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특징적 국면(Ⅰ)-창작 배경 및 자아형상화 양상을 중심으로-

        박진성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5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research, which has remained only in one country until now. Through this, we are to identify the concept and features of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more objectively. In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Korea, a new form of autobiography combined with forms appeared such as preface, chronological records, miscellaneous records in addition to self-written epitaph or autobiography after the 17th century, and a narration tendency became more diverse.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ional strife which was fierce at that time as a cause of the prevalence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Isolating themselves in successive political hardships, many of the noblemen at that time wrote their autobiography, imprinted their existence and expressed lonely self-consciousness. In the case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China, as civic consciousness grew due to the prevalence of economic activities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emphasizing personality emerged from the 16th century, autobiographies of various characters were created, and works emphasizing individuals’ emotions and tastes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there was a great change of dynasty fall, but previous literary achievements and diversification of ideas were still inherited, allowing many works that highlighted individual self while containing the pain of the times to appear. In Japan,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born in earnest when the end of war in the 17th century caused military men to collapse and Neo-confucianism was settled, and the complex world of consciousness of Confucian scholars and military men could be identified in terms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terms of style, autobiography in the form of essays using both Chinese character and Japanese language in addition to the authentic Chinese works appeared to contain the inner world and everyday matters abundantly.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ree East Asian countries in the 17th century is common in terms of creation background and self-figuration. First of all, in the creation background,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was the most motivated by the willingness to imprint their existence in social turmoil and misfortune. Unfortunate factors including factional strife, dynasty fall and exile are different, but they are the same in that they provoked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while reminding people of disconnection from the world and death. Next, the self shaped in the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mostly frustrated or alienated from reality, and self-consciousness also showed confusion of identity and pessimistic mood. However, there were some writers who attempted to overcome reality by revealing their self-respect or individuality rather than being immersed in the helpless reality. Until now, it has been recognized that only a few works reflected on their dark past or actively expressed deep reflection on self and feelings such as sadness in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However, a new meaning can be given in that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reveals these trends. 본 연구는 지금까지 一國에만 머물러 있던 동아시아 자전문학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원에서 한․중․일 삼국의 자전문학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자전문학만의 개념과 특징을 보다 객관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자전문학은 17세기 이후 자전이나 자찬묘지명 이외 序文, 年譜, 筆記雜錄 같은 양식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자전이 등장하였고 서술 경향도 더욱 다채로워졌다. 본고는 이 시기 자전문학 성행의 원인으로 당대 치열하게 전개된 당쟁에 주목해보았다. 당시의 많은 사대부들은 연이은 정치적 환란 속에서 스스로 고립시킨 채 자전을 써 내려가며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키고 고독한 자의식을 표출하였다. 중국의 자전문학은 16세기부터 경제활동의 성행으로 시민의식이 성장하고 개성 중시의 문학론이 대두됨에 따라 다양한 인물의 자전이 창작되고 개인의 감정과 취향을 강조한 작품들이 등장하였다. 17세기에 이르러 왕조의 멸망이라는 큰 변화을 겪었지만 이전의 문학적 성과와 사상의 다변화는 여전히 계승되어 시대적 아픔을 담으면서도 개성적 자아를 부각시킨 작품이 다수 등장할 수 있었다. 일본의 경우, 17세기 전란의 종식으로 무인층이 몰락하고 주자학이 정착하는 상황에서 자전문학이 태동하였으며, 그 작자의식 면에서 유자와 무인의 복합적인 의식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양식적으로는 정통 한문 작품 외에 漢文과 和文을 함께 사용한 수필 형태의 자전이 출현하여 내면세계와 일상을 풍부하게 담아냈다. 17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자전문학은 창작 배경과 자아의 형상화 측면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창작 배경에서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은 사회적 혼란과 불우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가장 큰 동기로 작용하고 있다. 당쟁, 왕조멸망, 유배 등 불우 요인은 각기 다르지만, 그것이 세상으로부터 단절과 죽음을 상기시키면서 자전적 서사를 추동시킨 점은 동일하였다. 다음으로 동아시아 자전문학에서 형상화된 자아는 대체로 현실로부터 좌절하거나 소외된 자아가 많았고 자의식 역시 정체성의 혼란과 비관적 심사가 두드러진다. 하지만 무기력한 현실에 침잠되기보다 오히려 자존 의식이나 개성을 강하게 드러내면서 현실을 극복하고자 했던 문인들도 존재하였다. 지금까지 동아시아의 자전문학은 자신의 어두운 과거를 반추하거나 자아에 대한 깊은 성찰과 비애의 감정 등을 적극 표출한 작품이 드문 것으로 인식해왔다. 그러나 17세기 동아시아의 자전문학은 이와 같은 경향들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중인층 자전문학의 서술적 특징 연구

        박진성 ( Park Jin-su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2 No.-

        본고는 창작 주체에 주목하여 조선 후기 자전문학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 중인층의 자전문학을 대상으로 그 서술적 특징을 살폈다. 조선시대 중인층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하나의 신분층으로 입지를 다지고 경제적·문화적 토대를 구축하였지만, 사회 제도와 관습에 의해 신분상승이 제한되고 권력으로부터 소외를 겪었다. 이러한 환경은 중인층이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의식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중인층이 자신의 정체성과 자의식을 확립해가는 과정 속에서 자전문학이 본격 창작되었다. 사회적 모순 앞에서 중인층 문인들은 자전 창작을 통해 자기 존재 가치를 스스로 증명하면서 불만과 소외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중인층 자전문학의 서술적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자전문학의 대표적 양식인 자찬묘지명을 확인할 수 없고 그보다 전 양식의 自傳을 애호하였다. 일생동안 기릴만한 이력이나 공덕이 많지 않았던 중인층은 관력을 나열하고 격식을 따져야 하는 묘지명보다 보다 대중적인 양식으로서 유연한 서술이 가능한 전 양식을 애호하여 自傳을 지었다. 두 번째 특징은 글쓰기 방식과 작품 구성에 있어서 새로운 양상을 보이는 작품이 많다는 것이다. 정태진술과 과정진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의식세계의 변모를 선명히 보여준 崔奇男의 拙翁傳, 일반 자전과 달리 1인칭 시점에서 자기 일생을 직서한 柳最鎭의 自序傳, 필기잡록형 자전으로 지방 향리의 소시민적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金敬天의 『巽窩謾錄自序』, 자찬연보의 공적 서술 흐름에서 이탈하여 개인사의 기쁨과 슬픔을 모두 다루고 있는 馬聖鱗의 平生憂樂總錄이 대표적이다. 조선시대 취약 계층이라 할 수 있는 중인층의 자전문학을 통해서 창작 주체의 신분, 정치적 지위, 경제적 상황 같은 현실적 문제들이 자전문학의 유형이나 서술 방식이 결정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uthor’s group and studied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Descriptive features were discussed in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iddle class develope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o become a solid class. But the rise in status was limited by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and alienated from power. This environment has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middle class’ identification and self-consciousness. Their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ne’s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among the middle class. In the face of social contradictions, the writers of the middle class resolved their dissatisfaction and alienation by proving themselves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creation of autobiography. There are two main descriptive features of middle-clas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First, the representative form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 name of the Self-written epitaph(自撰墓誌銘), could not be confirmed, and the Autobiography(自傳) was favored. The middle class, who had no outstanding achievements throughout their lives, could change their narrative and preferred to create popular Autobiography(自傳). Because the name of the cemetery records official matters and values formalitie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re are many works that show a new aspect in the way they are written and composed. Choi Kinam(崔奇男)’s Jolongjeon(拙翁傳) which clearly showe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cious world by using a fixed narration and time process description methods, Yoo Choijin(柳最鎭)’s Jaseonjeon(自序傳) who wrote his life directly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and Kim Kyungcheon (金敬天)’s Sonwamanrokjaseo(巽窩謾錄自序) gives a detailed account of the lives of the middle class. Ma SeongLin(馬聖麟)’s PyeongseongUrakChongrok (平生憂樂總錄) deviated from the official description of the Self-Chronology (自撰年譜), he described both the joys and sorrows of the individual.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which is considered a vulnerable class during the Joseon Dynasty, shows that practical problems such as the status, political status,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creative entity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r method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 KCI등재

        자전문학 용어의 정립을 위한 시고(試考)

        박진성(Park, Jin-su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0 No.52

        본고는 한문학의 자기 일생 서술 작품을 지칭하는 개념어로서 ‘자전’과 ‘자전문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면서 그 타당성에 대해 논의해 본 것이다. 본고는 우선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자서전과 자전 용어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그 어원과 기본개념, 용례와 범주 등을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용어의 전통, 포용력과 융통성, 동아시아의 보편적 용례 등을 근거로 자서전보다 자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밝혔다. 이어서 최근에 확장되고 있는 자전의 영역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어로서 자기서사와 자전문학이라는 용어에 대해 고찰하였다. 자기서사는 자전을 비롯해 수필, 편지, 일기 등 자기를 대상으로 한 양식들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실상 자전적 글쓰기의 다른 표현에 지나지 않는 용어로서 자전의 개념과 유형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자전문학은 자전의 기본적 성격을 따르면서도 문학의 범주가 넓은 한문학의 특수성에 따라 여러 양식들을 포괄할 수 있기에 자전의 상위개념어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자전과 자서전이 같은 의미로 통용되고, 자서전을 문학텍스트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함을 고려하면 자전문학 용어는 현대문학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validity of the terms, “Auto-biography (自傳)” and “Autobiographical Literature (自傳文學)” and proposes to use them as conceptual terms for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of Chinese literature. First, w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compared its etymology, concepts, usage, and categories, using the words “Autobiography (自敍傳)” and “Auto-biography (自傳),” which are used most commonly by researchers. Thus, based on the tradition of terms, acceptability, flexibility, and universal usage in East Asia, we determined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use the word Auto-biography (自傳) than Autobiography (自敍傳). Next, we discussed the words “Self-Narrative (自己敍事)” and “Auto-biographical Literature,” both of which comprehensively refer to the various writing styles of the recently expanding autobiography. “Self-Narrati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ver all self-writing styles of Auto-biography (自傳), essays, letters, and diaries, but in reality, it is a different autobiographical writing style. Self-Narrative is an over-expanding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and type of auto-biography. However, “Autobiographical Literature (自傳文學)” follows the basic nature of Auto-biography(自傳)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ver various styles due to the wide literary nature of Chinese literature. Therefore, it is appropriate as an advanced term for Auto-biography (自傳). Moreover, the term Auto-biography(自傳)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modern Autobiography(自敍傳), and given the current tendency to understand autobiography as literary text, the term Autobiographical Literature(自傳文學) can be used sufficiently i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특집: 한국문집과 한학연구] 한중 문화의 교차적 이해 (2) : 심노숭(沈魯崇)의 자전문학(自傳文學)에 나타난 글쓰기 방식과 자아 형상

        정우봉 ( Woo Bong Ch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2 No.-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에 기원을 둔 서구의 자전문학은 서구 특유의 고유한 문학 양식으로 인식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동양문화권 내에서도 자전문학의 존재와 그 역사적 변화상에 대한 인식과 함께 그 연구 성과 또한 활발하게 제출되었다. 동아시아 문학사의 전통 속에서 자전문학이 어떠한 성격과 특징을 지니며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은 앞으로 해명해야 할 과제이다. 여기에서는 조선후기 자전문학의 중요한 성과를 평가될 수 있는 孝田 沈魯崇(1762-1837)의 사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심노숭은 자기의 삶을 서사화하는 데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그는 매우 상세하게 자신의 삶을 기록하였으며, 또한 다양한 형식을 활용함으로써 자전적 글쓰기의 실험을 모색했다. 심노숭은 자전적 글쓰기 방식에 있어서 장편 형태의 서술방식을 주로 선호했는데, 自撰 年譜 형식 이외에 주제별 분류 방식을 새롭게 채택하여 자기 삶을 다각적으로 증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심노숭은 사건과 행적을 단순히 나열하는 통상적인 자전문학의 서술 방식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내면과 심리를 진지하게 성찰했으며, 숨기고 싶은 비밀이나 자신의 결점과 단점까지도 스스럼없이 토로하였다. 주제별로 구획하여 자기를 이야기하는 방식은 종래 자전문학의 형식과는 매우 다르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심노숭의 자전문학에 나타난 자아상은 진실한 인간적 면모를 지닌다. 희노애락의 자기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하였으며, 자신의 과오와 결점을 드러내 보이고 이성에 관한 개인의 은밀한 욕망까지도 숨김없이 토로했다. 또한 불우한 문인지식인으로서의 자기 모습을 그려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당대의 시대 상황을 예리한 시선으로 증언하고자 하는 목격자의 모습을 띠기도 하였다. 미셸 푸코에 따르면 근대적 주체는 내밀한 욕망의 고백을 통해 진정한 자기를 인식하며, 동시에 고백을 통해 사회의 금기를 스스로 받아들임으로써 자기를 구축해나간다. 심노숭의 자아상은 그 같은 근대적 개인의 자기 고백을 향한 도정 위에 서 있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Sim No-sung. He was concerned about autobiographical writings. Sim No-sung made attempt to innovate new writing style in Jajeosilgi and Jajeoginyon. These two books is representative of his autobiographies. Jajeoginyon was arranged in a chronological order. This book was his own chronology. Jajeosilgi was unusual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is book was made up according to four topics. The topics was appearance, character, art and experience. This method of organizing was very unique attempt. And Sim No-sung expressed private and secret feelings, complicated mentalities and subjective desires in hi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He made attempt to write his own life with truthful narrative mode. It was similar to Rousseeau`s Les Confessions. It was a plain statement of fact without any coloring. He was tied up with self-censorship. Rather he refused self-censorship. First self image which was reflected in his autobiographical writings was human-like figures. He did not hide his human weaknesses, shortcomings and sexual desires. He was someone who admits his shortcomings. Second self image in his autobiographical writings was unsuccessful writer. In spite of his talents he has regarded him as an unfortunate intellectual. He did not get ahead in the world and he was sent into exile by his political rivals. He was exiled to a far-off land. And third self image in his autobiographical writings was an eyewitness. He has witnessed a realty of his age. He has described his times as an honest reporter. Jajeosilgi and Jajeoginyon is important texts withi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inner confession and feelings was well expressed in two books. The value of hi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characteristic self images and unique writing style.

      • KCI등재

        지류(支流)와 환류(還流): 자전문학(自傳文學)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자만시(自挽詩)

        임준철 ( Lim Jun Chu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6 No.-

        이 글은 자전문학의 관점에서 조선시대 자만시의 특성을 살핀 것이다. 자만시를 자전문학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느냐란 문제는 분명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문제다. 하지만, 현대 학계의 자전문학 규정 방식이나 동아시아 문학전통의 실상에 비추어 볼 때 자전문학과 자만시는 매우 가깝거나 동종의 문학양식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하지만 자만시는 다른 자전문학과 차이도 있다. 자만시에서 시적 화자인 `나` 와 죽은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나`는 시를 쓰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텍스트 내적 자아이지만, 그 가공의 내가 현실을 살아가는 `나`를 규정하고 만들어낸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시인의 삶과 자만시가 서로 맞물려 있다는 의미에서 자만시라는 글쓰기는 일종의 자기형상 창조라고 볼 수 있다. 이런 특성이 십분 발휘될 때 다른 자전문학에서 보기 힘든 복합적인 혼성(hybrid)의 자아가 형성되고 그것이 독특한 자아표현 방식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자만시는 동아시아 한문학사에서 자전문학이란 흐름 속에서 갈려 나온 支流이다. 하지만, 그 지류는 본류와는 다른 문학적 환경과 수사적 특성으로 인해 나름의 변화된 흐름을 형성하였다. 특히 남효온의 「자만 4장」과 후기에 들어 점증한 예외적 작품들은 조선시대 자만시의 還流的 성격을 잘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elegy poetry of the Joseon D 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re is disagreement am ong researchers regarding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can view self elegy poetry as a form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However, in light of contemporary scholars ` rules of defining literature and the traditions of Asian literatur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and self-elegy poetry can be regarded as a very near literary form. However, self-elegy poetry has its own way of self expression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forms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 author, "Me" and anothe r "me", who is set to be dead, are the egos inside the text, but these fictional "me "s can define and produce the "me" in the real world. When this characteristic is fully attained, a hybrid alter ego of self-elegy poetry is formed in a more complex form of hybrid than other forms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Self-elegy poetry is a kind of tributary divided from the mainstream of autobiogr aphical literature. At the same time, self-elegy poetry of the Joseon Dynasty also is a tributary of the main stream of self-elegy poetry tradition since Wei, Jin, Souther n and Nor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However, the tributary formed their own v aried streams due to differing currents and sources from that of the origin. In parti cular, Nam Hyo-on(南孝溫)`s work “Self-elegy Chapter 4(「自挽 4章」)”and the incre asing of these exceptional works represents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self-el egy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특징적 국면(Ⅱ) - 서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

        박진성 ( Park Jinsung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6

        본고는 기존 자전 양식의 변화와 새로운 양식의 출현에 주목하여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서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기존 자전 양식의 변화와 관련해서는 自傳과 自撰墓誌銘, 自序를 중심으로 기존의 정형성을 탈피한 새로운 글쓰기 양상을 고찰하였다. 자전은 정태진술과 과정진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거나 다자간의 문답을 통해 인물을 형상화하는 多元的 서술기법을 선보이는 등 새로운 서술방식이 삼국 공통으로 나타났다. 자찬묘지명은 중국과 일본에서 간결하면서도 인물의 개성을 드러내는 새로운 글쓰기가 시도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작자의 개성을 극대화시킨 傳奇같은 자서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17세기 각국에서 처음 출현한 자전 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자전적 自序와 自撰年譜, 필기잡록형 자전이 처음으로 등장하였으며, 일본에서는 자전과 자찬묘지명 등 한문학 자전 양식 외에 和文과 漢文을 혼용한 수필형태의 자전이 창작되었다. 중국에서도 壽序 형태의 자전과 2인칭 서술기법을 사용한 새로운 유형의 작품이 처음 등장하였으며, 회고록 형태의 자전적 소설이 창작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17세기 동아시아의 자전문학은 전통적 자전 양식의 변화와 새로운 자전 양식의 등장이라는 공통된 현상 속에서 양과 질적으로 한층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성장과 변화는 혼란한 시대적 상황과 문예사조의 변화, 자기 존재 가치의 증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것이다.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특징적 서술 양상은 18~19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변화와 발전에 밑바탕이 된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looks at the narrative style of 17th-century East Asian autobiography, noting the changes in existing autobiographical styles and the emergence of new ones. As for the changes in the existing autobiography style, we consider new writing methods that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orthodoxy, focusing on Autobiography(自傳), Own's epitaph(自撰墓誌銘), and Self-preface(自序). As a result, the autobiography showed the same new narrative style in the three countries, such as the combination of fixed and time-changing descriptions and the multi-faceted descriptive techniques that shape characters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from multiple people. In the case of Own's epitaph, new writing was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s personality in short sentences in China and Japan, and a Self-preface to maximize the author's personality appeared in China. Next, this paper looks at the first autobiographical form of appearance in each country during this period. In Korea, Autobiographical self-preface, Auto chronology(自撰年譜), and Pilgijaprok(筆記雜錄)-style autobiographies first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and in Japan, many Essay-style autobiographies using Japanese and Chinese characters were created in addition to classical autobiographies such as Autobiography and Own's epitaph. In China, a new type of work using Su-seo(壽序) style autobiography and second-person narrative techniques first appeared, and Autobiographical novels in the form of memoirs were created. As such, the 17th-century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further developed in quantity and quality amid the common phenomenon of changes in traditional autobiography styles and the emergence of new autobiography styles. This growth and change in East Asian autobiography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chaotic times, changes in literary trends, and proof of self-presence values. The characteristic narrative of the 17th-century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background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East Asi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 KCI우수등재

        베트남전쟁 체험 문학 연구 -1990〜2010년대 소설과 수필(수기)을 중심으로

        강소연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198

        We are in the times advocating for denuclearization and the termination of war as we pursue world peace and harmonious coexistence. Thus research on literature incorporating experiences from war may hold some positivity to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 as it reminds us the cruelty and misery of war.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ritten by Vietnam War veterans in the past three decades from the 1990s to the 2010s. The study purposefully sheds light on the less examined field of Korean war literature. Primary sources include autobiographical fiction written by 14 authors such as Kwon Oh-hyung, Kim Bum-sun, Kim Soo Hwan, Kim Chang-dong, Kim Hyun-jin, Kim Hee-sang, Moon Soo-bong, Moon Yong-duk, Seo Kyung- rim, Ahn Jeong-hyo, Lee Yoon-ki, Jung Gun-young, Jung Myung-seok, Ji yo-ha. There are also nonfiction primary sources that include essays and memoirs. Although formalism was the basic framework to thoroughly examine the texts, the author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war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nalyzing the texts. The work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novels, essays(memoirs), and a combination of both novels and essays(memoirs). For the case of novels, there were two major characteristics. First, is the narrative that seeks for healing and peace confronting the direct and indirect trauma from war in the process of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present and past. Second, is the narrative in which the authors seek to restore humanity by representing the ideal human being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war. In the case of essays(memoirs), which the authors wrote in freestyle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war, the works shared the commonality of personal reflection through deep contemplation on war and the human. In regard to the composition, there were two types. First, is the composition that combines poetry and prose that contains the content of combat experience and the interpretation of war. Second, is a journal-type composition written in chronological order.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works that were difficult to define its genre as both non-fictional and fictional elements were interwoven. Although these writers had participated as soldiers around the similar time, the works do not necessarily follow the official records of the Vietnam War and their current perceptions are revealed differently. Therefore, these literary works are diverse, and not only do they fill the void in Korean historic war literature but also less known authors were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in a couple of works that lacked in achieving verisimilitude due to the insufficient detail and coherence in the writing. The average age of these writers who had participated in Vietnam War are in their 70s to 80s. Considering that there is not much time left for them to present their war experiences as literary works, this study holds meaning as a mid-survey study on war literature of the Vietnam War generation. It will serve as a concrete basis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the Vietnam War and the process of the writers’ changing consciousness. 전 세계가 공존과 화합을 위해 비핵화, 종전(終戰) 등을 논의해 가는 시대적 흐름을 생각할 때, 전쟁 체험을 소재로 한 문학 연구는 전쟁의 비극성을 환기함으로써 공론의 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그래서 본고는 한국 전쟁문학사에서 후속 연구 과제로 남아 있던 범주의 작품들을 고찰하고자, 최근 30년간(1990〜2010년대) 발표된 베트남전쟁 체험 문학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참전 문인 14인(권오형, 김범선, 김수환, 김창동, 김현진, 김희상, 문수봉, 문용덕, 서경림, 안정효, 이윤기, 정건영, 정명석, 지요하)의 소설과 수필(수기, 회고록 포함) 작품을 살펴보았다. 텍스트에 충실한 연구를 위해 형식주의 방법으로 접근하되, 작가의 참전 이력을 참고하면서 작품을 분석하였고, 그 특징은 소설의 양상, 수필(수기)의 양상, 소설과 수필의 경계를 넘나드는 양상으로 분류되었다. 소설의 양상은 두 가지로, 첫 번째는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전쟁이 직간접적으로 남긴 상처들을 마주함으로써 치유를 모색하는 서사이고, 두 번째는 전쟁 당시를 재현하는 가운데 전장의 표상을 형상화함으로써 인간성 회복을 지향하는 서사이다. 수필(수기)의 양상은 개인 참전 일지를 토대로 자유로운 글쓰기를 선보이면서, 전쟁과 인간에 대한 사유를 통해 자기반성을 드러내는 것이 공통점이다. 구성 면에서 대별해 보면, 첫 번째는 전투 체험과 전쟁 해석이 담긴 산문에다 시를 섞은 구성이고, 두 번째는 시간(날짜) 순으로 서술한 일기식 구성이다. 한편, 논픽션과 픽션이 섞여 하나의 장르로 규정하기 어려운 작품들도 있었다. 모두 비슷한 시기에 군인으로 참전했던 작가들이지만, 베트남전쟁의 공식 기억에 전적으로 기대지 않고 현재적 인식은 각기 다르게 표출한다. 그만큼 다양한 문학적 성과물로 이어졌고, 이는 한국문학사에서 전쟁문학 부문의 빈자리를 채울 뿐 아니라 그동안 크게 알려지지 않았던 작가들까지 발굴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몇 작품이 문학적 재구성의 미흡함으로 인해 작품의 완성도 면에서 아쉬움을 남긴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베트남전 참전 세대 작가군의 현재 평균 연령을 70〜80대로 어림잡아 볼 때, 직접 체험을 서술하여 문학적 성과로 내놓을 수 있는 기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베트남전 참전 세대의 전쟁문학을 문학사적으로 체계화하는 데 있어 중반기 결산의 의의가 있다. 시대에 따른 베트남전쟁의 재현 방식과 작가 의식의 변모 과정을 고찰하는 데 구체적인 근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나르시시즘의 거울 만들기로서의 이광수의 자전적 글쓰기

        정홍섭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7

        This treatise is the successive work of the previous one which confirmed that narcissism and autobiographical writing is one of the important essence of Lee Gwang-su’s literature and it is a proper method for understanding Lee Gwang-su’s literature to grasp the relation of the two element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m in the relation. Succeeding the previous work which scrutinized the rel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narcissism and the biographical writing of Lee Gwang-su’s literature before and after Lee Gwang-su’s meeting with Tosan, this treatise considered what changes and continuity of the narcissism Lee Gwang-su’s autobiographical writing shows before and after Tosan’s death. As with the previous period, in the period this treatise treated, we can find the ‘narcissism of the leader of his people’ in his autobiographical writing. But the narcissism demonstrates significant changes as well as continuity before and after Tosan’s death and when the Liberation came after Lee Gwang-su had led pro-Japanese activities. The works which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period and the latter one are His Autobiography and “Obscurity”‧“The Record of Selling the House”, and The Stone Pillow‧My Confess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person who cast a long shadow to Lee Gwang-su’s life and (autobiographical)writing no less than Tosan is Tanjae Shin Chae-ho. His influence can be found in many works of Lee gwang-su, but the fact that Tanjae’s death like that of Tosan impacted greatly on Lee Gwang-su’s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the narcissism in it can be found most distinctly in His Autobiography. Lee Gwang-su wanted the late Tanjae as well as the late Tosan to ratify the justice of his life and deeds represented through his narcissism. That intention is clearly found also in My Confession which he wrote in the turbulent situation after the Liberation. 이 논문은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성격의 글쓰기가 춘원 이광수 문학의 한 가지 중요한 본질이며 이 양자의 연관성과 그 연관성 속에서의 양자의 변화 과정을 포착하는 것이 춘원 문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적절한 방법임을 확인한 이전 논문의 후속 작업이다. 춘원 이광수와 도산 안창호와의 만남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후 시기 춘원 이광수 문학의 나르시시즘과 자전적 글쓰기의 연관성과 변화 양상을 살펴본 이전 논문의 작업에 이어서, 본고에서는 도산의 죽음을 전후로 하여 이광수의 자전적 글쓰기에서 나르시시즘이 어떤 변화와 연속성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본고에서 살핀 시기에도 이광수의 ‘민족의 지도자 나르시시즘’은 계속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도산의 죽음 이전과 이후에, 그리고 도산이 죽고 나서 이광수가 친일에 앞장서고 해방을 맞이한 뒤에 자전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나르시시즘은 연속성과 함께 중요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전자와 후자의 시기의 그러한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이 각각 『그의 자서전』과 「무명」·「육장기」, 그리고 『돌베개』·『나의 고백』 등이다. 한편 도산 못지않게 이광수의 삶과 (자전적)글쓰기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 단재 신채호다. 그 영향은 이광수의 여러 글에서 발견되지만, 도산의 죽음과 마찬가지로 단재의 죽음이 이광수의 자전적 글쓰기와 그 속에 담긴 그의 나르시시즘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그의 자서전』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도산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죽은 단재를 통해서도 그는 예의 나르시시즘으로 표현된바 자신의 삶의 행적의 정당성을 추인받고자 했다. 이러한 의도는 해방 이후의 격변하는 상황에서 쓴 『나의 고백』에서도 여실히 나타난다.

      • KCI등재

        김소진 문학의 기원과 분단문학의 문화사적 전환

        임유경 ( Lim Yu-ky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6

        이 논문의 목적은 김소진 문학의 중요한 토대가 된 자전적 경험의 의미와 작가가 가졌던 글쓰기의 욕망을 탐문함으로써 그의 작품들이 자기 소설의 기원을 탐색하는 수행적 글쓰기이자 분단문학의 전환을 보여주는 한 징후로서 해석될 수 있음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은 김소진의 소설과 산문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작가가 아버지를 매개로 자신의 문학적 기원을 형성해나가던 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작가의 개인사적 맥락에서 소설 창작행위가 가졌던 의미를 살펴보는 한편, ‘분단문학’이라는 문학사적 흐름 속에서 김소진의 작품이 갖는 위상과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김소진의 작품들은 그가 당시 작가로서 대면하고 있던 창작상의 고민과 이를 둘러싸고 있던 문제적 상황들을 보여주는 알레고리로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그간 서로 다른 맥락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지던 김소진의 작품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1990년대에 창작활동을 시작한 김소진은 ‘자전적 경험’(자전적 소설)과 ‘현장 취재’(취재형 소설)에 기반을 둔 작품들을 창작하며 그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형성해나간 바 있다. 이때 두 경향은 작가의 특정한 문제의식을 공통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특징에 착목하여 김소진의 작품을 분석하는 일은 ‘기자’이면서 소설가가 되고자 했고, ‘소설가’로서 기자의 소임에 대해 생각했던 작가 김소진이 어떠한 문학적 지향에 기반을 두고 글쓰기를 지속해나갔는지를 규명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 나아가 이는 김소진의 소설이 갖는 문학사적 의미를 분단문학의 계보 안에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김소진의 출현이 문화사적 전환의 한 징후로서 독해될 수 있음을 논증하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and the creative methodology of realism, which have become the important foundation of Kim So-jin’s literature, to demonstrate that his works can be re-read as meta-fiction. In other words, this paper focuses on Kim So-jin’s novels and prose to explor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his literary origin through his father,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novel writing in his personal histor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analyzes the importance of Kim So-jin’s novel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division literature. Kim So-jin’s works need to be reinterpreted as an allegory that shows the problems he faced as a novelist and various related situations. This attemp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a comprehensive review of Kim So-jin’s works, which were treated individually in different contexts. In other words, Kim So-jin, who started his career in the 1990s, has formed his own unique literary world by creating works based on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autobiographical fiction) and field work (journalistic fiction). In this manner, the two different trends we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in that they had a common reflection of the author’s literary interests. Analyzing Kim So-jin’s work on this basis will be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literary orientation of Kim So-jin as a journalist who wanted to become a novelist and also a novelist who thought about journalist’s role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is attempt illuminates the literary meaning of Kim So-jin’s novel in the context of division literature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argue that Kim So-jin’s appearance can be read as a symptom of the transition of literary history in the 1990s.

      • KCI등재

        고독의 위치: 폭력과 저항의 유착(流着): 한센인 노석현에 기대어

        한순미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6 No.-

        노석현(盧碩賢)은 심숭(沈崧)에서 한하운(韓何雲)으로 이어지는 한국 한센인 문학 계보에서 간과할 수 없는 주요한 인물이다. 그 중에서 이 글에서는 그의 소설 「파도에 멍든 바위」(『새빛』, 1968.11∼1970.5)와 창작집 『몇 개의 고독』(1971)에 실린 단편소설들과 방송극 「그릴수 없는 여울소리」, 그리고 소설 「스물아홉 해의 고독」(『새빛』, 1977.1∼1978.12)을 교차하면서 독해하였다. 이 작품들은 한 작가가 쓴 것들인 데도 서로 다른 성격과 분위기를 보이고 있는 점에서 흥미롭게 다가온다. 특히 노석현이 한센병 환자로서의 자신의 질병체험과 요양소 생활을 수기 혹은 투병기와 같은 글이 아니라 허구적 성격이 짙은 ‘문학’이라는 장르에 담은 것은 관심을 자극한다. 그는 왜 ‘문학’을 선택했던 것일까? 그는 문학을 통해 자기 자신을 어떻게 말하고 / 쓰고 있는가? 아니, ‘무엇’이 그에게 말하지 / 쓰지 않을 수 없게 한 것일까? 그에게 ‘문학’이란 대체 무엇인가? 아울러 노석현의 문학작품 속의 화자나 주인공들은 실제 작가와 관련이 없어 보이는 경우도 많다. 그는 왜 실제의 ‘나’와 작품 속의 ‘나’를 다르게 설정한 것일까? 그는 왜 그렇게 해야만 했던 것일까? 그것은 자기를 말하는 / 쓰는 방식과 연관되는 문제인데, 나는 노석현이 설정한 그런 말하기 / 쓰기의 장소를 도미야마 이치로가 폭력을 둘러싼 언어표현에서 폭력을 감지하고 폭력에 저항하는 가능성을 확보하려 한 방법을 빌려 사유하고, 유착(流着)의 사상으로 오키나와의 문제를 논의한 것을 그의 글쓰기의 위치를 가늠하는 자리로 견인하려 하였다. 또한, 이 말하기 / 쓰기의 장소를 나는 노석현의 작품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고독”, “질병”, “사랑”, “가면”에 관한 단상들과 함께 다가서고자 했다. 단상들은 노석현의 문학적 사유를 전개하는 핵심적 방법론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그에게 문학이라는 행위, 즉 사회적 타자의 위치에서 자기 자신을 말하고 쓴다는 것, 달리 말해 문학이라는 장르를 통해 자기 자신을 설명한다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를 지닌 것이었는지를 읽고자 했다. 후기 소설로 갈수록 자신의 얼굴을 숨김없이 드러내는 “체험”을 기록하는 대신에 “가면”에 대한 사유가 빈번하게 나오는 것을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다. 그의 소설에서 가면이 소설 전체의 은유적 상징으로 전면화 되고 있는 것, 나병 환자가 희미하게 등장하고 있는 것은 자기 자신의 체험을 마치 다른 사람의 이야기인 것처럼 쓸 수밖에 없었던 그의 고독한 위치와도 무관하지 않게 여겨진다. 환자라는 사실을 숨기지 않고 노출하라는 나병 관리 정책의 요청과 다르게, 노석현의 소설은 계몽의 빛이 환해질수록 자신의 얼굴을 드러내지 않았던 / 못했던 것이다. 노석현에게 문학은 계몽의 밝은빛 아래로 자신의 고통과 아픔을 드러내는 것을 주저하면서 폭력적 상황에 저항하는 몸부림의 말이었다. 이 글은 심숭-한하운-노석현으로 이어지는 한국 한센인 문학 계보를 자전적 체험을 말하는 / 쓰는 방식에 있어서의 변별적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데에 또 하나의 목적을 두고 출발하였다. 앞으로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한센인들이 남긴 다양한 서사체들을 어떻게 읽어나갈 것인가이다. 구술사와 인문의학, 질병체험 서사 등 다각도의 연구들이 진척된다면 소수적 타자들의 자전서사를 접근하는 방식 ... Noh Seok-hyun(盧碩賢) is a major figure who cannot be ignored in the genealogy of Korean leper literature from Shim Soong(沈崧) to Han Ha-un(韓何雲). This study tried cross reading of his novels, “Bruised Rock by Waves”(The Vision, 1968.11∼1970.5), short stories in the story collection called 『A few Solitudes』(1971), broadcast play, “Unpaintable Sound of Rapids”, and novel “Twenty-nine Years of Solitude”(The Vision, 1977.1∼1978.12). The works are quite interesting in that they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moods in spite of being written by the same writer. Especially, it is much noticeable that as a leper he showed his disease and life in the leprosarium in a way of ‘literature’ of fictional genre, not an autobiography or story about struggling against leprosy. Why did he choose the ‘literature’? What and how is he saying/writing about himself through the literature? No, ‘What’ made him have to say/write in that way? Truly what is ‘literature’ for him? The narrators or main characters in his literary works often seem to have nothing to do with his reality. Why did he set ‘I, myself’ different from real ‘I, myself’ in his works? What made him have to do that? It is correlated with the way of saying/writing about himself. I reviewed the positioning of his way of saying/writing by relating to Tomiyama Ichiro(富山一郞)’s way that detects violence in linguistic expressions surrounding that and secures resistance against the violence, and used Tomiyama Ichiro’s discussion on Okinawa Problem through Ryuchaku(流着) thought to see of Noh’s positioning of writing. I tried approaching the positioning of Noh Seok-hyun’s saying/writing with the ideas such as “solitude”, “disease”, “love”, and “mask” which are often shown in his works. The ideas can be said as his essential methodology to develop his literary thinking. By analysing them, we can read what is for him the activity of writing, that is, saying or writing about himself from a view of the others’ or describing himself through the genre of fictional literature. It is notable that in his later novels, thinking of ‘mask’ often appears instead of recording his ‘experience’ showing himself frankly. We can see that a mask as a metaphorical symbol appearing in the whole story and vague appearance of a leper is somewhat related to his position in solitude letting him describe his own experience like others’. Contrary to the request from the policy of leprosy management to show himself as a leprosy patient, the more enlightening the policy got, the more his novels did not/could not show his real look. For him, literature is the language of his struggle against the violent situation, hesitating to reveal his pain and hurt in the light of enlightenment. This study started with a purpose to show a distinctive difference in the way of saying/writing autobiographical experience in the genealogy of Korean leper literature which runs from Shim Soong and Han Ha-un to Noh Seok-hyun. Now what we should do is how to read various narratives handed down from those who had Hansen’s diseas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quite a little change in the way of approach to autobiographical narratives written by the minority and others if we develop multi-view researches such as oral history, medical humanities, narratives of illness experience, etc. This study expects the future, slightly leaning on writer Noh Seok-hyun as a leprosy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