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文科 敎育課程의 領域에 대한 問題 檢討

        안재철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0 No.-

        이 논문은 다른 언어 교과(국어ㆍ영어)들과 걸맞은, 한문교과의 영역 구분과 내용체계를 만들어 보기 위하여 작성하게 되었다.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었다. Ⅰ장에서는 한문교과의 영역체계의 문제점과 연구 동기, Ⅱ장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의 의미와 영역, Ⅲ장에서는 한문과 교육과정 영역과 다른 교과 교육과정 영역(국어, 영어)에 대한 비교, Ⅳ장에서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영역과 그 내용, Ⅴ장에서는 위에서 논의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안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결론으로 삼았다. 이 논문에서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시안을 두 가지 만들어 보았다. <1안> :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 '내용체계 및 내용'을 원용하여, 한문과의 '내용'을 '내용체계'와 '학년별 내용'으로 나누었다. '내용체계'의 대영역은 다시 '읽기' '한문지식' '문학(역사학ㆍ철학)'으로 나누었다. '읽기'는 다시 중영역으로 '읽기의 본질' '읽기의 원리' '읽기의 태도' '읽기의 실제' 등으로 나누었고, '한문지식'은 다시 중영역으로 '한문의 본질' '한문의 이해와 탐구' '한문에 대한 태도' 등으로 나누었으며, '문학(역사학ㆍ철학)'은 다시 중영역으로 '문학의 본질' '문학의 수용' '문학에 대한 태도' '문학 수용의 실제'등으로 나누었다. 각 학년별 내용 즉, 중1ㆍ2ㆍ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의 내용도 그 내용요소들을 구성하여 보았다. 또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도 학년별로 융통성 있게 교수ㆍ학습할 수 있도록, 중학교 1학년은 210∼300자, 2학년은 420∼600자, 3학년은 630∼900자, 고등학교는 630∼900자로 배분하여 익히도록 하였다. <2안> : 한문과의 내용 및 내용체계를 묶어서 대영역을, '읽기(기능)'와 '한문고전'으로 나누었다. '읽기'영역은 다시 중영역으로 '한자ㆍ한자어'와 '한문'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또 다시 '한자ㆍ한자어'와 '한문'영역을 소영역으로 나누었다. 즉, '한자ㆍ한자어'영역은 소영역으로 '한자ㆍ한자어의 본질' '한자ㆍ한자어의 원리' '한자ㆍ한자어의 태도' '한자ㆍ한자어의 실제' 등으로 나누었으며, '한문영역'은 소영역으로 '한문의 본질' '한문의 원리' '한문의 태도' '한문의 실제'등으로 나누었다. '한문고전'영역은 중영역으로 다시 '문학문' '역사문' '철학문' 등으로 나누었으며, 또 다시 '문학문' '역사문' '철학문'을 소영역으로 나누었다. 즉, '문학문'은 소영역으로 '문학문의 본질' '문학문의 원리' '문학문의 태도' '문학문의 실제' 등으로 나누었으며, '역사문'은 소영역으로 '역사문의 본질' '역사문의 원리' '역사문의 태도' '역사문의 실제'등으로 나누었고, '철학문'은 소영역으로 '철학문의 본질' '철학문의 원리' '철학문의 태도' '철학문의 실제'등으로 나누었다. 2안에서는 각 학년별 내용은 생략하였다. Under current 7^th national currimulum, Chinese writing course has changed in contents without alteration in category comparing to the 5^th. There was problems continually in Chinese writing course caused by different structure in division of category when it contrasted with other courses such as Korean, English language. Therefore this paper aimed to make division of category and system of contents of Chinese writing course's own like the other language courses. The contents of this paper is as followed. Chapter Ⅰ described motive of this research and problems on Chinese writing course's categorical system. Chapter Ⅱ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and its category. Chapter Ⅲ compared categories of Chinese writing course with other courses' - KoreanㆍEnglish language. Following Chapter Ⅳ proposed more desirable contents and categories in Chinese writing course. Finally, Chapter Ⅴ concluded the research with the matters suggested above. Having comparable categories with other courses there are some complements and matters which are limited in Chinese writing course. First, in present Chinese writing course, large category is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ㆍChinese writing'. It is a classification by level at teaching & learning, so it needs to be replaced. Second, 'readings'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from categories of Korean language course is adoptable in Chinese writing course with complements and supplements. Third, rank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ㆍChinese writing' should not be concerned as absolute classification. It also needs to get flexibility of admitting rank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Fourth, for efficient teaching & learning, educational basic 1800 Chinese characters needs to be changed to flexible numeral range like English. In this paper, 2 tentative plans were suggested for more desirable curriculum of Chinese writing course added complements concerned above. <Plan 1> Adopting 'category of curriculum', 'contents and contents system' from Korean language course, 'contents' of Chinese writing course was divided into 'system of contents' and 'contents by grade'. As large category 'system of contents' was classified into 'reading' 'knowledge of Chinese writing literature(historical study, philosophy)' and others. And then these mid categories also composed of small ones. 'readings' consisted of 'essence of reading' 'principle of reading' 'attitude of reading' 'practice of reading' and others. 'knowledge of Chinese writing' consisted of 'essence of Chinese writing' 'understanding and study of Chinese writing' 'attitude for Chinese writing' and others. 'literature(historical study, philosophy)' consisted of 'essence of literature' 'acceptance of literature' 'attitude for literature' 'practice of acceptance of literature' and others. Contents by grade were composed of parts of contents i.e. 1st,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in high school. Also, for flexible teaching & learning, educational basic 1800 Chinese characters were divided by grade that is, 200∼300 characters for 1st, 450∼600 for 2nd, 700∼900 for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650∼900 for high school students. <Plan 2> Contents and system of contents in Chinese writing course divided into 'reading(skill)' and 'classic Chinese writing' as the large category. 'readings' was classified into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There were subordinate categories also.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category composed of 'essence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attitude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practices of Chinese charactersㆍwords of Chinese characters' and so on. The other mid category, 'Chinese writing' composed of 'essence of Chinese writing' 'principle of Chinese writing' 'attitude of Chinese writing' 'practice of Chinese writing' and others as small categories. One of the large categories, 'classic Chinese writing' classified to the mid category as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hilosophy of Chinese writing'. And these categories divided to the small ones again. That is,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consisted of 'essence of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principle of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attitude of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practices of literature of Chinese writing' and others.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consisted of 'essenc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rincipl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attitud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ractic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and others as small categories. 'philosophy of Chinese writing' consisted of 'essenc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rincipl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attitud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practice of historical study of Chinese writing' and others. In this plans, contents by each grade were omitted.

      • KCI등재

        茶山 丁若鏞 字學에 대한 연구 - 茶山 字學 연구의 범위 및 經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양원석(Yang, Won-seok)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4 No.-

        본 논문은 茶山 丁若鏞(1762~1836)의 字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산 자학 연구의 주요 내용이 무엇인지그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 그리고 다산 자학의 여러 내용 중에서 특히 字學과 經學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그의 인식과 사례를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다산 자학에 대한 총체적 연구를 위해서는 그의 문집 與猶堂全書 에 흩어져 수록되어 있는 자학 관련 자료를 집성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아울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다산 자학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산 자학의 연구 범위와 그 내용으로, ‘자학과 소학에 대한 인식’, ‘자학 이론에 대한 견해’, ‘六書에 대한 견해’, ‘문자 敎育觀과 문자 교육의 방법론’, 그리고 ‘字學과 經學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 ‘자학의 방법론을 활용한 경학 연구’, ‘ 說文解字 등 字書 를 활용한 경학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자학과 경학의 관련성에 대한 다산의 견해를 정리해 보았다. 즉다산은 ‘자학은 경학을 위한 도구적 방법론’이라는 일반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산이 자학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경학 연구를 진행하였던 구체적인 사례와 그 양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原義 에 근거한 훈고를 활용하는 방법’, ‘독창적인 문자 풀이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통해 經傳 字句에 대한 訓詁를 진행하였던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Chinese characters studies of Da-san Jeong yak-yong(1762~1836). To speak concretely, this paper was focused on establishing the scope of Da-san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examining his recognition and cases of mutual relation between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Chinese classics. For overall research of Da-san Chinese characters studies, first of all, it is essential to collect material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studies scattered in his collection of works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 At the same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determine the scope of Da-san Chinese characters studies in order to propose of the direction of the study. Accordingly, this paper, as research scope and contents of Da-san Chinese characters studies, proposed ‘Recognition of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Xiao-xue(小學)’, View of theories of Chinese characters studies , and studies utilizing Chinese Dictionary(字書) such as ‘Recognition of relation between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Chinese classics’, ‘Study of Chinese classics utilizing methodologies of Chinese characters studies’, Shuo-wen-jie-zi(說文解字) etc.Continuously, Da-san s view of relation bwtween Chinese characters studies and Chinese classics was summarized.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Da-san had ordinary viewpoints that Chinese characters studies are an instrumental methodology for Chinese classics. Also, the author reviewed the concrete cases and aspects in which Da-san made researches of Chinese classics utilizing a methodology of Chinese characters studies.

      • KCI등재

        國語能力 伸張과 漢字 學習과의 相關 關係 - <국어기본법> 제3조 5항과 관련하여 -

        이명학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law 2005, set Chinese Character(Hanja, 漢字) include on other language Character, distinguish Korea character(Hangul). We already know Chinese Character is have a long using history, and Whether we like it or not already become critical area in the Korea language. In add, a Words which compound with Chinese Character is reach 70% in total Korean words. Though for all this important, except Chinese character in the law is disregard korean language using History and real korean language situation in now. As we Know the ability using Korean language is meaning total expression ability by korean, include a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t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law. but, using Korean, beside using and study Chinese character, only using Korea Character(Hangul), we can not exact express out our thinking and feeling, also, can not expect good result which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Korean Language Learning activity. I think the Keyword to effective and success is set on the people How many exactly know the words(compound Chinese character) meaning, using in language life. That is good reason why we study Chinese character in study Korean. This study for prove above thinking, make a experiment that Korean using ability how can improve between only study by Korea Character or study by Chinese character on primary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experiment, I can go into detailed criticism of the people who say for improve korean language using ability is only study and use Korea Character, no need study Chinese character. Also, can find process a student about some of not fully understand or unknown words, study and correctly using by study Chinese Character. 2005년 제정된 <국어기본법>은 한글의 대척점에 漢字와 다른 外國文字를 같이 놓아 漢字를 外國文字의 위상에 준하도록 규정 하였다. 漢字는 이미 오래 전에 들어와 우리가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엄연히 우리 言語 體系의 일부가 되었다. 당연하고도 자연스럽게 漢字로 된 어휘가 우리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漢字를 국어의 범주에서 배척한 것은 歷史的인 情況과 現實的인 狀況을 度外視한 것이다. 특히 <국어기본법>에서 ‘국어 능력’은 ‘한국어(우리 말)’로 할 수 있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言語 領域 전반에 관한 능력을 말한다. 그러나 漢字를 排除하고 오직 한글만을 사용하여 ‘생각이나 느낌 등을 正確하게 表現하고 理解’하는 등 전반적인 국어 능력을 伸張시킬 수는 없다. 語文敎育의 관건은 漢字 敎育을 통한 漢字語에 대한 理解와 熟知에 달려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고는 <국어기본법> 제3조 5항에서 강조한 국어능력이 한글만으로 伸張될 수 있는지, 아니면 漢字 학습을 통해 국어능력이 伸張될 수 있는지 初等學校와 高等學校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국어능력이 한글만으로 충분히 伸張될 수 있어 漢字 학습이 不必要하다는 주장에 대해 그 문제점을 비판하고 아울러 학생들이 漢字 학습을 통해 막연하게 알고 있거나, 전혀 모르고 있던 漢字語의 의미를 어떻게 정확하게 파악하는지 그 과정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 硏究의 成果와 方向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ㆍ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

      • KCI등재

        한문교과서 연구사(硏究史) 검토

        이동재 ( Lee Dong-ja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7 No.-

        한문교과서의 연구 목적은 더 좋은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것임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한문교과서는 1972년 한문교과가 교육과정에서 독립 교과로 편성되기 이전부터 교과서가 간행되었다. 한문교과서는 제3차 교육과정기 이후 교육과정기별로 편차는 있었지만 대략 중학교는 20여종, 고등학교는 10여종이 넘는 교과서가 간행되어 일선 학교 한문교육의 핵심 교재로 사용되어 왔다. 교과서 분석의 준거는 개인의 교육적 신념이나 취향이 아닌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즉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한문과의 성격, 교육목표, 내용이나 제재,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을 반영하고, 여기에 학생들로 하여금 쉽고 재미있게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가에 있다. 한문교과서의 연구는 처음에는 교과서의 구성 실태와 내용의 수용 양상의 분석, 오류 분석에서 출발하였으나 교육과정이 거듭되면서 교육과정과 연계한 분석, 내용수준, 위계별 학습 요소, 製冊 등에 대한 여러 대안이 제시되는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한문교과서의 연구는 한문 문법, 한시 등 특정 분야와 四書 등 특정 내용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고, 학습목표의 진술과 교과 내용, 평가에 대한 연계 등에 관한 연구, 교과서의 구성, 조직, 삽화 등 제책에 관한 연구 성과가 매우 부족하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도 심화되어야 한다. 한문교과서의 가장 최우선의 과제는 학생들로 하여금 한문을 왜 배워야하는지에 답할 수 있는 교과서의 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한문교과서를 만들 때 가장 고려하여야 할 것은 교과서의 집필자도 편집자도 아니고, 현장의 한문교사도 아니며 한문교과서를 배우는 학생들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즉 교과서의 단원 설정 취지는 물론 내용과 제재에 대한 선택, 성취기준에 담겨 있는 핵심 내용 및 개념이 학생들이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앞으로 연구과제는 한자, 한자 어휘, 산문, 한시 등 각 분야별로 연구사를 앞에서 제시한 기준에 의해 다시 검토하여 보고, 연구의 기준이 타당한가를 평가해보는 것은 추후 과제로 남기며, 여러 동학들의 동참을 기대해 본다. Nobody can deny that we study Chinese characters textbook to make a better textbook. Chinese characters textbook was published even before Chinese character subject was designated as independent subject in the curriculum in 1972.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curriculum after the third curriculum 20 plus kinds of textbooks in middle school and 10 plus kinds of textbooks in high school were published and used as core textbooks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field.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must be the curriculum rather than personal educational faith or taste. In other words, the standards must be if i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that the curriculum pursues, educational goals, contents, subjec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if students can participate in education easily and joyfully. Although the study o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started from analysis of textbook composition, contents accommodation and errors, it developed to curriculum related analysis, contents level, hierarchical study elements and bookbinding alternatives with curriculums changed. Studies o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have focused on specific field such as classical Chinese grammar and Chinese poems and specific contents such as history books. As studies on statement of learning goal, connection between subject contents and evaluation, composition of textbook, bookbinding such as organization and illustrations have not been actively made, studies in these fields should be developed. The first priority i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should be placed on the answer of the question why students need to learn Chinese characters. We must remember that the most important people that we should consider when we make Chinese characters textbook are neither writers or editors nor Chinese characters teachers in the field but students who learn Chinese characters using the textbook. In other words, students should be able to access to selected contents and subjects and core content and concept in achievement standard as well as object of the unit practically. In further studies, it is expected to review the study history i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s, Sino vocabularies, verses and poem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standards and evaluated if study standards are valid. Participation of fellow scholars is also expected.

      • KCI등재

        韩语汉字词与汉语词汇词义的对比研究

        LU JING HUA,정성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6

        Although Chinese and Korean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families,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in the East Asian Chinese cultural circle, the development of language is deeply influenced by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vocabulary system, we know that Korean vocabulary is divided into three types: intrinsic words,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words, while 70% of the total Korean vocabulary are Chinese character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meaning of comparison between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Furthermore, we will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Finally, the problems in the teaching of Chinese vocabulary to Korean students will be summarized. This paper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The first section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vocabulary. It mainly expound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vocabulary and Korean Chinese Characters. In the second section, combining with the practical experience of the author's teaching work, the application and teaching methods of Chinese teaching to Korean students will be discussed through the methods of classification and comparison. The third section i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Problems existing in the teaching of Korean Chinese words will be summarized. We hope to promote the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provide practical reference and some help for Chinese learners in Korean. Moreover, for the deep study, we will prepare the paper about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focusing on the grammar. We hope to promote the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provide some help for Chinese learners in Korean.

      • KCI등재후보

        한자 습득이 중국어 읽기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대학교 1학년 중국어 독해 초급과정을 중심으로-

        이계화,김세리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08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17

        In studying the Chinese language,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learn accurately Chinese characters that symbolize the Chinese language. If the major concern of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is to maximize the Chinese language capability of learners within the shortest period,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a basic and difficult point of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Reading is a linguistic function which can be approached most efficiently. This is because the learners are already seeing and reading the characters on opening books. Therefore, reading is an important linguistic function to be trained from the beginning stage of the Chinese language study. In this paper, through a survey of questionnaire, we propose that securing the ability of reading the Chinese language and the proficiency in that language is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acquisi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adopting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to the traditional reading cla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hievement level of learner’s performance in reading. Finally, admitting the limit of this study, more scrutinized analyses of the effects of acquisi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the vocabulary, grammatical structures, sentence comprehension, reading speed, etc. are suggested, as well as a study on how the acquisi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may influence other linguistic functions when the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is applied to the classes for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of the Chinese language.

      • KCI등재

        일본어 2자 한자어 형용동사와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2자 한자어+하다’, ‘2자 한자어+이다’의 대조 연구

        박동호,다케치 유키에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2 언어와 문화 Vol.8 No.2

        As a lots of words of Chinese origin in both Korean and Japanese are used in the same meaning, Japanese Korean learners have a strong tendency to misuse Sino-Korean words confusing them with Sino-Japanese words. Especially in using Korean predicates derived from Sino-Korean words of 2 Chinese characters, Japanese Korean learners have much possibility to make errors. In this paper, we tried to make a contrastive study between Japanese adjective-verbs of 2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2 Chinese characters+hada’, ‘2 Chinese characters+ida’. Most of Sino-Japanese words of 2 Chinese characters composing Japanese adjective-verbs could form Korean predicate in which ‘hada’ or ‘ida’ is attached to 2 Chinese character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possibl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Japanese adjective-verbs of 2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2 Chinese characters+hada’, ‘2 Chinese characters+ida’. We constructed the Korean list of 2 Chinese characters for each relation, too. This kind of paper, in providing valuable basic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ld be considered to make a contribution for reducing Japanese Korean learners' errors.

      • KCI등재

        敎育用 漢字의 筆順과 劃數의 諸 問題 檢討

        김영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한문교육논집 Vol.41 No.-

        This study examine a various problem both the stroke order and the number of strokes of a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 In a present Chinese character and curriculum, Chinese subject coach to study 1,800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One of the its top priorities is knowing three elements of Chinese character. Thus, it has additionally an stroke order and the number of total stroke because of basic in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 However, these are important whether learner have to learn or not. As everyone knows, do and stroke meet, intersect or join to become letter. Due to the nature of Chinese characters composed of dots and strokes, sometimes errors occur with adding or putting stroke during Chinese characters writing. Although the stroke order is considered very significant thing in this case, letter itself have a problem. In other words, Chinese characters have ambiguous letter whether one or two stroke. It is problem that wrong stroke order followed by wrong total strokes. Student have actually burden most of writing area. To cause motivation and is eager to study in beginner, it need to resolutely reduce the number of strokes and avoid overemphasis on stroke order. Moreover,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 writing suggest general principles but it don't degrade motivation of study through overemphasis. In conclusion, learners will relieve studying burdens of stroke and order as well as make desire inspired studying through unification of similar in shape of stroke in Chinese characters. 본 논문은 敎育用 漢字의 筆順과 劃數의 여러 문제에 대해 檢討 硏究한 것이다. 현행 漢文科 敎育課程에서 漢文敎科는 敎育用 漢字 1,800자의 漢字를 학습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한자를 학습함에 있어서 가장 우선시되는 것은 漢字의 3요소를 바로 알고 학습하는 것이다. 여기에 한자를 쓰는 방법과 관련해서 筆順과 總劃數의 요소를 더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筆順과 總劃數는 한자 학습 중 한자쓰기 영역에 있어서 중요한 기본영역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편으로 筆順과 總劃數가 한자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반드시 꼭 알아야 할 만큼 중요한 문제인가 하는 점이다. 주지하다시피 한자는 점과 획이 다양하게 만나거나 교차 또는 합쳐져서 하나의 글자를 이루어 간다. 점과 획으로 이루어진 한자의 특성상 획이 애매한 한자의 경우 한자를 쓰는 과정에서 잘못 쓰게 되면 글자의 획을 추가하거나 빠뜨리는 일이 간혹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筆順은 한자쓰기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경우 한자 자체에 문제가 있는 글자인 경우가 많다. 즉 글자 속의 획을 한 획으로 보아야 할지, 아님 두 획으로 보아야할지 다소 애매모호한 한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한자들의 경우 筆順을 틀리게 쓰다 보면 자연히 總劃數까지도 틀리게 되는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이처럼 한자 학습에 있어 학습자들이 실질적으로 부담을 갖는 부분은 역시 한자쓰기 영역일 것이다. 漢字를 처음 배우고자 입문하는 학습자들에게 漢字學習의 動機誘發과 學習意慾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 획으로 써도 될 획은 과감하게 획수를 줄일 필요가 있으며 필순 또한 지나친 강조를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漢字 가운데 획의 모양이 비슷한 한자들의 경우 획을 통일하여 학습자들의 劃과 筆順에 대한 학습 부담을 경감시켜주면 漢字 學習에 대한 意慾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 · 중 동형한자어 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 - 표준국어대사전 과 중한사전(中韓辭典)의 검토를 중심으로 -

        한지현 ( Han Ji-hyeon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3 No.-

        이 글은 한·중 동형한자어 대조 연구를 진행하는 가운데 발견한 ≪표준국어대사전≫과 ≪中韓辭典≫이 지니고 있는 학습 자료로서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를 통해 앞으로 진행될 한·중 동형한자어 대조 연구 방법과 사전 및 학습 자료 구축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대조 연구는 2010년 이후 중국어권 학습자에 의해 급증하고 있는데 연구 방법과 연구 결과 제시에 있어서 대동소이한 문제를 보이고 있다. 대조 자료 선정에 있어 한국어 사전과 중국어 사전으로 국한되어 자료의 범위가 협소하고, 연구의 결과를 제시함에 있어서는 나열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그 경계를 선명하게 보여주지 않고 있다. 연구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中中사전≫, ≪韓韓사전≫, ≪中韓사전≫에 ≪中英사전≫과 ≪中日사전≫을 더해 대조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 진행 과정에서 ≪표준국어대사전≫과 ≪中韓辭典≫이 지니고 있는 학습 자료로서의 문제점들을 발견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제시된 의미의 공시성과 의미를 제시하는 방법에 있어 5가지의 문제를 보이고 있고, ≪中韓辭典≫은 학습 자료로서 부적절한 6가지의 문제 지점이 발견되었다. 이렇게 드러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한·중 동형한자어를 대상으로 하는 학습 자료나 사전 연구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 여섯 가지를 얻었다. 근 60년 동안 양적·질적 성장을 거듭한 한국어 교육은 이제 한국어를 한국어 방식으로 내놓는 것에서 학습자의 특성을 활용하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도약의 과정에서 어휘 학습의 도구는 보다 정밀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problems in ≪표준국어대사전≫ and ≪中韓 辭典≫ identified while comparing same-shape Chinese characters contained therein, to learn from those problems how to compare same-shape Chinese characters used in Korea and China and to create learning materials. The number of researchers from Chinese-speaking countries who compare Chinese characters used in Korean and Chinese has rapidly grown since 2010, and their study methods and results show substantially the same problems-they have limited sources of data to be compared in Korean and Chinese dictionaries (which is too narrow); and failed to clearly how a boundary by simply listing their findings. In this study, same-shape Chinese characters were compared by mainly referring to a Chinese-English dictionary and a Chinese-Japanese dictionary, in addition to a Chinese-Chinese dictionary, a Korean-Korean Dictionary and a Chinese-Korean dictionary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 method of study. In the course of study, problems with ≪표준국어대사전≫ and ≪中韓辭典)≫ were identified. There were 5 problems in ≪표준국어대사전≫ related to synchronism of suggested meaning and the method used to suggest meanings. ≪中韓辭典≫ had 6 parts which were inappropriate as learning materials. From these problems, 6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to the study of learning material or dictionaries related to same-shape Chinese characters used in Korea and China.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chieved a considerable amount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in the last 60 years and is now entering a stag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re considered, rather than presenting Korean language simply in a Korean language style. In the course of this leap forward, vocabulary study tools should be more pre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