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 핵심가치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 In the post-corona er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re Value Curriculum for the Solution of Social Problems on Liberal Arts Education in Junior Colle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7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re value curriculum can help students experience the process of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according to core valu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ore value curricu- lum to solve social problems. In this stu...

      The core value curriculum can help students experience the process of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according to core valu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ore value curricu- lum to solve social problems. In this study, research, development, and feasibility verification studi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8th class were developed as a core value curriculum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e contents of the class 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core value concepts and social issues, 2 Principles of social problem solving, 3 social problem solving procedures and meth- ods, 4 Art-based Social Problem Solving Principles, 5 How to use digital media literacy, 6 Exploring cases of solving social problems based on core values I and II.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in students' curriculum evaluation are as follows. In the educa- tional situation, 'appropriateness of the class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In education input, 'ex- ploration of various social problems', 'exploration of art social values and usefulness', and 'validity of in- termediate evaluation method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appropri- at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esentation of core contents and implications at the end of cla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inally, in education calculation, it was found that 'active pre- sentation and question participation in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tudent interim evaluation analysis, a total of 45 social problems could be divided into 9 major areas. The problems that students wanted to solve with the most interest were self-esteem (7), science and humans (7), abuse (6), environment (5), society (5), women (5), safety (4), economy (4), and education (2).
      This study can be expanded to include convergence art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various art fields such as dance, theater, art,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overall qual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사회를 살아갈 인재들은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갈등 및 딜레마 상황 속에서 자 신만의 가치판단에 따라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사회를 살아갈 인재들은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갈등 및 딜레마 상황 속에서 자 신만의 가치판단에 따라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양교육 에 적합한 핵심가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의사결정주체자인 학생들이 평가하도록 하여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문헌조사를 토대로 핵심가치 교육과정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해 당 수업을 수강한 전문대학의 교양수업을 수강한 5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CIPP 평가 모형 기반 설문조사 실시하 고 중간고사 과제로 제출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심가치 교육과정에 대한 교양 수업내 용은 1 핵심가치 개념 이해 및 사회문제 개발, 2 사회문제해결 원리 탐색, 3 사회문제해결 절차와 방법 탐색, 4 예술기반 사회문제해결 원리, 5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법, 6 핵심가치 기반 사회문제해결 사례 탐구I, II 등 8차시로 개발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변인은 다음과 같다. 1 교육상황에 서는 ‘수업환경의 적절성’, 2 교육투입에서는 ‘다양한 사회문제 탐구’, ‘예술 사회적 가치·유용성 탐구’, ‘중간평가 방식의 타당성’, 3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방법의 적절성’, ‘수업 말미에 핵심 내용 및 시사점 제시’, 4 교육산 출에서는 ‘학습에서 적극적 발표 및 질문 참여’가 학생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학생 중간평가 분석 결과, 총 45개의 사회문제를 9가지 대영역으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 이 가장 관심있다고 개발한 문제는 자존감 향상(7), 과학과 인간 대립(7), 학대방지(6), 환경문제(5), 사회문제(5), 여성권익(5), 안전불감증(4), 유익한 경제 생활(4), 한국교육 문제(2)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안된 핵심 가치 교육과정은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무용, 연극, 미술, 국악 등 다양한 예술기반 창작방법과 연계·융합하여 실제 대학교육 현장에 융합교육의 형태로 가르쳐질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유지선, "핵심개념과 핵심기능을 대비한 핵심가치를 논함" 2022

      2 임선애, "학부교육 선도대학 교양교육 성과진단 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6

      3 Kohlberg, L., "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 아카넷 2000

      4 유지선, "초등학교 영화교육과정 기준안 개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9 (19): 139-159, 2021

      5 서지영, "창의력 계발 및 인성 함양을 위한 수행평가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6 Aristoteles, "정치학" 숲 2010

      7 심준섭, "정책과정에 대한 판단분석(Judgment Analysis)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345-376, 2006

      8 정인덕,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의 통합적 접근 : 콜버그와 길리건의 이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이수현,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33-246, 2020

      10 맹보학, "전문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정책제언 ④. NCS 기반 교육, 체계적인 교육 품질 관리 힘써야. 한국대학신문, 2019.01.09"

      1 유지선, "핵심개념과 핵심기능을 대비한 핵심가치를 논함" 2022

      2 임선애, "학부교육 선도대학 교양교육 성과진단 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6

      3 Kohlberg, L., "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 아카넷 2000

      4 유지선, "초등학교 영화교육과정 기준안 개발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9 (19): 139-159, 2021

      5 서지영, "창의력 계발 및 인성 함양을 위한 수행평가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6 Aristoteles, "정치학" 숲 2010

      7 심준섭, "정책과정에 대한 판단분석(Judgment Analysis)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345-376, 2006

      8 정인덕,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의 통합적 접근 : 콜버그와 길리건의 이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이수현,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33-246, 2020

      10 맹보학, "전문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정책제언 ④. NCS 기반 교육, 체계적인 교육 품질 관리 힘써야. 한국대학신문, 2019.01.09"

      11 조난심, "인성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2 김동일, "인성교육 목표·실전요소 설정과 현장 적용 방안" 교육부 2015

      13 김주완, "인성과 가치관의 상호연관성" 대한철학회 105 : 127-147, 2008

      14 Lickona, T., "인격교육론" 백의 1998

      15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6

      16 박용준,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윤리학의 감정론적 기반: thymos 개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2014

      17 고요한,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핵심가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토론" 2022

      18 Robert F. Butts, "민주시민의 도덕" 나남 1998

      19 김지윤,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다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0 William, M.,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1995

      21 Jonassen, H., "Toward a design theory of problem solving" 48 : 63-85, 2000

      22 Stufflebeam, D.,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5 (5): 19-25, 1971

      23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24 Brunswik, 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Psych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2

      25 Stufflebeam, D., "The CIPP Evaluation Model: How to Evaluate for Improvement and accountability" Guilford 2017

      26 Bloom, B.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David McKay 1956

      27 EAVI, "Study on Assessment Criteria for Media Literacy Levels"

      28 최정임,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2015

      29 최수진,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 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17

      30 Baacke, D., "Medienkompetenz: Begrifflichkeit und sozialer Wandel"

      31 Cooksey, R. W., "Judgement analysis: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Press 1996

      32 Hammond, K. R., "Human judgment and decision processes" Academic Press 271-312, 1975

      33 Brunswik, E., "Historical and thematic relations of psychology to other sciences" 83 : 151-161, 1956

      34 Stufflebeam, D., "Evaluation Models: Viewpoints on Educational and Human Services Evalu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0

      35 Stufflebeam, D., "Encyclopedia of Evaluation" Sage 2005

      36 Spencer, H., "Educatio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D. Appleton and Co 1860

      37 Erickson, H., "Concept-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rwin 2017

      38 김대영 ; 임승완,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프로그램 평가 표준에 기초한 프로그램 평가 사례 연구" 한국경영학회 25 (25): 67-97, 2021

      39 이원석,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국내 교육 분야 CIPP 평가 모형 활용 연구 고찰" 한국교육평가학회 32 (32): 603-624, 2019

      40 Stufflebeam, D., "A standards-based perspective on evaluation" 3 : 61-88, 1997

      41 김자중 ; 한용진, "19세기 영국에서의 ‘삼육’ 개념의 형성과 전개"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1-27,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