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Practice of Socialist Core Values Based on Online Questionnaire

        Min Wu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10 No.4

        Network media is an important platform to guide the public opinion and political expression tools; and could word as an important carrier of socialist core values. In order to promote socialist core values education in the network environment, we analyze the influence of network media and try to find out the key factors that impact on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practice in socialist core values. By using online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s that 77% college students have a political belief and correct ideal faith, 37.4% college students believe communism will be achieved, and 75% college students identify socialist core values. In conclusion, network will provide the conditions for the public particip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effective dissemination of network media on the socialist core values, college should strengthen the norms of network media use, adhere to the guidance of socialist core values and fulfill the gatekeeper duties.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 핵심가치의 설정 원리 - 규범-가치 구별을 중심으로 -

        서요련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8

        This study proposes a principle for determining core value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norm-value distinction. Although the 2015 and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dentify sincerity, care, justice, and responsibility as core values, there is a lack of a clear principle for determining these values. Core values play a critical role in guiding the direction of moral instruction, making it essential to establish a principle to address this gap. The norm-value distinction provides a useful framework for developing such a principl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norms are universally binding, consider second-person perspective, and have a high justification threshold, whereas values are relatively binding, need not consider second-person perspective, and have a low justification thresholds. A principle for determining core value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must separate core norms and core values and organize the curriculum accordingly.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원장과 교사의 교육이데올로기, 핵심가치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신건호 ( Keon Ho Shi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1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과 교사의 교육 이데올로기, 핵심 가치, 그리고 삶의 만족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일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육기관 교사 134명과 원장 137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4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첫째, 원장과 교사의 교육 이데올로기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원장과 교사는 핵심가치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원장과 교사는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원장과 교사의 삶 만족도에 교육이데올로기와 핵심가치의 영향이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은 보수성향 교육이데올로기가 높았고, 교사는 진보성향 이데올로기가 높았다. 둘째, 핵심가치 중 집단가치에서 원장이 교사보다 높았지만, 개인가치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삶 만족도에서 원장이 교사에 비해 삶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사집단에서 개인지향가치, 집단지향가치, 그리고 진보성향 이데올로기가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었지만, 원장집단은 보수성향 교육이데올로기가 유일하게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연구결과는 교사와 원장은 교육이데올로기와 핵심가치에서 차이를 보였고, 교육 이데올로기와 핵심가치가 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선행연구결과와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incipal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ideologies, the core values, and the satisfaction from life. 134 female teachers and 137 principals of kindergartens were observed for this research.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Are there any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regular teachers and principal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ideology? Do regular teachers and principals show any gap in their core values? Can we find any critical distinctions between regular teachers and principals in their satisfaction from life? Are their satisfaction from life affected by their educational ideologies and core values? The following results summarized this research: Firstly, principals were found to have more conservative educational ideologies, compared to regular teachers who showed more liberal tendencies. Secondly, principals collectively showed higher core values than regular teachers, while there was no apparent disti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individual core values. Thirdly, the observation of this research told that principal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regular teachers were. Finally, regular teachers` satisfaction from life correlated with individual and collective core values, and liberal educational ideologies whereas principals` satisfaction only correlated with conservative educational ideologies. As a conclusion, this study has revealed there are some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regular teachers and principal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ideology and the core values. In addition these two groups are differently affected by their educational ideologies and core values.

      • KCI등재

        Comply or Explain 방식의 기업지배구조 공시와 기업가치 - 핵심지표를 중심으로 -

        안성희 ( Sung-hee Ah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4

        우리나라는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Comply or Explain(원칙준수, 예외설명)」방식의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를 도입하였다.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에 따라, 기업들은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을 적용한다면 그 사실을 밝히고(Comply), 모범규준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를 상세히 설명(Explain)하는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공시하고 있다. 동 제도는 지배구조의 투명성 향상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중장기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하는 데 그 취지가 있다. Comply or Explain 방식의 기업지배 구조보고서는 2018년까지 자율적으로 공시되다가, 2019년부터 대규모 유가증권 상장기업에 한해 의무공시되고 있으며, 기업지배구조보고서가 제공하는 정보의 비교가능성과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당국에서 제시한 15대 핵심지표 준수여부를 O, X형태로 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 의무공시기업의 핵심지표 준수현황을 살펴보고, O, X 형태로 공시된 핵심지표 준수정도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19년, 2020년에 O, X 형태로 핵심지표 준수여부를 기업지배구조보고서에 공시한 약 326개 기업-연도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규모 유가증권 상장기업은 지배 구조의 15개 핵심지표 중 8.4개 정도를 준수하는데 그쳐, 보다 적극적인 지배구조 개선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핵심지표의 분류별로 살펴보면, 주주 관련 핵심지표 준수율이 약 32%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감사기구 관련 핵심지표 준수율이 70%이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개의 개별 핵심지표 중에서는 집중투표제를 채택한 기업이 가장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핵심지표의 준수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가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업지배구조보고서상의 핵심지표 준수율이 높을수록 투자자들은 기업지배구조가 양호하다고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이사회 및 감사기구와 관련된 핵심지표 준수율이 높을수록 기업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주주관련 지표의 준수정도는 기업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들이 주주 관련 핵심지표 준수여부에 대해서는 차별적인 가치를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개별 핵심지표 준수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집중투표제 채택은 기업가치와 유의한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집중투표제의 채택이 경영권을 위협한다는 기업의 우려와 일맥상통한 결과이므로 핵심지표로서 적정한지에 대한 추가적인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O, X형태의 핵심지표 준수여부가 포함된 Comply or Explain 방식의 기업지배구조 공시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연구한 최초의 연구라는 공헌점이 존재한다. 또한 그간 선행연구에서는 이사회, 감사위원회 등 주요 기구의 기업지배구조 현황과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연구한 반면, 본 연구는 주주, 이사회, 감사기구를 포괄하는 정량화된 지배구조 수준을 토대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연구했다는 측면에서 선행연구 대비 차별점을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26년까지 전체 유가증권 상장기업으로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를 확대하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최근 ESG가 화두인 상황에서 기업의 경영진은 법적인 의무에 따라 단순히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작성ㆍ공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재고하는 측면에서 해당 기업에 가장 바람직한 지배구조 모델을 찾아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best corporate governance standards, Korea introduced the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of the “Comply or Explain” method. According to the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companies disclose the Corporate Governance Report that explains the fact if they apply the Best Corporate Governance Standards (Comply) and explains why if they do not apply the Best Corporate Governance Codes (Explain).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enhanc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to contribute to enhancing mid- to long-term corporate value by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corporate governance. The Comply or Explain method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 was voluntarily disclosed until 2018, and has been made mandatory only for large-scale securities- listed companies from 2019. Compliance with the 15 core indicators suggested by the authorities is indicated in the form of O and X. This study examines the compliance status of core indicators of companies with mandatory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and analyzes how the degree of compliance with key indicators disclosed in the form of O and X affects corporate value. The sample of this study is about 326 company-years that disclosed compliance with core indicators in the corporate governance report in the form of O and X in 2019 and 202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rge-scale securities listed companies in Korea only comply with 8.4 out of 15 core indicators, suggesting that more active efforts to improve governance are needed. When looking at the core indicators by category, the shareholder-related core indicators compliance rate was the lowest at about 32%, and the compliance rate of the audit organization-related core indicators was the highest at over 70%. Among the 15 individual core indicators,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adopted the concentrated voting system is the lowest. Second, the higher the compliance ratio of the core indicators, the higher the firm value was,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compliance ratio of the core indicators, the higher the investor’s evaluation of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mpliance ratio of core indicators related to the board of directors and monitoring organizatio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irm value, while compliance ratio of the shareholder related indicator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Finally, it appears that the adoption of the cumulative voting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firm value. This is a result consistent with corporate concerns that the adoption of cumulative voting threatens management rights, so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is appropriate as a core indicator. This study contributes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iance of core indicators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using Comply or Explain method and firm value. In addition, while previous studies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status and firm value of major organizations such as the board of directors and audit committe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antified level of governance that includes shareholders, board of directors, and audit organizations. It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values. This study supports the government’s policy to expand the disclosure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to all companies listed on securities by 2026. Corporate management does not simply disclose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according to legal obligations, but seeks the most desirable governance model for enhancing firm value in the long term.

      • Research on the cultivation path of college students* core values from the perspective of tea culture

        Qin Li HONG KONG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24 Journal of Social Science Development Research Vol.1 No.2

        The cultivation of college students* 1 core values is the important content of college education and the key to ensure the positiv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The cultivation of college students* core values is characterized by complexity and teachers can guide college students* core values according to tea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ea culture. Tea culture contains rich cultural connotation, which conforms to the cultivation concept of core values of college students, and this cultivation process is innovative, which is conducive to the healthy growth of colleg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ea culture, the cultivation path of college students* core values can be expanded, at the same time, college students can carry forward and inherit tea culture. Based on this article, the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core values from the perspective of tea culture are analyzed, and the cultivation path of college students* core values is studied in combination with the cultivation requirements of core values.

      • KCI등재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현지화 전략에 따른 현지채용인력의 기업비전인식과 조직몰입 및 핵심가치 내재화의 관계연구

        박성민,한만주 한국성인교육학회 201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7 No.4

        본 연구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소속된 현지채용인력의 기업비전인식과 조직몰입 및 핵심가치 내재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에 진출한 한국 종합식품기업 A의 ‘현지채용인력대상 핵심가치 내재화 과정’을 마친 교육생 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으며, 그 값을 토대로 SPSS 17.0 Version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t-검증, 매개효과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업비전인식은 핵심가치 내재화에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핵심가치 내재화에 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몰입은 기업비전인식과 현지채용인력의 핵심가치 내재화 사이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국에서의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기업은 중국 현지채용인력의 기업비전인식과 조직몰입 그리고 핵심가치 내재화에 있어 교육이나 조직지원을 통해 기업비전을 우선으로 인식시키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보완한다면 한국기업의 현지화를 위해 현지채용인들의 핵심가치 내재화에 정적인 영향을 주어 경영성과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awareness of the corporate vis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rnalization of corporate core values by Chinese employees in Korean corporations in China. 95 Chinese employees of Korean food and beverage corporation 'A' in China completed surveys after receiving training on internalization of corporate core values. and SPSS Version 17.0 was applied to the results for correlation,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s and mediating effects. Results of analysis find that awareness of the corporate 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positively correla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rnalization of core values are positively correlated too. and also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the corporate vision and internalization of core value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Korean firms employing host country nationals, accentuating the importance of promoting activities guided toward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corporate vis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rnalization of core value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 핵심가치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유지선 한국예술교육학회 2022 예술교육연구 Vol.20 No.4

        The core value curriculum can help students experience the process of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according to core valu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ore value curricu- lum to solve social problems. In this study, research, development, and feasibility verification studi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8th class were developed as a core value curriculum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e contents of the class 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core value concepts and social issues, 2 Principles of social problem solving, 3 social problem solving procedures and meth- ods, 4 Art-based Social Problem Solving Principles, 5 How to use digital media literacy, 6 Exploring cases of solving social problems based on core values I and II.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in students' curriculum evaluation are as follows. In the educa- tional situation, 'appropriateness of the class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In education input, 'ex- ploration of various social problems', 'exploration of art social values and usefulness', and 'validity of in- termediate evaluation method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appropri- at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esentation of core contents and implications at the end of cla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inally, in education calculation, it was found that 'active pre- sentation and question participation in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tudent interim evaluation analysis, a total of 45 social problems could be divided into 9 major areas. The problems that students wanted to solve with the most interest were self-esteem (7), science and humans (7), abuse (6), environment (5), society (5), women (5), safety (4), economy (4), and education (2). This study can be expanded to include convergence art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various art fields such as dance, theater, art,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overall qual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사회를 살아갈 인재들은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갈등 및 딜레마 상황 속에서 자 신만의 가치판단에 따라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양교육 에 적합한 핵심가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의사결정주체자인 학생들이 평가하도록 하여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문헌조사를 토대로 핵심가치 교육과정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해 당 수업을 수강한 전문대학의 교양수업을 수강한 5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CIPP 평가 모형 기반 설문조사 실시하 고 중간고사 과제로 제출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심가치 교육과정에 대한 교양 수업내 용은 1 핵심가치 개념 이해 및 사회문제 개발, 2 사회문제해결 원리 탐색, 3 사회문제해결 절차와 방법 탐색, 4 예술기반 사회문제해결 원리, 5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법, 6 핵심가치 기반 사회문제해결 사례 탐구I, II 등 8차시로 개발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변인은 다음과 같다. 1 교육상황에 서는 ‘수업환경의 적절성’, 2 교육투입에서는 ‘다양한 사회문제 탐구’, ‘예술 사회적 가치·유용성 탐구’, ‘중간평가 방식의 타당성’, 3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방법의 적절성’, ‘수업 말미에 핵심 내용 및 시사점 제시’, 4 교육산 출에서는 ‘학습에서 적극적 발표 및 질문 참여’가 학생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학생 중간평가 분석 결과, 총 45개의 사회문제를 9가지 대영역으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 이 가장 관심있다고 개발한 문제는 자존감 향상(7), 과학과 인간 대립(7), 학대방지(6), 환경문제(5), 사회문제(5), 여성권익(5), 안전불감증(4), 유익한 경제 생활(4), 한국교육 문제(2)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안된 핵심 가치 교육과정은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무용, 연극, 미술, 국악 등 다양한 예술기반 창작방법과 연계·융합하여 실제 대학교육 현장에 융합교육의 형태로 가르쳐질 수 있다.

      • KCI등재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 탐색 및 종단변화

        신세인 ( Sein Shin ),이준기 ( Jun-ki Lee ),하민수 ( Minsu Ha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3

        이 연구는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계열별 직업 가치관의 유형과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하여 11개 직업 가치관 문항을 포함한 직업가치관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 174명의 3차에 걸친 종단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계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상당수는 직업가치관은 측정 시점에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으며, 이들 중에는 직업가치관적 고려가 거의 없는 상태로 유지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과 혼재되어있는 전혀 다른 성향을 보여주는 집단인 직업가치관 급변 집단들도 함께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직업 가치관의 변화추세와 그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에 기반을 둔 맞춤형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types and longitudinal changes in the career values of students in science core school. Data collected from 174 students in science core school were analyzed using 11 career value item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career value shown in students in science core schools. Second, the career value of students in science core school did not differ by their track. Third, many students of science core high schools have little or no change in their career value values depending on the time of collecting data. However, some students show rapidly changing career valu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individualized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changing trend of students' career values.

      • KCI등재후보

        고객가치가 핵심혜택과 고객유지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호텔레스토랑을 중심으로-

        김성대 ( Sung Dae Kim ),하용규 ( Yong Kyu Ha ),김한신 ( Han Shin Kim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4

        치열한 경쟁환경에 처해있는 현대기업의 경쟁우위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신규 고객을 확보하는 것보다 기존 고객을 유지하여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에 달려있다. 최근 호텔기업의 경쟁환경을 보면 다수의 신규호텔들이 건립되고 있어 경쟁우위를 위한 구체적인 경영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호텔기업은 지속적인 성장과 매출촉진을 통한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고객유지를 중요한 전략으로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선행연구에 의하면 고객유지 전략을 나타낼수 있는 중요성을 갖는 개념으로 핵심혜택과 고객가치가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선행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호텔기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고객이 지각하는 핵심혜택과 고객유지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고객가치가 핵심혜택과 고객유지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코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특 1등급 호텔 12곳의 레스토랑을 방문하여 이용한 경험이 있는 내국인 고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고,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목적 하에 수행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기업의 핵심혜택은 고객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혜택은 고객유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가치가 고객유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핵심혜택과 고객유지의 관계에 고객가치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호텔기업 경영상 핵심혜택과 고객가치에 집중한 고객관리 기법과 마케팅전략 수립에 새로운 관리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고객유지를 위해 고객유지와 고객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통한 고객관리기법과 제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기여도와 한계점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modern enterprise which faced fierce competition environment depends on strategies that generate higher profits by keeping existing customers than acquiring new customers.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recent hotel industry, a number of new hotels is being newly built so a growing belief has emerged that specific management strategies for competitive advantage are needed. Hotel companies set up important strategies focusing on customer retention to preempt a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ustainable growth and promotion. From this point of view, previous studies suggested core benefit and customer value as a significance concept that can be related to customer retention. From this point of mew,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core benefit, customer value, and customer retention in the hotel firm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valu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re benefit and customer retention. To achieve these purpose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customers in the 12 deluxe hotel restaurants. Then the data and hypothes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re benefit has a direct effect on the customer value. Second, core benefit has a direct effect on the customer retention and third, customer value has a direct effect on the customer retention. And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customer value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benefit and customer re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bring up the new direction to the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ractices and marketing strategy focusing on the core benefit, customer value in the management of the hotel firms.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customer relationship practices and institutions system increase customer retention by providing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customer retention.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possible researches were mentioned.

      • KCI등재

        핵심가치 내재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김익섭(Ik-Sup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2 No.2

        21세기 들어 기업환경은 날이 갈수록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매년 많은 기업들이 성장과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생존하기 위한 방식으로 개별기업들은 기존 전략의 수정 혹은 CEO의 교체 그리고 조직의 쇄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존의 방식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생존방식의 일환으로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핵심가치 중심의 경영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운 환경과 핵심가치 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 초일류기업들의 핵심가치 중심의 경영에 대한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조직 구성원들에게 전파하고 내재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 모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어려운 경영환경을 핵심가치 중심의 경영을 통해 극복하고자 한 특정기업의 핵심가치 전파 및 내재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국 조직구성원들의 의식과 행동의 발현을 위한 핵심가치라는 DNA는 지속적인 반복학습을 통하여 구성원들이 핵심가치가 왜 필요한지에 대하여 공감하고 마음 속에 내재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판단하게 되었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competition among for-profit organizations has been intensified. As many firms rise and fall, the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several ways to survive. They changed their strategy towards market, acquired a new CEO, and reformed the table of structure. Among these attempts for survival, the management that is more focused on core values emerged for more suitable and sustainable growth. This study focused on how organization manages its core values and what it tells us in the difficult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a for-profit organization makes the employees understand and internalize the core values by developing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yielded that repeatedly reminding and educating employees is the best way to internalize these core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