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린 아시아, 닫힌 민족주의

        강내영(Kang, Nae Young) 한국영화학회 2011 영화연구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nter-Asian Film Community’. This study announce a statement, which is 〈Globalism and Localism of East Asian Films〉 at the ‘Busan Cinema Forum’ in the 16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is study will discuss four points to explore ‘Asian film community’. Firstly, will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exchanges and reception of the Korean film study in Asia through statistical reports. Secondly, will provide an analysis of Korean films, image formation in Asian films, and possibilities of film community. Thirdly, categorizing and analyzing Asian film exchanges, which are ‘Market-friendly film’, ‘governmentalist film’, ‘Natural-occurrence’, Fouthly, provide realistic alternatives for ‘Asian film community’. There are obvious obstacles that hinder the formation of Asian community through film, which are nationalism, historical debates, territorial problem, cultural conflicts, unbalanced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The Asian film community faces many obstacles: government and patriotism intervene where cultural actions areneeded, ethnic nationalism intrudes where cultural tolerance is necessary, and regulation is rampant in places where cultural freedom should be prominent. I’d like to offer a few specific ideas to realize the ‘Asian film community’. Firstly, need to advance toward the more joint productions. Secondly, need to invigorate the exchange programs, starting with the Asian film festivals. Thirdly, need to academic exchange programs in Asia, which are jointly developing a curriculum on Asian film history, researching the theory of traditional Asian aesthetics, establishing joint degree programs, etc. The ‘Asian film community’ is a cultural community that transcends different political system,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races, nationality, etc, and aspires toward mutual respect, equality, and peace. It is political reflction that acknowledges to surpass the issues of political system and natioanal-state. And, it is a cultural realization that affirms the influences of market system, yet focuses on the cultural essence. It is an open space for discussing diversity, which refuses a homogenous cultural identity and community, and it is a democratic action, initiated by those who enjoy film instead of government or elite intellectuals.

      • KCI등재

        Dilemmas in the Formation of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Developing Theoretical Propositions

        심원필 동아인문학회 2014 동아인문학 Vol.29 No.-

        Despite their functional integration through markets, the trade powers of Northeast Asia, China, Japan and Korea(CJK) have not yet had an opportunity for an institutionalized economic integration.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besides its importance in the establishment of an 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is a necessity to share the benefits of the regionalism that has been progressing rapidly along with globalization, and th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acknowledge this. Accordingly,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is a justifiable concept. But, the first dilemma here is the heterogeneity of national and regional identities in the countries comprising Northeast Asia and of the precedence of national interest over that of a region. Furthermore, the conflicts and struggles between China and Japan have negatively been affecting not only the formation of a Northeast Asian community but the East Asian regionalism and regional cooperation attempts. The open regionalization attempts in East Asia and the debates surrounding the boundaries of East Asia that have spread to the Asia Pacific region, hav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an economic community in East Asia. These factors have acted as obstacles to the formation of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Although at the present moment,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trade regimes and global governance of Northeast Asia, East Asia, and of Asia Pacific may be perceived as dilemmas, their dynamism gives us a renewed sense of momentum and impetus.

      • KCI등재

        A Cultural Perspective on the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Shim, Won Pil(심원필),Hong, Hyo-Chang(홍효창) 동아인문학회 2013 동아인문학 Vol.26 No.-

        동북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구상은 경제공동체에서 출발하여 오랜 논의에 머물고 있다. 한국ㆍ중국ㆍ일본으로 구성된 동북아 경제권은 상호의존과 교류를 통해 기능적으로는 경제공동체의 조건을 갖추었지만 제도적으로는 공동체 결성이 요원하기만 하다. 동북아 3국은 자국 중심의 강한 민족주의(또는 국가주의)가 우세한데 이는 근, 현대의 역사적 갈등에서 비롯되었으며 오늘날의 영토분쟁에 이르기 까지 상호 부정적 인식과 불신이 공동체 결성의 장애요소로 꼽힌다. 유럽의 성공적인 경제통합 경험은 적극적인 문화교류와 접촉을 통해 과거사를 청산하고 지역 정체성을 높이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한편 동북아 지역협력이 주로 경제, 정치외교, 군사안보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지만 오히려 정치경제적 환경이 결코 유리하지 않았으며 갈등을 증폭시켰다. 동북아 지역의 공동체 형성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경제협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명제는 문화적 접근의 명분을 제공해준다. 동북아 3국에는 각각 독자적인 문화가 존재하지만 공통된 문화기반을 부인할 수는 없다. 지역정체성을 찾고 문화적 가치와 유산을 공유하는 문화공동체의 구성을 통해 갈등을 조정하고 동북아시아 경제공동체로 통합해가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런 점에서 동북아 문화공동체는 지역경제통합의 교두보로 기능할 것이다. 나아가 동아시아 공동체의 달성을 위해서도 그 실현가능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해법은 문화적 접근이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Since its inception as an economic community, the idea of designing a Northeast Asian community has been under much academic debate. Despite their functional readiness to form a single economic community centered around mutual dependence and exchanges, from an institutional standpoint,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at form the Northeast Asian region have yet much to be desired. These countries function on a strong sense of nationalism resulting from recent historical conflicts, and a sense of mutual negativity and distrust deeply rooted in a strong sense of nationalism has worked as a main obstacle in the way of forming a community among the three countries. The success of the economic integration of the European countries is an outcome of actively settling their past histories and of working toward establishing a sense of regional identity at the same time. In comparison, the regional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has been centered more on financial areas, political diplomacy, and military security, and these issues have in fact aggravated the already-existing conflicts. The fact that simple financial cooperation is not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permanent establishment of a Northeast Asian community provides suggestive evidence for approaching the issue of forming a communit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lthough the three countries have their own distinct culture, the common cultural underpinning that they share among them is also undeniable. In this respect, this paper proposes ways in which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might achieve their distinct regional identity, share cultural values and heritage among themselves, and yet be integrated as an economic community. This paper further argues that the issue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a mutually beneficial economic community should be addressed from a cultural perspective.

      • KCI등재

        동아시아공동체 논의와 한국의 전략: 신아시아 외교의 재조정을 중심으로

        유현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1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2 No.2

        The proposals of East Asian Community and Asia Pacific Community by Japan and Australia respectively have revitalized the discussion of community building in East Asia/Asia Pacific. Korea, however, has been relatively inactive in the recent discussion of community building in the region. New Asia Initiative, one of flagship foreign policy of Lee, Myung-bak governmnent does not cover the strategies for regional institutions and community building.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recent discussion of community building in the region and to suggest Korea's strategy for community building in East Asia. The first step toward the building of a East Asian Community should be forming a "value community" in which countries in the region collectively pursue shared value. In terms of the membership, it is more realistic to include the U.S. which has joined the East Asian Summit recently. Since ASEAN is an integral part of any possible community in the region, Korea needs to follow up and to align with ASEAN's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New Asia Initiative needs adjustment as to properly address regional architecture and community building agenda. Also diplomatic practices which privilege norm, knowledge and value should b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New Asia Initiative. Finally, since any genuine community is not without the sense of community shared by ordinary people in the region, the involvement of civil society should be strengthened in Korea's strategy for community building in East Asia. 하토야마 전 총리의 동아시아공동체(East Asian community)구상과 호주 러드 전 수상의 아시아태평양공동체(Asia Pacific community) 제안은 동아시아에서의 공동체 건설 논의를 재 점화시켰다. 이러한 동아시아에서 지역전략의 춘추전국시대에 한국은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아시아 지역전략은 이명박 정부의 신아시아 외교 구상으로 대표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신아시아 외교”에는 동아시아 지역주의나 동아시아공동체에 대한 구체적 논의나 비전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글은 최근 동아시아에서의 공동체 건설 논의를 분석하고 한국이 동아시아공동체 논의의 홍수 속에서 어떤 입장과 전략을 가질 것인가? 그리고 동아시아공동체 건설이라는 맥락에서 기존의 신아시아 외교를 어떻게 재조정 할 것인가에 대한 제안을 담고 있다. 실현가능성의 측면에서 볼 때 동아시아공동체는 공유하는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가치공동체로 출발해야하며 참여 국가는 최근 동아시아정상회의에 가입하기로 한 미국을 포함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EAS 참여국가 중심 대 ASEAN+3 참여국가 중심의 동아시아공동체라는 두 대안에 대해서 한국은 ASEAN의 전략을 주시하면서 중재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동아시아공동체 논의에 대응해서 한국은 신아시아 외교를 동아시아공동체 건설에 대한 비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재조정해야 한다. 첫째, 둘째, 신아시아 외교의 내용에 있어서는 인간안보 중심의 신아시아외교로 전환해야 한다. 국익중심의 자원외교 보다는 녹색성장의 기술과 경험을 전수하며 빈곤층에 대한 기술교육과 같은 인간안보 외교 과제들을 개발하고 동아시아 차원의 협력사업과 제도적 지원메커니즘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신아시아 외교의 재조정은 신아시아 외교를 규범, 지식, 가치외교의 강화를 통해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중견국 외교로의 전환이라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아시아 외교의 수단에 대한 인식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아시아 외교는 국가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지역의 사람들 간의 연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협력과 지역의 정체성을 만드는데 시민사회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보강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동북아공동체 형성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 분석

        서운석(Suh, Woon-se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3 No.1

        최근 동북아시아 지역 내에서 공동체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한ㆍ중ㆍ일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발전방향과 각국의 공동체 정책구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동북아공동체 논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동북아공동체 및 그것의 정체성 형성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려면 우선 동북아공동체 구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북아시아 구성원들의 동북아공동체 구상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는 것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동북아공동체 형성에 관한 한국인의 인식을 우선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번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지역공동체의 성공 여부는 과거 및 현재와 연관된 문제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을 것이라는 추론이다. 이와 함께 동북아공동체 형성과 관련하여 각 국가의 민족주의를 포함한 정체성이 여전히 중요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해당 국가 국민들이 동북아공동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파악하여 이를 매개로 이 지역에 사는 사람이 상대방에 대해 갖고 있는 거리감을 극복할 수 있는 공동의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Northeast Asian community is a proposed regional bloc for the Northeast Asia countries that may has been triggered in response to the regionalism of the EU or ASEAN. Recently, the countries in the Northeast Asia has become the most dynamic region in terms of economic growth and democracy. This paper analyzes the perceptions of Korean on the formation of KoreaㆍChina and Japan Northeast Asian regional community.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regional political and economic settings provides the basic environment for formation of Northeast Asian region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spect in the formation of Northeast Asian regional community and to discuss the theoretical base of cultural alternative on the building of Northeast Asian community. The progressive impetus of Northeast Asian community draws from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through interchange and cooperation corresponding to globalization. And there should be concerted efforts to enlarge common identity shared by Northeast Asian people in order to construct Northeast Asian regional community.

      • KCI등재

        창사 30주년 특집 : 동아시아 지역협력 및 공동체 논의와 최근의 정세 변화

        박승우 ( Seung Woo Park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2 東亞 硏究 Vol.31 No.1

        본 논문은 동아시아의 지역주의와 지역공동체 구축에 관한 여러 담론 중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의 주된 논의를 동아시아 공동체의 경계와 구성,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목표와 원칙,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방법론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국제정세상의 세 가지 주요 변화, 즉 중국의 정치경제적 부상, 미국의 동아시아에 대한 재개입, 유럽의 위기가 동아시아의 지역주의에 미치는 영향과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에 던지는 함의 및 교훈을 살펴보았다. 최근 국제정세의 변화는 우리로 하여금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임함에 있어서 중국 주도의 패권적 지역질서가 출현할 가능성과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그리고 유럽의 통합이 가지는 문제점과 한계를 여하히 우회하여 동아시아에서 지역협력과 지역공동체 창출을 도모할 것인가 등 많은 질문과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The discussions on East Asia, such as on the issues of East Asian regionalism, regional cooperation and community building,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economic community discourse,`` ``political and security discourse,`` ``East Asian identity discourse,`` ``alternative social order discourse,`` and ``East Asian Community discours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ing arguments of ``East Asian Community discourse`` on the boundary and composition of East Asian community, on the objectives and principles in East Asian regionalism, and on the approaches and methods of East Asian community building. The recent changes in international situation includ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rise of China, the US re-engagement in East Asia, and the financial crisis in Europe, have a profound impact on our discussion on East Asian regionalism.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lessons that we learn from these changes and their implications in our efforts to promote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and to build a viable regional community.

      • 동아시아 환경공동체 발전전략 개발 및 협력사업

        김호석,추장민,이현우,김이진,박준현,정성운,최동진,원동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사업보고서 Vol.2019 No.-

        Ⅰ.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사업 배경 및 필요성 ㅇ 전 지구적 환경협약 및 환경의제의 이행을 위한 공동의 노력, 특히 지역 차원의 공동대응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초국가적 환경문제 대응을 위해 지리적으로 인접한 동아시아 국가 간에 환경협력이 강화되는 추세임 ㅇ 우리나라는 전 지구적 환경문제 해결 노력에 동참하여 국제사회에서 역할을 강화하고, 국내 및 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동아시아 국가 간 환경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국가적 과제로 다루고 있음 - 특히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구현을 지향하는 ‘신남방정책’에서 아세안 지역의 환경문제 및 기후변화 대응 등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어 한-아세안 지역 간 환경협력 수요가 증대되고 있음 ㅇ 전 지구적 환경의제의 이행,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의 환경보전 및 지역경제협력, 지역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환경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동아시아 환경협력 전략 개발이 필요함 - KEI는 국가 간 협력에서 한 단계 강화된 형태인 ‘환경공동체’ 개념을 도입하여 2014년부터 본 사업하에서 동아시아 지역 내 환경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연구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 사업 목적 ㅇ 본 사업은 동아시아 환경공동체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역내 환경협력에 대한 정보 및 인식의 교류와 확산을 도모하고, 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한 환경 분야 국가협력 정책을 지원하며,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실현을 위한 동아시아 환경협력체계 구축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사업 추진체계 ㅇ 본 사업은 동아시아 환경 상태 분석을 토대로 동아시아 환경협력 전략 개발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조사 활동과 환경협력에 대한 인식과 교류 확산을 위한 동아시아 국가 간 네트워크 구축 활동으로 구성·추진되고 있음 Ⅱ.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1. 국내 네트워크 ㅇ 지역별 전문가 참여 포럼을 통해 지역별 환경협력 수요와 전략을 논의하고 이를 소지역별 국제 워크숍에서 확대 논의하여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에 기여하고자 남북환경포럼, 남방환경포럼, 중국환경포럼을 운영함 □ 남북환경포럼 ㅇ 한반도 평화시대를 맞이하여 추진 가능한 남북 협력사업 발굴을 위한 연구 기획 및 수행, 남북한 환경협력 추진전략 개발에 목적을 둠 ㅇ 남북협력과제 개발, 남북협력과 한강의 미래, DMZ 현장과 정책의 만남, 한강하구연구 전문가포럼 결성 등의 주제로 총 4차례에 걸쳐 남북환경포럼을 운영함 □ 남방환경포럼 ㅇ 환경 부문에서 신남방정책의 추진을 촉진하기 위하여 생물자원을 중점으로 환경자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우리나라와 동남아 국가들의 협력 토대 마련에 목적을 둠 ㅇ 메콩 지역 환경 분야 민간 참여 및 공공기관의 역할에 대한 협력 메커니즘 가이드라인, 생태계서비스 활용 및 보존 등에 관해 남방환경포럼을 두 차례 개최함 □ 중국환경포럼 ㅇ 중국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추진 현황을 심층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신남방·신북방정책과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간 연계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둠 ㅇ 한·중 생태문명 건설과 녹색전환, 일대일로 연구 추진 및 기관 설립 등에 관해 두 차례에 걸쳐 중국환경포럼을 운영함 2. 국제 네트워크 ㅇ 동아시아 각국의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 제고 및 협력방안 논의를 위해 주요국 협력기관과 공동 세미나, 워크숍 등을 개최하고, 이를 통해 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도모함 □ 동남아 ㅇ 동남아 주요국 협력기관과 ‘2019 KEI-VASS-RAC-LASS Joint Seminar’와 ‘the 3rd Kora-ASEAN Environment Forum’ 개최를 통해 우리나라 신남방정책 및 국제개발종합계획의 이행 촉진에 기여함 - KEI는 특히 2012년부터 베트남사회과학원(VASS), 캄보디아왕립학회(RAC), 라오스사회과학원(LASS)과 매년 공동연구 및 교류 활동을 추진 중이며 2014년부터 본 사업을 통해 동남아 지역 지속가능발전 및 녹색성장을 위한 지식공유 세미나를 매년 개최하고 있음 □ 동북아 ㅇ 몽골, 러시아 협력기관과 ‘KEI-BINM-IGG 공동 세미나’, 중국과 ‘일대일로 녹색실크로드 주제포럼 및 고위급포럼’, 한·러 및 북한, 독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동북아 환경협력 세미나’, ‘한·중 대기 분야 정책-과학 대화 워크숍’ 등 교류 활동을 통해 동북아 환경협력 방안을 모색함 - KEI는 2012년부터 바이칼자연관리연구소(BINM) 등 러시아 극동 지역 주요 연구기관들과 교류해 오고 있음 - 또한 2000년 초반부터 중국의 주요 연구기관과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는 일대일로와 한·중 미세먼지 대응 협력 관련해 국제교류 활동을 수행함 - 2019년에는 특히 러시아 연해주 아르춈시 주최로 한국과 북한이 공동 참여하는 동북아 환경협력 세미나를 개최함 Ⅲ. 해외 환경정보 국내 전파 1. 중국환경연구단 운영 및 「중국환경브리프」 발간 □ 중국환경연구단 ㅇ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한·중 환경협력에 대응하여 KEI의 체계적인 중국환경연구 수행 및 정책 자문역할 강화를 목적으로 2016년부터 중국환경연구단을 운영함 □ 중국환경브리프 ㅇ 최신의 중국환경정책 현황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분기별로 「중국환경브리프」을 발간해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기관, 전문가 등에 제공함 - 「중국환경브리프」은 정책분석, 정책동향, 환경통계로 구성됨 2. 북한환경정보센터 출범 및 「북한환경동향」 발간 □ 북한환경정보센터 ㅇ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남북협력 활성화, 나아가 통일시대 대비 북한환경연구 수행 및 남북환경협력 추진을 위한 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KEI 내 북한환경정보센터를 신설(’19.6.3)함 □ 북한환경동향 ㅇ 국내외 언론매체 및 북한의 주요 학술지 등을 통해 북한의 환경오염 및 환경관리 현황자료 수집을 통해 북한환경 현황에 대한 이해 제고를 목적으로 「북한환경동향집」을 발간함 - 북한 매체 보도자료, 국내 매체 보도자료, 북한 환경연구 동향으로 구성됨 Ⅳ. 연구·조사 활동 1. 동북아 패러독스와 환경협력 발전 방향 모색 □ 배경 및 목적 ㅇ 동북아 지역 국가들은 지리적 인접성으로 인해 환경문제를 서로 공유하고 있어 지역차원의 환경협력이 필수적임 ㅇ 하지만 동북아 지역의 정치적 특수성, 즉 동북아 지역 국가 간 역사 인식의 차이, 군사적 대립, 영토갈등으로 인한 상호 부정적 인식, 그리고 미국이라는 외부적 요인 등이 지역 통합을 저해하고 환경 분야 협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ㅇ 이러한 동북아 지역의 역설을 감안해 지속가능한 동북아 지역 환경협력 방안 모색이 필요함 □ 동북아 패러독스와 환경문제 ㅇ 동북아 지역은 식민 잔재의 미청산, 분단 및 냉전과 같은 역사와 영토분쟁 등의 지속으로 국가주의 과잉상태에 처해 있음 ㅇ 자원을 최대한 개발하고 개발된 자원에서 최대의 이윤을 산출하려는 공통된 발전주의적 속성을 지님 - 경제성장 우선주의에 입각해 광범위한 환경 파괴 및 생태계 훼손을 초래한 생태결손 국가적 특성을 지님 - 선 발전 후 오염 처리의 발전모델 구축과 특히 화석연료에 과도하게 의존한 산업구조 형성으로 막대한 오염물질이 동북아 지역에서 배출되고 있음 - 특히 해양 및 대기 등을 통해 이동하는 월경성 오염문제가 야기되고 점점 더 심화되고 있음 □ 동북아 환경협력 발전 방향 ㅇ 가해자-피해자 프레임이 아닌 환경공동체로서 공동의 문제로 인식 전환이 필요함 ㅇ 단기적으로는 기존의 협력틀을 적극 활용한 협력의 확대·강화를 모색하며 공동연구 수행과 환경오염 모니터링 및 평가에 주력하고, 장기적으로는 실효성 있는 종합적인 다자환경협력틀 공동 디자인이 필요함 - 월경성 오염의 주범 색출과 압력 행사 등의 정치적 접근보다는 역내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초국가적인 인지공동체(Epistemic communities)를 형성하여 환경협력에 대한 과학적 객관성과 정당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 한중일환경장관회의(TEMM)을 기본 협력틀로 하되, 정부 외에 민간기업, 시민단체, 국제기구 등이 참여하는 다원화된 협력모델의 구축·운용이 필요함 2. 미세먼지 문제에 관한 국민인식 조사·분석 □ 배경 및 목적 ㅇ 최근 들어 국내에서 고농도 미세먼지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국외 유입 미세먼지의 국내 영향과 그 대처방안을 둘러싸고 논란이 야기되는 현상이 나타남 ㅇ 중국 등 국외에서 발생한 오염물밀이 장거리 이동하여 국내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미세먼지 인식조사를 실시함 - 일반국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중국 등 국외 영향 인식을 각각 조사하여 두 그룹 간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자 함 ㅇ 일반국민과 전문가 간 인식의 차이점과 그 원인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이해 제고 및 미세먼지 대책에 대한 국민적 지지와 신뢰를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국민인식 조사 방법 □ 조사 결과 및 시사점 ㅇ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일반국민과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양 집단 간의 인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ㅇ 일반국민은 전문가에 비해 국내 미세먼지 문제에 대해 중국 등 국외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양 집단 간에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국외 영향에 대한 신뢰 수준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남 ㅇ 일반국민과 전문가 간 인식의 차이는 미세먼지 문제 및 국외 영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경로, 즉 정보원의 차이, 그리고 정보원의 차이에서 비롯된 정보의 내용과 질의 차이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대다수의 일반국민은 주로 온·오프라인 언론매체를 통해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여 언론매체 의존도가 높고, 언론에 대한 신뢰도도 높은 편으로 나타남 - 이에 반해 전문가는 언론 보도에 대해 낮은 신뢰도를 보이며, 연구기관이나 학술DB, 즉 보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정보원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경향을 보임 - 정부 부처 홈페이지는 일반국민과 전문가 모두에게 활용도와 신뢰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ㅇ 국민과 전문가 간 인식 차이는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과 대책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국민적 공감대가 미흡하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는 정부의 정책 추진에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임 ㅇ 일반국민과 전문가 간에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인식 차이는 있지만, 이를 해소하기 위한 주체 및 주체별 역할에 대해서는 유사한 견해를 보임 - 일반국민과 전문가 모두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국민적 공감대에 기반한 미세먼지 대책 추진을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지님 - 전문가의 경우 전문가 집단과 언론의 역할 또한 일반국민에 비해 중요하다고 판단함 - 특히 일반국민과 전문가 모두 연구결과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근거 제시, 그리고 과학적 근거가 명확한 자료와 데이트를 바탕으로 한 언론보도 및 미세먼지 대책수립 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함 - 이는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 수립 시 무엇보다 과학에 근거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 생산과 공유·전파가 중요함을 시사함 ㅇ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 수립이 요구되며, 특히 정부와 전문가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국민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적극 마련해야 함 -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명확한 현황 파악과 과학적 자료 DB 구축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 수행이 필요함 - 언론은 국민 간의 중간 매가자로서 정확하고 개관적인 정보 전달·전파를 통해 국민 인식 제고에 기여해야 함 - 한·중 양국은 정확한 인식 공유를 위한 교류와 소통을 지속해 나가야 할 것임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Background ㅇ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particularly joint efforts by geographically proximate countries are key factors in responding to transnational environmental problems. - Environmental cooperation efforts among East Asian countries continues to grow in number to jointly cope with transboundary environmental issues. ㅇ South Korea has been strengthening environmental cooperation with countries particularly in East Asia to deal with regional as well as domestic environmental problems. - Demand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ASEAN member states is on the rise as Korea’s new Southern Policy also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Korea-ASEAN community. ㅇ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ies is important for the joint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al agenda,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of East Asian countries. -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introduced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community’ in 2014, an advanced form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has been carrying out research and networking activities to identify solutions for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in East Asia, thereby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 Purpose ㅇ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operative strategies for the East Asian environmental commun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partnerships for information and knowledge exchanges as well as the survey and research activities on the key environmental issues of the region, so as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st Asia. Ⅱ. Network Activities 1. Domestic network ㅇ Regional forums such as the Inter-Korea Environment Forum, China Environment Forum, and Southern Asia Environment Forum were organized and arranged to interact with the local experts and discuss the demand and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by each region with them, □ Inter-Korea Environment Forum ㅇ The purpose of the Inter-Korea Environment Forum is to discuss strategies for promoting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ㅇ The forum has been convened four times under the theme of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especially pertaining to the Han River and Han estuary and the demilitarized zone (DMZ). □ Southern Asia Environment Forum ㅇ The purpose of the Southern Asia Environment Forum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on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environmental resources, focusing on biological resources, in order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New Southern Policy. ㅇ The forum was held twice under the theme of Public and Private Partnership (PPP) for the environment of the Mekong region and also the conservation and use of ecosystem services. □ China Environment Forum ㅇ The purpose of the China Environment Forum is to study China’s one-on-one initiative in order to explore ways to cooperate in linking the New Southern and Northern Policies. ㅇ The forum has been held twice on the construction of a Korea-China ecological civilization, green trans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n one-on-one research center. 2. International network ㅇ In ord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issues in East Asia and discuss ways to strengthen cooperation, the joint seminars and workshops were held with major institutions in East Asian countries. □ Southeast Asia ㅇ KEI contributed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Korea’s New Southern Policy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mprehensive Plan through hosting 2019 KEI-VASS-RAC-LASS joint seminar and the Third Korea-ASEAN Environment Forum with partner organizations from major Southeast Asian countries. - KEI has been promoting joint research and exchange activities especially with the Vietnam Academy of Social Sciences (VASS), the Cambodian Royal Society (RAC), and the Laoti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LASS) since 2012, and has held annual knowledge sharing semina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in Southeast Asia. □ Northeast Asia ㅇ KEI had opportunities to discuss environmental cooperation methods with East Asian countries through holding or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workshops and seminars. These included the KEI-BINM-IGG joint seminar with Mongolian and Russian partner organizations, One Belt, One Road International High Level and Green Silk Road Forum with China, Northeast Asian Environmental Cooperation Seminar with experts from Russia, Germany and North Korea, and Korea-China Air Policy-Science Dialogue. - KEI has been communicating with major research institutes in Russia’s Far East, including the Baikal Natural Management Institute (BINM) since 2012. - Since the early 2000s, KEI has networked with major Chinese research institutes. Particularly in 2019, KEI and Chinese partner institutes dealt with issues of one-on-one cooperation and Particulate Matter. - KEI participated in a seminar hosted by Russia’s Primorsky Argyn on the theme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Ⅲ. Environmental Information Sharing and Dissemination □ China Environment Brief ㅇ KEI published four volumes of its China Environment Brief, which provides the latest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status, key environmental issues and new environmental polices in China. □ Environmental Trends in North Korea ㅇ KEI published ‘Environmental Trends in North Korea’, a report providing information on key environmental issues and research themes in North Korea. Information was gathered from newspapers and medias of North and South Korea, including the Rodong Sinmun, Minju Choson, and Choson Sinbo and North Korean academic journals. Ⅳ. Research and Survey 1. Northeast Asian paradox and environmental cooperation □ Background ㅇ Reg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essential for Northeast Asian countries as they share similar environmental concerns due to their geographical proximity. ㅇ However, historical and political peculiaritie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differences in historical perceptions between Northeast Asian countries, military confrontations, and territorial conflicts, are hindering regional cooperation even for the environment. ㅇ It is necessary to seek environmental cooper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is paradox of Northeast Asian region. □ Direction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ㅇ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countries in Northeast Asia constitute an environmental community facing similar environmental problems. ㅇ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trengthen cooperation by utilizing the existing cooperative framework, and jointly design a new comprehensive multi-environmental cooperation framework that is effective in the long run. - A transnational epistemic community involving scientists in the region should be established to secure scientific objectivity and legitimacy in environmental cooperation. - The Korea-China-Japan Environment Ministers’ Meeting (TEMM) shall be the basic framework for cooperation, bu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diversified cooperative model involving private companies, civic group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ther than the government. 2. Survey on perception of transnational particulate matter □ Background and purpose ㅇ Recently, particulate matter (PM) has emerged as not only an environmental problem but also a social problem in South Korea, and controversy has arisen over the domestic impact of PM from abroad and how to deal with it. ㅇ A survey on PM was conducted to gauge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M, generated abroad and then made its way to South Korea. - The survey was conducted on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M between the two groups. ㅇ KEI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and causes thereof, and proposed the ways to increase public support and trust in government measures on overseas PM-related issues. □ Results ㅇ There was a significant gap in the perception of the foreign effects of PM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 groups. - Compared to experts, the higher percent of general public believed that the domestic PM was caused by foreign countries such as China. ㅇ It was found tha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were mainly due to differences in information sources. - The majority of the general public was highly dependent on the media and obtained information on the foreign effects of PM with high confidence. - Experts, on the other hand, showed low confidence in media reports and tended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research institutes or academic databases. ㅇ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indicates tha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foreign effects and response measures regarding PM, which acts as a barrier to the implementation of relevant governmental policies. ㅇ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wo groups, they shared similar views on the main entities and their roles in dealing with PM. -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were of the views that the government was t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dealing with PM, and that it was important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and establish response measures based on accurate and scientific evidence. ㅇ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response measures to cope with PM based on accurate and scientific evidence, and also need to share accurate and objective information with the public.

      • KCI등재

        아시아경제공동체 구축: 이론과 실제 -중국경제모델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박제훈 ( Je Hoon Park ) 한국비교경제학회 2015 비교경제연구 Vol.22 No.2

        본고는 아시아경제공동체구축이라는 관점에서 중국의 경제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시아경제공동체구축의 미래비전이라는 측면과 그의 형성과정 측면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논의를 전개한다. 전자는 중국의 미래비전이라 할 수 있는 중국몽(中國夢)에 대한 비판적 분석으로 이어지고 후자는 중국몽의 실천 방식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이다이이루, one belt one road)구상에 대한 분석과 비판으로 연결된다. 우선 2장에서 아시아경제공동체구축 관련 그 간의 역내외의 주요 동향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역할을 요약해본다. 3장은 중국경제모델 중 소 위 베이징 컨센서스를 중심으로 한 중국경제 독자모델론의 한계를 비판한다. 4 장은 시진핑 집권 이후 제기되어 온 국가 장기발전전략이라 할 수 있는 중국 몽과 일대일로 정책의 의의와 한계를 분석한다. 5장은 결론으로 중국모델 또는 중국몽의 대안으로 아시아경제공동체 구축이 가지는 의미를 요약해 본다. The paper tries to critically study the Chinese economic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Asian economic community build up. There are two aspects of the analysis. One is the aspect of future vision for Asian economic community. The other is the aspect of formulation process of Asian economic community.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critical analysis of “Chinese Dream” and the latter is related to the critical analysis of “One belt One road Policy” which is the way for realizing “Chinese Dream”. Ch. 2 summarizes the major trends of home and abroad related to the formulation of Asian economic community and the reactions and roles of China. Ch. 3 criticizes “the school of China Model” including Beijing Consensus among Chinese economic models. Ch. 4 criticizes and analyzes “Chinese Dream” and “One belt One road Policy” which could be the long term national development policy. Finally Ch. 5 summarizes the implications of Asian economic community build up as an alternative for the Chinese model.

      • KCI등재

        The Philosophy of Asian Community

        CHOI Woo-Won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2 No.-

        The philosophy is the universal name of the fundamental attitude of life toward the world. The present situation on earth, endangered by the ecological destruction and the possibility of nuclear war which make us doubt about the survival of mankind in the future, demands us to change our way of thinking and living fundamentally. The problems menacing the mankind can not be solved simply by the scientific technological development. Our way of thinking and living should be changed. We should learn how to live together with other religions, cultures, and civilizations peacefully. To realize this co‐existence, the new vision which can open the higher dimension of existence between nature and man, between man and man, should be shared by all mankind. We should arrive at the recognition of the invisible interpenetration and the interdependence of the real world, which will lead us to the common effort for co‐existence and harmony. It is not difficult to see that the confined specialities of knowledge, even if they are rational and efficient in their isolated domains, often arrive at the negative results for the interrelated total system. With only such knowledges, losing the sight of essential interconnection, we can not solve the problem. Under the inertia and the superficiality of the fossilized paradigm, the concealed structural problems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In that sense, today's techno‐scientific civilization, which pursues only technical knowledges for the maximization of efficiency, truly needs philosophical thoughts. The possibility of harmonizing the nature, the mankind, and the society will be seen only when we can read the dynamic interacting processes in the invisible structural interconnections of the system of Being. Here, we should raise the question whether the philosophies of today are going ahead toward this way, or are only repeating the blind paradigm of past in different forms. That question is important because we can now see that,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the fundamental illusions concerning the Being, dissimulated in the root of it, have led its history to the false, even to the inverse direction. The confusion between process‐reality and its spatial projection, more fundamentally the confusion between time and space, has made the Western philosophy unable to approach to the inner essence of true reality of the Being. So, the history of the Western philosophy is the history of the errors. The errors become more serious when they are integrated to a particular system of interests of the society, of the age, or of the civilization. In this context, we can see evidently that the Asian Community is arising as a historical necessity. The high spiritual heritage, the sympathetic solidarity, and the union of abundant personal, material, technological resources will raise the Asian Community to the level which excels that of EU and NAFTA. This Asian Community, if realized, can play a role of making peace between the Islamic world and the West. It is not difficult to see that the clash between civilizations in nuclear age will lead to total destruction of earth. So in international field, the power politics of the West which has no other objectives than domina ion should be abandoned. Instead of it, the wisdom of mutual dependence between man and man, between nature and man, should be taught as the basic attitude of living. The philosophical intuition into our deeper real selves will open the way to this wisdom. We have seen that, in the long history of Asia, the Buddhist meditation on the true meaning of the Being and the life, has given the foundation of peaceful coexistence of societies. Through its cultural tradition of harmonizing with the heterogeneous others, the Asian Community will open the true way to the community of all mankind. The Asian philosophical tradition has always taught that we should not treat the others as a means, but as an end in themselves. For such a historical progress, we should change the paradigm of philosophy with the new vision of the Asian Community.

      • 한국자본주의정신과 동아시아경제모델

        박천익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3 경제경영연구 Vol.2 No.1

        1960년대 이후 동아시아의 경제발전을 주도해온 동아시아 경제모델이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특히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 동아시아경제가 연쇄적인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그 강도는 높아 졌다. 한국을 비롯한 세계의 주류경제학자들은 합리적 행위가 요구되는 글로발리제이션 시대에 있어서 온정주의적 가치가 다분한 동아시아경제모델은 폐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연 이러한 주장은 옳은 것일까? 만약 동아시아경제모델이 시대적 요구에 맞지 않다면 그 대안은 무엇인가? 경제적 기초가 서구의 그것과는 현저히 다른 동아시아적 환경에서 시장적 글로발리즘은 어떤 문제를 갖고 있는가? 한국경제를 보다 한국적 여건에 맞는 모형을 통해서 한층더 효율적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은 없는가? 시장론자들은 시장의 능력을 과신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한국경제에 나타나는 많은 부정적 요인들은 잘못된 市場觀에서부터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시장원리를 근거로 한 放任的 자유, 過當競爭이 야기하는 조직 및 발전의 불안정성은 시장적 사고가 가져오는 부정적 시각의 일부분이다. 경제적, 문화적, 의식적 배경이 서구와 같지 않는 상황에서 맹목적인 시장신뢰 그 자체가 많은 문제를 갖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면 한국경제를 비롯한 동아시아국가들에 있어서 대안적 모델은 없는가? 필자는 그 대안적 방안을 신동아시아경제모델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신동아시아경제모델은 기본적으로 유교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자본주의 모델이다. 즉 경쟁의 효율성과 협동의 안정성을 혼합하여 최적적경제상태를 실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의 시론이라고 본다. This study is analysed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with the sprits of Korean capitalism. In November 1997, only 10 years after the Asian miracle, Korea was on the verge of foreign currency crisis, and Thailand and Indonesia came very close to declaring a national moratorium in July 1997 and in 1998, respectively, as the financial and foreign currency crisis deepened. The drastic deterioration of Eastern Asian economies left experts wondering about the causes of the demise of Eastern Asian economies. Many economists raised criticism on the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itself. The criticism on the Eastern Asian economies led to negation on the very fundamentals of the Eastern Asian Economic models. In consequence, the Eastern Asian economy that had been once a darling of the economist was now considered as a wrong model that to be discarded, according to the pervasive opinion of todays economists. There was no objection to the argument that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built on the Confucius values wasn't fit to the international economy prescribed with logics and competitions. However, there are a lot of flaws with the statement that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should be eradicated due to its illogical and obsolete values. It is well know that many social variables are intricately woven into the economic systems. It is for this reason that in the selection of an economic model that make the most sense to a country, on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ocial variables that play into an economic model. Although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e west have maintained a higher level of economic st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Eastern Asian countries, it is certain that they still have problems ensuring the comfort and happiness of the citizens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ving as well as defining the value systems. The Confucius capitalism of East Asia is deeply rooted in the Confucius values, which center on ethical and mental values with the objective of ensuring people to follow the ethical codes, differing from the market capitalism built on economic interests. The market capitalism is a principle of competitions and order among individuals, clearly defining the efficiency and logical aspects of market principles, but lacks the ethical values for people in communities. The market capitalism is associated with too many problems to become an economic model for a society to adopt: it hasn't addressed the issue of isolation of people, and the lack of community sprit, corporation and sharing within communities and fulfillment of human spiritual quest. This research reviews the fundamentals of the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as well as re-examining them with the focus on the sprits and value system of the Korean capitalism against the backdrop that the world capitalism becomes central to the contemporary values. After analyzing the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which was under intense criticism recently, with regards to the fundamentals and the values of Confucius capitalism, this research determines what kind of modification the Confucius capitalism is in need of to be transformed into an advanced model equipped with the logic that meets the future capitalism of the world. The East Asians are in need of a new value system to better prepare themselves for the era of new world capitalism. The new value system is neither Asian nor the western values. The downsides of the western values have caused adverse effects in the western societies, as well. Furthermo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western values will be the world-leading values down the road in the future. The best long-term alternative will be to establish new value systems by adopting the western values based on the Asian ones. In other words, the specifics of the market capitalism will be absorbed into a society built on the premises of the Asian values.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 criteria in the building of new value system. Firstly, we should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Asian and the western values. The ethical values are of little difference in theory across both cultures. The question is how these values are practiced in reality. Secondly, we should recognize that principle of competitions and reasonability must be upheld and accepted. The market is an institutional devise that leads to efficiency-and has appeals to most people. We are in need of a precise economic model in which Confucius concepts are materialized in market activities. Thirdly, there should be explicit regulations on the specifics of economic activities and the enforcement of these regulations should be validated. A lot of less developed countries suffer from lack of supervision and responsibility over economic activities, and thus fail to deliver economic justices. The East Asian governments should initiate ongoing restructuring on the economic values to equip the economic system with self-control capabilit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