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치원 교사 역량, 유아 놀이성 간의 경로 분석

        조준오(Junoh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유치원 교사 역량, 그리고 유아 놀이성 간의 경로관계를 알아본 후, 유치원 교사 역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B지역 유아교사 374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에게 배부된 설문지를 390부였으며 최종 회수된 것은 380부였고, 그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하고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5부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5.0와 AMOS. 25.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경로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높아질수록 유아교사의 역량도 높아졌다. 둘째, 유아교사의 역량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놀이성도 높아졌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놀이성 역시 높아졌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역량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형태로 창의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환경 및 교육을 제공한다면 유아교육기관의 교육적 질을 높여 유아의 놀이성 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h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kindergarten teacher s competency, and the child s playability, and then to check the mediating effect of the kindergarten teacher s competency.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B local early childhood teachers 374. Retrieved response sheets are SPSS 25.0 and AMOS. 25.0 was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path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through this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higher th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higher the competen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higher the children s playability. Third, the higher the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higher the playability of childre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playability of children. Conclus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and education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cultivate creative competence in various forms. If so,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ill be improved, which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playabil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박지영,정정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for play-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as examined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play teaching efficacy, teaching creativity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for play-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s study involved 325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children aged 3 to 5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To examine effec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were verified by bootstrapping method.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using phantom variable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reativ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for play-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respectivel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is a variable that indirectly affect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for play-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heir relationship.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indirectly affect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for play-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a very significant level through the dual mediation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reativ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ward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by providing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which characterizes the play-oriented curriculum.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위해 대구광역시와 경북 지역에 위치한 교육경력 1년 이상의 3-5세 유아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 창의성은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 창의성이 높은 교사의 경우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성은 놀이교수효능감, 교수 창의성을 매개로 놀이중심 교육과정실천역량에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유아교사의 내적 변인인 놀이성이 높으면 교사의 전문적 수행과 관련된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 창의성을 높이는 변인으로 작용하여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을 높이기 위해 유아교사의 놀이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교육환경과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유아교사의 놀이성을 적절히 반영하여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수 창의성을 높일 수있는 현직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화역량과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행: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류미향,안혜령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1

        This study aimed at 434 early childhood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Busan to evaluate their cultural competency, personal art experience, awareness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wareness of after-school curriculum management. A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cultural competency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lightly higher, and the older the teacher's age, the lower the cultural competency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the more importan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lot of personal experience in art and music, and they are often practiced in educational courses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fter-school courses by external instructors, whereas movement and dance and traditional arts only have low personal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degree of practice and smoothness of practice were all above average. Fourth, teachers believed that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done through cooperation with culture and arts specialists. Fifth, when implemen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children’s interest, developmental suitability, and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were considered the most.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 need to focus on enhancing teachers’ cultural competency and on seeking various ways of cooper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rt experts for the purpos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부산시 16개구군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아교사 434명을 할당표집과 임의표집을 통해 모집하여 문화역량, 개인적 예술경험,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과후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화역량은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문화역량 수준은 낮았다. 문화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교사들은 유아 문화예술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개인적 차원의 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예술교육 실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과 음악은 유아교사들이 개인적으로 경험도 많이 하고 유아교사들에 의한 교육과정과 외부 강사에 의한 방과후과정에서 많이 실행되고 있는 반면, 동작·무용과 전통예술은 유아교사의 개인적 경험도 낮을 뿐 아니라 유아 문화예술교육에서도 많이 실행되고 있지 않았다. 셋째,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실행정도 및 원활성은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전문성 부족으로 교육 실행에 어려움을 느끼며 문화예술전문 인력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이 실행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문화예술교육 실행 시 유아의 흥미와 발달적합성,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유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유아교사 문화역량의 증진, 그리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예술전문가와의 다양한 상호협력 방안 모색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차이 탐색과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박소영,백종남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differences in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etermine what variables affect these differences if they are indeed present.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239 participants including 124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15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ll areas of curriculum operation, learning support, recording and evalu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formation. Seco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ubject of kindergarten establishment and the type of kindergarten establishment when it comes to play support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ational, public, private, and corporate play support competency in the areas of curriculum oper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formation. However, national and public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higher play support competency than privat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kindergarten on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area of curriculum opera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independent kindergarten had higher play support competency th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Howeve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annexed kindergartens had higher play support competency 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independent kindergartens. In the future, we propse using this basic data in the pre-service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of teachers to strengthen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차이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특수교사 124명, 유아교사 115명의 총 239명이고, 연구 도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개발한 『유아특수교사․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은 교육과정 운영, 배움 지원, 기록과 평가, 전문성 함양, 관계 형성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유치원 설립 주체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유아특수교사는 교육과정 운영, 전문성 함양, 관계 형성의 영역과 전체적으로 국공립과 사립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차이가 없지만, 유아교사는 국공립 교사가 사립 교사보다 놀이지원 역량이 높았다. 셋째,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유치원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유아특수교사는 교육과정 운영 영역에서 단설유치원 교사가 병설유치원 교사보다 놀이지원 역량이 높지만, 유아교사는 교육과정 운영에서 병설유치원 교사가 단설유치원 교사보다 놀이지원 역량이 높았다. 향후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유치원에서 놀이지원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전·현직 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이해와 실천역량 비교

        김경란,황선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Pre-kindergarten Teachers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arison of Play-centered CurriculumUnderstanding and Practice CompetenciesKyungran Kim & Sunyoung Hw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inuously change and improve the field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preliminary and incumbent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competencies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A survey was conducted on 162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15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nderstanding play in the play-oriented curriculum, understanding of national infant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educational beliefs were higher than pre-child teachers, and pre-child teachers recognized understanding of infants, play environment support, interaction support, observation records and evaluation, community cooperation, and professionalism. With the play-oriented curriculum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being more emphasized by the revised Nuri curriculum, it is meaningful that the surve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capabilities can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strengthen the actual competencies of pre- and incumbent early childhood teachers. Key Words: Pre-kindergarten Teachers,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centered Curriculum, Understanding Competencies, Practice Competencies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이해와 실천역량 비교김 경 란*ㆍ황 선 영**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놀이중심교육과정 이해역량과 실천역량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정도를 조사하여 놀이중심교육과정의 바람직한 이해와 실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지속적인 현장변화 및 개선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 3, 4학년 162명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역량의 하위변인인 놀이에 대한 이해, 국가수준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교육신념 이해역량은 현직유아교사가 예비유아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천역량의 하위변인인 유아에 대한 이해, 놀이환경지원, 상호작용지원, 관찰기록 및 평가, 공동체 협력, 전문성 함양은 예비유아교사가 현직유아교사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누리과정의 개정으로 인하여 놀이중심 교육과정과 유아교사의 역량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역량 조사는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실제적인 역량강화를 위한 유아교육현장에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핵심어: 예비유아교사, 현직유아교사, 놀이중심교육과정, 이해역량, 실천역량 □ 접수일: 2022년 11월 27일, 수정일: 2022년 12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광주여자대학교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Kwangju Women’s Univ., Email: kimklan@kwu.ac.kr)** 교신저자, 전남과학대학교 아동복지재활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unnam Techno Univ., Email: child0916@cntu.ac.kr)

      • KCI등재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소진이 유아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

        박서현 ( Seohyun Park ),오재연 ( Jaeyeon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회복탄력성과 소진이 유아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사들이 자신의 교육적 역할을 완수하면서 유아들에게 양질의 보육 및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관련된 유효한 이론적, 교육적 지침과 기초 참고 자료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남·전북에 소재한 유아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유아교사 역량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반면, 소진과 유아교사 역량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소진이 유아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유아교사 역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소진은 유아교사 역량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제고하고, 유아교육의 전반적인 개선·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교육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reasonable way to fulfill their educational roles and provide quality childcare and education to childre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burnout on their competences, and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stablish effective theoretical and educational guidelines and basic reference materials related thereto. For this purpos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outh Jeolla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analyz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 resilience and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hile exhausted and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inadequate correlation. Next,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exhaustion on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theoretical and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comprehensively enhance th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ntribute to the overall improvement and progr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

        백영숙(Paik, Young Suk),오현숙(Oh, Hyu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수업역량을 매개로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와 K시의 유아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을 검사하기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의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종속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 매개변인인 수업역량 간에는 의미 있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 있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하위변인인 ‘놀이교수효능신념’ 및 ‘놀이교수결과기대’ 그리고 놀이교수효능감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도 의미 있는 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확인한 결과 매개변인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종속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 ‘놀이교수효능신념’ 및 ‘놀이교수결과기대’와 놀이교수효능감 전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가 놀이에 대한 올바른 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을 갖추고 놀이지원을 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2019 개정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유아교사 재교육 또는 연수지원을 위한 방법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its effect when ‘teaching competencies’ as a medium.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examine the play belief,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argeting 32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 and K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24.0. Result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the dependent variable,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he mediating variable, teaching competencies.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efficacy on play,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competencies wa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lso confirmed to hav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play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play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which are sub-variables of teaching efficacy on pla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above process, as for the mediating vari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was confirmed to be partially mediating for all of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dependent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play. Conclusion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that can support play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the right beliefs about play,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ing competencies, and at the same time, to seek a strategy for re-education or training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KCI등재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역량이 교사 전문성과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상옥,손은령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연구논총 Vol.44 No.2

        This study examined the degree of recogni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professionalism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To this end, a survey of 414 incumbent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nducted o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teacher professionalism,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 program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pac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ultimately, these findings provid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역량과 교사 전문성, 사회정서역량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역량이 교사 전문성,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직 유아교사 414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역량, 교사 전문성, 사회정서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자료는 SPSS 26 프로그램을 사용해 빈도, 백분율,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고 세계시민교육역량이 교사 전문성,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역량이 교사 전문성과 사회정서역량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 세계시민교육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궁극적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연희 ( Yeon Hee Kim ),신인숙 ( In Sook Shin ),최성열 ( Sung Yeol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정교사로 임용되기 직전 교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하지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이 교육신념, 전문적 자질,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교사역량을 갖춘 유야교사가 되기 위한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문헌고찰,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전문가 의견 조사를 거쳐 프로그램의 목표 및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을 구성하였다. 예비유아교사 대상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구시내에 소재한 B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30명을 실험집단, 30명을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3회, 총 12회기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시기별 점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과 시기를 독립변인으로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은 교육신념, 전문적 자질, 개인적 자질,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12회기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은 교사역할에 대한 자신감 및 구체적 기술을 다양한 활동과 반성적 과정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은 교육신념, 전문적 자질, 개인적 자질, 교사효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에게 필요한 현장적응 역량 강화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program`s effects on the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urpose,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assess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eaching beliefs, professional disposi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surveys on the perception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nd interviews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o develop the purpose, the content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assess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e effects of the programs were investigated by carrying out an experLn1ental study. A total of 3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sign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3 sessions per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teaching beliefs was examined by Moon`s (1993) scale, the personal and the professional disposition by Ki`s (2008) scale, and the leaching efficacy by Kim`s (2000)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 pre-test, a post-test, and an afterward-test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means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mparative groups using a repeated measures ANDV 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mposed of the teaching beliefs, the personal and the professional disposition, and the teaching efficacy. The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eveloped for 12 sessions to promote the teaching competence through reflective and hands-on activitie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teaching beliefs, personal and professional disposition and disposition and teaching efficacy improved by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by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o promote their practical knowledge applicable to their teaching profession.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역량 기반 유아수학교육 수업모형 개발

        이순복 동명대학교 창의·인성연구소 2023 교육과 문화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class model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procedure for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class model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based areas and elements were link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ree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n 15 exper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validity of CVR and data validity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validity.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consisted of the purpose, goals, weekly contents, and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subjects, and was designed for 15 weeks and 45 hours. In the contents of each week, a model was deriv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composition contents in connection with five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reasoning, creative convergence, communication, attitude, and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further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capabilitie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ystematized the specific competencies to be improv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