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에 따른 소득공백 완화 방안 연구

        민기채,김승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 Study on Measures for the Income Discontinuityby Reform of the Civil Service Pension in 2015Kichae Min & Seunghye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mitigate the income gap that occurs as the starting age of pension is extended by the reform of Civil Service Pension. To this end, the period and size of the income gap were estimated, and policy alternatives were sugges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based on the actual retirement age of public officials of 53.6 years, there will be an income gap of at least 6.4 years to maximum 11.4 years occurs, and about 418,000 people born in 1962 to 1973 for 12 years from 2022 to 2033 (36.1%). The ideal alternative for the income gap is to extend the retirement age and increase the actual retirement age. In the case of practical alternatives, temporary transitional measures and the personal accounts and re-employment of retirees, gradual retirement, wage peak. Key Words: Civil Service Pension, Pension-reform, Old-age Income Security, Pension Start Age, Extension of Retirement Age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에 따른 소득공백 완화 방안 연구민 기 채**ㆍ김 승 혜***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에 따른 연금수급 개시연령 연장으로 발생한 소득공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득공백 기간에 따른 규모를 추정하고, 문헌연구에 기초하여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추정 결과, 공무원 실질퇴직연령인 53.6세 기준, 소득공백 기간은 최소 6.4년에서 최대 11.4년이며, 소득공백 규모는 2022년부터 2033년까지 12년간 1962~1973년생 약 41만 8천명(전체 공무원의 36.1%)으로 추정된다. 소득공백 완전 해소를 위한 이상적 대안은 퇴직연령과 연금수급 개시연령 일치이며, 그 방안은 정년연장 및 실질퇴직연령의 상향이다. 정년연장 도입 이전의 현실적 대안의 경우, 연금제도 내적으로는 연금수급 개시연령 한시적 경과조치, 퇴직연금 개인계정 도입, 연금제도 외적으로는 정년퇴직자의 재고용, 점진적 퇴직제도, 임금피크제를 제안하였다. 핵심어: 공무원연금, 연금개혁, 노후소득보장, 연금수급 개시연령, 정년연장 □ 접수일: 2022년 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민기채 외(2019)의 ‘공무원연금 소득공백 해소방안 연구’를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Korean National Univ. of Transportation, Email: minkichae@hanamil.net)*** 교신저자, 북한인권정보센터 연구원(Corresponding Author, Researcher, NKDB, Email: seunghyev@naver.com)

      • KCI등재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민기채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2023 대구경북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자치단체 간 조례 비교 분석을 통해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 개정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가법령정보센터의 자치법규시스템 자료를 활용하여, 조례가 제정되어 시행 중인 전국 19개 자치단체의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내용분석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사회복지조례의 내용적 체계 비교 분석틀을 활용하여, 규범적 타당성 체계로서 권리성(조례의 목적지향성, 자치단체장의 책무성), 적용대상의 보편성, 급여종류의 포괄성,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과 규범적 실효성 체계로서 전달체계의 책임성 및 통합성, 인력의 전문성을 비교하였다. 조례 개정 방향으로 자치단체장의 책무성과 재정책임성 강화를 위한 법문 보완, 지원대상자 발굴 조항 신설 및 발굴 주체 명시, ‘발견’을 ‘발굴’로 및 ‘정상적’을 ‘일반적’으로 용어 변경, 생애주기별·유형별 욕구에 부합한 지원 규정 신설, 지원사업에 대한 구체적 명문화,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교육 지원 조항 마련, 당사자의 의사결정과정 참여, 민간단체 지원 및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센터 설립 명시, 적용대상에서 가족 추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 plan for revising ordinances to support Korean Hikikomori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ordinances between local government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s autonomous law system were used to compare the ordinances supporting Korean Hikikomori of 19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that have enacted and are in effect using content analysis. A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omparison of ordinances, the right(the purpose of the ordinance, the account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heads), the universalism of allocation, the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heads in the normative validity and accountability and integration of the delivery system and professionalism of manpower in the normative effectiveness, were utilized. In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ordinance, supplementing the legal text to strengthen the accountability and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establishing new provisions for searching of support recipients and specifying the searching subject, changing terminology from discovery to searching and from normal to general, establishing new support regulations that meet the needs of each life cycle and type, specific stipulation of support projects, provisions for education support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of the parti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support for private organizations and establishment of online and offline community centers, and addition of families as subjects of appli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균열구조와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기채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3 민주주의와 인권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균열구조를 파악하고, 운동승리를 위한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운동의 구성주의적 이론을 적용하며, Rokkan의 균열구조의 개념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론적 차원에서 사회복지운동, 주체, 그리고 연대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균열구조를 자본주의 하에서 사회복지운동의 본성적 측면과 한반도 평화복지체제 구축의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균열구조에도 불구하고 실현해나가야 할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과제를 탐색적으로 살펴본다. 분석 결과, 자본주의 하에서의 사회복지 연대운동은 각 단체의 강령과 실천방법에 대한 입장 차이, 평화복지동맹 및 평화복지의 지역적 범위에 대한 입장 차이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연대적 수정체제 지향 운동단체’가 연대운동의 중심에 설 수 있으므로, 구동존이에 입각하여 균열을 최소화하며 연대운동을 추동할 필요가 있다.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실천과제로서 사회복지 운동주체들의 강화(재생산과 사회복지교육), 개별성과 연대성의 결합, 친복지정치의 세력화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승리를 위한 운동주체들의 역할 모색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eavage structure of the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in Korea and to explore the tasks of the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to win the movement. To this end, constructivist theories of social movements are applied and analyzed based on Rokkan's concept of cleavage structure. Specifically, I will look back on the social welfare movement, the subject, and the meaning of solidarity at the theoretical level, and analyze the cleavage structure of the social welfare movement and solidarity movement in terms of the nature of the social welfare movement under capitalism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and welfar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it explores the task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that must be realized despite this rift struc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under capitalism can have cracks due to the difference in position on the program and practice method of each organization, and the difference in position on the regional scope of the Peace and Welfare Alliance and peace welfare. Since the ‘solidarity correction system-oriented movement group’ can stand at the center of the solidarity movement,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solidarity movement while minimizing the cracks based on the movement zone. As practical tasks for the Korean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to be realized, the strengthening of social welfare movement subjects (reproduction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ity and solidarity, and the strengthening of pro-welfare politics were discuss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the role of movement subjects for the victory of the social welfare solidarity movement.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조례 비교 연구

        민기채 법무부 2023 統一과 法律 Vol.-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조례 비교 분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광역자치단체 조례의 개정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광역자치단체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조례이며, 자료는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치법규시스템에서 수집하였다. 사회복지조례의 내용적 체계 비교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용분석 방법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조례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조례의 내용적 체계 비교 분석틀에 기초할 때, 자치단체장의 책무성 및 재정책임성에서는 서울시 조례가, 적용대상의 보편성, 급여종류의 포괄성, 전달체계의 책임성·통합성에서는 인천 조례가 가장 이상적인 구성내용을 갖추었다. 조례의 대표적인 문제점은 상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치단체장의 책무인 재원확보, 취약계층 배려·지원, 보호·주거·의료·생활보호·세제혜택·공공부문고용 지원, 실태보고(반기(半期)별 정착실태) 등이 조례에 반영되어 있지 않아, 규범적 타당성이 낮다는 점이다. 조례 개정 방향으로 첫째, 법률에 명시된 단체장의 책무성 조항을 조례에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용어 정의 시 세 주체(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 가정, 북한이탈주민 지원단체)를 모두 정의하고, 지원대상에 대한 별도의 조항 신설로 적용대상의 통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무원 특별채용, 채용민간기업 지원,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사업 우선참여기회 제공, 인식개선 사업 등 타 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지원사업을 벤치마킹함으로써 각 정착지원 조례에서 급여포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상위법의 정신을 반영하여,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을 최소한 노력의무규정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광역자치단체와 전국 25개의 지역적응센터(하나센터) 간 전달체계에서의 협력 규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전문인력 양성 및 전문성을 보유한 민간단체 지원 등 인력의 전문성 조항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plan to revise local government ordinanc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ment support ordinances. The subject of analysis was the local government’s ordinance, and data wa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Using the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of the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s, the ordinances of 17 metropolitan governments were compar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oul ordinance is superior in terms of accountability and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and Incheon ordinance is superior in terms of universality of coverage, comprehensiveness of benefit, and accountability and integration of the delivery system. The main problem with the ordinance is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to provide special treatment and support, to support the protection·accommodation·medical care·tax benefits·employment in public agencies·report of the actual conditions (on a half-yearly basis), as stipulated in the higher-level laws, are not reflected in the ordinance. In order to revise the ordinanc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reflecting the higher-level law. Second, when defining terms, it is necessary to define all three entities (North Korean defectors,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and North Korean defector support organizations) and improve the unity of coverage by creating separate provisions. Thir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omprehensiveness of benefit. Fourth,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higher-level law,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to at least a mandatory effort regulation. Fifth,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regulations in the delivery system between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25 regional adaptation centers (Hana Center) across the country. Sixth,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new regulations for human resources expertise.

      • KCI등재

        중대재해 예방 및 관리 조례 비교 연구

        민기채 충북연구원 2023 지역정책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내용분석 방법으로 조례 비교를 통한 중대재해 예방·관리 조례 개정 방안 도출이다. 이를 위해 중대재해 예방·관리 조례를 제정·시행 중인 6개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 조례를 사회복지조례의 내용적 비교 분석틀에 기초하여 비교하였다. 「중대재해처벌법」에서는 자치단체장의 책무를 규정하고 있지만, 243개 자치단체 중 중대재해 예방·관리 조례를 제정·시행하는 곳은 6개뿐이었다. 전국의 자치단체들은 지역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중대재해를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하여, 조례를 제정한 6개 지자체의 도입 배경을 면밀히 검토하여 해당 자치단체의 실정에 맞는 조례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분석 결과, 인천 조례는 권리성과 급여 구성요소에서, 경기 조례는 권리성, 적용대상, 급여, 재정부담 구성요소에서, 충북 조례는 적용대상, 급여, 재정부담 구성요소에서, 경남 조례는 적용대상, 급여, 전달체계, 인력 구성요소에서, 서울 금천 조례는 권리성, 적용대상, 재정부담 구성요소에서, 경기 부천 조례는 권리성, 적용대상, 급여, 재정부담 구성요소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내용적 체계를 갖추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중대재해 예방·관리 조례 개정 방향을 제언하였다. 첫째, 권리성 확보를 위하여 예방·대응계획 수립·시행과 실태조사 실시 주기 명시, 실태조사에 대한 강행규정 명시를 통해 자치단체장의 책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적용범위 조항 신설을 통해 적용범위를 명확히 하고, 중대재해 중점관리대상 발굴 및 발굴 주체 조항을 신설하며, 중점관리대상의 범위를 중대시민재해에서 중대재해로 변경함으로써 적용범위 확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ㆍ지방자치단체가 관계 법령에 따라 개선, 시정 등을 명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조치’ 조항, ‘도급, 용역, 위탁 등 관계에서의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 조항, ‘재해예방에 필요한 인력ㆍ예산ㆍ점검’ 조항을 지역사회 중대재해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예방·대응계획 수립·시행의 항목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민관협력 전달체계 구축에 대한 강행규정 및 컨설팅ㆍ교육ㆍ홍보에 대한 전문 기관 위탁 규정 신설을 통해 전달체계의 책임성 및 통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중대재해를 당한 노동자와 시민들을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중대재해로 고통받거나, 중대재해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노동자와 시민의 생명권, 건강권, 보건권, 안전권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plans to revise the Serious Accidents Prevention and Management Ordinances by comparing ordinances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the ordinances of six metropolitan and basic local governments that are enacting and implementing the ordinances were compared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for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s. Although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stipulates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only six of the 243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and implemented the ordinances.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need to closely review the background of introduction of the six local governments that have enacted ordinances and introduce ordinance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circumstances of each local government, to prevent and manage serious disasters occurring in their commun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cheon ordinance in the rights and benefit components, the Gyeonggi ordinance in the rights, coverage, benefit, and financial burden components, the Chungbuk ordinance in the coverage, benefit, and financial burden components, the Gyeongnam ordinance in the coverage, benefit, delivery system, and human resources, the Geumcheon ordinance in the rights, coverage and financial burden components, the Bucheon ordinance in rights, coverage, benefit, and financial burden components, has a relatively strong content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direction for revising the ordinances was proposed. First, in order to secure rights,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in more detail by specifying the frequency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revention and response plans and conducting fact-finding surveys. Second, there is a need to clarify the scope of coverage by establishing a new scope of coverage clause, to expand the scope of coverage for establishing new provisions for searching and searching subjects for serious accidents priority management targets and changing the scope of the priority management target from serious civil accidents to serious industrial disasters. Third, as stipulated in higher laws, ‘measures concerning the compliance with an order to improve, correct, or take other measures issued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or local governments under the relevant statutes or regulations’ and ‘measure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such as human resources and budget necessary to prevent accidents’ which reflec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serious accidents in the community, need to enact the provisions o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revention and response plans. Fourth,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and integration of the delivery system by establishing mandatory regul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private cooperation delivery system and regulations for entrusting specialized agencies for consulting,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Fifth,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new psychological treatment program for workers and citizens who have suffered serious accident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ights of life, health, and safety of workers and citizens who suffer from serious accidents or are exposed to the risk of serious accidents.

      • KCI등재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민기채 법제처 2023 법제 Vol.703 No.-

        It was only in 2021, 40 years aft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as enacted,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s’and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by Local Governments’ clauses were newly established. Accordingly, as a mandatory delegation ordinance,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secured a legal basis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measure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Currently, 164 out of 243 local governments (67.49%) have enacted and are implement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Researche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have been accumulated on various topics over a long period of time, but research on ordinances is rare. This study may be differentiated in the analysis object of ordin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revision plan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The object of analysis is the ordinances of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using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for the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s, the ordinances of 17 metropolitan governments were compar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cheon ordinance was in terms of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universality of coverage, and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the Busan ordinance was in terms of universality of coverage and responsibility/integration of delivery system, the Gyeonggi and Jeonnam ordinances were in terms of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and the Seoul Ordinance was in terms of professionalism of workforce, had ideal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the Gyeongsangbuk-do ordinance was for the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the Daegu ordinance was for the universality of university, the Sejong ordinance was for the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the Seoul ordinance was for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and the Jeollabuk-do ordinance was for responsibility/integration of delivery system and professionalism of workforce, had not ideal components. The main problem wi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is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regarding industrial accidents and safety and health, which are extensively stipulated in higher-level laws, are in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ordinance, resulting in low normative validity. As a plan to revis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first, in order to improve normative validity,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mandat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ith the purpos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rdinance」 and to similarly match the purpose of the ordinance with the higher-level law.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 heads to comply with Article 4-2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Article 4-3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etc.) of the Act. Third, there is a need to improve legal clarity through definitions of missing key terms. Fourth, in order to improve normative validit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cope of coverage of the Ordinance to ‘all businesses or workplaces’ like the Act. Fifth, benefit comprehensiveness can be expanded through benchmarking of other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such as guidance on prohibiting hazardous and harmful contracts, safety equipment support,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employment support. Sixth,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establishment of new financial responsibility regulations for local government heads regarding budget security. Seventh, there is a need to consider establishing a new linkage system between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the metropolitan headquarters of the Korea Occupational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Agency. Eigh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rights relief pr...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된 지, 40년이 흐른 2021년에서야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및 ‘지방자치단체의 산업재해 예방 활동’ 조항이 신설되었다. 이에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확보하게 되었다. 현재 243개 자치단체 중 164개 자치단체(67.49%)가 산업안전보건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 중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연구는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주제로 축적되어 왔으나, 산업안전보건 조례 연구는 상대적으로 희소하다. 본 연구는 산업노동자의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을 지원하기 위한 법 연구가 ‘법률’ 연구에 치중되어 왔다는 측면에서, ‘조례’라는 분석대상에서 차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비교 분석에 기초한 개정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광역자치단체의 산업안전보건 조례이며, 사회복지조례의 내용적 체계 비교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용분석 방법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의 산업안전보건 조례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인천광역시 조례는 자치단체장의 책무성, 적용대상의 보편성,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에서, 부산광역시 조례는 적용대상의 보편성과 전달체계의 책임성・통합성에서, 경기도와 전라남도 조례는 급여종류의 포괄성에서, 서울특별시 조례는 인력의 전문성에서 이상적인 구성내용을 갖추었다. 반면, 경상북도 조례는 자치단체장의 책무성에서, 대구광역시 조례는 적용대상의 보편성에서, 세종특별자치시 조례는 급여종류의 포괄성에서, 서울특별시 조례는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에서, 전라북도 조례는 전달체계의 책임성・통합성과 인력의 전문성에서 이상적인 구성내용을 갖추지 못하였다.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주요 문제점은 상위법에서 방대하게 규정하고 있는 산업재해 및 안전보건에 대한 자치단체장의 책무가 조례에 미흡하게 반영되어, 규범적 타당성이 낮다는 점이다.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개정 방안으로 첫째, 규범적 타당성 제고를 위해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목적에 「산업안전보건법」의 위임 명시 및 상위법과 조례의 목적을 유사하게 변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산업안전보건법」 제4조의2(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및 제4조의3(지방자치단체의 산업재해 예방 활동 등)에 부합하도록 자치단체장의 책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부재한 핵심 용어의 정의를 통해 법적 명료성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규범적 타당성 제고를 위해 산업안전보건 조례의 적용대상을 상위법과 마찬가지로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위험・유해 도급금지 지도, 안전장비 지원, 안전 및 보건 정보공개, 재취업 지원 등 타 지방정부의 산업안전보건 조례 벤치마킹을 통해, 급여포괄성을 확대할 수 있다. 여섯째, 예산확보에 대한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 규정 신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광역자치단체와 산업재해예방 안전보건공단 광역본부 간 연계체계 신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권리구제 절차 신설 및 벌칙의 엄격성 관련 조항의 신설이 필요하다. 노동자들이 산업재해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고 건강하게 노동할 수 있는 권리 향상에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경계선지능 학생 지원 교육청 조례 비교 연구

        민기채 한국장애인개발원 2023 장애인복지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plan to revise the Office of Education’ support ordinances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hrough a comparative study.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Office of Education's support ordinances to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data wa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s autonomous law system. Using the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of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 the ordinances of 10 offices of education of city/do were compar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ordinance, the Busan Office of Education ordinance, which has the strongest legal binding force, has the most ideal contents of the ordinance. In the problems of ordinances, first, the definitions in the ordinance are different for each ordinances. Second although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s overall accountability is high, financial responsibility, which is the driving force for actual project execution, is very low. Third, there are almost no provisions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support centers and partner organizations. Fourth, regulations related to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designating and operating specialized support centers and cooperative organizations, and strengthening teacher expertise are very weak. In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ordinance, strengthening the uniformity and universality of the coverage by revising the definition of terms and preparing separate provisions for the scope of allocation, establishing a new provision for ‘rights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ased on the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and expanding support projects based on the step-by-step process of support, specifying mandatory regulations on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superintendents based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establishing new committee regulations, enacting establishment/operation/function regulations for support centers for each basic self-governing unit, establishing new regulations on cooperative organizations, etc. Strengthening regulations for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were proposed. The 7 10 offices of education of city/do that do not have the ordinances need to quickly enact related ordinances based on stakeholder participation.

      • KCI등재

        통일 후 남북한 보육서비스 통합에 관한 연구: 독일 보육서비스 통합 경험을 중심으로

        민기채,주보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8 국제지역연구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통일 이전 동서독의 이질적인 보육제도가 통독 이후 어떻게 하나의 제도로통합되었는지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통일 이후 남북한 보육서비스 통합 방향을 제시하고자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남북한 보육제도의 이해를 목적으로 보육법령을 서술하고 이를비교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의 주된 분석 대상인 통독 전후의 보육정책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통독 이전 서독과 동독의 영유아 보육정책을 각각 살펴본 후, 통합과정을 제도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서독과 동독은 분단 후 서로 다른 보육서비스를 발전시켜 왔기 때문에 통독 당시두 지역의 보육서비스는 제도적 차원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서로 다른 보육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했던 경험은 통일 한반도의 제도 통합 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동서독의 보육서비스 통합과정에서 서독 주도의 통일작업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동독지역의 기존 보육서비스 전달체계를 활용한 점과 동독 지역의 ‘이데올로기’ 교육에 중점을둔 교육 및 보육 과정이 통독을 전후하여 예외 없이 삭제된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독일의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통일 후의 보육서비스 통합 방향을 거시적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egration plan of Korean childcare service after the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integration experience of German childcare service. First, we discuss the childcare laws of South and North Korea. Subsequently, childcare policies of West and East Germany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examine their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West and East Germany developed different childcare services following their division, including differences in childcare and education processes, as well as in the rate of providing childcare service. As a result, the German experience of integrating childcare systems provides a valuable reference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ere,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wo points. First, despite the fact that the reunification process was directed by the West, the policy endeavoured to retain the existing childcare delivery system in the East. Second, the ideology-influenced content of the East German school curriculum was removed without excep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German reunification experience, this study describes major strategies for Korean reunification from a macro-perspective.

      • 체제전환 전후 동독 특별 · 추가연금제도의 변화 : 통일 이후 북한 특별연금제도의 통합에 대한 함의

        민기채,주보혜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특권계층을 위한 특별 및 추가 연금제도가 서독의 연금제도에 어떻게 통합되었는가를 역사적으로 이해하고, 통일 이후 북한 특별연금제도의 통합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동독 시대의 특별 및 추가 연금제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통일 이후 해당 제도가 어떠한 변천과정을 가졌는지를 역사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통일 이후 북한 특별연금제도의 통합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동독 시대 4개의 특별연금제도와 61종의 추가연금제도는 통일과 함께 서독의 국민연금보험에 편입되었고 특수계층들의 수급권은 제한적으로 인정되었다. 현재 북한 특별연금제도는 국가공로자연금과 영예군인연금 제도가 있으며 추가연금제도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통일 이후 북한 특별연금제도의 통합 시나리오로는 권리계승형, 절충형(독일방식), 과거청산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각자의 장점과 단점의 차이가 커서 전략적 준비가 필요하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탐색적으로 통일 이후 북한 특별연금제도의 통합에 대한 퍼지이상형을 제시하였다. 급여평등(시민권중심(+), 지위중심(-))과 북한 특수 · 추가연금제도의 처리방식(권리계승(+), 과거청산(-))의 유형개념으로 통일연금체제의 성격을 비스마르키언, 비스마르키언 lite, 베버리지언, 베버리지언 lite로 구분하였다. 우리나라의 연금제도가 현행 제도대로 성숙되고 북한 특별 · 추가연금제도의 권리계승형일 경우 비스마르키언 통일연금체제가 예상되며, 우리나라의 연금제도가 현행 제도대로 성숙되고 북한 특별 · 추가연금제도의 과거청산형일 경우 비스마르키언 lite 통일연금체제가 예상된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민기채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6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 비교 분석을 통한 다문화조례지원 조례의 개정 방안 도출이다. 분석대상은 다문화가족에 초점을 둔 9개광역자치단체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이며, 내용분석 방법으로 조례의 법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주 조례는 권리성, 적용대상, 재정부담,전달체계 구성요소에서, 광주 조례는 적용대상, 급여, 인력 구성요소에서사회복지조례의 내용적 체계화 정도가 강하였다. 광역자치단체 조례 개정방안으로, 다문화가족의 권리 신설, 시행계획 수립・시행・평가로 변경, 실태조사의 강행규정화로 권리성 강화, 지원대상 조항 신설 및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근거한 정의 규정 마련, 조례 벤치마킹을 통한 지원사업 조항 보완,다문화가족지원센터 예산 지원 명시, 전문인력 양성 기관에 대한 예산 지원신설, 다문화가족 민간단체에 대한 예산 지원 신설 등 자치단체장의 재정책임성 강화, 연계・협력체계 구축, 역할분담 규정 마련, 전담민원창구 신설,의견수렴 창구 운영, 공청회 개최 등 전달체계의 책임성 및 통합성 제고,전문인력 양성 규정 신설, 전담인력 보수교육 신설, 외국어 전담민원 창구설치・운영 등 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plan to revise the multiculturalfamily support ordinanc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object of analysisi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ordinances of nine metropolitan governmentsthat focus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legal text of the ordinances was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the analysis, the Jeju ordinance had a strong degree of content systemizationof social welfare ordinances in terms of rights, coverage, financial responsibility,and delivery system components, and the Gwangju ordinance had a strongdegree of systemization in the content of social welfare ordinances in coverage,benefits, and personnel components. As a plan to revise the local governmentordinance, establish new righ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change theimplementation plan to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rengthen rights by making fact-finding mandatory, establish new provisionsfor support, and prepare definitions based o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Act, strengthen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andcooperation system, such as supplementing support project provisions throughbenchmarking ordinances, specify budget support for support centers, establishbudget support for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establish budgetsupport for private organizations for multicultural families. establishment ofrole division regulations,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civil complaints counter,operation of an opinion collection counter, holding of public hearings,improvement of responsibility and integration of the delivery system,establishment of new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regulations, establishmentof continuing education for dedicated staf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a dedicated foreign language civil complaints counter wa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