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재현적 주체의 죽음과 탈주의 욕망 : 이청준의 예술관을 검토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 The Basic Consideration of Lee Chung-jun’s Viewpoint of Art

        한순미 국어국문학회 2004 국어국문학 Vol.- No.136

        This thesis considers the attitudes of modern asthetics with Lee Chung-jun's work, <비화밀교>, <이어도>, <시간의 문> to ascertain his viewpoint of art. And it manifests his viewpoints made up with speculation upon the essential issue of modern esthetics. His reflectional skepticism on the modern representationalism proved in his resonable concerning about the basis of esthetics of the novel and the novelist itself, with the question ‘How&what to write’. And then, he depicts the contradiction and conflicts between the willing to include the invisible world and the representates with novel's language by novel as a form and life-accepting the fate. Hence, his novelistic subject always perceives death and sometimes pursuits the space-time of flight, the figulation of the space appears as the sea. This thesis makes a fresh viewpoints of his novel. His work has a foundation on the doubt about the boundary of the ‘realism/modernism’, not on the binary opposing between them. It is his radical principle that he examines the evelopment of both tributary stream, not the relative superiority. So, the trial judge his working binary is merely a attirition. It should be the discovery of his post-modern thinking and methodology with detailed consideration upon his thought about the boundary of the modern esthetic itself.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에서의 ‘어머니’ 표상과 ‘희생’ 서사

        한순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0

        To read mother's sacrificial love, we can date back to 1960's and start from researching the root of Korean culture since 1960's in the historical context. Right after 4.19 Revolution, the mothers of victims in April showed their dedicated “Sacrifice” and unconditional “love”, which ware raised as the appellation of ‘Loftiness’ in the rhetoric logic. Mother called out of the family became a major footstone able to decide the fortune of people and country under the name of ‘Revolution and Health.’ Such mother is like an asexual existence with female signs removed. In other way, a mother story shown in Han Seung-won's and Lee Cheong-jun's novel is full of ‘sufferings and oppression’ This mother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ation of “lofty sacrifice” above mentioned. Literary works are the texts of persecution testifying that the oppression, sacrifice, and Han(tears & regrets) of mother are connected with historical trauma. There needs careful interpretation because in the works, the narration of mother's sacrifice implies the motive of traditional legends such as ‘The Baby General’ and ‘Baritegi’ in their structure. Through this, we can pose a question: Isn't mother's sacrifice a continuously required thing over the traditional and modern difference. The “name” of mother was the sign of sacrifice extremely “discriminating” historical trauma, experiencing Japanese occupation, division of country, civil war, 4.19 Revolution, dictatorship of the Yushin Regime, and 5.18 Gwanju Uprising. They are “the names” representing numerous souls sacrificed by history under “the name of moral obligation” using rhetoric instead of the name of violence. 이 글은 어머니의 희생적인 사랑을 엿보기 위해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 60년대 이후 한국문화의 지층을 역사적 맥락에서 살피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4.19혁명 직후, 4월 희생자의 ‘어머니’는 ‘숭고’한 대상으로 호명된다. 가족의 바깥으로 호출된 어머니는 ‘혁명과 건강’의 구호 아래 민족과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주요한 초석이 된다. 그 어머니는 여성의 표지가 삭제된 무성(無性)의 존재이다. 한편, 한승원과 이청준의 소설에 등장하는 어머니 이야기는 ‘수난과 박해’로 가득 차 있다. 이것은 앞서 말한 ‘숭고한 희생’으로 표상된 어머니와 차이가 있다. 문학작품은 어머니의 수난, 희생, 그리고 한(恨)의 정서가 역사적 트라우마(trauma)와 맞물려 있다는 것을 증언하는 ‘박해의 텍스트(textes de persécution)’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소설에 등장하는 어머니의 희생 서사가 전통설화 ‘아기장수’와 ‘바리데기’의 모티프를 구조적으로 내재하고 있는 점은 각별하게 해석될 부분이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희생은 전통과 현대의 시공간적 차이를 넘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온 것은 아닌가라는 물음을 제기할 수 있다. 일제 식민지배, 분단, 전쟁, 유신독재, 광주의 오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어머니는 역사적 트라우마의 흔적을 가장 극단적으로 ‘구별’해주는 희생의 표지였다. 어머니는 역사적 폭력이 희생시킨 수많은 넋들을 ‘대표’하는 이름이었다.

      • KCI등재

        역사적 물음을 구조화하는 이미지의 위상학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한순미 현대문학이론학회 200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39

        This study addresses the way mythological images profoundly organize historical inquiries through examinations of Island Embracing Mythology by Lee Chung-jun. For the historical inquiries, the mythological images laid in this novel play crucial role as a midway toward unraveling. Island unties the knot. Embracing Mythology does not represent the April third resistance directly but looks for the way to heal, pondering the fundamental origin of historical knot such as April third resistance by focusing on the memories of descendants. Throughout this procedure the myth, legend and shamanism contribute to organize and resolve the historical inquiries as being image symbols in this novel. Island Embracing Mythology devises three images as aesthetic structu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 historical memory of the April third resistance and enhance the possibility of resolution. It places the April third resistance as a image of knot which requires a process of untie and a link of memories held by three characters, Jung Yo-sun, Chu Man-woo, and Go Jong-min.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resolution by shamanist exorcism, worship toward snakes and Young gae ul rim, it presents interactive reconciliation by Flower of life of Samseung Halmang. The stream of this novel dramatizes the origin of historical knot through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and scrutiny on the way of resolution by revived chance of healing. The image of Jeju island is described as a cave for ritual to be refreshed chance of reconciliation not to end up the process which

      • KCI등재후보

        소설 속의 지명과 감성지도- 지명 연구와 문학 연구의 접점을 기대하며 -

        한순미 한국지명학회 2013 지명학 Vol.19 No.-

        A place name is not a fossilized substance, but transformed or generated letters by getting new historical contexts added to. A place name chang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emotion, arousing long historical memory. Place names shown in literature imply rich contexts of how a place name passed down was transformed or generated, which leads us to understanding the richer inside of local literature. Why writers read a place name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meaning and think of that in their own way of thinking? In what kind of context, they select a specific place name as a main space for their novel, and ultimately what they want to say through the space in their works? We can find the memory and traces of historical culture in the process that the writers reinterpret a place name. Writers have their own way of thinking about place names. Each writer interprets the same natural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condi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thought, and esthetic attitude. For example, we can see an interesting case; Song Ki-suk, Han Seung-won, and Lee Chung-jun were all born in the same village named Jangheung, but they thought of the place names in Honam region in different structure of emotion, which shows their different emotional mapping. A place name in literature is expected to be a medium that we can review each writer’s geographical sense, historical consciousness, emotional structure, and further changing patterns of local identity. Following-on researches on local literature through place names would be a good opportunity for the researchers to look into the inside of local literature. It is a good answer to why a study on local literature is significant today. ‘A study on literature through a place name’ would be a good starting point of the purpose. 지명은 화석화된 실체가 아니라 새로운 역사적 맥락이 추가되면서 변형 혹은 생성된다. 지명은 두꺼운 역사 기억을 환기시키면서 시대의 흐름과 감성에 따라 변화한다. 문학 속의 지명은 전래의 지명이 어떻게 변형 혹은 생성되어 왔는지에 대한 풍부한 맥락을 거느리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문학의 내면은 더욱 풍부해진다. 작가들은 왜 지명을 본래의 뜻과 다르게 새겨 읽고 나름의 독특한 방식으로 사유하는가. 작가들은 어떤 맥락에서 특정한 지명을 소설의 주요 공간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그것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작가들이 지명을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역사문화의 기억과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작가들이 지명을 사유하는 방식은 같지 않다. 작가들은 경험과 사유, 미적 태도의 차이에 따라 동일한 자연환경과 지리적 조건을 다르게 해석하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작가 송기숙, 한승원, 이청준은 모두 장흥에서 태어났지만 남도의 지명을 제각기 다른 감성구조로 사유한다. 이에 따라 다른 감성지도가 그려진다. 문학 속의 지명은 작가의 지리감각, 역사의식, 감성구조, 나아가 지역적 정체성의 변모 양상 등을 살필 수 있는 매개점이 되리라 기대한다. 앞으로 지명을 통한 지역문학 연구가 진척된다면, 지역문학의 내면을 한층 잘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왜 지금 우리 시대에 지역문학 연구가 의미 있는 일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기도 하다. 그 시작점의 하나로 ‘지명을 통한 문학 연구’를 우선 들고 싶다.

      • KCI등재

        아동의 수학적 문제해결에서 부모의 비계 설정

        한순미 한국초등교육학회 1997 초등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자연 사태에서 관찰된 사례를 통해 부모가 아동의 학습에 어떻게 비계를 설정하는지 살펴보면서 아동의 학습을 증진시키고 발달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비계설정의 조건을 발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효과적인 비계설정은 '아동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과제를 선정하여 아동에게 적절한 조절을 제공하는 것'으로 규정하게 되었다. '아동 발달수준에 적합한 과제'란 아동이 그의 근접발달대 내에서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는 과제를 말한다. '적절한 조절을 제공한다는 것'은 아동이 이해할 수 있는 말로 문제를 정의해주기, 어려운 과제에 대해서는 부분적인 해결을 유도하기, 쉬운 과제는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증가시키기,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식 및 인지전략을 가르쳐주기, 공동활동 중 따뜻하게 반응하기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devised to examine parental scaffolding through parent-child interaction in a child'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to find the effective conditions of scaffolding. As the result, effective scaffolding was defined as to select tasks matching her/his developmental level and to provide proper regulations. Tasks matching the developmental level of a child mean the tasks which a child can solve under the guidance of an adult in her/hi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Providing proper regulations are as follows: defining a problem in the words which a child can understand, inducing partial solving of difficult tasks, increasing systematically difficulties in the case of easy tasks, teaching knowledges and cognitive strategies necessary to solve tasks, and responding warmly during collaboration.

      • KCI등재

        국가폭력과 사랑/연애 서사 - 해방 이후 박화성 소설에서 역사적 재난들과 역사의식의 변화

        한순미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8

        이 글에서는 해방 이후 연이어 일어난 제주4 ․ 3, 6 ․ 25한국전쟁, 4 ․ 19혁명 등 역사적 재난들을 주요한 배경으로 삼은 박화성의 소설에서 국가폭력의 경험과 기억을 서사화하는 방식에 주목해 역사의식의 변화를 읽어볼 것이다. 아울러 이 글에서는 해방 이후 박화성 소설에서는 왜 국가폭력의 경험과 기억을 다루면서 사랑/연애의 서사를 동반하고 있는지를 질문한다. 장편 『사랑』(1956∼1957), 장편 『태양은 날로 새롭다』(1960∼1961), 장편 『거리에는 바람이』(1963∼1964)와 단편 <활화산>(1949)/<휴화산>(1973)에는 “사랑”, “생명”, “태양” 등과 같은 상징들을 비롯해 “새 세대”, “미래”, “조국” 등의 표지들이 자주 등장한다. 그것은 ‘사랑’의 의미를 탐색하는 여정과 관련이 있다. 해방 이후 박화성 소설에서 남녀 간의 연애를 통해 전개되는 사랑은 “생명”, “조국” 등과 연접해 “지식”과 “실천”의 가치로 구축된다. 『사랑』에서 용서를 전제한 사랑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학문과 사상, 관념이 변화하듯이 “새 세대”와 “인간세계”에서 살기 위해서 요청된 것이다. 그런데 “우리들의 세대”를 향한 열망이 투영된 ‘사랑의 입체상’에서는 과거의 기억을 빠르게 망각하고 미래세대를 향해 나아가려는 속도감이 느껴진다. 역사 속의 희생과 죽음을 충분히 애도하고 기억하는 대신에 미래세대를 향한 “생명”이 중요한 가치로 부상한다. 장편 『거리에는 바람이』와 장편 『태양은 날로 새롭다』에서 “4 ․ 19의 거리”에서 만난 사랑은 “새 세대”를 설계하고 “건축”하는 힘으로 요청된다. 역사적 재난으로 인한 복수와 원한, 증오의 감정은 점차 조국과 국가를 향한 사랑으로 흡수되어 간다. 동시대 작가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해방 이후 박화성 소설에서 사랑/연애 서사가 견인한 방향이 지닌 의미와 한계를 읽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불이정신의 다층적 계승과 주변부 지식인상의 모색 —소설 『도선비기』와 『초의』를 중심으로—

        한순미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8 호남학 Vol.0 No.4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o Sun Bi Gi> and <Cho Eui> in aspect of their literary representing Do Son and Cho Eui. Primarily, it is not a detailed analysis of literary text, but rather a searching of Buddhist figure who corresponds and intends the history of “Now and here”. Literary description specifies Do Sun and Cho Eui not by transcribing their figure but recomposing them along the writer’s recognition (in smaller aspect) and demands of the time(in larger aspect). The inevitable difference between historical fact and literary interpretation is what above all I have focused on. These novels, <Do Sun Bi Gi> and <Cho Eui> reconsider the general estimation on their main characters and make a modern approach to the originality of Pung Su and Da Sun Il Yu. It is the very significance of literary endeavor to re-excavate these traces from encrusted layer of the hours, and lay contemporary comprehension for this mark of spiritual history. Despite the interval of time between these works, both describe practical notion of Zen prominently so that they irradiate the subjective facet of Pung Su and Da Do. These are expressions of a thirst for practical notion that is still valid in the context of Korean modern history flowing through Gwangju Uprising. The non-dualistic idea which Do Sun and Cho Eui intend is not a passive reconciliation that combines one another. It extends over a balanced development based on ecologic idea that regards the earth and the human being as not separated things. It also reaches to the reconsideration on traditional culture by subjective culture-acceptance and art theory like Hak Yae Il Chi. Thus, Do Sun and Cho Eui are located as representative marginal intellectuals who deserve upholding of our generation. In other words, they are ideal intellectuals, leading the center with future- perspectives and crossing the boundary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Basically the meaning of <Do Sun Bi Gi> and <Cho Eui>is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the Buddhist theory of Do Sun and Cho Eui being general discourse beyond the Honam localizing. This is what exists as a drawn strain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nd task should be coped with cooperatively. 이 글에서는 ‘도선’과 ‘초의’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소설 『도선비기』와 『초의』를 읽어보았다. 『도선비기』와 『초의』는 도선과 초의에 관한 기존의 평가와 견해들을 재고하고, 도선의 선풍수(禪風水)와 초의의 다선일여(茶禪一如) 사상이 갖는 독창성을 현대적인 맥락으로 확장하여 숙고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그들의 사상적 자취와 흔적을 역사의 깊숙한 지층에 방치하지 않고 다시 되새겨야 할 정신사의 지표로서 재발굴한다. 도선과 초의는 ‘선(禪)’의 실천정신을 강조하는 불이(不二)정신에 기반하여 풍수지리사상과 차 문화를 독창적인 방식으로 체계화했다. 땅과 몸이 하나라는 생태적인 인식을 담고 있는 도선의 풍수지리사상, 무조건적인 모방이 아니라 주체적인 문화수용을 통한 전통적인 차 문화를 정립한 초의의 다도정신과 학예일치의 태도, 그리고 독창적인 예술론은 모두 실천정신이 깃든 불이사상에 기초한 것으로, 소설 『도선비기』와 『초의』는 이러한 불교적 사상과 전통을 현재의 맥락으로 불러와 다층적으로 계승할 방향을 열어보이고 있다. 또 우리 시대가 계승해야 할 지식인의 표상, 즉 중심부를 견인하는 미래적 전망을 갖추고 종교, 학문, 예술 등 다양한 영역을 분방하게 넘나드는 지식인상(像)을 주변부 불교인물로부터 자리매김한다. 아울러 소설 『도선비기』와 『초의』가 지닌 의미는 도선과 초의의 불교정신을 호남이라는 지역성에 국한시키지 않고 보편적인 담론으로 제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