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Questionnaire Surveys on Teaching Skills and the Degree in Which Students Understand the Uppermost Points of Importance in Their Classes

        Katsuaki Koike,Kazuya Mori,Toshitaka Yamao,Toshio Fujimi,Yun-Hae Kim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5

        As an activity of one working group for the Good Practice program at Kumamoto University, we propos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degree in which students understand the uppermost points of importance in their classes in addition to the usual type of class questionnaire. Each class lists three uppermost points of importance which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class conten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is classified into four levels: full, most, insufficient, and not at all understandings.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replie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for bachel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was discovered to be meaningfully affected by the degree of difficulty, the effectiveness of audiovisual aids, self-study time, and class attendance.

      • KCI등재

        Questionnaire Surveys on Teaching Skills and the Degree in Which Students Understand the Uppermost Points of Importance in Their Classes

        Koike, Katsuaki,Mori, Kazuya,Yamao, Toshitaka,Fujimi, Toshio,Kim, Yun-Hae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5

        As an activity of one working group for the Good Practice program at Kumamoto University, we propos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degree in which students understand the uppermost points of importance in their classes in addition to the usual type of class questionnaire. Each class lists three uppermost points of importance which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class conten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is classified into four levels: full, most, insufficient, and not at all understandings.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replie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for bachel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was discovered to be meaningfully affected by the degree of difficulty, the effectiveness of audiovisual aids, self-study time, and class attendance.

      • KCI등재

        애착유형에 따른 고등학교 학습자의 시 수용 양상 연구

        윤예전,정소연 한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 Vol.0 No.167

        This study analyzes high school students’ level of acceptance of modern Korean poetry by classifying them into four main attachment types: secure, preoccupied, dismissing, and fearful.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aspects of learning and build a solid basis for realizing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education in their lives. The test covered the students’ degree of intimacy, sympathy, understanding, empathy, and general sentiments towards poetry. It focused mainly on attachment which is defined as “a basic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involves form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 world around them.” 333 students from women’s high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Attachment Type Test and evaluated eight poems chosen by Korean teachers from literary textbooks. “Secure type” students’ responses to the poetry showed high levels of intimacy, understanding, and empathy while “insecure type” (preoccupied, dismissing, and fearful) responses were mostly on the mid-range. When it came to poems <Ha-gwan(Lowering A Coffin)> and <Ja-dongmun apeseo(In Front of the Automatic Gate)> which were the most chosen among the students, there was a substantial correlation in degrees of intimacy-sympathy, intimacy-understanding, and comprehension-related correlations. The results and analyses establish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the different attachment types of students in literary education. By choosing different poems, students indicated varying personal preferences in poetry and even if they chose the same poem, reactions were dependent on the person’s psychology and were, therefore, unique to the individual. Regardless, educational consideration of the student is deemed essentia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apply Attachment Theory to literary education and it has identified the distinctive inclinations of various learners that must be acknowledged and understood.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ltant Capability on Consulting Satisfaction

        Yong-Kuk Choi,Sang-Bong Kim,Woo-hyung Hong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4

        연구의 목적은 컨설턴트의 능력이 컨설팅 만족도, 컨설팅 서비스 품질 및 고객 회사 컨설팅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컨설턴트 역량이 컨설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서비스 품질을 매개 하여 컨설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해 대응성, 공감성, 유형성, 확신성, 신뢰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진기업이 컨설팅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컨설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컨설팅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컨설턴트 역량뿐만 아니라 고객의 컨설팅 이해를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 여야 의도하는 만족도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수진기업 측면에서 컨설팅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해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추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ltant 's competence on consulting satisfaction, consulting service quality, and understanding of client firm consulting.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mpetency of a consultant influences the satisfaction of consulting and affects the satisfaction of consulting through service quality. Responsiveness, empathy, type, assurance and reliabi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ypothesis. Also, the higher the understanding of client firm consulting,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consulting.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satisfaction of such consulting, it is necessary to enhance client firm consulting understanding.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onsulting, it is suggested that not only the consultant capacity but also the efforts to improve the consulting understanding of the customer can achieve the intended satisfac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improve understanding of how to improve consulting satisfac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영화의 이해” 교양 교육이 영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김성훈(Kim Seong Hoon) 한국영화학회 2007 영화연구 Vol.0 No.31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effects on degrees of understanding movies by comparing survey results from before and after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ourse of "Understanding of Movies". The study was intended for Hanseo university students(male and female), who attended the course. To research how much 'movie education' can affect 'understanding of movies', the surveys were conducted at the first and the last classes of the course. The course "Understanding of Movies" was composed of 13 lectures and 2 evaluation classes, and the total of 7 movies were shown for the course. The course were divided into 6 parts including 'Understanding of Movie Art' 'Understanding of Movie Production' 'Understanding of Movie Genres' 'Understanding of Scenarios' 'Understanding of Directors' and 'Understanding of Movie Techniques' and carried out to students in 6 different faculties. The surveys were evaluated by the method of 'the repeated- ANDVA'. The results of the surveys among different faculty students were shown similarly but after the students completed the course, their degrees of understanding movies were dramatically improved. In particular, their understanding of scenarios has improved a lot. Through these results, we learn that 'movie educations' can dramatically improve the degrees of understanding movies.

      • KCI등재

        교사 특성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놀이지원방법 이해도 및 유아의 교육내용 경험 정도 분석

        천연주,장상옥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Understanding of Play Support Method of Early Childhood Teachersand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 in the 2019Revised Nuri Curriculum Contents by Teacher’s CharacteristicsYeonju Cheon & Sangock J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lay support metho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contents,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content experience, and the relationship. 30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nam were surveyed via questionnaires.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play support method and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differed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education, career, and institution type. Second,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lay support method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 To enhance young children’s experience degree of education content,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play support method of teachers is requested. Key Words: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Contents, Early Childhood Teacher, Understanding of Play Support Method, Degree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 교사 특성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놀이지원방법 이해도 및 유아의 교육내용 경험 정도 분석천 연 주**ㆍ장 상 옥***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방법 이해도와 유아의 교육내용 경험 정도를 교사의 특성에 따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남의 유아교사 302명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놀이지원방법 이해도와 유아의 경험 정도는 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 소지자격과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놀이지원방법 이해도와 유아의 경험 정도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의 경험 정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방법 이해도 향상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핵심어: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유아교사, 놀이지원방법 이해도, 유아의 경험 정도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본 논문은 주저자의 경상국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First Author, Maste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Chunsojil@naver.com)*** 교신저자, 경상국립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sojang@gnu.ac.kr)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사회 교과서 어휘에 대한 이해도: 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정우 ( Jung Woo Lee ),곽한영 ( Han Young Kwa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7 시민교육연구 Vol.39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등장하는 어휘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그 결과가 사회과 교과서 개발 및 교수학습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지 논의한 것이다. 서울 강남, 서울 강북, 광역시, 소도시, 읍면 지역의 초등학교를 각 1개씩 선정하여 각 학교당 2학급씩 총 289명의 6학년 학생들이 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에 등장하는 어휘에 대해 1) 얼마나 자주 들어보았는지(노출정도) 2) 자신이 그 단어를 얼마나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자가평가 이해도) 3) 실제 뜻은 무엇인지(직접평가 이해도)를 작성하게 한 결과 초등학생들의 교과서 어휘에 대한 실제 이해도는 노출정도나 자가 평가 이해도에 비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도주의``, ``박애``, ``교부`` 등의 한자어는 알고 있는 학생의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생들의 이해도는 사회과 관련 변인(사회점수, 사회선호도 등), 학습환경(독서량, 인터넷 사용시간, TV 시청시간), 가정환경(부모의 직업, 학력 등), 학교가 속한 지역 등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차후에 개발될 사회 교과서에는 학생들의 어휘능력을 고려하여 쉽고 적절한 어휘를 선정해야할 뿐 아니라, 선정된 어휘에 대한 상세한 해설 등을 곁들일 필요가 있다. 또한 어떤 어휘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에 따라 교과서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교수 학습시에도 학생들의 낮은 어휘력을 고려한 교사의 배려, 학생들의 배경변인을 고려한 수업 진행 등으로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elementary students`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vocabulary in social studies textbook. 289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Daejeon, Jeonju and Jeonbuk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se are the three main questions of this survey. ; 1) how much did the students exposed to the words in the questionnaire? 2) what are the self-estimation of the students about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words in the questionnaire? 3) how well do they actually understand the words? 4)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 to the textbook writing and schoo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lementary students`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vocabulary in social studies textbook is very low. Especially, there are very few students who could understand words of which the meaning is originated from chinese letter, such as ``humanitarianism``, ``philanthropy`` and ``delivery``. 2) The degree of understanding i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students` background, such as students` competence in social studies, the amount of reading, SES of parents and the region of the school where the students are belong to. So when we develop social studies textbook or teach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 should consider students` ability in vocabulary and it is necessary to make standard about vocabulary in textbook by the grades.

      • KCI등재

        주요 경제개념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이해도

        김경은(Kim Kyoung E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2

        경제교육에서의 개념의 중요성으로 실제 학교 경제교육은 주요 경제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개념 형성의 초기 단계에 해당됨으로 학생들의 개념에 대한 이해도는 경제교육의 성패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주지역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주요 경제개념에 관한 이해도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제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는 학생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차원과 실제 해당 개념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객관적 차원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 경제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주관적 이해도, 객관적 이해도 모두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주관적 이해도는 해당 개념 어휘에 대한 경험(접촉) 빈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객관적 이해도는 미시 경제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희소성’, ‘화폐’, ‘실업자’와 같은 개념은 주관적 이해도와 객관적 이해도에서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주관적 이해도는 사회과목 선호도, 경제내용 선호도, 독서량, TV 시청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객관적 이해도는 사회과목 선호도와 경제내용 선호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 경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lementary students’ degree of understanding on economic concepts. 294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Cheongju participated in the survey. I carried out survey about degree of understanding on economic concepts both subjectively and obj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tudents’ degree of understand on economic concepts is low in subjective and objective level. Second, subjective degree of understanding on economic concept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use. And objective degree of understanding is high on micro economic concepts. Thir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i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students’ background, such as preference of social studies, preference of economic content, the amount of reading. These results are useful of suggesting which are orientation, teaching and learning, core content of economic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 SCOPUSKCI등재

        특수 상대성 이론에 대한 예비 물리교사의 개념 이해와 확신도

        임성민(Sungmin Im) 한국물리학회 2024 새물리 Vol.74 No.3

        이 연구에서는 예비 물리교사를 대상으로 특수 상대성 이론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와 확신도를 조사하였다. 상대론 개념 조사(Relativity Concept Inventory)를 적용하여 사범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는 예비 물리교사 51명의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특수 상대성 이론의 개념별 이해도와 확신도의 분포, 응답자의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 개념 이해도와 확신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물리교사들은 동시성의 상대성, 속도 합성, 인과율 개념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며, 시간 팽창과 동시성의 상대성에서는 오개념이 발견된다. 개념 이해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으나, 확신도에서는 남성의 확신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상대론에 대한 선수학습 정도는 개념이해와 관련 있으나 확신도와는 무관하다. 개념 이해와 확신도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가장 최근에 상대론을 학습한 집단에서 잘 드러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ts degree of certainty on special relativity theory among preservice physics teachers. By applying the Relativity Concept Inventory, we collected responses from 51 preservice physics teachers majoring in physics at college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ponse data,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ts degree of certainty on special relativity theory and the respondents’ personal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sis, preservice physics teache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relativity of simultaneity, speed composition, and causality, and misconceptions are found in time dilation and the relativity of simultaneit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but men’s degree of certainty is relatively higher. The level of prior learning about relativity theory is related to conceptual understanding but has nothing to do with the degree of certainty.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e degree of certainty, and this is clearly evident in the group that most recently learned relativity.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 내의 학습 제재 설명 비교 연구 -법 영역과 사회,문화 영역의 비교-

        김찬미 ( Chan Mi Kim ),전진현 ( Jin Hyun Jeon ),박성혁 ( Sung Hyuk Park ) 한국법교육학회 2012 법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아직 수업을 듣지 않은 상황에서 법 영역 학습 제재를 설명하는데 포함된 어휘들을 사회·문화 영역에 비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3권의 교과서에서 법 영역과 사회·문화 영역의 학습 제재를 설명하는 공통된 어휘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서울 강북의 S중학교의 1학년 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어휘에 대해 1)얼마나 자주 들어보았는지(노출정도) 2)자신이 그 단어를 얼마나 잘알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자가평가 이해도) 3) 실제 뜻은 무엇인지(직접평가 이해도)를 작성하게 한 결과, 모든 면에서 법 영역 어휘의 평균 점수가 사회·문화 영역 어휘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학생들의 배경변인 분석에서는 어머니 학력을 제외한 성별, 경제수준, 독서량, 반 석차, 아버지 학력이 어휘 이해도 점수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차후에 개발될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설명 부분은 가능한 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어휘로 서술될 필요가 있으며, 교사는 학생들의 어휘력이 낮음을 인지하고 쉽게 풀어서 설명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어휘 지도 전략들의 활용, 사회과 법 영역 관련 독서 지도를 권한다. 또한 법 영역을 형식적 사고가 발달한 후의 2,3학년에서 배우도록 학교 단위의 교육과정을 편성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on the middle school freshmen`s degree of understanding at vocabulary between law field and societ y·culture field in social studies textbook. A subject for this inquiry is not abou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n key concept but abou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n vocabulary involved in explanation as to key concept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203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Gangbuk area)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se are the three main questions of this survey. 1) how much did the students exposed to the vocabularies in the questionnaires? 2) how much did the students think that they know the meaning of the vocabularies in the questionnaires? (self-estimation) 3) how much did the students actually know the meaning of the vocabularies in the questionnaires? (direct-estimation) In order to exa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ANOVA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all of domains(degree of exposure, self-estimation, direct-estimation), the law field vocabularies is proved to be lower than the society·culture field vocabularies. 2) For background variables, sex, economic standard, amounts of reading, rank in class, father`s level of education are concerned with degree of understanding vocabulary. The cause of this result might because society·culture field vocabularies are often used in daily life but law field vocabularies are not. So when we develop social studies textbook or teach student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lass or organize social studies curriculum, we should consider student`s ability in vocabulary as to law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