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다차원적 진로의사결정 과정과 진로미결정 관계에 대한 한국과 미국 대학생 비교

        어윤경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profiles(CDMP) affect their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is study assumed that there would be cultural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thus compare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es of college students from Korea and the U.S. The subjects were 115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103 college students in the U.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files of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the U.S. college students exhibited a more effectiv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an the Korean student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decision-making difficulties, but in the sub-factors, American students had difficulties as a result of personality problems. Meanwhile, Korean students had a lack of information about decision-making process, job information, and inconsistent information. Third, the results did not show u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ation but Korean stud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consistent inform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we can find ways to reduce the decision-making difficulties by understanding the level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files an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S.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but Korean stud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consistent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ways of reducing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and increas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files effectively. 본 연구는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반영하여 이전의 진로의사결정 유형 연구가 아닌 좀 더 다차원적인 접근으로서 진로의사결정 프로파일(CDMP)을 평가하고 진로미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 문화적인 차이에 기인하여 진로의사결정 과정이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여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과정과 진로결정시 겪는 어려움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 대학생(115명)과 미국 대학생(103명)이었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국가가 두 변인 사이에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 대학생은 진로의사결정 프로파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미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들보다 효과적인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보였다. 둘째 진로미결정 요인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하위요인에서 미국 대학생들이 성격적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한국 대학생들은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정보부족, 직업정보부족, 비일관적인 정보로 인해 어려움을 더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의사결정 프로파일이 진로미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체 진로미결정 요인에 대해서는 국가가 조절효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한국 대학생이 미국 대학생보다 비일관적인 정보로 인해 더 많이 어려움을 걲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으로 진로의사결정을 함으로써 미래 직업생활에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국가간 비교를 통해 진로의사결정 프로파일 수준을 높이고 진로결정에 대한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문제 분석

        고홍월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s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rough 347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career decision -making maturity level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the maturely group(141 students), middle group(165 students) and prematurely group(41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kinds of career decision -making maturity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vocational self-concept crystallization and depended decision -mak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e two predictors were also significant in middle group. In maturely group only the vocational self-concept crystalliz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in prematurely group. Through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대해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성숙한 진로의사결정과 미숙한 진로의사결정이 어떤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지, 각 성숙수준별로 예측변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학교 3-4학년 학생 347명에 대해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을 평가하고, 상(성숙집단), 중(중간집단), 하(미숙집단) 세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문제 영역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성숙집단은 141명, 중간집단은 165명, 미숙집단은 41명이었다. 진로결정문제를 진로결정문제척도(CDDQ), 직업적 자아개념명료화척도, 특성불안검사, 의존적 의사결정유형 하위척도를 통해 파악하고 영역별로 진로결정문제에 대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성숙집단과 미숙집단은 특성불안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성숙집단과 중간집단은 우유부단함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중간집단과 미숙집단은 진로결정과정에 대한 지식, 자신에 대한 정보, 직업에 대한 정보, 추가적인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한 정보, 직업적 자아개념명료화 등 정보관련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각 집단의 진로결정문제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전체집단과 중간집단에서는 직업적 자아개념명료화와 의존적 의사결정이 유의미하였고, 성숙집단은 직업적 자아개념명료화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미숙집단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진로결정자율성이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김지근,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Savickas(1997, 2005) proposed the career adaptation model which explains that motivation and resources to adapt in a changing environment will lead to adaptive behaviors in career construc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valuate the theoretical model of career adaptation process, which denote a sequence raging acros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s adaptive readiness, career adaptability as resources to adapt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s adapting response, including the interaction role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The results from the survey of 274 university students are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was found. Seco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moderated the mediated relation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high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may need to have low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in order to have high career adaptability which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Savickas(1997, 2005)는 진로구성이론에서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자 하는 동기와 더불어 적응에 필요한 자원의 활용이 수반될 때 적응적인 행동이 나타난다는 진로적응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진로적응모형을 바탕으로 개인의 동기 수준인 진로결정자율성, 적응에 필요한 자원 수준인 진로적응성, 환경에 대처하는 행동 수준인 진로관여행동 변인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 변인의 상호작용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진로적응모형의 이해와 해석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74명(남 109명, 여 165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와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이 모두 검증되었다. 특히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적응성, 진로관여행동으로 이어지는 진로적응모형이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이 낮은 집단에서만 타당하게 나타남으로써, 진로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에 있어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이론적 의의 및 진로 상담의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송효경 ( Hyo-kyeong Song ),선혜연 ( Hye-yon Seo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7 人間理解 Vol.38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충청, 강원 지역 소재의 7개 대학에 재학 중인 35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척도, 문제해결력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는 문제해결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각각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고, 문제해결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정서·성격적진로문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대학생의 진로상담에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문제해결력의 중요성을 환기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357 college students from 7 colleges in Korea using the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scale,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 for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Second, problem-solving 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mplications and study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에 대한 대학생의 지각이 진로결정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정예지,유계숙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가 진로결정 어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자녀의 공공부문 및 대기업 취업 희망 여부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탐색함으로써 청년층 취업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진로결정에 당면한 대학생자녀와 그들의 부모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4년제 남녀공학 9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4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진로 기대와 대학생의 진로결정 어려움 및 대학생이 원하는 일자리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진로 기대는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며, 진로결정 어려움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이 향후 가장 원하는 일자리는 공공부문이 48.7%로 가장 높은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대기업 일자리를 희망하는 경우가 31.3%를 차지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가 진로결정 어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대학생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그리고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부모의 기대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결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가 진로결정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부문이나 대기업 일자리를 희망하는지 여부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분석한 결과,대학생자녀가 향후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부모의 기대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결정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어려움을 겪는 현상은 대학생이 공공부문 일자리를 희망하는 경우 현저하였으며, 대기업 일자리 희망 여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ptions of parental expectations for a child’s future careers on one's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amo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desire for the future jobs in public sector and big busi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246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several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respondents were requested to complet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erceptions of Parental Expectations for a Child’s Future Career Scale’, the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Scale’, and questions regarding desired future career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howed slightly high levels of perceptions of parental expectations for their future careers with moderate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eir desired future careers were ‘public-sector jobs’(48.7%)and ‘jobs in big business’(31.3%). Seco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younger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for their future care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especially when they perceived high levels of parental expectations for a child's happiness and sustaining reputation of the family. Third, this study also found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f students' desire for the future jobs in public se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for a child’s future careers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Students with desire for public-sector jobs in the future who perceived high levels of parental expectations reported high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의 어려움 요인 재구성 및 군집유형 탐색

        유나현,이기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a taxonomy system regarding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explore specific types of difficulty. Factor analysis on 10 CDDQ, EPCD, and CIP factors confirmed both lack of information and commitment hindrance as difficulty factors. Weak difficulty, lack of information, commitment difficulty, and multidimensional difficulty were extracted using the 2 factors. ANOVA was performed to observe any difference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the subtypes.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was able to reconstruct the representative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y taxonomy systems to be more appropriate for Korean students. Results, intervention implications,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의 어려움에 대한 분류체계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진로결정의 어려움 유형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먼저 기존의 대표적인 진로결정의 어려움 분류체계인 Gati와 동료들의 인지 관련 진로결정의 어려움(CDDQ)과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결정의 어려움(EPCD), 그리고 Brown 등의 진로미결정 4요인이론(CIP)의 요인을 재구성하여 한국형 진로결정의 어려움 분류체계를 제시해 보았다. CDDQ, EPCD, CIP의 10개 하위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정보부족과 몰입저해의 두 요인이 확인되었다. 두 요인을 이용하여 어려움 미약 유형, 정보부족 유형, 몰입의 어려움 유형, 다면적 어려움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들 유형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개입의 시사점에 대한 함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등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진로결정의 어려움 분류체계를 한국 대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게 재구성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대학생들의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어려움 관련 정서·성격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김민선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어려움 관련 정서 및 성격 요인을 구성하는 비관적 관점(pessimistic view), 불안(anxiety), 자기개념 및 정체성(self-concept and identity)에 따라 대학생들이 몇 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인구통계(성별, 학년) 및 심리적 변인들(우유부단, 자아존중감, 정체성혼란)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잠재집단 분류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5개의 잠재계층 모형을 최적의 모형으로 선택하였으며 , 집단1(진로결정-적응 및 자기 확신 집단, n = 20, 8%), 집단2(진로미결정-발달적 갈등 집단, n = 54, 21%), 집단3(진로결정-확신 필요 집단, n = 113, 43%), 집단4(진로미결정-비관적 관념 및 불안 집단, n = 27, 11%), 집단5(진로결정어려움-자기개념 및 정체성 혼란 집단, n = 43, 17%)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 상담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in career indecision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mong college students.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the latent profiles to sex, grade, general indecision, identity status, and self-esteem on determining latent profi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ive types of latent profiles in career indecision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 career decision-adaptive and self-affirmation group, a career indecision-developmental indecision group, a career decision-need for self-affirmation group, a career indecision-pessimistic view and anxiety group, and a career indecision-self-concept and identity crisis group.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general indecision, identity diffusion, and self-esteem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career indecision-identity crisis group than other groups.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 on practice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진로결정 어려움이 대학생의 상담 태도 및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은이(Jeong Eun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cognition-related and emotion/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on counseling attitude and intention for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in C university and the data from 243 students wer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on-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by student major. That is, student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perceived more cognition-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compared with other majors. Second, result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counseling intention was predicted significantly by anxiety, pessimistic view, self-concept, identity, and lack of readiness. Also, stigma tolerance was predicted significantly by pessimistic view, information incongruence, anxiety, and lack of readiness, while expertise was predicted by pessimistic view, anxiety, and information incongruenc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ied that cognition- and emotion-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predicted college students’ counseling attitude and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college eduction and career counseling in relation to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과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이 상담 태도 및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 C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 중 243명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첫째,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 진로 결정 어려움 및 상담 태도, 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지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에서만 전공계열 간 차이가 있었다. 즉, 인문사회 계열의 학생들이 다른 계열에 비해 인지관련 진로 결정 어려움을 더 크게 지각하였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불안, 비관적 관점, 자기개념 및 정체감, 준비성 부족이 유의하게 상담의도를 예측하였다. 또한 비관적 관점, 정보 불일치, 불안, 준비성 부족이 유의하게 낙인내성을 예측했으며, 비관적 관점, 불안, 정보 불일치가 유의 하게 전문성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인지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결정 어려움이 상담 태도 및 의도를 예측함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 관계에서 진로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신윤정 ( Shin Yun-jeong ),전주람 ( Jun Joo-ra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6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진로자기조절과 진로결정 어려움 세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 어려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진로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은 진로결정 어려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 관계를 진로자기조절이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셋째,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더 자료에 부합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가족건강성이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이 높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진로상담시, 가족환경에 대한 탐색 뿐 아니라 진로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and the mediating effect or career self-regula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family strength and career self-regulation in understanding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With 172 Korean college students, there were both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from family strength to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Specifically, the mediation roles of career self-regulation was confirmed. Comparing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ith full mediation model,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s better with the data.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t clinical implication that counseling practitioners need to address the possibl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on college student`s perceived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to assist students develop appropriate level of competencies of regulating one`s emotion, thoughts, and behavior related to career problems.

      • KCI등재

        진로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 탐색: 한국과 미국대학생 사례

        어윤경,이인혁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by which college students can make effective career decision-making by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esign/Methods: Individual factors include gender, major-job interest congruence, and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adaptability (CDA),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 period of university study and Korea/US. In this study, we used gender, CDA, Korea/U.S., college study period, and major-job interest congruence to identify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undecided grou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5 Korean and 131 American college students. Findings/Results: We identified eight different types of career-indecision. The chi-square test also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only Korea/U.S., IG, PR, and S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classify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group and the career undecided group. Especially, PR, SP, IG, and Korea/U.S. showe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group classification. Values: In conclusion,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less likely to be career decided than U.S. student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developing career intervention strategies in diminishing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 환경적 요인의 영향에 주목하여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개인적 요인은 성별, 전공-직업흥미 일치도와 진로의사결정 적응력(CDA) 각 하위요인에 해당하고 환경적 요인은 대학 학습기간과 한국/미국의 영향요인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의사결정 집단과 진로미결정 집단 결정에 관여하는 변인으로 성별, CDA, 한국/미국, 대학학습 기간, 전공-직업흥미 일치도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 대학생과(145명) 미국 대학생(131명)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측정도구는 진로의사결정 적응력 척도와 진로미결정 척도를 활용하였다. 우선 준비부족 유형・정보부족 유형・비일관정보 유형・미분화 A・B・C・D・E유형의 총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χ2 검증 결과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진로의사결정 집단과 진로미결정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한국/미국, 정보수집(IG), 지연(PR), 결정속도(SP)만이 집단 구분의 결정요인으로 유의미하게 도출되었다. 특히 PR, SP, IG, 한국/미국 순으로 집단 구분에 영향력이 큰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같이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 차이는 집단 구분을 위한 유의미한 변수로 도출되었으며, 한국 대학생들이 진로의사결정 수준이 더 낮았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개인적 ․ 환경적 요인에 따른 독특한 특성을 파악하고 문화적 차이를 함께 고려한다면 진로결정 어려움을 덜 수 있는 유용한 개입방법이 도출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