas industry and also evaluate the hedge demand and performance.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 we find that big hedge demand in Korean natural gas industry exists from hedge performance and demand. Also we show that if it is hedge based on HDD futures and options, cost in hedge case is less than cost in no hedge case and also we find that there is no excess than allowed risk level. We think that this paper give us new prospective view in terms of financial innovation and financial engineering as well as financial industry.

      • 파생어의 사전 처리에 대한 연구 : 『표준국어대사전』을 중심으로

        정의향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4 No.-

        파생어는 어기와 파생접사로 이루어지는 복합어이다. 어기는 하나의 단어일 때도 있고 의미상 그 단어의 중심 요소이지만 단어의 자격은 가지지 못한 어근일 때도 있다. 파생접사는 사전에 독립 항목으로 등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사전의 기술에서 파생어와 어기와 접사는 서로 단어형성론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는 항목들을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생접사와 파생어의 기술은 단순어나 합성어의 기술에서와는 달리 복잡한 고려 사항들을 가지게 되며 그만큼 더 체계적인 기술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편찬한『표준국어대사전』1)을 중심으로 파생어의 사전 처리에 대하여 살펴보면서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주로 파생어의 표제어 설정, 파생접사의 표제어 설정, 표제어의 표기, 파생접사의 뜻풀이, 파생어의 뜻풀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파생어와 표제어의 설정 문제에 대해서는『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일관성을 반영하려고 노력했음을 볼 수 있는데 파생접사의 뜻풀이 가령 ‘-거리다/-대다’, ‘-답다’의 뜻풀이 등에 대한 사전 처리는 더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의 한국어사전편찬에 반영이 되었으면 한다. The derivative is a compound word which is made from the base and the derivational affix. The base sometimes can be a word, or just plays an important part of a word in the meaning as a stem. Generally, the derivational affix is registered as a independent item in the dictionary. So in the description of the dictionary, the derivative, the base, and the affix intimates with each other in the theory of the word's formation. For this reason, the description of the derivational affix and the derivative is different from the the description of the simple word and the compound word. So it needs to be a systematic way to describe of the derivational affix and the derivative when we do it in a complicated way. This paper aims to adduce some problem drawbacks when I examine the dictionary processing of the『the standard of the Korean dictionary』which is made in 1999.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setting of the derivative's headword, the setting of the derivational affix's headword, the mark of the headword, the explanation of the derivational affix's meaning, and the explanation of the derivative meaning. we can find the consistency in the setting between the derivative and the headword, but the explanation of the derivational affix's meaning, just as the ‘-거리다/-대다’, ‘-답다’ is not enough. So I think it needs to be some more supplementation in this p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