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빅데이터 독점에 관한 경쟁법상 쟁점

        김범준(Kim, Beom-Joon),이채율(Lee, Chae-Yu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2

        데이터 기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통해 글로벌 IT 기업들은 플랫폼 산업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였고, 해외 주요국들은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국가 발전 전략을 마련하였다. 특히,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어 온라인으로 검색부터 주문 및 결제까지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 기업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검색엔진, 소셜 네트워크, 인터넷 쇼핑, 배달 중개 어플 등으로 대표되는 온라인 플랫폼 기업은 이용자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이용자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이를 기업 운영에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입 시 제공되는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하며 형성되는 검색 내역·소비 패턴·식습관·대화내용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자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온라인 플랫폼 시장 내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사업이 운영되어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업이 우위를 선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거대 플랫폼 기업의 데이터 독점으로 인한 불공정행위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해외 주요국에서는 이러한 빅데이터 독점을 디지털 경제에서의 경쟁법적 쟁점으로 인식하여 규제 체계를 마련하였다. 미국은 플랫폼 기업 간 합병 심사에 있어서 데이터를 주요 쟁점으로 논의하였으며, EU도 대형 플랫폼 기업의 데이터 제공 의무를 명시하여 데이터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경우 경쟁제한방지법의 개정을 통해 디지털 시장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관련이슈를 규제에 반영하였으며, 일본도 빅데이터 공정경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플랫폼 기업의 데이터 독점을 선제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이렇게 해외 주요국이 이미 법제와 판례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빅데이터 불공정행위를 규제하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에서는 주로 데이터를 개인정보보호와 연결하여 정책을 시행해왔다. 따라서 플랫폼 기업의 대용량 데이터 수집으로 야기되는 독점행위를 규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은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독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쟁제한효과를 검토한 후 디지털 경제 시장 선도국가인 미국·EU·독일·일본 등의 규제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딜리버리히어로와 우아한형제들의 기업결합심사를 검토하여 기존 법제 개선수요를 도출하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data-driv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global IT companies have expanded their scope to the platform industry, and major foreign countries have developed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with the aim of revitalizing the digital economy. In particular, the Covid-19 outbreak in 2020 has activated non-face-to-face transactions, which has exploded the demand for platform companies that can run search, order, and payment online. Typical applications include search engines, social networks, Internet shopping, and delivery intermediary applications. Instead of providing free services to users, these online platform companies are securing user data and using it to grow their businesses. For example, personalized advertisements can be provided by analyzing data such as search contesnts, consumption patterns, eating habits, conversation contents, etc. formed by u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s and the service itself can be improved. Within the online platform market, the business will operate based on this, allowing companies that utilize a larger amount of data to gain the upper h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of unfair practices caused by the data monopoly of digital giant companies.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 Germany, EU, and Japan recognized such a big data monopoly as a competitive legal issue, accumulated judicial precedents, and established regulatory systems. The United States discussed data as a major issue in reviewing mergers between platform companies, and EU also sought to address data imbalances by specifying the obligation of large platform companies to provide data. In Germany, the revision of the Competition Restriction Prevention Act reflected data-related issues in the digital market in regulations, and Japan also preemptively prevents platform companies from monopolizing data by establishing guidelines for fair competition. Unlike major foreign countries that already regulate big data unfair practices by online platform companies through legislation and precedents, Korea has mainly implemented policies by linking data to privacy. Therefore, measures to regulate monopolies by collecting large amounts of data by platform companies have not yet been develope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ompetitive restriction effect of data monopolization and analyzes regulatory trends in the United States, EU, Germany, and other countries that lead the digital economic market. Based on this, this paper would like to examine the m&a review of Delivery Heroes and Woowa Brothers Corp. to derive demand for improvement of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 Act」.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보유하는 데이터 관련 시장지배력 판단

        이수진 한국경쟁법학회 2022 競爭法硏究 Vol.45 No.-

        As the rapid development of big data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extract deeper and more diverse values from data, the important of data is growing. Advances in the data-driven economy are closely linked to the emergence of online platforms. Due to the rise of big data business models based on online platforms, data is not solely used as a mean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r a product, but considered as important input into services. As a result, a diverse and deeper access to data enables businesses to compete on innovation and development to accommodate user preferences. At the same time, the strengthening of data driven network effects supported by user feedback loop, coupled with economies of scale, raise concerns or an increasing likelihood for businesses to create market dominance based on their data or monopolize the market (“winner-takes-all”). Responding to such changing market dynamics requires great effort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factors and market dynamics spurring the changes, and an in-depth analysis into such drivers and market dynamics should be a starting point to regulate them. To properly address concerns related to monopolization and foreclosure of data which might harm innovation and to prevent overly intrusive regulations from interfer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mpetition for innovation,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features of each online platform and data that may affect the anti-trust analysis and review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market dominance based on such features. Traditional methods used to assess market dominance need to be complemented and revised to accommodate the two-sided nature and free marketability of online platforms in market definition and changes in the criteria for the assessment of market dominance resulting from factors other than traditional price such as the increase in quality, focus price, or information cost. Determining the formation of entry barriers for data requires specific and individual assessment on the network effects caused by multi-sided nature of relevant markets, the size of switching cost resulting from economies of scale, not only the degree of switching of users or multi-homing but also the nature and types of data, the structure in which collection, retention and utilization of data are made, the possibility of securing similar data by competitors or new entrants, and increase in the use value due to accumulation of large amount of data. Furthermore,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data value chain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degree of market dominance since the economic value of data ecosystem is created through the data value chain and the effects that may occur in each part of the value chai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comprehensively. Since the value that can be extracted from data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algorithm, etc.,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chnical capabilities of analyzing and utilizing data.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role of the vibrant and innovative dynamic market in each phase of assessment ranging from the definition of relevant markets to the assessment of entry barriers.

      • KCI등재

        플랫폼기업결합 규제론에 대한 고찰 - 데이터독점론과 킬러인수론을 중심으로 -

        주진열 한국경쟁법학회 2022 競爭法硏究 Vol.46 No.-

        This article addressed some problems of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KFTC)’s regulatory policy on platform M&A based on the dubious terms ‘data monopoly’ as well as ‘killer acquisition.’ First of all, the term ‘data monopoly’ is oxymoron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monopolize data in its ordinary meaning. Strictly speaking, there cannot exist data monopoly.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litical slogan of ‘data monopoly’ is coined by the New Brandeis movement arguing that the so-called GAFA(Google, Apple, Facebook, and Amazon) ruins not only the U.S. economy but also American democracy. The New Brandeis movement also uses the false premise of ‘killer acquisition’ as an argument for the prohibition of GAFA’s acquisition of start-ups. Regardless of the New Brandeis movement in the U.S., the KFTC should not overuse the dubious terms ‘data monopoly’ and ‘nascent/killer acquisition’ as if data can actually be monopolized and there actually exist the so-called ‘nascent acquisition’ by the Korean platforms such as Naver and Kakao.

      • KCI등재

        플랫폼경제와 디지털경제 구분을 통해 도출한 한·중 플랫폼 데이터 인프라 경쟁력

        서봉교 현대중국학회 2023 現代中國硏究 Vol.25 No.3

        This paper explains why platforms, which are digital intermediaries comprised of voluntary participants, have created a monopolistic market power problem. In order to survive, platforms must provide ongoing value to voluntary participants, which limits their scale competitiveness to the extent that they can build a commercial business model that is competitive on cost and revenue. The cost of acquiring, storing, and utilising data for platforms is not zero, and the cost of data is skyrocketing as smartphone adoption expands. Data-related hardware and software competitiveness is a critical component of a platform’s economies of scale and monopoly power.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cloud hardware infrastructure, app market software competitiveness, and data-based revenue models of Korean and Chinese platforms. 이 논문은 자발적 참여자들로 구성된 디지털 중개 도구인 플랫폼이, 독점적인 시장 지배력 문제를 야기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플랫폼이 시장을 선점하여 데이터를 독점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쟁력을 가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플랫폼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자발적 참여자에게 지속적인 가치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수익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상업적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범위 이내로 플랫폼의 규모 경쟁력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플랫폼이 데이터를 확보하고 저장하고 활용하는 비용은 제로(0)가 아니고, 스마트폰 활용이 확대되면서 데이터 관련된 비용은 급증하고 있다. 데이터와 관련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경쟁력은 플랫폼의 규모의 경제와 독과점 지배력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 플랫폼의 클라우드 하드웨어 인프라, 앱마켓 소프트웨어 경쟁력, 데이터 기반 수익 모델의 차이를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례 비교를 통해 한국 플랫폼의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광고, 플랫폼 컨설팅 비즈니스 등의 수익 모델이 제약되고, 플랫폼 기반 사업 다각화에 대한 규제도 많다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혁신경쟁의 촉진과 플랫폼 단독행위 규제상의 과제 -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규제를 중심으로 -

        최난설헌 한국경제법학회 2020 경제법연구 Vol.19 No.2

        In the digital economy, platforms are the most influential market players and core elements of online transactions. The fundamental potential of platforms has made the expression ‘transformation from a pipeline market to a platform market’ familiar, and the success of several giant platforms has led to unprecedented market assessment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 increasingly powerful influence of platforms in the digital economy has left a new challenge of adjusting competition law and competition policies to address the ongoing problem of ‘competition in the future’ in line with changing business models. Some commentators are seeking the ways that existing competition law systems can be applied to new business models. On the other hand, others are attempting to theorize the impacts technology can have on competition, pointing out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competition law systems to the platform business. Traditionally, competition law’s interest in the platform market was focused on network effects and market planning. Recently, however, there have been remarkable changes in the perspective toward the platform business, such as the market design of platforms with intermediation functions, rules (such as fees charged when participating, data sharing conditions, etc.) that must be observed by participants within a platform. These recent changes in the perspective pay attention to the platform market leaders’ ability to create markets by their own intentions. Challenges of the digital economy in the 21 century arise from the rapid expansion of the platform industry’s scale as well as a trend of diversification and the use of data.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 sufficient review of changes in the market and industry will first be required. Also, it is essential to have the process of ensuring that the platforms’ specificity is reflected and considered in competition law and its enforcement system. Besides, the data that users provide to platforms is intertwined with the market forces created by the accumulation of data. Hence, when it comes to the implementation of competition law in the digit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nd identif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interfaces between competition law and consumer protection/data protection. Furthermore, the issue of protecting the competition process should also be carefully considered. Through this process, cautiously designed regulations can provide the market with clarity and predictability about the range of acceptable competition, thereby effectively regulating powerful market players’ attempt to restrict competition while minimizing the dynamic nature of the digital market and any negative impact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플랫폼은 디지털 경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행위자이자 온라인 거래의 핵심요소이다. 플랫폼이가진 근본적인 잠재력은 ‘파이프라인 시장에서 플랫폼 시장으로의 전환’이라는 표현을 낯설지 않게하였고, 몇몇 거대 플랫폼의 성공으로 인해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전례 없는 시장 평가가 이루어지고있다. 디지털 경제에 있어서 점점 강력해지는 플랫폼의 영향력은 변화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맞게 현재진행형인 미래의 경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쟁법과 경쟁정책을 조정해야 하는 새로운 도전과제를 남겼다. 일각에서는 기존 경쟁법 체제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있으며,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현재의 경쟁법 체제의 플랫폼 비즈니스에 적용에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기술이 경쟁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의 이론화를 시도하고 있다. 종래 플랫폼 시장에 대한 경쟁법적 관심은 주로 네트워크 효과, 시장획정 등에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중개(intermediation) 기능을 갖춘 플랫폼의 시장 디자인, 플랫폼 내에서 참여자가 준수하여야 할규칙(참여시 부과되는 수수료, 데이터 공유 조건 등)을 비롯하여 플랫폼 시장을 주도하는 사업자가자신의 의도에 맞추어 시장을 만들어가는 능력에 관심을 두는 등, 플랫폼을 향한 시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도 주목할만한 현상이다. 플랫폼의 규모의 급격한 확대와 다각화 경향 및 데이터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21세기 디지털 경제의 새로운 도전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장과 산업의 변화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플랫폼의 특수성이 경쟁법에 반영되거나 경쟁법 집행에 고려되도록 하는 과정 또한필수적이다. 아울러 디지털 경제에서의 경쟁법 집행은 이용자가 플랫폼에 제공하는 데이터와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만들어지는 시장력으로 더욱 얽혀 있으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경쟁법, 소비자 보호 및데이터 보호 간의 접점을 통합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경쟁과정에 대한 보호의 문제도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신중하게 설계된 규제는 허용 가능한 경쟁의 범위에 대해 명확성과 예측가능성을 시장에 제공하여 디지털 시장의 역동적인 특성 및 혁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경쟁제한행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개인정보 이동권의 법적 이슈와 입법 정책 방향

        이창범 ( Yi Chang-beom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정보화정책 Vol.28 No.4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needs to be introduced to strengthen the self-control of data subjects and promote personal data use. However,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constitutes a high risk of invasion of privacy of data subjects and may infringe on the property rights of data controllers, so careful and thorough design is warranted.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can intensify the concentration and monopoly of personal data, result in problems of overseas transfer of personal data held by public institutions, and enrich only the profits of giant platforms by burdening the data subject with high transfer cost. By contrast, SMEs are more likely to endure a personal data deprivation. From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are raised various legal issues such as. i) Whether to include inferred/derived data, personal data held by public institutions, activity data, sensitive data, and personal data of third parties within the scope of data portability; ii) whether SMEs are included in the data porting organization; iii) whether to exclude SMEs or large platforms from the scope of the data receiving organization; iv) Whether to allow the right to transmit to other data controllers, ⅴ) Whether to allow the overseas transfer of personal data held by public institutions, ⅵ) How to safely exercise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ⅶ) the scope of responsibility and immunity of a data porting organization, et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legislative action based on various legal issues related to data portability.

      • KCI등재후보

        데이터 독점과 경쟁법의 적용

        이효석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법학논고 Vol.- No.77

        본 논문은 디지털 경제 영역에서 거대 플랫폼 사업자의 데이터 독점에 대한 규제방안에 관하여 남용규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데이터 독점이란 네트워크 효과와 쏠림현상 등 플랫폼의 전형적인 속성에서 비롯되는 데이터 집중의 심화와 데이터 기반의 거래에서 거대 플랫폼 사업자가 누리는 강력한 경쟁 우위, 지속적인 데이터 통제력 행사를 통해 관련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을 유지・강화하는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고, 경쟁을 배제하고 독점을 지탱하는 수단 혹은 도구로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경제 하에 혁신을 통해 성장해 온 빅테크 기업들이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련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을 유지・강화하면서 오히려 경쟁을 배제하고 혁신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데이터 독점 현상을 둘러싸고 제기될 수 있는 경쟁법상의 문제들을 특히 남용규제의 두 가지 측면, 즉 배제남용과 착취남용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전통적인 규제 법리와 판단기준, 시장분석방법론을 디지털 시장에서의 개별적인 전략 행위에 적용할 경우 시장 및 제품과 서비스가 가진 다양한 속성들로 인해 위법성 심사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기존의 기준과 요건들을 보다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기준과 방법론이 규제대응상의 명확한 한계를 가진다면 거대 플랫폼 기업과 그들의 특정 행위를 대상으로 하는 필요최소한의 규제 입법이 하나의 대응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no question that current digital technology creates, innovates, and creates new opportunities, but at the same time, competitive legal problems in the digital market, namely, high market share of certain operators and potential anti-competitive practices, show that this field should also be properly controlled and responded through competition law. The issues of data concentration and monopoly that arise today are primarily associated with large platform operators, but not limited to them. Data and its economic value are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anticompetitive-practices by operators as one major asset, and in that sense, the economic value and importance of data in competition in the digital market must be addressed in depth in terms of competition law. Therefore, competitive authorities' understanding of the new business model is essential. Similarly, competitive authorities should be able to properly recognize and evaluate the link between data concentration and monopolies in the relevant markets, and the potential harm it poses. If data focused on some dominant operators leads to market dominance or competitive legal concerns that threaten consumer diversity, product and service quality and innovation, appropriate analysis tools should be identified and applied to assess illegality. This paper discusses its specific content and methods.

      • KCI등재

        디지털 전환 시대의 데이터 정책과 이용자 권리 보호: 데이터 독점과 데이터 주권을 중심으로

        유승현 한국방송학회 2022 방송통신연구 Vol.2022 No.S

        이 연구는 데이터 관련 정책과 법·제도를 검토하고, 데이터 관련 정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쟁점화하고 있는 플랫폼의 데이터 독점 현상과 문제점, 데이터 주권과 이용자 권리 보호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여, 데이터 정책의 방향성과 이용자 데이터 주권의 제도화 등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전환기 핵심 원천으로서의 데이터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데이터 경제가 부상함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데이터 관련 정책 및 법제화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국내외 데이터 관련 정책과 법제화가 추진되는 과정에서의 주요 쟁점은 플랫폼의 데이터 독점 문제이며, 이러한 데이터 독점은 데이터를 통한 시장 지배력 확대, 플랫폼의 기업 결합으로 인한 경쟁 제한과 진입 장벽 형성, 데이터 접근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개인 정보 등 이용자 권리 침해의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플랫폼의 데이터 독점으로 인한 이용자 권리 침해가 고착화되기 전에 이용자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데이터 주권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데이터의 권리주체는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데이터 권리가 가장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용자 데이터 주권을 제도화하는 정책과 플랫폼의 자율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미국 빅테크 기업에 대한 최근 규제 동향 - 클라우드컴퓨팅에 대한 반트러스트법 쟁점을 중심으로 -

        손영화 ( Son Young Hoa ) 한국경제법학회 2021 경제법연구 Vol.20 No.2

        클라우드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요청 시 원격으로 저장(remote storage)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클라우드컴퓨팅은 수많은 서비스를 뒷받침하고 있다. 클라우드컴퓨팅은 SaaS, PaaS, IaaS 등 대표적인 3가지 서비스로 구분되며, 서비스 대상 및 범주에 따라 공공 클라우드(Public Cloud),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로 구분된다. 오늘날 기업들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포함한 구성 가능한 컴퓨팅 자원의 공유 풀에 대한 네트워크 액세스를 임대할 수 있다. 클라우드컴퓨팅은 맞춤형(on-demand)으로 스케일 업(scale up) 또는 스케일 다운(scale down)을 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편의성 및 비용 절감의 결과로 인하여 테크놀로지 분야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비즈니스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 클라우드컴퓨팅을 성공적으로 채택하는 것은 어느 나라가 세계 경제에서 번영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클라우드컴퓨팅은 비용을 절감하고, 기술 및 비즈니스 민첩성을 창출하며, 혁신과 디지털 혁신을 지원한다. 2020년 전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2,700억 달러였다. 미국 정부와 의회는 클라우드컴퓨팅을 포함하여 인터넷상의 빅테크 기업에 대하여 대표적 주자인 GAFA(Google, Apple, Facebook, Amazon)를 중심으로 반트러스트법 적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미국 하원 법사위원회 반독점 소위원회는 GAFA의 시장 경쟁상황에 관한 공청회를 개최하고 실태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로 2020년 7월 하원 법사위원회는 「디지털 시장에서의 경쟁에 관한 조사(Investigation of Competition in Digital Markets)」라는 방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이른바 GAFA를 규제하기 위한 5개 법안이 마련되었고, 바이든 대통령에 의한 행정명령도 이루어진 바 있다. 클라우드컴퓨팅 관련 최근 미국에서의 규제 움직임은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과 같은 수준의 경제력 집중을 걱정할 단계는 아니다. 그러나 전통적인 경쟁법 집행으로 다루기 어려운 새로운 경제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합리적인 경쟁정책의 방향을 수립할 시점이다. 미국에서의 논의 상황을 반영하여 공정거래법상 규제의 방향성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독점에 따른 개인정보 등 고객 이익의 침해 및 공정거래법 위반 가능성의 증대문제에 대해서 대처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공정거래법상 기업결합 규제를 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업결합 분석에 더하여 새로이 데이터독점의 문제를 검토하지 않으면 안된다. 하반기에 이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사지침이 마련될 전망이다. 둘째, 클라우드컴퓨팅 사업자의 이른바 자사우대(Self-Preferencing) 문제에 대하여 엄격하게 불공정거래행위로 규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자사우대(Self-Preferencing)는 명백히 공정거래법상 불공정행위이므로 이를 규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온라인 플랫폼의 특성을 반영한 불공정행위의 유형으로서는 자사우대(Self-Preferencing) 이외에도 멀티 호밍(Multi-Homing) 차단, 최저가보장요구(most-favored nation clause : MFN) 등이 거론되고 있다. 셋째, 클라우드컴퓨팅과 관련하여 전환비용(switching cost)의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환비용은 이용자가 일단 이용하는 재화ㆍ서비스를 선택한 후 타사의 재화ㆍ서비스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비용이다. 전환비용이 높으면 높을수록 타사 재화ㆍ서비스로 전환하지 않게 된다. 전환비용은 사용자 잠금(lock-in)에 기여할 수 있다. 경쟁업체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소비자를 위한 비용을 전환함으로써 경쟁을 장려하기 위해 데이터 상호운용성과 이동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장기계약과 볼륨계약의 요구 문제이다. 장기계약이나 볼륨계약은 단기적으로는 수요자에게 이익이 생기는 면도 있지만, 정당한 사정이 없는 한 고객의 신규진입 서비스로의 전환을 부당하게 방해하여 공정한 경쟁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공정거래위원회는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를 둘러싼 업계의 거래관행에서 이와 같은 부당한 장기계약이나 볼륨계약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다섯째, 클라우드컴퓨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서비스인데,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에 있어서 오픈소스 코드를 복제하여 독점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컴퓨팅 제공자가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이후 독점적으로 관리하는 경우에는 독점적인 정보보유자가 그 정보를 지렛대로 이용하여 제품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취득하는 것이다. 공정거래법상 규제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여섯째, 클라우드컴퓨팅 제공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전통적인 공정거래법 위반행위의 하나로서 이른바 끼워팔기 및 경쟁사업자 배제행위가 있다. 클라우드컴퓨팅 공급자는 제2차 시장(after market) 서비스와 관련하여 고객의 선택을 강요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클라우드컴퓨팅 제공자가 자신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화로 다른 서비스를 끼워팔기 하는 경우 공정거래법상 끼워팔기 또는 경쟁사업자 배제행위로서 규제의 대상이 될 수 있다. The U.S. government and Congress are actively promoting the application of anti-trust laws to GAFA(Google, Apple, Facebook, Amazon), a leading cloud computing runner. Recently, the U.S. House Judiciary Committee on Monopoly held a hearing on the market competition of GAFA and conducted a fact-finding survey. As a result, in July 2020, the House Judiciary Committee released a massive Investigation of Competition in Digital Markets report. Recently, five bills were compiled to regulate the so-called GAFA. In July 2021, President Biden issued an executive order. Recent regulatory movements in the United States related to cloud computing suggest a great deal to Korea. However, in Korea, the situation in the cloud computing service industry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EU and Japan, although somewhat similar to that in the United States,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s. Therefore, it is too early and unnecessary for Korea to accept all the regulations on cloud computing in the U.S. However, at least cloud computing providers’ actions that hinder fair and free competition in the marketplace and harm consumers’ welfare interests must be regulated by the Fair Trade Act in Korea. Reflecting the discussion situation in the United States, here are a few simple clues to the regulations under the Fair Trade Law: First,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problem of infringement of consumer interes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caused by data monopoly and the possibility of violation of the Fair Trade Act. In the future, when regulating enterprise combinations under the Fair Trade Ac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oblem of data monopol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enterprise combination analysis. Second, the so-called self-preference problem of cloud computing operators should be strictly regulated as unfair trade practices. Examples of unfair practic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platforms include blocking multi-homing and most-favored national claims (MFNs) in addition to self-preference. Third, we need to look at the switching cost problem in cloud computing. Switching costs are costs incurred when a user selects goods and services to use and switches them to other companies’ goods and services. The higher the switching cost, the less it will be switched to other companies’ goods and services. Data interoperability and mobility must be ensured to encourage competition by lowering barriers to competition and converting costs for consumers. Fourth, cloud computing companies seeking long-term or volume contracts from their customers are a problem under competition law. Long-term contracts and volume contracts can benefit consumers in the short run, but unless justified, they can unfairly prevent consumers from switching to new entrants and prevent fair competition. Therefore, the Fair Trade Commission should examine whether such unfair long-term and volume contracts are in place in industry trading practices around cloud computing services. Fifth, cloud computing is an Internet-based service, but cloud computing services have the problem of replicating open source code and providing proprietary management services. When cloud computing providers use open-source software to develop and provide products and then manage them exclusively, proprietary information holders use this information to gain exclusive status in the product management market. Under the Fair Trade Act,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can be subject to regulation. Sixth, one of the traditional violations of the Fair Trade Act that cloud computing providers can use is the so-called tie-in sale and exclusion of competitors. Cloud computing providers can force or limit consumers’ choices for secondary market services. Cloud computing providers may be subject to regulations under the Fair Trade Act as a tie-in sale or exclusion of competitors if they sell other services together at the opportunity to provide their own cloud services.

      • KCI등재

        중국 온라인플랫폼의 데이터 관련 규제 연구

        서의경 한국유통법학회 2022 유통법연구 Vol.9 No.2

        중국의 온라인플랫폼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괄목할만한 성장을 계속해 왔으며 특히 세계 제1위의 인구를 바탕으로 데이터 관련 산업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데이터 독점, 개인정보의 보호, 데이터의 보안 및 국외이전 등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최근 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를 받아 성장에 제동이 걸린 상태이다. 먼저 데이터 독점과 관련하여 중국정부는 2021년 2월과 2022년 8월에 각각 「플랫폼 경제 분야에 관한 반독점 지침」과 「반독점법」을 시행하여 플랫폼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반독점 규정을 보완하였다. 둘째, 개인정보의 보호와 관련해서는 2021년 11월 1일부터 「개인정보보호법」을 시행하여, 플랫폼 기업들의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 및 처리를 제한하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보호법은 대형 온라인 플랫폼 기업에 대하여 특별한 의무를 부과하여 개인정보보호에 있어서 일종의 ‘문지기’의 역할을 맡기고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의 보안 및 국외이전과 관련해서는 「네트워크안전법」, 「데이터안전법」, 「개인정보보호법」 등을 통해 규제하고 있는데, 핵심정보기반시설의 데이터와 개인정보의 국외 이전을 엄격하게 통제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