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인권 및 교권보호 조례의 법적 쟁점에 관한 일고찰

        정회근(Jeong Hoe Geun),김 훈(Kim H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79 No.-

        This study investigated legality of the ordinances related to students’ human rights and teachers’ right protection in terms of rule of law, and discussed the legal issues and solutions of the subject based on recent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In this study, Chapter II reviewed previous research, legal grounds, and general theory of ordinance, and Chapter III analyzed ordinances related to students’ human rights and teachers’ right protection that cause legal issue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despite its necessity for guaranteeing and expanding human rights of students, causes problems related to the norms and system in various aspects, such as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law in terms of the essence and details of students’ human rights; possible conflict with teachers’ rights ;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law in terms of the mean stoensure effectiveness in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problems with autonomous legislation in terms of its legislative form. In particular, legal issues related to the scope and limits of the ordinance enactment right are critical for legalizing the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due to its nature as an ordinance. The core questions of these issues relate to, for instance, whether assigning and executing two hours of human rights education violates the limit of the ordinance enactment right, because curriculum is part of national services; whether the ordinance regulations violate the principle of primacy of the law or the right of the municipal or provinci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o install administrative machinery and propose an ordinance; and the scope of subject of inquiry in the litigation for invalidation of re-decision of the ordinance filed by the competent Minister. Second, the School Self-Governance Ordinance and Ordinance for Teachers’ Right Production and Educational Activity Support view provisions related to mandatory installation of self-governing organization that is not specified by a higher law and to statu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faculty are part of national services and, thereby, illegal. In that regard, Minister of Education is allowed to Judicial Control take legal action against illegal decision(ordinance) made by a municipal or provincial assembly according to Local Autonomy Law Article 172 ⑦ despite refusal of the relevant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o a request for re-approval of such ordin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caution when permitting judicial control of illegal ordinance by the competent Minister. In the end, the rights of students and those of teachers are intertwined as they are both parties of education an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interpreting the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good. 본 연구에서는 학생인권 및 교권보호 등을 내용으로 하는 조례가 법치주의 구현 측면에 있어 법체계상 위법・무효인가를 살펴보고 있는데, 최근의 대법원 판례를 통해 법적 쟁점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논해보고자 한다. 논문의 구성을 보면, 제Ⅱ장에서는 선행연구, 법적 근거, 조례일반론에 대해서 그리고 제Ⅲ장에서는 판례를 통해 법적 쟁점이 있는 학생인권 및 교권보호 관련 조례를 분석검토해보고 있는바,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인권조례는 학생인권의 보장 및 확대라는 당연성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법제화에 있어서는 학생인권의 본질 및 그 내용 등 인권법적 관점에서의 문제, 그리고 교권과의 충돌가능성 및 교육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등 교육법적 관점에서의 문제와 더불어 그 입법형식상 자치입법으로서의 문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규범체계적 문제들을 갖고 있다. 특히. 학생인권조례는 그 규범적 본질이 조례라는 점에서 입법화에 있어 조례제정권의 범위와 한계 등과 관련한 법적 쟁점이 중요하다. 예컨대, 교과의 편성은 국가사무에 해당하므로 2시간 정도의 인권교육 편성・실시가 조례제정권의 한계를 일탈했는지의 여부, 동 조례안 규정들의 법률유보 및 법률우위원칙의 위배 여부 그리고 시・도교육감의 행정기구 설치권한 및 조례안 제안권 침해여부, 주무부장관이 직접 제소한 조례안재의결무효확인소송에서의 심리대상의 범위에 관한 논의가 쟁점사안이다. 둘째, 학교자치조례안과 교권보호 및 교육활동 지원조례에서는 상위법에 존재하지 않는 자치기구의 의무적 설치와 교원의 지위 및 인사에 관한 사항의 규정은 국가사무에 해당하여 위법하다고 보았고, 이에 대해 교육부장관은 교육감의 재의요구 거부에도 지방자치법 제172조 7항을 준용하여 시도의회 의결사항(조례)이 위법하면 직접 제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무부장관의 직권에 의한 위법한 조례의 사법적 통제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보면 교육의 양 당사자인 학생의 인권 및 교권의 보호와 갈등해결은 수레바퀴처럼 맞물려 있으므로 공익적 관점에서의 규범조화적해석의 여지도 생각해볼 수 있겠다.

      • KCI등재

        학생인권 조례에 대한 공법적 검토

        정연부(Joung, Youn-Boo) 한국토지공법학회 2011 土地公法硏究 Vol.52 No.-

        최근 교육계는 학교에서의 체벌 금지 여부에 대하여 치열하게 논쟁을 벌이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는 이미 「경기도 학생인권 조례」를 통과시켜 체벌을 금지하고 있다. 그 밖에도 서울을 비롯하여 충남.강원.광주.제주 등도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체벌금지에 관한 선행 논의는 주로 기본권과 관련된 교육학적 관점이나 형법적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분명 체벌금지는 교육학적.형법적으로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이에 더하여 공법적으로도 몇 가지 검토가 필요하다. 현재 체벌금지는 직선제로 선출된 교육감 및 교육의원들을 중심으로 조례 제정이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형식적으로 조례의 한계와 내용적으로 체벌금지가 공법적 시각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학생인권 조례를 공법적인 관점에서 적법한 소송의 유형과 법치행정의 원칙을 중심으로 「경기도 학생인권 조례」의 체벌금지 조항을 검토하였다. 절차법적 관점에서 동 조례에 대한 소송형태는 명령.규칙에 대한 위헌.위법심사, 항고소송, 헌법소원을 검토하였다.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입법의 범위에 대해서 본 연구는 헌법소원의 ‘법원의 재판제외’와 ‘보충성’을 고려하여, 처분적 법규명령만을 항고소송의 대상으로 삼는 협의설을 취하였다. 그리고 집행적 법규명령은 제3유형인 헌법소원의 대상이 된다고 보았다. 그 결과 명령.규칙에 대한 위헌.위법심사, 항고소송, 헌법소원 중에서 「경기도 학생인권 조례」는 명령.규칙에 대한 위헌.위법심사, 헌법소원의 제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경기도 학생인권 조례」가 ‘조례’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지방자치제도의 자치입법권으로서 한계를 살펴보았다. 법치행정의 원칙 중에서 법률의 법규창조력은 법치행정의 원리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에 따랐다. 법률우위의 원칙은 그 실질이 양립가능성 문제라고 보고, 구체적 기준은 법률이 ‘목적’과 ‘사항 또는 대상’을 선점하였는지 여부로 보았다. 조례가 침익적이라면 법률유보가 적용되어 법률의 위임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양립가능성을 인정하였다. 위임의 정도는 포괄적 위임으로 충분한 것으로 보았다. 이를 「경기도 학생인권 조례」의 체벌금지 규정에 적용하여 동 조례가 포괄적 위임금지의 원칙에 반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There are strong arguments for the prohibition of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s. Gyeonggi-Do has legislated “The Gyeonggi-Do Ordinance on students' human rights”. Other provincial governments such as Chungnam, Gangwon, Gwangju, Jeju-Do as well as Seoul are also trying to enact an ordinance which forbids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s. The preceding studies regarding corporal punishment is mainly focused on problems of pedagogy or criminal law. It is certain that corporal punishment has many problems related to pedagogy or criminal law. In addition to these problems, corporal punishment needs to be researched from the view of public law. Now, some of the proponents who ar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or members of the board of education are trying to prohibit corporal punishment by enacting a municipal ordinance. Therefore, the limits of the ordinance are asked to be studied. This study analyzed “The Gyeonggi-Do Ordinance on students' human rights”, finding what kind of suits are available and applying ‘the principle of legal administration’. This study reviewed ‘the suit on unconstitutional or illegal administrative decrees, regulations’. It also looked at ‘the administrative appeal’ and ‘the constitutional petition’ as the means of procedural laws. This study supports a theory which construes the objects of the administrative appeal on delegated legislations in a limited sense. Supporting the theory is a result of considering prerequisites for the constitutional petition. Korean constitutional act has two requirements to suppress cases of the constitutional petition. First, it excludes the judgments from courts. Second, if any procedures of remedies are available by other laws, no one shall request without having taken all these procedures. This study regards ‘the executively delegated legislation’ as an object of the constitutional petition. The executively delegated legislation does not have any articles regarding a specified person or case. It could infringe on people's rights without administrative functions in some cases. “The Gyeonggi-Do Ordinance on students' human rights” is a municipal ordinan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s of legislative power belonging to a local autonomy. This study agrees with the theory which insists that a principle - only the acts of congress can restrict people's rights - does not belong to ‘the principle of legal administration’. This study sees the essence of a principle - the national decisions that take the form of the act are more superior than other forms ― as a problem of compatibility. The specific standards for compatibility are ‘purpose’ and ‘object’. If a municipal ordinance infringes on people's rights, the compatibility of municipal ordinance with acts cannot be accepted in principle. However if the municipal ordinance was entrusted with legislative power by the acts, it could be exceptionally compatible with them. At this time, comprehensive entrustment is enough as a degree of entrustment. Finally, this study expresses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ny problems in “The Gyeonggi-Do Ordinance on students' human rights” after applying the above opinions.

      • KCI등재

        인권조례 제정 운동의 성과와 한계 -광주광역시, 전북, 울산광역시 인권기본조례를 중심으로

        안진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2

        Does human rights ordinance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human rights in the local community?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legislation movements of municipal human rights ordinance and explaining the factor which has had effects on the enforcement of it. The legislation movements of municipal human rights ordinance occurred in Korea after around the year 2000 and brought forth 2general human rights ordinanc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Chunbuk Province in the metropolitan level and three ordinances in the district level in Ulsan and Busan Metropolitan City. This movements is motivated by legislation of human rights laws in the national level since 1990s. Cases of general(basic) human rights ordinances in the metropolitan level analyzed in this paper are the human rights ordinanc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Chunbuk Province .Three cases of general human rights ordinances examined in the district level are the human rights ordinances of Hae-undae District(in Busan), Sooyoung District(in Busan), and North District(in Ulsan),Ulsan Human Rights Movements Solidarity started the legislation movements in Korea for the first time. They finally enacted human rights ordinance in the Northern District. It is the outcome of the legislation movements even if they failed law-making in the entire metropolitan city level because of conservativeness of regional politics. Jinju City in Gyungnam Province is the second region to get the legislation movements started in Korea. But human rights ordinance has not yet been enacted in this region due to the conservativeness of municipal assembly although movements has lasted for a long time.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Chunbuk Province enacted human rights ordinances successfully. The new executive of Gwangju local government is implementing the ordin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executive department within the city administration organization and the allocation of financ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On the contrary, Chunbuk local government has not made any effort to enforce the ordinance. Contents of Chunbuk ordinance is most progressive since it prescribes not only the allocation of fin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center but also the obligation of local government carrying out the human rights education. It also regulates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local human rights committee in 6 months after it’s enforcement. Chunbuk human rights movements group fulfilled the enactment of the human rights ordinance effectively and rapidly owing to the lesson of other precedent movements. They still push the pressure on the governor and the legislators in the prefectural assembly to realize the ordinance in the community. Legislation process such as the human rights issue-making, the construction of public opinion in the local civil society and the suggestion in the municipal assembly is very important in making human rights ordinance. The entire legislation process is a kind of human rights education as well as an another step towards promotion of human rights in the local community. Local human rights movement group can take lessons from the precedent legislation of the municipal ordinance in another region and make a decision about the contents of ordinance and the way of legisl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political configuration. They can also utilize the resource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한국사회에서는 1990년대 이후 활기를 띠게 된 인권운동과 인권법들의 제정을 배경으로 하여 2000년대에 들어서서 지역차원에서 인권조례운동이 시작되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조례의 제정이 과연 지역 공동체 안에서 인권을 증진하는데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 지역사회에서 인권보장의 실현을 위해서는 인권조례의 조문 내용만 살펴볼 것이 아니라 입법운동의 맥락에서 조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조례제정운동을 살펴보고 그것의 내용과 집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 인권조례(인권기본조례로 통칭)로서 광역자치단체의 사례 두 개(광주광역시 인권조례와 전북인권조례)와 기초자치단체의 조례 3개(울산광역시 북구 조례, 부산광역시 수영구와 해운대구 조례)를 살펴보았다. 본론에서 분석한 진주시 사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권운동이 조례제정운동을 추진한다고 해서 반드시 입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며, 조례가 제정되더라도 인권조례의 존재 자체가 지역사회에서 인권실현에 기여하는 것은 아니다. 울산광역시에서는 비록 광역시 차원에서 조례가 제정되지는 못했을지라도 진보세력의 힘이 우세한 북구에서 내실 있는 조례가 제정되었고 그 집행 또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2007년에 제정된 광주광역시의 인권도시육성조례는 지역인권위원회가 자치단체장의 자문기구에 불과하거나 인권기본계획의 내용이 그저 선언적, 상직적인 수준에 머문다면, 인권조례는 인권보장에 별로 기여할 수 없다. 전북조례는 위원회의 독립성도 어느 정도 보장되고 전담업무를 담당할 기구인 인권센타도 존재하며 자치단체장의 책무인 인권교육에 대해서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어 내용상으로는 인권조례들 가운데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전라북도 지방정부는 그것을 시행하지 않고 있고 입법자들인 도의회 의원들조차 인권조례의 시행에 무관심하다. 전북지역사례는 인권조례제정운동은 조례제정에 성공한 이후에도 조례의 집행과 지역사회 내의 인권제도화를 위해 꾸준히 운동을 계속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인권조례를 집행하는 힘은 시민사회에서 나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역주민의 참여와 시민사회 내의 공론화는 조례를 집행하게 하는 힘을 담보해준다. 다른 조례들과 달리 인권조례는 조례에 담아야 할 인권의 내용 못지않게 입법의 과정이 특히 중요하다. 조례의 입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주민의 참여와 토론은 살아있는 인권교육이며 인권신장의 한 과정이다. 지역인권운동단체들은 인권전문기구인 국가인권위원회의 정보와 자원을 활용하고 이미 조례가 제정된 다른 지역의 경험들을 참고하여 자신들이 속한 지역사회의 특성과 정치지형 속에서 시민참여를 유도하고 인권의제를 공론화해야 할 것이며, 조례의 내용, 입법방식 등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조례의 제정 후에도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인권의 제도화를 위해 조례의 집행과 개정을 위한 감시활동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신문 지원 조례(안)" 비교분석을 통한 현실적 쟁점 고찰

        김은규 ( Eun Gyoo Kim ),최낙진 ( Nak Jin Choi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法과 政策 Vol.20 No.3

        2004년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이 제정되어 지역신문에 대한 지원을 공적지원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지역신문에 대한 공적지원은 지역의 여론다양성 확보를 국가가 적극적으로 지역신문을 진흥시키겠다는 의지의 산물이다. 중앙정부의 지역신문 지원정책에 힘입어 각 지역자치단체에서도 지역신문 지원 조례 제정을 통해 지역신문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2010년 경상남도에서 최초로 지역신문 지원 조례가 제정된 이후 부산, 충남 등 광역자치단체와 서울 동작구, 경기도 의정부시 등 기초자치단체에서 조례가 제정되었다. 더불어 경기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광주광역시 등에서도 지역신문조례 제정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조례가 제정되었거나 현재 논의 중인 지자체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사항은 조례를 통해 지역신문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모두 공감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원 조례에 대한 이견들로 인해 일부 지자체의 조례 제정이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지자체에서 제정되어 운용되고 있거나 아직 논의 중인 조례안 검토를 통해 지역신문 지원 조례의 현실적 쟁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검토 결과 첫째, 지원대상의 범위의 문제로 인터넷신문의 포함 여부, 둘째, 지원 자격의 조건으로 지원기준의 절대 요건과 우선요건의 문제, 셋째, 상위법인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과의 차별성, 넷째, 지원 조례에 따른 재원의 형성, 다섯째, 지원조례 운용을 위한 위원회의 구성 등의 문제가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례 제정의 방향성과 관련해 선택과 집중의 원칙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 지방자치단체의 홍보예산 문제가 지역신문 지원과 연동되어 지역신문 난립의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는 것, 지역별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독립성과 공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쟁점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는 첫째, 지역신문 지원과 관련 연차별 지원 대상을 구분하여 진행, 둘째, 개별 신문사별 지원 방식 대신 기획취재 사업, 소외계층교육 사업 등과 같이 사업별 공모제 실시, 지역사회 공헌을 고용인원, 세금, 4대보험 지급 등 지역의 고용 안정과 기여 면에서 가중치를 크게 두는 방안을 고려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Support for local newspaper has been carried out in a public support level, after the special law of supporting local newspaper development in2004. The public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s the product of the government``s will to improve the local newspaper by acquiring the opinion diversitiy in local community. Along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for the local newspaper, regional governments also t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newspaper by establishing the local newspaper supporting ordinance. After the first local newspaper ordinance was enacted in Gyeongsan Province in 2010, the same ordinance was established in municipal corporations like Busan, Chungnam and local governments like Seoul Dongjak gu, Gyeonggi Province Ujjeongbu. Also, the movement for enacting the local newspaper ordinance is very active in Gyeonggido, Chungcheongbukdo, Jeonlado, and Gwangju city. The common thing that is confirmed both in local communities in which the ordinance was established or is being under discussion is the acknowledgement that the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s needed through the ordinance. However, due to the discordance in opinions about the supporting ordinance, the process of enacting the ordinance is undergoing the difficulties in some regional communities. Therefore, this paper reconsiders the realistic issue in the local newspaper supporting ordinance and finds the better solution by analyzing the ordinance which is either being actually performed or being under debates. After thorough analysis, five issues are recognized; first, whether internet newspaper is included in terms of coverage of supporting, second, absolute condition and priority condition in terms of the qualification of applying, third, the difference from the special law of supporting the local newspaper``s development which is in a higher rank, fourth, securing finances after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fifth, establishing the committee for operating the ordinance. So this study emphasizes that select and concentration principal should be maintained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the ordinance, that publicity budget of the regional communitie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n order to remove the cause of excessive establishment of local newspapers, and that independence and fairness of the local newspaper development committee should be secured.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the solutions with realistic base are first, to carry out the ordinance by dividing the subjects for the annual support of the local newspaper, second, to put more importance in employment security and contribution in local community such as tax, four major insurance, employment rate by having contests for individual businesses like covering a in-depth case or a special feature, and educating underprivileged class.

      • KCI등재

        미국 행정법상의 협상에 의한 규칙 제도를 활용한 조례제정권 확대 방안 -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준공영제 운영에 관한 조례」의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

        최성두 한국법제연구원 2020 법제연구 Vol.- No.58

        On December 31, 2019, the ordinance on semi-public operation systems for bus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enacted. Interestingly, there was an agreement with the subjects of the ordinance on the ordinance before its legislative notice procedure. Furthermore, the ordinance includes measures for possible illegalities such as sanctions against transportation operators who will participate in the semi-public system for bus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process to enact the ordinance is largely similar to the negotiated rulemaking process under the U.S. Administrative Law. The process of negotiated rulemaking in the context of U.S. administrative law is as follows: 1. Decision-making to apply the negotiated rulemaking process; 2. Establish a committee for negotiated rulemaking; 3. Go into a negotiation for the proposed rule; 4. Reach a consensus. Negotiated rulemaking has its advantages in guarantee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administration, improve the contents of the rule, reduce time to execute the final rule, and secure the compliance to the rule to reduce possible lawsuits. The ordinance on semi-public operation systems for bus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shown great effects by implementing the above process to some extent. First, it gave the effects of standards for the semi-public operation systems for Jeju buses. The process established a system for the semi-public bus system which had no legal evidence through an agreement, and supported it with the ordinance. Second, it wa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nactment power. This is because it was possible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by agreeing on possible illegalities in advance. Third, it was possible to prevent conflict. By enacting and proclaiming the ordinance along with the agreement, they became notarized by the community, including the citizens. As the subjects of the ordinance are those who serve in the bus transportation business of the region, it becomes difficult for them to go against good faith. Lastly, it was possible to secure the procedural justification during the process of enacting the ordinance. By not only going through the cursory pre-announcemen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but also reaching an agreement with the actual subjects, it became the most ideal opinion gathering process. In order to expand the effects of enacting the ordinance on semi-public operation systems for bus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 other cases,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ordinance enactment process. Although it will be the best to institutionalize the process with legislation such as the Local Autonomy Act o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if it is not possible, it should be institutionalized through ordinance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ill be able to apply its experience of designating a local holiday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by enacting the ordinance on the local holiday to commemorate the victims of the 4ㆍ3 Resistance of Jeju before the enactment of the legislation on local holidays. In the ordinance to institutionalize the negotiated ordinance, it will be necessary to define the negotiation procedures of the U.S. administrative law to match the Korean situation, including the subjects of the ordinance, starting the negotiation process, presider of the negotiation, selecting parties of interest, detailed negotiation process, results of the negotiation, and following the results of the negotiations (ordinance). It will be possible to use this system for not only ordinances but also rules or administrative rules for self-governing entities. Everyone agrees to the fact that diversity and creativity from decentralization can develop the society. The core of decentralization is the ordinance enactment power. It will be too late when passively waiting for a constitutional a... 2019년 12월 31일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준공영제 운영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었다. 이조례는 특이하게도 조례안에 대한 입법예고 절차 전에 조례의 적용대상자와 그 내용에 대하여 협약을 체결하였다. 아울러 이 조례는 제주 버스 준공영제 참여 운송사업자에 대한 제재등 그 구속력에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 조례의 제정과정을 보면 큰 틀에서 미국 행정법상의 협상에 의한 규칙 제정절차와 유사하다. 미국 행정법상의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 절차는 ① 협상에 의한 규칙 제정절차를 사용하기위한 결정, ②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위원회 소집절차, ③ 규칙안에 대한 협상, ④ 합의의 단계를 거치는데, 행정청의 의사결정에 시민들의 참여를 보장하고 규칙안의 내용을 향상시키며 최종 규칙을 집행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그 규칙의 준수를 담보하며 소송을줄이는 장점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준공영제 운영에 관한 조례도 그 절차를 어느 정도 활용함으로써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첫째, 제주 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규범의 효과를 부여했다는 것이다. 법률상 근거가 없는 제도인 버스 준공영제에 대하여 협약을 통해서 제도를 만들고 이를조례로 뒷받침한 것이다. 둘째, 조례제정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속력의 한계 문제에 대하여 사전 협약을 통해서 그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갈등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협약과 더불어 조례를 제정·공포함으로써 주민을 포함한 지역사회의 공증을 받은 효과가 발생한다. 조례의 적용대상자는 결국 지역에서 버스 운송사업을 해야하는 자로서 신의에 반하는 행위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조례 입법 절차에 있어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행정절차법」에 따른 형식적인 입법예고 절차만수행하는 것이 아닌 그 적용대상자와 합의를 도출해 냄으로써 가장 이상적인 의견수렴 절차가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준공영제 운영에 관한 조례」의 제정으로서 거둔 효과를 다른 사례에서도 계속해서 거두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례의 제정절차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지방자치법」이나 「행정절차법」 등 법률을 통하여 제도화할 수 있으면 좋겠으나 그게 여의치 않다면 우선 조례를 통해서라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법령인「지방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제정되기 전에 「제주특별자치도 4ㆍ3희생자추념일의 지방공휴일 지정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여 전국에서 최초로 지방공휴일을 도입한 경험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협상에 의한 조례를 제도화하는 조례에는 미국 행정법상 협상에 관한 규칙의 절차를 우리의 여건에 맞추어 이 조례를 적용할 대상에 관한 사항, 협상 절차의 개시에 관한 사항, 협상 주재자에 관한 사항, 이해관계자의 선정에 관한 사항, 구체적인 협상 절차에 관한 사항, 협상의 결과에 관한 사항, 협상결과(조례)의 준수에 관한 사항 등을 규정하면 될 것이다. 조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규칙이나 행정규칙에서도 충분히 이 제도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분권을 통한 다양성과 창의성이 그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다. 그 분권의 핵심은 조례제정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조례제정권 확대를 위한 개헌이나 입법이 없다고 마냥 기다려...

      • KCI등재후보

        학생인권조례 10년, 그 성과와 한계: 소위 ‘학생인권법’ 제정 논의에 부쳐

        박종훈 한국인권학회 2021 인권연구 Vol.4 No.2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enactment of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from here on referred to as “Students Rights Ordinance”) has been a ‘hot potato’ in our society since the beginning. However, a total of seven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this ordinance during the last ten years.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has achieved meaningful results in both administrative and judicial side. First of all,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institutionalized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which protects students’ human rights, and helped the successful settling of systematic human rights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judicial decisions, it was possible to reaffirm the rights guaranteed to students along with the legitimacy of undertaking the affair and establishing an organization related to Students Rights under the Office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ttempts were made to quantify and verify the effect of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but no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Also, other limitations such as the perfunctory performance of students rights administration and the fixation of conflict structure between students rights and teacher rights have emerged after the enactment. Above all, since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lacks the enforceability, it raised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enactmen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and to deliver the sustainable results of the enactment, this study proposed three major measures which could be performed by each individual units. First, individual schools should carry out the Students Rights Ordinace in accordance with civil education. Also the system or organization dedicated to students' human rights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schools in order to deal with issues related to students rights. Second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tual biding force of the Students Rights Ordinace,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 Advocate Officer of Students’ Human Rights and reinforce its function as an ombudsperson. Lastly, the State should assure students’ human rights education to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within the official curriculum. Also,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the contents of the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should be enacted in the form of ‘Students’ Human Rights Act’. 우리 사회의 뜨거운 감자였던 학생인권조례가 처음으로 제정된 지 10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그리고 그동안 총 7곳의 지방자치단체에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되었다. 그동안 학생인권조례는 행정적으로는 학생인권 기구의 설치, 체계적인 인권행정의 안착화, 권리구제로 인한 학생인권의 제도적 확인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사법적으로는 교육감에게 주어진 학생인권 사무 및 관련 기구 설치 권한에 대한 정당성과 학생에게 보장된 인권과 권리를 판결을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학생인권조례의 제정 효과를 정량화해서 검증하려고 하였으나 눈에 띌만한 큰 성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조례 제정 이후 학생인권과 교권의 갈등 구조는 더욱 고착화되었고, 인권행정은 형식화되는 등 여러 한계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무엇보다 조례의 강제성 결여는 실제 학생인권조례의 실효성에 의문을 가져왔다. 이에 학생인권조례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과를 지속하기 위하여 학교・교육청・국가 단위의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교는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 학생인권조례를 실천하고 인권 문제를 학생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청은 옴부즈퍼슨으로서의 기능을 살려 학생인권옹호관 제도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학생인권조례의 실질적 구속력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는 교육과정 내에서 체계적으로 학생인권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조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학생인권조례의 내용을 법률의 형식에 담아야 한다.

      • KCI등재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민기채 법제처 2023 법제 Vol.703 No.-

        It was only in 2021, 40 years aft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as enacted,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s’and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by Local Governments’ clauses were newly established. Accordingly, as a mandatory delegation ordinance,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secured a legal basis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measure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Currently, 164 out of 243 local governments (67.49%) have enacted and are implement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Researche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have been accumulated on various topics over a long period of time, but research on ordinances is rare. This study may be differentiated in the analysis object of ordin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revision plan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The object of analysis is the ordinances of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using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for the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s, the ordinances of 17 metropolitan governments were compar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cheon ordinance was in terms of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universality of coverage, and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the Busan ordinance was in terms of universality of coverage and responsibility/integration of delivery system, the Gyeonggi and Jeonnam ordinances were in terms of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and the Seoul Ordinance was in terms of professionalism of workforce, had ideal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the Gyeongsangbuk-do ordinance was for the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the Daegu ordinance was for the universality of university, the Sejong ordinance was for the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the Seoul ordinance was for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and the Jeollabuk-do ordinance was for responsibility/integration of delivery system and professionalism of workforce, had not ideal components. The main problem wi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is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regarding industrial accidents and safety and health, which are extensively stipulated in higher-level laws, are in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ordinance, resulting in low normative validity. As a plan to revis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first, in order to improve normative validity,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mandat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ith the purpos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and to similarly match the purpose of the ordinance with the higher-level law.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to comply with Article 4-2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Article 4-3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etc.) of the Act. Third, there is a need to improve legal clarity through definitions of missing key terms. Fourth, in order to improve normative validit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cope of coverage of the Ordinance to ‘all businesses or workplaces’ like the Act. Fifth, benefit comprehensiveness can be expanded through benchmarking of other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such as guidance on prohibiting hazardous and harmful contracts, safety equipment support,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employment support. Sixth,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establishment of new financial responsibility regulations for local government heads regarding budget security. Seventh, there is a need to consider establishing a new linkage system between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the metropolitan headquarters of the Korea Occupational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Agency. Eigh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rights relief pr...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된 지, 40년이 흐른 2021년에서야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및 ‘지방자치단체의 산업재해 예방 활동’ 조항이 신설되었다. 이에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확보하게 되었다. 현재 243개 자치단체 중 164개 자치단체(67.49%)가 산업안전보건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연구는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주제로 축적되어 왔으나, 산업안전보건 조례 연구는 상대적으로 희소하다. 본 연구는 산업노동자의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을 지원하기 위한 법 연구가 ‘법률’ 연구에 치중되어 왔다는 측면에서, ‘조례’라는 분석대상에서 차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비교 분석에 기초한 개정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광역자치단체의 산업안전보건 조례이며, 사회복지조례의 내용적 체계 비교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용분석 방법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의 산업안전보건 조례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인천광역시 조례는 자치단체장의 책무성, 적용대상의 보편성,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에서, 부산광역시 조례는 적용대상의 보편성과 전달체계의 책임성・통합성에서, 경기도와 전라남도 조례는 급여종류의 포괄성에서, 서울특별시 조례는 인력의 전문성에서 이상적인 구성내용을 갖추었다. 반면, 경상북도 조례는 자치단체장의 책무성에서, 대구광역시 조례는 적용대상의 보편성에서, 세종특별자치시 조례는 급여종류의 포괄성에서, 서울특별시 조례는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에서, 전라북도 조례는 전달체계의 책임성・통합성과 인력의 전문성에서 이상적인 구성내용을 갖추지 못하였다.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주요 문제점은 상위법에서 방대하게 규정하고 있는 산업재해 및 안전보건에 대한 자치단체장의 책무가 조례에 미흡하게 반영되어, 규범적 타당성이 낮다는 점이다.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개정 방안으로 첫째, 규범적 타당성 제고를 위해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목적에 「산업안전보건법」의 위임 명시 및 상위법과 조례의 목적을 유사하게 변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산업안전보건법」 제4조의2(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및 제4조의3(지방자치단체의 산업재해 예방 활동 등)에 부합하도록 자치단체장의 책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부재한 핵심 용어의 정의를 통해 법적 명료성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규범적 타당성 제고를 위해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적용대상을 상위법과 마찬가지로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위험・유해 도급금지 지도, 안전장비 지원, 안전 및 보건 정보공개, 재취업 지원 등 타 지방정부의 산업안전보건 조례 벤치마킹을 통해, 급여포괄성을 확대할 수 있다. 여섯째, 예산확보에 대한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 규정 신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광역자치단체와 산업재해예방 안전보건공단 광역본부 간 연계체계 신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권리구제 절차 신설 및 벌칙의 엄격성 관련 조항의 신설이 필요하다. 노동자들이 산업재해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고 건강하게 노동할 수 있는 권리 향상에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례제정권의 관점에서 본 학생인권조례의 법적 쟁점

        조성규(Cho, Sung Kyu)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3 행정법연구 Vol.- No.35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고 신장하여야 한다는 방향성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어떤 이의를 제기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전통적으로 인권의 사각지대로 인식되어 왔던 학생인권에 대한 규범화가 중요한 법적 문제로 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서 학생인권조례의 제정이 사회적 화두로 되고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다만 법규범화는 그 법적 구속력으로 인하여 직접적인 행위규범으로서 기능하게 되는 점에서, 그 규범화에 있어서는 사회현실적 측면에서의 검토는 물론, 법체계적 측면에서의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의 장은 단순히 학생만의 문제는 아니며, 교원, 학부모 등 다양한 교육당사자의 이해관계가 중첩되는 영역이다. 그러한 점에서 특정한 이해집단에 대한 고려만이 아닌, 이해관계자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이익형량의 문제가 중요하며, 더욱이 조례의 형식으로 규범화되는 경우에는 조례라는 규범적 본질로부터 비롯되는 다양한 한계가 존재하는바, 이에 대한 고려 역시 중요한 규범적 문제이다. 결국 학생인권조례는 원론적인 관점에서는 학생인권의 확대라는 지극히 당연한 규범적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법제화에 있어서는 학생인권의 본질 및 그 내용 등 인권법적 관점에서의 문제, 교권과의 충돌가능성 및 교육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등 교육법적 관점에서의 문제와 더불어 그 입법형식상 지방자치법제적인 문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규범적 접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학생인권조례의 입법화의 한계로 작용하는바, 특히 학생인권조례는 그 규범적 본질이 조례인 점에서, 실제적 입법화에 있어서는 조례제정권의 범위와 한계 등에 관련된 지방자치법적 쟁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조례제정권의 관점에서 학생인권조례를 볼 때, 우선적으로 학생인권조례는 초?중등교육법 등 법령이 학칙등을 통해 교원에 대해 부여한 학생지도에 대한 재량권을 봉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기본적 방향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법령 위반에 대한 의문이 존재한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률우위의 원칙은 기본적으로 소극적 규제의 원리인 동시에 조례의 자주입법성을 고려할 때, 불명확한 법령의 해석 여하에 따라 위반의 의구심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바로 조례의 위법성을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며, 그러한 점에서 결국 학생인권조례의 위법성의 문제는 법률우위의 문제보다는 법률유보의 문제에 달려있다고 보인다. 학생인권조례와 법률유보의 문제에 있어서는 우선적으로 교권의 법적 성격이 문제되나, 현행 법제에 있어 교사의 교권 내지 교육권이 법적으로 보호되는 권리라는 점을 부인하기는 곤란하다. 그렇다면 학생인권조례가 학생인권장전으로서의 선언적 의미를 넘어, 교육현장에 대한 구체적 행위규범으로 기능하는 경우, 특히 체벌의 절대적 금지, 두발?용모 등 학생생활지도에 대한 교육적 재량을 봉쇄하는 경우, 이는 교사의 권리에 대한 제한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사의 권리를 제한하는 조례의 제정을 위해서는 현행 법제상 법률의 위임을 필요로 하나, 현행법제상 교사의 교육권 내지 수업의 자유에 관하여 조례에 의한 규율을 위임하고 있는 법적 근거는 찾을 수 없는바,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학생인권조례는 법률유보원칙과 관련하여서는 위법한 조례의 소지가 다분하다. 결론적으로 법률우위의 문제 및 법률유보의 문제와 관련하여 위법성의 논란이 큰 학생인권조례의 제정에 대해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한바, 학생인권의 신장을 위해 규범화가 필요한 경우에도 구체적 행위규범으로서 ‘조례’의 형식보다는 학생인권의 규범적 지향점으로서 ‘헌장’ 등의 형태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 행위규범화는 교육현장에서 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해 학교규칙 등의 형태로 규범화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Recently, the attempt to enact Human Rights Ordinance for Students is national trend to protect student"s rights, that is fundamentally very desirable for protection of students human rights. But in spite of propriety of the aim, the enact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 for Students needs legally serious consideration, because the legal-character of Human Rights Ordinance for Students is substantially ordinance, and accordingly legal boundary is true of an enactment of ordinanc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necessity and legal limits of legislation of Human Rights Ordinance for Students from a standpoint of local autonomy. As a result, it is negative whether Human Rights Ordinance for Students is needed and whether current some Human Rights Ordinance for Students is lawful in view of legal regulation to ordinance. Human rights including human rights of students are alread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national act etc.,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st of human rights through Human Rights Ordinance for Students. What is more, some articles of current Human Rights Ordinance for Students have a possibility of the violation of nation law. It is desirable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in the ordinance of local government, but it should be enacted within the limits of the law in force. With regard to legislation of human rights of students, it has been discussed whether especially the code of ban on physical punishment is against the law. Ban on physical punishment is liable to be against the teacher`s rights or authority that is based on the Constitution a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Because the teacher`s rights on education is based on the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in Constitution § 31④, it means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interested person on the education. If man want to enact the Human Rights Ordinance for Students, it is desirable, ordinance declares the basic direction for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and concrete items for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is prescribed by school rules through the legal and social agreements among the constituents. Man frequently said, human rights for students are still not being protected in school. That must be right. But man must always be borne in mind that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hangs on not legislation of human rights but consciousness for human rights.

      • KCI등재후보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Jeon, Myong Sun 한국효학회 2021 효학연구 Vol.- No.33

        배경: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는 학생을 넘어서 포괄적인 개념으로 대상의 인권 보장을 아우르자는 취지에서 나온 바 지역 사회에서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가 얼마만큼 법 취지에 맞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점검을 통해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 례가 정착되고 다른 지자체에도 확산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가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론/접근 :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서울특별시 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 부천시 아동·청소년 인권조례, 동해시 아동·청소년 인 권보장에 관한 조례를 바탕으로 수용성, 이행성을 분석하였다. 수용성 분석은 의회 회의록을 검토하였고, 이행성은 실태조사 및 계 획수립 보고서를 분석하여 파악하였으며, 수용성과 이행성의 상호조합의 크기로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결과/결론 :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 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의 수용성은 75.8%로 보통 수준(70~80미만)을 보였 고, 부천시 아동·청소년 인권조례의 수용성은 84.6%로 높음(80~90미만) 수준을 보였으며, 동해시 아동·청소년 인권보장에 관한 조 례의 수용성은 매우 높음(90~100) 수준을 보였다. 둘째, 서울특별시 어린·청소년 인권조례의 이행성은 62.0%로 낮은 수준(60~70미 만)의 이행성을 보였고, 부천시 아동·청소년 인권조례 이행성은 80.0%로 높음(80~90미만) 수준을 보였다. 셋째, 아동(어린이)·청소 년 인권조례의 실효성에 있어서 서울특별시는 48.7%로 낮은 수준(36~49미만), 부천시는 68.7%로 높음 수준(64~81미만)의 실효성을 보였다. 시사점 :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설득, 참여활성화,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 마련, 제재 성 고려, 아동(어린이)·청소년 인권조례의 개정 등이 필요함으로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현재 제정·시행되고 있는 아동(어린 이)·청소년 인권조례의 수용성과 이행성을 분석하여 실효성을 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The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created with the purpose of encompassing the human rights guarantee of the target as a comprehensive concept beyond students. There is a need to create conditions for this to be established and spread to other local government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are effectively implemented. To this end, acceptance and implement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the Bucheon City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and the Donghae City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Protection Ordinance. Methodology/Approach: For the acceptance analysis, the minutes of the Congress were reviewed, and the performance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fact-finding and planning report,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by the size of the mutual combination of acceptance and implementation. Findings/Conclu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ceptance of the Seoul Metropolitan Children's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75.8%, showing a moderate level (less than 70-80), and the acceptance of the Bucheon City Children's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high (less than 80-90), with 84.6%. The acceptance of the Ordinance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in Donghae City was very high (90-100).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62.0%, showing a low level (less than 60~70), and the Bucheon City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as high at 80.0% (less than 80~90).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human rights ordinances for children and youth was as 48.7% in Seoul (less than 36-49), and 68.7% in Bucheon City (less than 64-81). Implications: It was concluded that persuasion, promoting participation, establishing diverse facilities and programs, consideration of sanctions, and revision of the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were necessary as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Ordinance.

      • KCI등재

        自治憲章 또는 자치기본조례에 관한 小考

        최우용(Choi, Woo-Yo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17 公法學硏究 Vol.18 No.1

        본고는 자치권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실질적인 자치권의 회복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자치헌장(home rule charter)과 자치기본조례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자치헌장에 관해서는 미국의 예를, 자치기본조례에 관해서는 일본의 니세코 마을의 마을 만들기 기본조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제안된 서울시의 자치기본조례안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미국의 자치헌장은 주(州)의회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나친 간섭을 배제하고 지방자치단체에게 그 지방의 고유사무를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보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의회는 주(州)헌법 또는 주(州)법률의 일정한 제약을 받지만, 자치헌장이 보장하는 자치권을 충실히 보장해 주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오고 있다. 일본의 경우, 자치기본조례를 정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자치기본조례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최고 법규임을 조례에서 정하고 있다. 그리고 자치기본조례에서 시민의 권리와 시정의 운영원칙을 정하여 마을 만들기의 기본규범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서울특별시 자치기본조례안은 크게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형식적인 면에서는 조례안을 전문과 본문으로 나누고 있으며, 미국의 자치헌장과 같은 상세한 규정을 두기 보다는, 시민과 시의 권리와 책무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둘째, 헌법상의 기본권을 보다 세부적으로 표현하여 이를 시민의 권리로서 선언하거나, 기본권으로 명기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시민의 권리로서 선언하고 있다. 셋째, 서울시가 가지는 자치권을 제시하면서 중앙정부에 대하여 자치권의 침해를 해서는 안 된다는 강한 요구도 아울러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향후 조례안의 적법성 논쟁의 가장 큰 쟁점이 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할 것이다. 서울시의 자치기본조례안은 서울시의 정책과 시민에 대한 애정이 잘 나타나 있는 것으로 우리 지방자치사의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중요한 조례이다. 아울러, 지역적인 특수성을 반영한 주민의 권리에 관한 제 규정은 향후 서울의 시정 및 정책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것으로, 헌법상의 기본권에 필적하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서울시의 조례안은 포용적 성장 및 평화통일을 염두에 둔 복지 지향적이며 미래지향적인 헌장으로서 미래적 가치를 잘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법리적 논쟁이 있을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동안 실무 및 학계에서 주장해 온 다양한 논의의 성과를 반영하여, 시민과의 숙의(熟議)를 거쳐 합리적으로 수정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This thesis was intended for a study of the home rule charter and self-government framework ordinance, which was conducted as a means of defining the scope of autonomy and of substantially restoring the right of self-government.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is study, an American example was examined for a home rule charter, and a Japanese example of Niseko-cho for a self-government framework ordinance. Also the content of the proposed self-government framework ordinance of Seoul Metropolitan City, the first of its kind ever proposed in Korea, was examined for the purpose. In the United States, the home rule charter eliminates any excessive state assembly’s interference in the affairs of a local entity and guarantees competence to the local entity, enabling it to administer the affairs of its own. Consequently the state assembly has been able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as an instrument of guaranteeing autonomy as stipulated in the home rule charter, though restricted to some extent by the state constitution and statutes. In Japan, a local entity’s self-government framework ordinance stipulated its supremacy over other ordinances and regulations. They made use of it as a normative standard by stipulating the civil rights and the principles of municipal administration. Meanwhil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self-government framework ordinance of Seoul Metropolitan City may be largely catego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mal structure of the proposed self-government ordinance is divided into preamble and the main and operative part, and it outlines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both citizens and the city government, rather than stipulating the detailed rules as in the American home rule charter. Second, it states the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going into details about them, and declares them to be civil rights. Even those rights not described as the fundamental right are declared to be a civil right. Third, it reiterates the autonomous rights of Seoul Metropolitan City, and demand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not interfere with such rights, giving rise to controversy over the legality of the proposed self-government framework ordinance in the future. The proposed self-government framework ordinance reflected the policy of Seoul Metropolitan City and much of its affections for the citizens, and this important ordinance marked a new era in the history of local autonomy in Korea. In addition, various provisions of the residents’ rights reflecting the regional special characteristics will serve as the basis of Seoul Metropolitan City’s municipal administration and its policy making in the future, bearing significance equal to that of the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Also, the proposed ordinance is thought to be a welfare- and future-oriented charter giving a thought to inclusive growth and peaceful unification, and being a charter of such nature, it clearly manifests its future value.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those parts likely to cause legalistic controversy should be reasonably revised based on the outcome of varied discussions supported by those in business and the academic world after careful discussion with the citiz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