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환경협력 전략 연구

        추장민,명수정,김춘이 한국환경연구원 2020 수시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연구의 배경 □ 2020년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해 환경과 보건 및 경제 위기 대두 ㅇ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생태위기-경제위기-기후위기’의 3각 위기 초래 ㅇ 생태 훼손과 기후위기를 가져온 기존의 발전방식에 대한 성찰과 새로운 접근 필요 2. 연구의 목적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제환경협력 전략 수립 ㅇ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초래되고 있는 국제환경협력의 현재와 미래에 미치는 영향과 동향 진단 ㅇ 포스트 코로나 시대 환경분야 국제협력을 선도하기 위한 국제환경협력 전략 개발 Ⅱ. 코로나19 관련 국내외 환경 이슈 1. 국내외 코로나 발생 현황 □ 전 세계 발생 추이 ㅇ 코로나19 감염 환자는 2020년 11월 4일 기준 전 세계적으로 4,740만 5,395명의 누적 확진자, 누적 사망자는 총 121만 3,735명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 우리나라 발생 추이 ㅇ 우리나라는 11월 4일 기준 누적 확진자는 총 2만 6,925명이 발생했고, 누적 사망자는 474명으로 최근 수도권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 2. 코로나19와 국내외 환경요인 □ 코로나19 방역 대책과 환경영향 요인 ㅇ ‘3T’로 명명된 코로나19 감염자에 대한 검진(test)-추적(trace)-치료(treatment) 대책과 확산 방지를 위한 다양한 예방활동에 대한 환경영향요인 제1경로 - 다량의 의료폐기물 발생과 수집, 운반 및 소각 과정에서 토양, 수질, 대기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위험요인 -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마스크 착용, 환경소독 등 개인방역 활동의 영향 □ 교통량과 에너지 및 물 사용량 변화 ㅇ 교통량 및 에너지 사용량 감소에 따른 대기오염 개선 ㅇ 전체 물 사용량에서 가정에서의 물 사용량이 차지하는 비중 증가 □ 사회경제 전반의 구조변화와 환경 이슈 ㅇ 비대면 사회의 출현과 정착으로 생활양식과 소비방식의 근본적인 변화 초래 ㅇ 코로나19에 따른 디지털 경제의 가속화로 소비자, 기업, 공장 등 경제주체와 공간의 무인화와 자동화 및 온라인화 현상 초래 3. 코로나19와 국내외 환경이슈 □ 코로나19 방역의 의료·안전 대책과 환경이슈 ㅇ 의료폐기물 중가에 따른 공기와 토양 및 물 환경오염 위험 증가 - 2020년 1월 23일부터 8월 25일까지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소각된 의료폐기물은 총 3,023톤에 달함 - 병원 폐수를 포함한 각종 오폐수와 음용수의 코로나19 바이러스 오염 가능성 - 코로나19와 관련된 의료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장비 및 시설과 시스템 구축 필요 □ 코로나19 방역의 행동 제한조치 및 사회경제적 구조변화와 환경이슈 ㅇ 대기오염 상태 개선 및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ㅇ 폐기물 배출량 증가: ‘사회적 거리두기’ 등 사회경제 및 일상 활동 제한조치와 자발적 자제 행동 등의 영향으로 온라인 소비 증가에 따른 택배 물동량 급증 □ 코로나19-환경-인간 상호관계와 환경이슈 ㅇ 야생생물 관리와 인수공통감염병: 개발과 도시화에 따른 인간과 야생동물 간의 접촉 증가로 인간에게 전파되는 바이러스 수 증가와 인수공통감염병 확산 위험 증가 ㅇ 코로나19와 기후변화: 기후변화가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병 빈발에 영향을 미치며, 기후변화가 감염병 전파에 적합한 환경조성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ㅇ 코로나19와 환경상태 및 환경정의: 코로나19는 국가, 지역, 직업, 계층과 관련 없이 발생하나 대처역량과 피해정도는 사회경제적, 직업적 및 환경적 여건, 그리고 건강 여건에 따라 국가, 지역, 계층, 인종에 따라 차별적이고 불평등하게 나타남 Ⅲ.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내외 환경대책과 향후 대응 방향 1. 주요 국제기구 및 국가의 코로나19 대응 환경 대책 □ 주요 국제기구 ㅇ UNEP: 환경과 건강 보호를 위한 의료폐기물 등 코로나19 폐기물 관리에 대한 팩트시트를 발간 - “통제되지 않은 투기 금지, 야외 소각 금지(NO Uncontrolled Dumping, NO Open Burning)” ㅇ OECD: 「환경 건강과 팬데믹에 대한 회복력 강화(Environmental Health and strengthening resilience to pandemics)」를 통해 미래 바이러스 팬데믹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회복력(resilience)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인간 건강과 환경 건강을 동시 고려한 통합적 접근을 강조 □ 주요 국가 ㅇ 대한민국: 의료폐기물의 신속하고 안전한 처리, 시설·용품·개인에 대한 살균·소독 안전조치, 해외 야생동물 유입방지, 생활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등 환경대책 추진 ㅇ 미국: 미 환경청(EPA)은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공동으로 ‘공공장소, 작업장, 사무실, 학교 및 가정의 청소와 살균소독 안내서 등 배포 ㅇ EU: 물 서비스 국가협회 유럽연맹(EurEau: European Federation of National Association of Water Services)은 음용수와 오폐수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여부 테스트 및 결과 공개와 ‘코로나바이러스 위기 맥락에서의 폐기물 관리(Waste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the coronavirus crisis)’를 발표 ㅇ 중국: 우한 등 코로나19 주요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바이러스의 외부 환경 전파 방지, 코로나바이러스에 오염된 의료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코로나19 안정화시기 경제회복을 고려한 환경관리 추진 2. 코로나19 대응 향후 환경정책 방향 □ 주요 국제기구 ㅇ UN: “아픈 지구를 구출할 수 있는 시간(A Time to Save the Sick and Rescue the Planet)”을 통해 정의로운 회복을 위한 행동 촉구 ㅇ OECD: 코로나19를 보다 나은 사회로 회복할 수 있는 기회로 삼는 접근법 제시 ㅇ UNEP: 인수공통감염병 발생 고리를 차단하고 더 나은 재건을 위한 10가지 대책 제안 ㅇ 기타: 기후 탄력성과 경기 부양책과 연계와 같은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회복 패키지와 연결한 정책 제안 등 □ 주요 국가 ㅇ 대한민국: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기후환경 위기 대응 전략으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통해 ‘그린 뉴딜’ 정책을 발표하였으며,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사회에 대응한 디지털 뉴딜 강조 ㅇ 미국: 기후·환경 분야 공약으로 코로나19 극복 경제부흥과 기후위기 대응의 정책연계, 청정경제 전환 및 일자리 창출, 기후변화대응 글로벌 리더 역할 복원 등 제시 ㅇ 유럽국가: ‘더 나은 재건’ 정책을 강조 - 독일의 「코로나19 극복의 맥락에서 기후변화와 환경보호 정책, 수단 및 행동」과 프랑스 파리의 15분 도시 등 ㅇ 중국: 2021년부터 2035년까지 장기적인 환경 전략의 추진 방향을 ‘녹색 발전 추진과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공생 촉진’으로 설정 Ⅳ.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환경협력 추진 전략 1. 코로나19 팬데믹과 국제환경협력 현황 □ 코로나19와 국제환경협력 ㅇ 국제환경회의 취소 및 지연으로 환경 관련 협상과 이행에 부정적 영향 - 제2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제22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등 주요 국제환경회의 취소 및 연기 - 국제회의 개최 지연에 따른 환경협약 이행의 지체 및 일시적 중단 □ 국제기구 및 주요 국가의 국제환경협력 동향 ㅇ 국제기구들의 국제협력은 대부분이 비대면 온라인 소통채널을 구축, 코로나19 대응 환경대책 및 극복전략 수립·전파·공유하거나 온라인을 활용한 각종 회의 개최 등 부분적이고 제한적 수준이지만 지속적으로 활동 ㅇ 독일의 경우 코로나19 회복의 맥락에서 기후변화와 환경보호에 관한 정책의 4가지 전략 가운데 하나로 국제협력을 포함 ㅇ 일본은 코로나19로부터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회복 위해 ‘재디자인 2020을 위한 플랫폼’이라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 국제적 모멘텀 모색 ㅇ 우리나라는 그린 뉴딜 정책의 국제사회로의 확산 모색과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 방안 논의를 위한 온라인 화상회의 등 관련 활동을 추진 2.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환경협력 여건 및 뉴 노멀 특징 □ 대외 여건 ㅇ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국제질서 변화: 1) 글로벌 다자주의 거버넌스(국제기구, 국제협약)의 약화 현상 확산, 2) 국제사회의 개방화와 세계화 퇴조추세 가속화 및 국제분업체제 구조 변화 현실화, 3) 미중 전략경쟁 및 갈등 지속과 글로벌 리더십 약화, 4) 코로나19 방역을 효과적으로 수행한 중견국 소프트 파워 등 새로운 글로벌 리더십 등장, 5) 국제정치의 핵심 어젠다로서 환경과 보건 이슈 등장 ㅇ 국제관계와 국제질서의 변화가 국제환경협력에 미치는 영향: 1) 국제적 공조체제의 취약성이 노정되면서 기후변화 파리협약 등 국제환경레짐을 약화시키고 국제협력의 효용성 및 신뢰도 저하, 2)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개발 위주와 인간 중심의 기존 발전방식에 대한 문명사적 성찰로 국제환경협력의 범위를 확장하고 추동하는 긍정적인 여건 조성, 파리협정 대응을 위한 녹색 기술과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국제협력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 □ 대내 여건 ㅇ 코로나19에 대응한 ‘K-방역’의 성공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K-방역’ 국제화와 ‘그린 뉴딜’의 국제사회 선도를 위한 정책 ㅇ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ODA 국가전략」을 수립,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ODA를 대폭 강화될 전망 ㅇ 정부는 ‘그린 뉴딜’과 연계하여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전 세계의 녹색회복 전략에 동참하고 선도하기 위해 국제환경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 □ 국제환경협력 뉴 노멀의 주요 특징 ㅇ 감염병의 빈발과 팬데믹으로 인하여 봉쇄와 제한에 따른 국가 간 이동의 불안정한 상태와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온라인 방식 구축 ㅇ 비대면 사회 조성에 따라 비대면 이행 메커니즘이 구축되고 확장 ㅇ 인간뿐 아니라 모든 생명체의 생명안보를 담보하는 방향으로의 전환 ㅇ 일상적인 인간과 환경 보호를 위한 협력뿐만 아니라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긴급상황 대응을 위해 ‘하나의 건강’을 기치로 통합적인 국제협력 전개 3.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환경협력 추진전략 □ 코로나19 대응 국제환경협력의 기본 방향 ㅇ 5대 기본 방향 - 의료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등 코로나19로 초래된 당면한 환경문제 해결 - 코로나19 방역의 경험에 바탕으로 K-방역의 기술과 노하우 및 의료폐기물 처리기술 등을 결합하여 환경-보건을 패키지로 한 국제적 협력모델 제시 - 기존의 ‘인간중심’ 협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구 생명체 보호’를 위한 협력으로 전환되고 있는 국제 흐름에 발맞추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 노멀에 조응하는 국제환경협력의 전형을 창출·선도하고 협력기반을 새롭게 구축 - 코로나19 극복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한국판 그린 뉴딜 발전전략, 신남방 정책 등 대외전략과 긴밀히 연계하고, 동시에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기후·환경 정책과 유럽의 그린 딜 등 주요 국가 및 지역의 정책을 면밀히 검토하여 양자 또는 다자 간 협력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여 추진 □ 추진전략 및 세부 협력과제 ㅇ 3대 목표별 추진전략 - 제1 목표: ‘코로나19 극복 회복력 증진’을 위한 추진전략: 1) 감염병 예방 그린 인프라 건설 협력 강화, 2) 인수공통 감염병 예방 및 공동대응 협력체계 구축 - 제2 목표: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지구촌 건설’을 위한 추진전략: 1) 탈탄소 녹색회복 및 사회·도시시스템 개발 협력 강화, 2) 자연재해 취약국가 재해대응 시스템 지원 확대 - 제3 목표: ‘뉴 노멀 비대면 환경협력체계 구축 실현’을 위한 추진전략: 1) 친환경 온라인 소통체계 및 역량 강화 지원체계 건설, 2) 국제협력 이니셔티브 창출 및 국내 환경협력 통합추진체계 구축 1. Background □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in 2020 led to environmental, health, and economic crises. ㅇ The COVID-19 pandemic caused the trilateral crisis of ‘eco-economic -climate crisis’. ㅇ A new approach and reflection on the existing development methods that brought about ecological damage and the climate crisis are needed. 2. Objective □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y in the Post-COVID Era ㅇ Diagnosis of the current and future impacts and trend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ㅇ Development of a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y to lea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nvironmental field in the Post-COVID Era. Ⅱ.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COVID-19 1. The status of COVID-19 outbreaks □ Global trends ㅇ The number of patients infected with COVID-19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with 47,405,395 cumulative confirmed cases and a total of 1,213,735 cumulative deaths worldwide, as of November 4, 2020. □ Domestic trends ㅇ As of November 4, a total of 26,925 cases were confirmed and the number of deaths was 474, which shows that the virus is rapidly spreading not only in the metropolitan area but across the nation. 2. COVID-19 and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al factors □ Covid-19 quarantine measures and environmental impact factors ㅇ The first path of environmental impact factors for various preventive activities to prevent the spread COVID-19 pandemic and test-trace-treatment measures named ‘3T’ for COVID-19 patients. - Potential risk factors affecting the environment, such as soil, water quality, and atmosphere during the generation, collection, transport, and incineration of large amounts of medical waste. - Impact of personal quarantine activities, such as wearing a mask to prevent COVID-19 infection, and disinfecting the environment. □ Changes in traffic and energy and water use ㅇ Air quality improvement due to the reduction in traffic and energy use ㅇ An increased share of household water use in the total water use □ Structural change of the overall socio-economic field and environmental issues ㅇ The emergence and settlement of a non-face-to-face (untact) society causes fundamental changes in lifestyle and consumption methods. ㅇ Acceleration of the digital economy caused by COVID-19 leads to unmanned, automated, and online spaces and economic entities such as consumers, companies, factories, etc. 3. COVID-19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 Medical and safety measures and environmental issues in COVID-19 prevention ㅇ Increased risks of air, soil, and water pollution due to the increase in medical waste - From January 23 to August 25, 2020, a total of 3,023 tons of medical waste was incinerated due to COVID-19 which was about 12 times larger than the amount of medical waste generated during the MERS outbreak in 2015. - Potential risks of COVID-19 virus spreading in wastewater including hospital wastewater and drinking water. -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afe treatment equipment, facilities, and systems for medical waste related to COVID-19. □ Restrictions on COVID-19 quarantine measures, socio-economic structural changes, and environmental issues ㅇ Improved air quality and reduced greenhouse gas emissions ㅇ Increase in waste discharge: Due to the environmental impact factors that occurred in the second path, such as restrictions on socio-economic and daily activities including ‘social distancing’, and voluntary self-restraint actions, the amount of parcel delivery surged following the increase in online consumption. □ COVID-19-Environment-Human inter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issues. ㅇ Wildlife management and infectious diseases: The increased number of viruses transmitted to humans and the risk of spread of common infectious diseases due to increased human-to-wild animal contact due to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ㅇ COVID-19 and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affect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viral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and it is likely to act as an environmental factor suitable for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ㅇ COVID-19,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justice: COVID-19 occurs regardless of country, region, occupation, and class, but the coping capacity and damage level are different among countries, regions, classes, and races depending on socioeconomic,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s well as health conditions. Ⅲ.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Measures to Respond to COVID-19 and Future Directions 1. Environmental measures in response to COVID-19 by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country □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ㅇ UNEP: Published a fact sheet on the management of COVID-19-related waste such as medical waste for environmental and health protection, titled ‘No Uncontrolled Dumping, No Open Burning’. ㅇ OECD: In order to block future viral pandemics through 「Environmental Health and strengthening resilience to pandemic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silience, and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onsiders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health at the same time. □ Major countries ㅇ Korea: Promote environmental measures such as prompt and safe disposal of medical waste, safety measures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facilities, supplies, and individuals, prevention of the inflow of wild animals from abroad, and safe disposal of household waste. ㅇ U.S.: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in collaboration with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distributes ‘Cleaning and Disinfection Guides in Public Places, Workplaces, Offices, Schools, and Homes. ㅇ EU: The European Federation of National Association of Water Services (EurEau) has tested drinking water and wastewater for coronavirus and published the results and the ‘Waste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the Coronavirus Crisis’. ㅇ China: Preventing the spread of coronavirus to the outside environment, focusing on major coronavirus outbreak areas such as Wuhan, safe treatment of coronavirus-contaminated medical waste, and promo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recovery in the time of COVID-19 stabilization. 3. Future direction of environmental policy in response to COVID-19 □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ㅇ UN: Call for action for just recovery through ‘A Time to Save the Sick and Rescue the Planet’ ㅇ OECD: Presenting an approach that takes COVID-19 as an opportunity to transform into a better society ㅇ UNEP: Blocking the chain of infectious diseases and suggesting ten measures for better reconstruction ㅇ Others: Policy proposals linked to economic recovery packages in response to COVID-19, such as linking climate resilience and economic stimulus measures, etc. □ Major countries ㅇ Korea: The ‘Green New Deal’ policy was announced through the ‘Korean New Deal’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COVID-19 crisis and responding to the climate environment crisis, emphasizing the digital New Deal in response to the non-face-to-face (unact) society cthat has emerged due to. ㅇ U.S.: Present linking policies for overcoming COVID-19 and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making the transition to a clean economy and creating jobs, and restoring the role of a global leader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s the basis of the pledge in the field of climate and environment ㅇ European Countries: Emphasis on digital investment, just recovery, and a ‘better reconstruction policy’ -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policies, measures, and actions in the context of overcoming COVID-19 in Germany’ and the 15-minute City of Paris, France, etc. ㅇ China: From 2021 to 2035, the direction of the long-term environmental strategy is set to ‘promote green development and harmony as well as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Ⅳ. Strategies for Promotin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e Post-COVID Era 1. COVID-19 pandem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status □ COVID-19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ㅇ Cancellation and delay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ferences negatively affect environmental negotiations and implementation. - Cancellation and postponement of maj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meetings such as the 25th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15th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22nd Korea-China-Japan Environment Ministers’ Meeting - Delays and temporary suspension of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agreements due to delays in hold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trends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jor countries ㅇ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mostly created non-face-to-face online communication channel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although partial and limited, are establishing, disseminating, and sharing environmental countermeasures and strategies for coping with COVID-19, as well as holding various online meetings. ㅇ In the case of Germany,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included as one of the four strategies in the policy on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recovery. ㅇ Japan seeks international momentum by building an online platform called the ‘Platform for Redesign 2020’ to recover from COVID-19 in a sustainable and resilient way. ㅇ Korea is promoting related activities such as online video conferencing to disseminate the Green New Deal policy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iscuss international cooperation measures for responding to COVID-19. 2. Conditions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e post-COVID-era and characteristics of new normals □ External conditions ㅇ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due to the COVID-19 pandemic: 1) proliferation of the phenomenon of weakened global multilateral governanc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2) opening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accelerated decline in globalization, and realization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branch office system, 3) continued strategic competi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the weakened global leadership, 4) emergence of the new global leadership, such as soft power in middle power countries that effectively carried out COVID-19 quarantine, and 5) emergence of environmental and health issues as core agenda items in international politics. ㅇ Influence of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international order o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1) as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becomes vulnerable, it weaken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s such as the Paris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decreases the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2) at a global level, with reflection on the existing development-oriented and human-centered development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 positive environment for expanding the scop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created. In addition, various international cooperation opportunities in green technologies and industries for responding to the Paris Agreement are expected to be created. □ Internal conditions ㅇ Policy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quarantine’ and the ‘Green New Deal’ to lea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 successful cases of ‘K-quarantine’ in response to COVID-19. ㅇ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ODA Strategy for COVID-19 Response’ and the prospects of strengthened ODA for overcoming COVID-19. ㅇ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to participate in and lead the world’s green recovery strategy to overcome COVID-19 in connection with the Green New Deal. □ Key features of new normal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ㅇ Establish an online method to cope with the unstable and unexpected situations of cross-border movement due to blockades and restrictions resulting from the frequent infectious diseases and pandemic. ㅇ A non-face-to-face (untact) implementation mechanism is establish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a non-face-to-face society. ㅇ A shift toward securing the life security of not only humans but all living things. ㅇ Integrated international cooperation under the banner of ‘One Health’ to respond to emergencie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daily cooperation for huma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3.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promotion strategy in the Post-COVID Era □ Basic direction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response to COVID-19 ㅇ Five basic directions - Resolving immediat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COVID-19, such as safe disposal of medical wast. - Based on the experience of COVID-19 quarantine, present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 that combines the technology and know-how of K-prevention and medical waste treatment technology as a package. -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trend that is shifting from the existing ‘human-centered’ cooperation to cooperation for ‘protection of all life on earth,’ create and lead the model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response to the new normal of the post-COVID-era and renew the foundation for cooperation. - In order to overcome COVID-19 and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closely link diplomatic strategies such as the Korean New Deal and the New Southern policy and at the same time, promote bilateral or multilateral cooperation programs by closely reviewing policies in major countries and regions such as President-elect Joe Biden’s climate and environmental policies and the European Green Deal. □ Implementation strategy and cooperation tasks ㅇ Strategy for each of the three goals - Strategies to achieve the goal of ‘improving resilience over COVID-19’: 1) strengthening cooperation in building green infrastructure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nd 2) establishing a cooperation system for preventing and coping with infectious diseases. - Strategies for achieving the goal of ‘building a safe global village from the climate crisis’: 1) reinforcing decarbonization, green recovery, and cooperation for social/urban system development and 2) expanding support for disaster response systems in countrie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 Strategies to achieve the goal of ‘realizing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normal, non-face-to-face environmental cooperation system’: 1) construction of an eco-friendly on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capacity building support system and 2) crea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itiatives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domestic environmental cooperation system.

      • Post-코로나19 사회 개발트랜드 변화 관련 환경평가 대응방안 연구

        이영준,유헌석,이상범,이병권,박지현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 코로나19로 인해 중장기적인 사회·경제적 변화가 예상됨 ○ 언택트 문화의 확산,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 ○ 감염병 등 재난에 대한 대응력이 곧 국가의 역량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서 부상 □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는 환경영향평가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개발계획 및 사업추진 양상 등에 변화가 나타날 것 ○ 환경영향평가 업무방식에 있어서도 비대면화, 기술 발전의 영향도 동반될 것 □ 이에 변화하는 시대상황에 맞는 환경평가 분야의 대응방향 제시 ○ 코로나19로 인한 변화가 환경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 및 파급효과를 분석 예측하고 선도적인 환경평가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2. 연구 방법 □ Post-코로나19 관련 미래예측 자료 수집(문헌분석) □ 환경영향평가 관계자 설문조사 실시(환경영향평가 관계자 154인 참여) □ 관계전문가 의견청취 및 서면자문(10건) □ 다분야 전문가 토론회 개최(5회) Ⅱ. 코로나19 팬데믹과 미래사회 변화 1. 코로나19의 전파 및 대응 □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병은 2019년 12월에 중국 우한에서 처음 환자가 발생한 이후 2021년 7월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확산 및 대유행 중 □ 신·변종 감염병은 도시화, 세계화 및 기후변화와 맞물려 더욱 빠르게 전파·확산 추세 ○ 무분별한 개발을 방지하고 지구 온난화와 같은 급격한 기후변화를 줄이려는 인간의 노력 및 활동이 무엇보다도 필요 2. 코로나19로 인한 사회문화 변화 □ 언택트 문화의 확산 ○ 코로나19의 대책들이 주로 접촉 최소화로 이루어지면서 비대면 문화의 확산을 이끌었고, 여기에 ICT 기술의 발전이 더해져 코로나19 이후 사회에서도 언택트 문화는 지속될 전망 □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 ○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온라인 수업 등이 일상화되면서 이와 관련한 ICT 기술이 발전하게 되고 이는 곧 4차 산업혁명을 앞당기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 □ 국가 위기대응력 인식의 변화 ○ 코로나19를 겪으면서 감염병 위기상황에 대처하는 국가의 대응력, 시민의식, 의료시스템의 등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부각됨 □ 인간안보 관련 사회 안전망 및 대응체계 요구 증대 ○ 새로운 형태의 재난, 기후위기, 신종 감염병 등을 기존의 대응체계로는 해결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경험했기 때문에 새로운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에 대한 요구 증대 3. 코로나19로 인한 개발 트랜드 변화 □ 비대면 문화 확산에 따른 개발 트랜드 변화 ○ 전염 가능성이 높은 실내공간은 지양, 도심 속 자연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 ○ 물류 부분의 양적 증가 및 질적 변화 또한 공간계획의 변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 □ 감염병 예방을 위한 공간계획 변화 ○ 감염병 예방을 위한 오픈스페이스의 확보, 바람길, 이동경로 등이 공간계획에서 새로운 이슈로 떠오를 전망 ○ 전염병 매개 야생생물과의 접촉 회피를 위한 국토환경 공간조성 논의 Ⅲ. 코로나19가 환경평가 업무에 미치는 영향 1. 환경영향평가 업무수행 여건 및 방식의 변화(국제 동향) □ IAIA(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는 코로나19 이후 환경 영향평가의 수행의 변화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 ○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환경영향평가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부분은 현지조사에 대한 제한(73%) ○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업무 여건 변화에 대해서는 온라인 회의 증가(93%), 재택근무 또는 유연근무(73%)로 응답 ○ 미래 환경영향평가의 역할에 대해서는 “사회환경 및 인체영향에 대한 의학적 접근을 통해 통합영향평가를 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대답이 34%로 가장 많았음 2. 코로나19가 국내 환경영향평가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환경영향평가 관계자 설문조사를 통한 영향 분석 ○ 코로나19가 환경영향평가 업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70.1%가 “영향이 있다”고 응답 - 환경영향평가 업무 관련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 66.7%는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 - 가장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는 부분은 주민설명회(56.5%), 관계기관 업무협의(37%) ○ POST-코로나19 시대를 대비하여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준비사항에 대해서는 “비대면 절차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함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주민설명회 방식의 변화 ○ 기존 대면방식 주민설명회 대비 추가된 사항 - 동영상 제작, YouTube 채널 개설 및 생중계, 지자체 홍보팀 협의, 공람장소 인력배치, 감염병 예방 활동, 설명 횟수 및 공청회 횟수 증가 등 □ 주민의견 수렴 방식에 따른 비용 비교·분석 ○ 비대면 주민의견 수렴으로 전환 시 인건비와 신문공고비, 현수막 등을 절감하여 기존 대면방식 대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단 동영상 등 홍보제작을 전문업체에 의뢰하는 경우 비용이 매우 크게 증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비용 절감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 Ⅳ. Post-코로나19 사회에 대비한 환경평가 대응 전략 1. 비대면 환경평가시스템을 위한 제도의 개선 □ 비대면 설명회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매체(동영상, 의견취합자, 요약서 등)의 활용방안 개발 □ 비대면화가 가능하도록 주민의견수렴 절차 개선 및 관련 법제도 개선 2.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환경평가 □ 메타버스, 인공지능, BIG DATA, 모델링 등 기술적 진보를 활용하여 환경평가 절차를 선진화하고 관련 법·제도를 개선 ○ 증강현실, 가상현실, 디지털 트윈 기술의 환경평가 접목을 통해 이해관계자 간 소통의 정확도, 이해도 향상 3. 사회문화 및 개발트랜드를 반영한 평가방향 전환 □ 개발패턴 변화에 따른 공간계획의 변화 반영 ○ 전염병 예방 차원에서 공간계획(완충지대, 도시공원, 바람길 확보 등) ○ 인간이 야생동물을 적절히 회피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 ○ 도심 속 자연공간에 대한 수요 증가와 관련 민원 대응책 마련 필요 ○ 물류시설 개발의 급증에 따른 물류시설, 배달 차량 관련 생환환경 고려 ○ 일회용품, 의료용품 사용 증가에 따른 폐기물 처리시설 입지 관련사항 ○ 개발패턴 변화에 따른 예측모델 개선 □ 새로운 개념의 환경피해 대응 ○ 기후위기, 신종 감염병, 재난, 재해, 해체 등 새로운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평가항목을 적극 발굴하고 이들을 법체계 내로 수용할 수 있는 연구 수행 ○ 환경영향의 범위에서 안전을 분리하여 평가를 진행하는 방안 검토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 론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은 사회 전 분야에서 단기간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환경영향평가 분야에서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ost-코로나19 시대에 대비한 중장기적 전략과 대응방안을 제언하고자 함 2. 정책 제언 □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Post-코로나19 시대 대응을 위한 과제를 분야별, 시기별(단기, 중기)로 구분하여 제안 Ⅰ. Introduction 1.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Mid- to long-term socioeconomic changes are expected due to COVID-19. ○ The spread of untact cultur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Capacity to respond to disaster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has emerged as a major indicator showing the nation’s capabilities. □ These socio-economic changes are expected to affect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Changes in development plans and project patterns are expected.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ll also be affected by non-face-to-face communic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 Proposing new direction for the field of environmental assessment in line with the changing circumstances ○ To analyze and predict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and ripple effect of changes caused by COVID-19 on the environment ○ To suggest a direction for leading environmental assessment 2. Research method □ Data collection of Post-COVID-19 predictions (literature review) □ Conducted a survey among official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54 people participated) □ Listened to the opinions of related experts and held several multi-disciplinary expert forums Ⅱ. The COVID-19 Pandemic and Future Social Changes 1. The spread of and response to COVID-19 □ COVID-19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up until now since the first confirmed case was identified in December 2019. □ New types of infectious diseases and viral variants are spreading faster in line with urbanization, globalization, and climate change. 2. Social and cultural changes caused by COVID-19 □ Spread of untact culture ○ As countermeasures against COVID-19 mainly consisted of minimizing contact, it led to the spread of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e untact culture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post-COVID-19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 Acceler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As telecommuting and online classes become routine due to COVID-19, ICT technology related to this will further develop, which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advanc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Changes in national awareness of crisis response capabilities □ Increased demand for social safety nets and response systems related to human security 3. Changes in development trends due to COVID-19 □ Changes in development trends due to the spread of untact culture ○ Indoor spaces less preferred due to higher risk of infection, and increase in demand for natural spaces in urban areas □ Changes in spatial plan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 Securing open space, wind paths, and moving rout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is expected to emerge as a new issue in spatial planning. ○ Creating a national environment that can prevent contact with wildlife that may carry infectious diseases Ⅲ. Impact of COVID-19 on Environmental Assessment 1. Changes in conditions and method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ternational trends) □ A survey conducted b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mpact Assessment(IAIA) on changes in the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ince COVID-19 ○ Currently, the most affected part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y COVID-19 is field work (73%), on which restrictions have been imposed. ○ As changes in work conditions caused by COVID-19, respondents chose an increase in online meetings (93%) and telecommuting or flexible working (73%). ○ Regarding the role of futur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34%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taking a medical approach to social environment and health impacts.” 2. Impact of COVID-19 on domest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Survey among official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Regarding the impact of COVID-19 on their work, 70.1% said it was “affected.” ○ Regard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they answered that “the system improvement to facilitate non-face-to-face procedures” is the top priority. □ Changes in the method of public hearings to respond to COVID-19 ○ Increase in utilization of videos, YouTube channels, and so on, compared to the existing face-to-face public hearings Ⅳ. Strategy for Environment Assessment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Society 1.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non-face-to-face environmental assessment □ Improvement of procedures for public hearings and related systems to enable non-face-to-face communication (e.g., using various media) 2. Smart environmental assessment incorpora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 Improve the process and system of environment assessment by utilizing technological advances such as metaverse,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modeling 3. Shifting the direction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to reflect social culture and development trend □ Reflecting changes in spatial planning according to changes in development patterns ○ Spatial planning (buffer zones, urban parks, wind paths, etc.) taking into account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 Seek ways to avoid contact with wild animals ○ Consideration of the rapid increase in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facilities in our living environment ○ Issues related to the loc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and medical supplies ○ Improvement of predictive models according to changes in development patterns □ A new concept of environmental damage management ○ Identifying assessment items that cause new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climate crisis, new infectious diseases, disasters, and dismantling ○ Consideration of excluding the safety item from the scop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 The impact of COVID-19 is causing tremendous changes in all fields of societ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it appears that it i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well. □ This study suggested mid- to long-term strategies and countermeasur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 패션 소비

        고애란 ( Koh Ae-ran ),이정순 ( Lee Jeong Sun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예견되는 지속가능 패션 소비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지속가능 패션 소비와 포스트 코로나에 대해 탐색하였으며,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전·후의 지속가능 패션 소비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문헌연구의 예측방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키워드는 ‘지속가능 패션 소비’로 설정하였으며, 수집기간은 코로나19 발생 시점인 2020년 1월 20일을 기준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 2년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7개월로 총 2년 7개월이다.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빈도 분석결과, 상위 10위 안의 키워드는 지속가능, 패션, 친환경, 소비, 브랜드, 제품, 의류, 소비자로 총 8개의 단어가 코로나19 전·후 동일하게 추출되었다. 상위 50개의 키워드 분석결과, 코로나19 이후 플랫폼, 디지털과 같은 새로운 키워드가 추출되었으며, 온라인 키워드는 코로나19 이후 5위로 상승되어 나타났다. CONCOR 분석결과, 코로나19 이전의 지속가능한 패션 소비 범주는 지속가능의 성장, 친환경 가치, 재활용의 시대, 온라인 서비스로 구분되었으며, 코로나19 이후 범주는 지속가능 트렌드, 친환경 추구, 플랫폼 소비, 디지털 확대로 나뉘었다. 지속가능 패션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방식으로 선호되며, 디지털 환경안에서 플랫폼이 확대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제품의 가치를 인식하고 의식 있는 소비를 하고자 변화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 패션 소비는 사회적 책임과 환경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산업 정보기술 발달을 통한 생산, 유통, 소비에서의 지속가능성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지속가능 패션 소비의 성장을 위해서는 ICT를 활용한 패션 기업의 실천적 대안이 필요할 것이며, 지속가능패션의 발전을 지지할 소비자들의 지속가능한 패션 소비의 습관 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in the post-COVID-19 era. The study analyzes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and the post-COVID-19 era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attempts to empirically confirm the direction of litera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change in perception of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big data. Data for analysis were obtained through portal sites using the keyword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Data were obtained for a period of 2 years and 7 months, from 2 years prior to, until 7 months after January 20, 2020, the date on which the pandemic first started. Frequency analysis using text mining indicated that the top ten keywords included sustainability, fashion, eco-friendly, consumption, brand, product, clothing and consumer. These eight keywords were equally frequent before and after COVID-19. Analysis of the top 50 keywords revealed that new keyword, such as platform and digital, emerged, and that the keyword online rose to 5th place after the COVID-19 pandemic.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before COVID-19 was categorized into sustainable growth, eco-friendly value, age of recycling, and online service, whereas after COVID-19, it was categorized into sustainable trend, eco-friendly pursuit, flatform consumption, and digital expansion. This indicated that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demonstrated steady growth regardless of COVID-19.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reference for contactless consumption increased for sustainable fashion after COVID-19, which showed that the fashion platform was changing. In addition, the study indicated that consumers were recognizing the value of products and were increasingly moving toward conscious spending.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in the post-COVID-19 era includes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as well as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n terms of energy conservation dur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In order for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to advance in the post-COVID-19 era, a practical alternative based on ICT is required. It is necessary for fashion companies to maintain existing sustainability efforts as well as to strive to implement strategies based on eco-friendly technologies.

      •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기독교 선교환경의 변화와 정책과제

        정봉현(Bonghyun Jeo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0 종교문화학보 Vol.17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코로나19 감염병과 기독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독교 선교환경의 변화내용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 및 사역의 관점에서 기독교 선교정책의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주요 내용들은 서론, 코로나19 감염병과 기독교의 이해, 기독교 선교환경의 변화내용,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기독교 선교정책의 과제 및 결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로나19 시대의 특징들은 비대면 사회의 도래와 가속, 디지털 사회의 가속화, 가족공동체와 다음 세대의 위기 및 선교적 동력의 위험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선교사역의 입장에서 선교정책의 과제들은 교회공공성의 회복과 강화, 교회 사회적 소통능력의 제고, 이단집단 종합 근본대책의 마련, 가정의 획복과 가정사역의 강화, 미자립 소형교회의 지원 확대, 생활신앙의 성숙도 향상, 재택・원격근무, 재택수업 방식의 선교분야 활용, 성육신적 선교의 실행 등으로 제시되고 있다. 선교전략의 측면에서 선교정책의 과제에는 비대면 시대 on & off line 교회사역, 디지털・아날로그 공동사역, 다음세대 중심가정사역의 교회, 교회 디지털 선교역량의 제고, 교회론과 제자도의 재발견, 해외 거점ž토착화 선교방식, 해외 지원선교 역할의 강화 및 선교현장의 국내 영역확대 등이 포함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overall changes in the Christian missionary environment based o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OVID-19 pandemic infectious disease and Christianity, and to devise issues for Christian mission policy based on this.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consist of an introduction, an understanding of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and Christianity, changes in the Christian mission environment, and policy issues of Christian mission in the COVID-19 pandemic era and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COVID-19 pandemic era can be explained by the advent and acceleration of a non-face-to-face society, the acceleration of digital oriented society, the crisis of family community and next generation, and the danger of missionary power. From the perspective of ministry in the COVID-19 pandemic era, mission policy issues are the recovery and strengthening of church's publicity, preparation of comprehensive basic measures for heretical groups, increased supports for non-independent small churches, enhancing the church social communication skills, and restoring family ministry. It has been suggested as strengthening of spirituality and improving the maturity of spiritual faith of believers. In terms of strategy, mission policy issues in the COVID-19 pandemic era include non-face-to-face church ministry in the era of on & off, the church's family ministry centered on next generation, the rediscovery of ecclesiology and discipleship, the reinforcement of role of overseas supporting mission, the digital and analog jointed church ministry. It can be explored by enhancing the digital mission capacity of the church, the overseas basesžindigenous mission methods, and the expansion of domestic mission field.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태권도장 경영 트렌드 변화 연구 :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비교

        윤은혜,조성균 한국무예학회 2024 무예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 후의 ‘태권도장’ 키워드를 파악하여 코로나 이후 태권도장 경영 트렌드 변화를 확인하고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따른 태권도장 경영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을 위해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뉴스, 카페, 지식 IN, 웹 문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기간은 팬데믹 선언한 2020년 3월 11일부터 2024년 2월 현재까지 약 4년의 기간과 동일 기간을 적용한 2016년 3월 11일부터 2020년 3월 10일까지로 4년의 기간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텍스톰 프로그램을 통해 단어 빈도분석, N-gram분석, TF-IDF 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Ucinet Version 6, NetDraw 프로그램을 통해 네트워크 분석을 시각화하고 CONCOR 분석을 통해 군집화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단어 빈도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성인태권도, 해외에 관련된 키워드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gram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태권도장에 대한 정보 습득과 공유 방식 변화에 관한 키워드가 제시되었다. 셋째, TF-IDF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수련층의 변화 및 회복에 관한 키워드가 상위에 나타났다. 넷째, 연결중심성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정보 전달에 대한 키워드가 상위에 나타났다. 다섯째,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태권도장 운영 및 경영에 대한 요소들이 위치적 요소로 좁아졌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CONCOR 분석 결과 코로나 이후 성인태권도에 대한 군집은 사라지고, 코로나 및 사건⦁사고에 대한 군집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eywords associated with "Taekwondojang"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confirm changes in Taekwondojang management trends following COVID-19,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aekwondojang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era of the new normal. Data were collected from blogs, news articles, cafes, knowledge sharing platforms, and web documents provided by Naver, Daum, and Google. The data analysis period spans approximately four years, from March 11, 2020, the date of the pandemic declaration, to February 2024. A corresponding four-year period from March 11, 2016, to March 10, 2020, was selected for comparis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utilized the Textom program for word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TF-IDF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Additionally, network analysis was visualized using Ucinet Version 6 and NetDraw programs, and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NC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first, wo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e disappearance of keywords related to adult Taekwondo and overseas after COVID-19. Second, N-gram analysis identified keywords indicating changes in information acquisition and sharing methods regarding Taekwondo Dojang after COVID-19. Third, TF-IDF analysis showed that keywords related to changes and recovery in the practicing population emerged as top-ranking after COVID-19. Fourth, Centrality analysis indicated that keywords related to information dissemination ranked high after COVID-19. Fifth, Network visualization analysis confirmed a narrowing of positional factors related to TaekwondoWjang operation and management after COVID-19. Sixth, CONCOR analysis demonstrated the disappearance of clusters related to adult Taekwondo after COVID-19 and the emergence of clusters related to COVID-19 and incidents/accidents.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의 기독교적 가정영성교육 모형: 비블리오드라마를 중심으로

        최은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3

        This study suggests a spiritual education for the Christian family 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 risky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day, we live in a chaotic epoch since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cience caus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gave rise to a wide array of changes throughout the society. Korean Church in these circumstances is required to have relevant responses to the kaleidoscopic changes. Especially, not to mention the face-to-face public worship service, in the situation where the congregation members even find it difficult to meet one another in a small group, it becomes a crucial issue how Christians maintain their faith and community in the healthy spirituality. As such, viewing that Christian education within the family will become much more important,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for familial-spiritual education. For the research, this paper, first of all, attempts to understand the era of Covid-19. It is to see what the Novel Corona Virus is and what the feature of the epoch of Covid-19 might be.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this research discusses what Christian spirituality is asked for and the orientation towards which Christian education should go on. It is particularly to say that a spiritual education for the family becomes integral. The education for the family might be possible through Bibliodrama so that this study establishes a specific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employing Bibliodrama. The discussion above shows three academic significances. First, this paper, within the domain of Christian education, suggests an alternative research which is to solve Korean Church’s diverse problems caused by Covid-19. Second, this research attempts an analytical understanding of the Covid-19 period within the Christian education area. Finally, when specific and practical research for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s required, this study considers that Christian education within the family is overarching, thus proposing a specific model for familial-spiritual education hiring Bibliodrama.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 한국교회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독교 가정을 위한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 우리는 혼란의 시대를 살고 있다.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었고, 코로나19 바이러스 팬데믹 사태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오늘날 한국교회에는 많은 변화와 더불어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특별히 대면예배는 물론, 성도들 간의 만남과 접촉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영성관리를 하면서 기독교적 믿음과 공동체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대안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앞으로는 가정에서의 신앙생활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보고, 코로나19 시대의 기독교적 가정영성교육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코로나19 시대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와 코로나19 시대의 특징(언컨택트 문화, 홈 루덴스 현상, 가정 문제의 심화)에 대해 살펴본 뒤, 앞으로의 기독교 영성교육은 이러한 사회적 특징들을 염두에 두고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좀 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기독교 영성교육의 개념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기독교 가정을 위한 기독교적 가정영성교육의 모형을 수립해 보았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는 비블리오드라마를 선택하였고, 마태복음 25장 14-30절의 달란트 비유를 가지고 구체적인 예를 제시해 보았다. 이는 웜업, 연기, 성찰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이 과정 속에서 가족 구성원들은 성서를 기반으로 한 기독교 영성을 추구하며, 기독교적 믿음과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기 놀이치료 인식 변화에 대한 빅데이터 연구

        진미경 ( Jin Mi Kyoung ),김혜진 ( Kim Hye Jin ),정호연 ( Jeong Ho Yeon ),홍이빈 ( Hong Yi Bee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7 No.1

        In this study, we explored public perceptions of play therapy in the news media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COVID-19 through big data analysis. To achieve this, we collected news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 ‘play therapy’ for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COVID-19. Then we analyzed big data using Textom, extracting key keywords related to play therapy,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words, and topics. As a result, at first, in the post-COVID-19 era compared to the pre-COVID-19 era, ‘school violence’ emerged as a significant word in the category of ‘primary concern’ and ‘recovery’ appeared as a significant word in the category of ‘intervention purpose’. Second, in the pre-COVID-19 era, keywords such as ‘child’, ‘program’, ‘parents’, ‘counseling’, ‘business’, ‘student’, ‘emotion’, ‘family’, ‘psychology’ appeared. Whereas in the post-COVID-19 era, keywords such as ‘child’, ‘program’, ‘counseling’, ‘children’, ‘business’, ‘therapy’, ‘family’, ‘health’, ‘psychological therapy’ and ‘strengthening’ appeared. Third, topics related to play therapy in the pre-COVID-19 era included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child and adolescent counseling’, ‘psychological support and welfare services’, and ‘family support counseling’ as four clusters. In contrast to this, in the post-COVID-19 era, four clusters emerged as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intervention services’, ‘institutional therapy intervention services’,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 and adolescent counseling’.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hat can be reflected in play therapy by better apprehending and understanding the public’s perception of play therapy, which has increased since the pandemic.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시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가정양육지원 역할 방향 탐색

        심윤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the Role and Direction of the Childcare SupportCenter in Supporting Home Childcare in the Post COVID-19 EraYunhee S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support of Home Childcare during the COVID-19 era and the direction of childcare support in the post COVID-19 era, through empirical testimonies from the parents and the individuals in charge of the Home Childcare Supporting Projects at the Childcare Support Center.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arget group interviews with five mothers and six workers in charge of the Home Childcare Supporting Projects at Haneul Childcare Support Center. First, the parents in the COVID-19 era perceive the Home Childcare as being family-oriented with universal benefits. Second, the operation system of the Home Childcare Supporting Projects in the COVID-19 era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Home Childcare Support through changes and diversification of online and offline operation of childcare support. Third, the direction of Childcare Support Center in the post COVID-19 era is to prepare a network of close-tailored childcare system, on and offline customized operation, and spread a shared culture of childcare. Childcare Support Center, Home Childcare Supporting Projects, Post COVID-19 Era parents, Childcare Support. The empirical stories of the individuals in charge of the Home Childcare Supporting Projects and the parents are voices that help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ildcare Support Center’s roles, which can be seen as important perspectives in expanding the Childcare Supporting Projects with superior quality. Key Words: Childcare Support Center, Home Childcare Supporting Projects, (Post) COVID-19 Era, Parents, Childcare Support (포스트)코로나시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가정양육지원 역할 방향 탐색심 윤 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가정양육지원 사업 담당자와 부모의 경험적 이야기를 통해 코로나 시대 가정양육지원 변화와 추후 육아 지원 방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H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가정양육지원 사업 담당 인력 6명과 5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표적집단면담을 통해 체계적인 자료 수집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코로나 시대 부모가 지각하는 가정양육지원은 가정 중심화와 보편적 혜택이다. 둘째, 코로나 시대 가정양육지원사업 운영 체계는 온, 오프라인 운영지원 다각화와 운영지원 변화에 따른 가정양육지원 질 제고이다. 셋째, (포스트)코로나 시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육아 지원 방향성은 밀착 맞춤 육아 연계망 마련, 온, 오프라인 맞춤 운영지원, 공유문화 확산이다. 결론 및 제언: 가정양육지원 사업 담당 인력과 부모 그들의 경험적 이야기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가정양육지원 역할의 전문성을 높이는데 일조하는 목소리로, 질적으로 우수한 육아종합지원센터 육아 지원 사업확충을 위한 다양한 채널로 주목해야 할 의미로 볼 수 있다. 핵심어: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정양육지원사업, (포스트)코로나 시대, 부모, 육아 지원 □ 접수일: 2022년 8월 29일, 수정일: 2022년 9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20년 한양여자대학교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한양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조교수(Professor, Hanyang Women’s Univ., Email: sim1choi3@hanmail.net)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교회 노인사역 전략과 실천 방안

        손의성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4 No.-

        The COVID-19 pandemic is causing widespread and serious damage to the lives of all members of society. At a time when it is entering the post-COVID-19 era past the peak of the COVID-19 pandemic, the Korean church is being ask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caring for the elderly.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new pandemic in the near future, this paper presented strategies and action plans to take care of the elderly in the post-COVID-19 era.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First, the biblical basis for the necessity of caring for the elderly in the church was explored. Second, the multidimensional elderly problem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was analyzed. Third,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elderly derived above, practical strategies and ac- tion plans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elderly care service of the church in the post-COVID-19 era were presented. Action plans in six areas, including physical, psychological, emotional, social, economic, spiritual, and church associations, were proposed. In particular, in the last area, an action plan at the level of church association and community cooperatio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ndemic requiring an integrated approach. 코로나 팬데믹은 다른 어떤 세대보다 노인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이제 코로나 팬데믹의 정점을 지나 포스트코로나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의 노인에 대한 돌봄사역의 대안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향후 새로운 팬데믹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교회의 노인들에 대한 돌봄사역의 사명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회의 노인 돌봄사역의 필요성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탐색하였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나타난 다차원적인 노인 문제를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노인 문제들에 근거하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회 노인 돌봄사역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천적 방안으로는 신체적 영역, 심리정서적 영역, 사회적 영역, 경제적 영역, 영적 영역, 교회연합 등 여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마지막 영역에서는 통합적 접근이 요구되는 팬데믹 특성을 고려하여 교회 연합과 지역사회 협력 차원의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예배와 신앙회복을 위한 개혁주의 신학적 대안

        강윤석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지평 Vol.35 No.-

        코로나19로 인해 한국교회는 어려운 상황을 맞이하였다. 그것은 대면예 배를 찬성하는 사람들과 비대면예배를 찬성하는 사람들과의 대립과 갈등 을 야기했고, 밖으로는 교회의 불신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코로나19가 지나가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게 되면서 한국교회의 예배와 신 앙의 본질이 많이 희석되고 있는 실정이다. 포스트 코로나로 교회에 가장 부각된 문제점이 온라인을 통한 예배이다. 이것은 그야말로 신자들의 예 배개념에 대한 후퇴와 신앙교육의 부재를 낳아 교회로 하여금 그 본질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으로 가게 하는 위험을 수반하게 되었다. 예배와 신앙 교육 뿐만이 아니라 교회가 감당해야 할 상담과 심방, 교제의 사명을 제 대로 감당하지 못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그 결과 교회는 그 본 래의 사명을 놓칠 수 있는 위기에 봉착하였다. 그러므로 이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회가 과연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민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고민을 하지 않으면 교회는 그 사명을 감당하 지 못하는 차원을 떠나서 결국 쇠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제 앞에서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회가 어떻게 예배의 중요 성을 놓치지 않고 하나님 앞에서의 바른 신앙을 회복할 수 있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칼빈을 비롯하여 불링거와 같은 종교개혁자들의 견해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우리 시대의 한국교회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Due to COVID-19, the Korean church faced a difficult situation. It caused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ose in favor of face-to-face worship and those in favor of non-face-to-face worship, and led to distrust of the church outside. In addition, as COVID-19 passes and the post-COVID-19 era enters, the nature of worship and faith in Korean churches is being diluted a lot. The most prominent problem in the church due to post-COVID-19 is online worship. This literally led to the retreat of the believers' concept of worship and the absence of faith education, leading to the risk of the church failing to keep its essence. In addition to worship and faith education, it resulted in the church not being able to properly handle the mission of counseling, atrium, and companionship, and as a result, the church faced a crisis of missing its original mission. Therefore, I think it's time to think about what direction the church should take in the post-corona era. Without these concerns, the church will eventually decline, leaving the dimension of not being able to handle its mission. In front of these tasks, I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 church can restore the right faith in front of God without missing the importance of worship in the post-Corona era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 theology. By briefly looking at the views of religious reformers such as Calvin and Bullinger and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I would like to think about what direction the Korean church in our era, which is facing the post-COVID era, should move fo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