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의환의 복음주의적 개혁주의 신학

        이은선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신학지평 Vol.32 No.-

        건의환은 1967 년부터 1976년까지 총신대 교수로 가르쳤다. 그는 총선 교수직을 사업한 후 미국에서 목회활동과 국제신학교틀 통해 신학교육 을 담당하였다‘ 그는 1995년 총신대 총장으로 부임하여 1999년까지 재 직하였고 그 후 칼빈신학대학교 총장을 지냈으며 2010년에 타계하였다. 김의환은 일생동안 개혁주의 신학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유지하연서도 복유주의자들과의 협력하여 한국교회의 연합과 활동 영역의 확장을 시도 하였다. 그의 효기의 복음주의자플과의 협력 활동은협풍측교단에서 신복음주의자라는 비판 때문에 1970 년대 초에 시도되다가 좌초되었다. 그는 복음주의자들의 초교파적 인 연합활동인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의 설 립에 뜻을 같이 하였으나 참여하지 못하였고, 복음주의 신학회를 조직하 여 복음주의 신학자들의 학문적 인 활동을 도모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 루지 못하였다. 화회를 조직하지는 못했지만, 그는 복음주의 신학자들의 학문적인 교류를 통해 한국신학계의 수준을 높이고 학문적인 지쩡을 확 대하여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분명한 복음주의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는 또한 복음주의 교단들의 연합을 통해 아세아 연합신학대학원을 설립하여 제 3세계 지도지들을 육성하여 복음을 전파하펴 시도했으 나, 결실을 맺지 못했다. 그는 교회연합에서 교리적인 순절을 명확히 하 면서도 복음전파의 목적을 위한 교회연함을 주장하였다. 그의 개혁주의자로서의 가장 확설한 연모는 1970년대부터 자유주의 신 학을 깨혁주의의 시각에서 철저하께 비판한 점이다. 그는 특히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등장했던 사신신학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신학을 등장 하게 된 배정과 주장하는 내용을 소개한 후에 마지막에 잭관적인 기준을 제시하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작엽은 1990년대까지 계속되었고, 그와 함께 복음주의 진영에서 개혁주의 노선과 맞지 않는 오순정 성형론과 번 영신학 동도 비판하였다. 그와 함께 칼빈의 개혁신학과 함께 프린스턴 신학을 중심으로 20세기 미국의 깨혁신학을 소개하여 한국의 개혁신학의 지명을 넓히는 작업을 하였으나, 유럽의 개혁신학융 적극적으로 소개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 그는 사회참여에서 복음주의적인 중도적 관점과 개혁주의의 관점을 주장하였다. 그는 세상과 분리하려는 입장과 세상의 개혁만을 주장하는 자유주의 를 비판하고 말씀과 일반은총의 원리에 업각한 사회참여를 주장하였다. Kim Eui-hwan taught as a professor at Chongshin University from 1967 to 1976. After resigning as a professor of Chongshin, he was in charge of the seminary education through pastoral activities and international theological seminaries in the United States. He was appointed president of Chongshin University in 1995 and served until 1999 and then as president of Calvin Theological University and passed away in 2010. While clearly maintaining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theology throughout his life, He attempted to expand the Korean Church' s alliance and sphere of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evangelicals. His early collaborations with evangelicals were tried and stalled in the early 1970s due to criticism that he was a neo-evangelicalist in a Hap-Dong denomiation, He agreed to establish the Aaian Christian Theological Seminary as an interdenominational coalition act of evangelicals, but failed to participate. He organized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to promote academic activities of evangelical theologians. Although he failed to organize the society, he sought to establish a clear evangelical identity for liberal theology by raising the level of the Korean theology community and expanding the academic horizon through academic exchanges of evangelical theologians. He made clear the doctrinal purity in the church union, but insisted on a church union for evangelical purposes. His surest aspect as a reformer is his thorough criticism of liberal theology from the 1970s in terms of reformed theology, In particular, after introducing the background and claims of neo-liberalistic theology and death theology, which emerged in the late 1960s in the U.S., he criticized it by presenting objective criteria. This work continued until the 1990s, and with it, the evangelical camp criticized the theory of the Holy Spirit and the theory of prosperity that did not align with the line of reform At the same time, he worked on expanding the horizons of Korean reform and theology of American reform in the 20th century by introducing theology of American reform in the 20th century, along with Calvin' s reform and theology, but it is regrettable that he failed to actively introduce European reform theology. He argued for evangelical centrist and reformist views in social participation. He criticized his position to separate himself from the world, his liberalism that only advocated reform of the world, and his participation in society based on the principles of speech and general charity.

      • 필립 멜란히톤의 생애와 공헌

        김진국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지평 Vol.35 No.-

        이 논문의 주제는 필립 멜란히톤의 생애와 공헌을 다룬 것으로 멜란히 톤은 종교개혁자로 불릴 뿐 아니라 유럽의 교사로 칭해진다. 독일의 개신교 인문주의자이며, 종교개혁자인 필립 멜란히톤(Philipp Melanchthon, 1497- 1560)은 1497년 2월 16일 독일 브레텐(Bretten)에서 태어나 인문주의 교육을 탁월하게 받고, 인문주의자 대열에 합류하게 된 다. 독일의 인문주의자이자 증조부인 로이힐린(Johannes Reuchlin, 1455-1522)의 추천으로 멜란히톤은 비텐베르그대학(University of Wittenberg)의 헬라어 교수로 가게 된다. 비텐베르그에서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를 만나 종교 개혁적 복음을 듣고 종교개혁자로 서게 된다. 루터는 멜란히톤에게 원어와 교부에 대해서 강의를 듣고, 대화하는 가운데, 비텐베르그 대학의 동료가 된다. 멜란히톤의 저서로는 1521년 개 신교 최초의 조직신학 교과서라 불리는 『신학총론』(Loci Communes, 1521)을 비롯하여 많은 신학저서들과 자유 7과 학부 교과서들이 있다. 종 교개혁은 마틴 루터로부터 시작했고, 멜란히톤의 공헌으로 종교개혁은 체 계적으로 지속해서 확산할 수 있었다. 그는 아우구스부르그 신앙고백(Augsburg Confession)으로 개신교 신앙의 대변자가 된다. 루터가 죽은 후 고루터주의자들로부터 심한 공격을 받아서 루터교(Lutheran Church) 내에서 약해지기도 하였으나, 그의 저작과 제자들을 통한 영향력은 증가 했다. 멜란히톤은 칼뱅(Jean Calvin, 1509-1564)과의 지속적인 교제로 개 혁파 신학의 형성에 크게 공헌한다. 멜란히톤의 제자들 가운데 루터파 신 학자들과 개혁파 신학자들이 있는데, 이들은 멜란히톤 신학에 큰 빚을 졌 다. 그는 유럽의 스승으로 불릴 정도로 교육과 대학조직과 저술과 학문에 있어서 개신교 인문주의자로서 대대에 선한 영향을 주었다. 멜란히톤에 대한 정당한 이해를 통해 한국 개신교의 신학과 학문적 체계와 개혁파 신학의 이해가 더욱 깊어지게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opic of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life and contributions of Philip Melanchthon, who is called not only a Reformer but also a teacher in Europe. Philipp Melanchthon (1497-1560), a German protestant humanist and Reformer, was born on February 16, 1497 in Bretten, Germany, received his humanist education with excellence, and joined the ranks of humanists. At the recommendation of German humanist and great-grandfather Johannes Reuchlin (1455-1522), Melanchthon went to the University of Wittenberg as a Greek professor. He met Luther (Martin Luther, 1483-1546) in Wittenberg and he stood as a Reformer after hearing gospel of the Reformation. Luther listens to Melanchthon's lectures on the original language and the Church Fathers, and becomes a colleague at the University of Wittenberg. Melanchthon's writings include Loci Communes (1521), which is said to be the first systematic theology textbook of Protestantism, and many theological writings and textbooks for the seven liberal arts. The Reformation began with Martin Luther, and Melanchthon's contributions enabled it to spread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He became an advocate of the Protestant faith with the Augsburg Confession. After Luther's death, he was severely attacked by Lutheranists and weakened within the Lutheran Church, but his influence through his writings and disciples increased. Melanchthon's continued association with Jean Calvin (1509-1564)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ation of Reformed theology. Among Melanchthon's disciples were Lutheran and Reformed theologians, who owed a great debt to Melanchthon's theology. He had a good influence on generations as a Protestant humanist in his education, university organization, writings and scholarship, to the extent that he was called the teacher of Europe. Through a legitimate understanding of Melanchthon, the theology and academic system of Korean Protestantism and the understanding of Reformed theology will be able to deepen.

      • 조지 휫필드와 존 웨슬리의 신학체계 비교연구

        고명석,남호연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신학지평 Vol.32 No.-

        본 연구는 조지 휫필드의 개혁 신학체계와 존 웨슬리의 신학체계를 비교하여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알아보고, 이들의 신학을통해 우리가 지향해야할 신학은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첫째, 기본적인 신학체계로 휫 필드는 칼빈의 '제한적 속죄론' 을 주장했고, 웨슬리는 아르미니우스적인 '보편구원론' 을 주장하였다. 둘째, 휫필드는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고백한다. 반면, 웨슬리는 하나님의 예정보다는 본 인의 신앙적인 노력과 성화가 구원을 결정 짓는 요인으로 보았다. 셋째, 우리는 이들의 신학 체계를 신앙생활 의 현실에서는 잘 조화시컥야할 필요성이 있다. 즉 우리는 휫필드처럼 전적으로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으로 구 원이 이루어진다고 믿어야 한다. 다만 웨슬리의 주장처럼 구하지 않는 자에게 주어지는 것도 아니다. 예수님 도 우리에게 말씀하시길 '구하라' 고 분명히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This study compares George Whitefield' s reformed theological system with John Wesley' s theological system examines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nd studies what theology we should pursue through their theology. First, as a basic theological system, Whitefield insisted on Calvin' s "limited atonement," and Wesley insisted on the Arminisian "universal salvation." Second, Whitefield confesses that he had to accept God' s unconditional election and predestination. Wesley, on the other hand, sees his religious effort and sanctification as the deciding factor of salvation rather than God' s predestination. Third, we must believe that salvation is accomplished entirely by God' s unconditional election and predestination, as in Whitefield. Jesus also told us clearly, 'A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