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콤팩트 도시 구축을 통한 지방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박혁서(Park, Hyeok-Seo) 한국주거환경학회 201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6 No.2

        This study analyzes urban regeneration of local c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mpact city in Japan The population of most local cities in Japan has been decreasing due to low fertility and aging, which has caused a so-called “hallowing out” phenomenon in the central area of cities as well as urban economic recession. In addition, administrative costs per resident and maintenance costs of the infrastructure have increased due to a population decline in urban outskirt areas, where such costs used to be externalized in the past when a city was undergoing develop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eclining local cities,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was revised in 2014. The implementation of this Act institutionalized urban regeneration of local c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mpact city. This study undertook a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ized compact city in Aomori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type multi-core compact city in Toyama. which were implemented in Japan.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of all, in the case of urban regeneration in local c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ized compact city, the central area of the city is activated by attracting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to the central area of the city. However, due to the population size in local cities and high land value of the central city area, it is difficult to attract private capital that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Secondly, in order to develop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in such cases, the local government often cooperate with the private sector in the form of the third sector, which can cause a large increase in the financial burden. Thirdly, it was concluded that reintegrating the population to the central area of the city is not much effective, unless the housing cost burden in the central city area and basis of the livelihood a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type multi-core compact city, distributes major facilities and population in several major local areas as well as the central city area, which can take into account the present circumstances of the local city without forcefully integrating existing urban structures into one central city area. Secondly, if a traffic network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city and major local cole area by utilizing public transportation, it will increase the floating population and vitalize central city areas as well as major multi-cores. Thirdly, it was concluded that network type multi-core compact cities can be developed faster than centralized compact cities because the former utilizes existing major multi-cores rather than integrating the existing facilities into the central city areas.

      • KCI등재

        일본의 콤팩트시티 추진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일본 도야마시(富山市)의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

        이점순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8 동북아경제연구 Vol.30 No.2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of Japan’s compact city policy and examined the case of Toyama Cit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ity of compact city. As a result, the following points became clear. First, in Toyama City, Japan, we have been aiming at a multi-networked city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central city area. As a result, we achieved some visible result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moving to the central city area, the maintenance effect of the land price, the reduction of the environmental load,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central city area. Second, the current problems of the compact city promotion in Toyama City include ① a rapid urbanization aging population in the central city area, ② an increase in residence inducing factors by households, ③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ores in central urban areas and an increase in vacant stores. In order to improve this, ① introduction of the elderly medical subsidy system and enhancement of nursing care services, ② establishment of housing promotion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ousehold, ③ support for new store opening in the city center, operation of a young entrepreneurial challenge shop, and the establishment of a vacant home bank.

      • KCI등재후보

        도시형 산업단지의 공간재생 컨텐츠전략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 디지털산업단지와 부산 사상공업지역을 중심으로 -

        엄길청(Eum, Kil Chung),정광태(Jung, Kwang Tae) 대한부동산학회 2009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7 No.1

        사상공업지역은 기본적으로 고집적의 연구기능을 갖는 지식산업단지로 육성하면서 주변 대학과의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창업이 활발한 지역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자면 사상공업지역내에 많은 대학들의 연구기능이 유치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이를 지원하는 정부나 산업단체의 지원기관들이 기본적으로 자리를 잡아야 한다고 본다. 또한, 다국적 상황의 많은 인적 교류가 가능한 생활 문화기반과 법률적 환경, 여타 글로벌도시와의 교류가 원활한 정보화기반을 가진 도시기반이 마련된 공간이길 바란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과감한 권한의 위임을 부산시에 해주어 국제적으로 자유로운 도시정책의 수립이 가능한 지역으로 조치해 주어야 한다. 부산은 오랜 세월동안 기업창업이 부진했던 지역으로 이를 활성화한 중심축이 필요한데 사상 공업지역이 그런 역할을 하기가 적합한 지역이라고 본다. 특히 해외 우수인력이 이곳으로 옮겨와 창업활동을 할 정도의 역동성과 개방성을 갖도록 육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여건은 생활공간의 지원이 필수적이므로, 지역 내에서 원스톱으로 글로벌 도시 수준의 생활과 생업이 가능하도록 직장과 주거의 결합은 물론, 상업유통 기능과 가족부양기능, 문화생활 기능이 가능한 압축도시(Compact City)를 건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간 활용의 개념을 선진화 하여 종래의 용도지역이나 용적률 개념을 뛰어넘어 획기적이고 국제적인 명품수 준의 압축도시를 만들어야 한다. 당연히 이러한 기반을 가진 도시는 국제적인 관광명소가 될 수 있다. 부산은 자연이 주는 관광자원도 많은 도시지만, 이제는 도시 문명이 관광자원이란 점에서 도시를 상품으로 만드는 관점의 공간연출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사상공업지역의 재생전략은 기존의 부산시 구상을 살리되 다음의 다섯 가지를 중심개념으로 정해서 보다 전략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1. 지식기반의 산학연클러스터, 2. 다국적기반의 국제화 네트워크, 3. 미래산업의 창업기지화, 4. 직장, 주택, 상업, 문화기반이 결합되고 통합된 신생활 거점, 5. 압축도시의 신관광지화가 그것이다. In case of Sasang Manufacturing Area, it is necessary to foster this area basically as knowledge industrial complex which has highly integrated research function, construct clusters with surrounding universities, and make this area for active establishment. Therefore basically government and support agencies in industrial organization must take their own place to enable Sasang Manufacturing Area to attract research function from many universities. Also Sasang Manufacturing Area must prepare the city based on life and culture for multinational personal exchange, legal environment, and information-orientation for smooth interchange with other global cities. According to this, central government must resolutely entrust authority with Busan city, and manage Busan to be an area which can establish international and free city plan. Busan has been very poor area in starting an enterprise for long time, so it needs the central axis to revitalize the commencement of an enterprise, and Sansang Manufacturing Area is the area which is appropriate to play such a rol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make this area have the dynamic and openness as much as foreign quality talent comes to this area and start an enterprise. For this, life space must be essentially supported, so the compact city, which people can live and work at the level of global city within this area by one-stop service, combine work place and residence, and have the function of commercial distribution, family support, and cultural life, must be constructed. Therefore epoch-making and international compact city on high level must be constructed by developing the concept of space application, and jumping over the concept of previous service area or floor space index. Surely, any city which has this basis can be an international tourist place. There are a lot of natural tourist attractions in Busan, but now urban civilization is one of tourist attrac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duce space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a city as product. Accordingly, strategy to revive Sasang Manufacturing Area must be carried out with following 5 main concepts, and with making the most use of the previous idea of Busan city at the same time. Namely, those concepts are as follows: 1. Knowledge based industry-academic research cluster 2. Multi-nation based globalization network 3. Base for the establishment of future industry 4. Base for new life which the basis of work place, house, commerce, and culture is combined and integrated with. 5. Compact city as New tourist spot

      • KCI등재

        지방중소도시의 도시규모 적정화방안 연구

        윤병훈,이삼수,이남현,권영환,박미규 국토연구원 2023 국토연구 Vol.119 No.-

        지방중소도시는 인구감소 및 산업 유출, 그리고 빈집증가 등 도시쇠퇴를 넘어 지역소멸이라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하지만 지방중소도시의 인구감소를 고려하지 않고 과도한 계획인구를 근거로 신규개발용지 확보를 위한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있어, 계획의 실효성 측면에서 난개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구감소시대에 맞는 도시관리를 위해서지방중소도시의 특성과 쇠퇴원인을 분석하고, 이를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성장 중심의 계획체계에서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도시의 규모 적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감소시대에 맞게 중앙정부에서추진하고 있는 콤팩트-네트워크 도시를 실현하기 위한 공간계획으로, 도시규모적정화계획의 방향성을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 전북 익산시, 경북 영주시를 대상으로 지방중소도시 도시규모적정화계획 구역 설정방법을 제시하고, 도시규모적정화계획의 실현방안을 도출하였다. 중앙정부에서추진하는 생활권계획 수립 시 지방중소도시는 도시규모적정화계획구역과 연계하여 설정하고, 유도구역별 기능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적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facing a serious situation of urban decline and regional extinction due to population decline, industrial outflow, and increased vaca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e causes of their decline in order to manage cities with respect to declining population, and to solve such challenge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 size of cities to overcome the crisis of population decline and rural decline in the existing growth-oriented planning system.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 city size optimization plan, which is a spatial plan to realize compact-network cites that are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o respond to demographic decline. For this purpose, the study presents a zoning method city size optimization plan for local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Asan, Chungcheongnam-do, Iksan, Jeollabuk-do, and Yeongju, Gyeongbuk-do, and derives the realization of a city size optimization plan.

      • KCI등재

        지방소멸과 저성장 시대의 국토공간전략

        임보영(Im Bo Yeong),이경수(Lee Kyoung Soo),마강래(Ma Kang Rae)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2

        일본에서는 ‘대도시권화’와 ‘지방소멸’이라는 변화에 대응한 공간전략의 마련에 고심해왔다. 2000년대 초반부터는 인구 감소, 장기불황, 전통산업 쇠퇴에 관한 위기의식이 더욱 고조되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국토공간전략을 준비해왔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인구 감소, 저성장, 산업구조 변화 등과 같은 대내외적 여건 변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저성장, 저출산·고령화, 산업구조 변화 등의 메가트렌드는 우리 국토공간의 유례없는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국토, 도시 및 지역정책에 관한 노력을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국토 및 도시의 공간구조 재편 논의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는 일본이 199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노력들을 고찰하며, 이러한 노력이 ‘공간전략’과 긴밀히 맞물려 있음을 고찰했다. 특히, 일본의 대도시권, 중소도시, 농산어촌의 공간 정책이 ‘압축+연계 전략’속에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 지를 검토했다. 이후, 일본의 국토공간전략 수립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토공간전략 구상에 관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큰 방향을 정리했다. 첫째로, ‘성장하는 대도시권’과 ‘축소·쇠퇴하는 중소도시’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공간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둘째, 압축+연계 공간전략을 기반으로 한 국토공간전략은 국가 및 지역 경제정책과의 정합성을 높이도록 구상되어야 한다. 이상의 국토공간전략에 관한 논의는 저성장, 저출산·고령화라는 거대한 변화 속에서 도시 간 상생발전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In Japan, there has been a huge migration of young people from regional areas to three major metropolitan areas of Tokyo, Osaka and Nagoya from the 1950’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regional areas struggling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public or private services due to insufficient population density. A gradual increase in regional polarization has been reinforced by decreasing job opportunities in non-metropolitan regions. Japanese government introduced the spatial concept of “compact and networks” by developing ‘Grand Design of National Spatial Development towards 2050’ which aims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Japan faces including an unprecedented population decreasing society, as well as economic depression. South Korea have the similar problems as the Japan has undergone in the several decad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ich discussion of spatial development strategies by reviewing Japanese government’s recent efforts to reshape spatial structures. This paper suggests that firstly, spatial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reinforce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growing metropolitan areas and adjacent areas in decline. Secondly,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need to be tightly linked with ‘compact and networks’ spatial strategies in order to not only develop the local economies, but als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entire nation.

      • KCI등재

        지방도시에서의 다극네트워크형 콤팩트시티의 구상

        심재승(Shim, Jae Seu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3

        본 논문은 사회경제와 인구동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지방도시발전의 한 형태인 콤팩트시티를 다극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한다. 200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 일부 지방에서 인구감소가 이미 시작되고, 2030년을 정점으로 총인구가 감소국면으로 진입한 이후 가장 빠르게 인구감소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인구감소를 경험하고 있는 일본은 국가차원에서 콤팩트화에 의한 도시형태의 (재)구축을 통해 인구감소시대에 대응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선행적으로 콤팩트시티화를 통한 미래형 도시구축을 시도하여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의 가능성을 탐색해 오고 있는 일본의 많은 지방도시들 중에서 특히, 다극네트워크형 콤팩트화를 통한 미래지향적 도시형태의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일본의 우츠노미야(宇都宮市)시의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의 인구감소시대에 대응하는 미래형 도시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특히, 본고에서는“성장에서 감소”라는 현실적 인식의 전환을 중심에 두고 중앙정부에 의한 법적 토대의 마련, 재정지원 및 미래지향적 도시구축을 위한 정책실행의 유도책, 중앙-지방의 협력적 관계의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This article focuses on sustainable city development using the concept of compact city, which is a type of city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conomy and demographic trans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total population in Korea would decrease, begging from 2030, while in some parts of the local areas, population is on the decrease, but it is much speedier than any other countries. In contrast, Japan that has the similar problem of population prior to Korea, has been finding its own way to tackle the problem. We analyse multi-networked compact city policy made by Utsunomiya city of Japan which is considered as an encouragement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overcome city problems such as urban emptiness and sprawl. Some lessons will be suggested for cities in Korea which will face similar problems sooner or later from the case study. In particular, centering on the change of thought “from growth to shrinkage”, the establishment of the legal groundwork by the central government, incentives for future-oriented urban planning and the necessity of partnership between the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s are emphasized.

      • KCI등재

        방재적 계획요인을 반영한 압축도시 핵심지표의 중요도 분석

        정광섭,박규용,이주형,Jeong,Gwang-Seop,Park,Gyu-Yong,Lee,Joo-Hyung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3

        도시인구와 에너지 기후 환경의 변화, 경제적 위기 등으로 인하여 도시계획과 정책은 새로운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압축도시는 지속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바람직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바로 방재적 계획요인이 고려되지 못한 점이다. 시의적으로 도시방재계획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자연재해와 도시안전 등의 방재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역시 반영되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재적 측면의 계획요인들을 반영하여 압축도시 지표를 개발하고 그 중요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30개 압축도시 지표 중 방재관련 핵심 5개 지표의 중요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범죄예방환경설계(6위), 건설안전관리(12위), 전염병 예방 및 의료보건서비스(16), 교통안전관리(18), 화재 및 자연재해 예방(20)순으로 산정되었으며, 특히 범죄예방환경설계와 건설안전관리 지표는 각각 상위 20%와 40%내에 포함되었다. It is necessary to concern new city planning and related policy changes due to urban population, economic crisis and changes in the weather and the circumstance. So, Compact City emerges major issue being useful alternative to carry out possible sustainability within a new paradigm of the urban planning. However, it has one of difficulties to apply them in metropolitan cities like Seoul because it is not considering Preventive Planning Factors. As importance of urban preventive plan becomes more crucial, it has to be concerned reflecting evaluation indicators of preventive characters such as urban safety and natural disasters.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evaluate their priority comparatively using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after it established compact city indicators reflecting the planning factors in terms of prev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ere 5 essential indicators in priority among total 30 compact city indicators following;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Sixth), Safety in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works (twelfth), Epidemic prevention and medical health services (sixteenth), Traffic safety management (eighteenth), Fire and natural disaster prevention (twentieth). Especially some of indicators such as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Safety in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works were included in each top 20 and 40 percen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일본의 축소도시 대응정책의 도시계획적 함의 - 입지적정화계획을 중심으로 -

        윤장식,이삼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9 國土計劃 Vol.5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관점을 중심으로 일본의 축소도시에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실제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에서 실시되고 있는 입지적정화계획 관련정책의 내용 및 특징을 파악하여, 국내의 축소도시 관련 정책과 도시계획과의 연계등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