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posting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묘성(Kim, Myoseong),서정화(Seo, Jeonghwa) 한국소비문화학회 2022 소비문화연구 Vol.25 No.1

        2020년 전세계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36억명에 달할 정도로 많은 이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2025년 사용자는 약 44억명으로 추정할 정도로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많은 이들의 일상으로 여겨진다. 특히, SNS에서 사회적 소통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SNS 포스팅(posting)관련 연구들은 포스팅 이후에 타인이 나의 게시물에 반응해 줄 것이라는 사용자의 기대감과 실제 그 기대치를 타인이 충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사회적 연결 강화와 외로움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중심으로 다뤄져 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타인의 반응과는 상관없이, 포스팅 직후에 타인이 나의 게시물을 좋아하고 반응해줄 것으로 예상하는 사용자의 사회적 기대감만으로 그 기대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기대감은 실제 사회적 연결 강화로 인해 나타나는 궁극적인 결과인 행복 증진으로 나타날 것을 예측하고 그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포스팅을 하는 경우 포스팅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행복이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관계는 타인의 반응과는 상관없이 포스팅 직후에 타인이 나의 게시물을 좋아하고 반응할 것으로 예상하는 사용자의 사회적 기대감으로 인해 나타나게 될 것임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일기를 통한 경험 작성을 떠올리는 통제 조건보다 포스팅을 통한 작성을 떠올리는 조건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사회적 기대감을 보였으나 행복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포스팅은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포스팅한 게시물에 타인의 반응이 있을 것이라는 사용자의 사회적 기대감이 매개변수로서 존재하는 경우 포스팅을 하는 것은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효과는 유의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에 관련된 기존 문헌 확장에 기여한다. 특히, 본 연구는 SNS 포스팅과 관련하여 기존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포스팅 직후 타인과 마주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전 단계에 대한 과정을 다루는 것으로, SNS 사용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사회적 상호작용 후 단계에서 발생할 상황을 예측함에 있어 새로운 통찰력과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SNS(Social network services) are considered a daily routine for many, with 3.6 billion social media users worldwide in 2020, and an estimated 4.4 billion users in 2025. In particular, SNS posting-related studies, which are most commonly conducted for social communication on SNS, have been focused on social connection and loneliness that may differ depending on users expectations that others will respond to their posts after posting and how others react to expectations. However, we predicted that the posting users could meet the expectations just by expecting others feedback regardless of others feedback. And this expectation would result in increased happiness, the ultimate result of strengthening social connections.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appines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social expectations specifically social expectations were higher in posting conditions than in control (diary) conditions. In addition, the posting did not directly affect happiness, however, if there were users social expectations that others will like or react to users posts, pos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SNS. In particular,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cess of pre-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after posting, which has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regarding SNS posting, providing new insights and deeper understanding in predicting what will happen in the post-social interaction stage.

      • KCI등재

        SNS 게시물에 대한 공공기록화 수용에 관한 연구

        윤승욱,장준갑,김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9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public recording in SNS post. Using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major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n SNS posting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attitude toward SNS posting. Second, the security of the SNS post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the SNS posting. Third, the concern about privacy of SNS posting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attitude toward SNS posting. Fourth, the attitude toward SNS post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accept the SNS posting.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SNS post recording should be able to collect opinions of SNS users from a long-term viewpoint. 본 연구는 SNS 게시물 기록화 수용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 등을 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은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보안은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는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게시물 기록화에 대한 태도는 SNS 게시물 기록화 수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SNS 게시물 기록화의 경우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SNS 사용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SNS 게시물의 작성, 재게시행위와 인터넷상 명예훼손

        정정원 ( Jeong Won Jeong ) 한국법정책학회 2012 법과 정책연구 Vol.12 No.3

        20세기 후반 컴퓨터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 체계에 기반을 둔 거대한 네트워크 체계로서 인터넷이 등장하여 인터넷 공간이라는 현실 세계와 별개의 새로운 공간이 탄생되었다. 이러한 인터넷의 등장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끌어냈고 이는 표현행위의 영역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은 그 이용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의사를 쉽고 편리하게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였고, 이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표현행위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뛰어넘어 다수의 사람들에게 광범위하게 전파될 수 있게 되었다. 즉 인터넷은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의 하나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인터넷을 이용한 표현행위는 매우 빠르고 광범위한 전파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인터넷상 표현행위가 다른 사람의 명예를 침해하는 경우에는 짧은 시간에 광범위하게 전파되어 현실 세계에 비하여 그 명예침해로 인한 피해가 더욱 커질 수 있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SNS를 이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시하는 이용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SNS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어떠한 표현행위는 인터넷이라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표현행위이므로 이러한 표현행위가 사실 또는 허위사실의 적시행위로서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에는 인터넷상 명예훼손죄가 성립할 수 있다. 그리고 SNS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게시물 등을 작성한 사람의 게시물을 다른 사람이 재게시 할 수 있는 기술적 서비스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데, 인터넷상 명예훼손죄에 해당하는 게시물을 재게시한 사람에게도 인터넷상 명예훼손죄의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하여 살펴 볼 필요성이 있다. Following the advent of computers, the Internet emerged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s a large network system based in network interconnections between computers, that produced a new space called "Internet space", The birth of the Internet brought previously unimaginable innovative developments to many fields of society, It allows users to easily and conveniently communicate their ideas to others, and acts of expression may be disseminated to many others through Internet space whether they are intended for public or private viewing, In other words, the Internet is utilized as an highly effective means for enjoy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al law. Due to the rapid and vast transmittability of acts of expression over the Internet, any expressive act which defames another person is widely disseminated in a short duration of time, resulting in greater harm to the victim compared to defamatory acts in real world. Recently, users who express using diverse SNS increase rapidly. Any expression using SNS on Internet is an expression of utilization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So there can be crimes (defamation on the Internet) an expression using SNS hurt a person`s reputation. And generally, SNS offers technical services which retransmission of someone`s posts to their users, So there is a need to review whether can be crimes (defamation on the Internet) anyone who retransmit someone`s posts that hurt a person`s reputation.

      • KCI등재

        Existence of multiple phases and defect states of SnS absorber and its detrimental effect on efficiency of SnS solar cell

        Tanka Raj Rana,김성연,김준호 한국물리학회 2018 Current Applied Physics Vol.18 No.6

        Tin sulfide (SnS) film is grown by sputtering process with subsequent post-sulfurization. As-deposited SnS consists of orthorhombic and cubic structure SnS whereas post-sulfurized films showed pure orthorhombic crystal structure. This structural transformation was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XRD), Raman spectroscopy and UV–Vis spectroscopy. We used post-annealed SnS film as an absorber layer of solar cell. The fabricated SnS solar cell was composed of SLG/Mo/SnS/CdS/i-ZnO/ITO. We measured current density-voltage (J-V) an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curves for the completed devices. The best efficiency of SnS solar cell was ∼0.5%. The EQE curve showed existence of multiple phases of SnS, even though XRD and Raman spectroscopy showed pure SnS phase. The multiple phases were observed again by photoluminescence (PL). PL also revealed deep defect states of SnS absorber. Thus, the inhomogeneous SnS absorber is one of the main bottlenecks for high efficiency SnS solar cell.

      • KCI등재

        미술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게시물의 감성적 요소가 정보이용자의 호응에 미치는 영향

        장혜영 ( Hye Young Jang ),신형덕 ( Hyung Deok Shi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최근 그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하 SNS)에서의 게시물에 담긴 감성적 요소가 해당 게시물을 접하는 정보이용자의 호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한국의 SNS 이용 현황은 10명 중 7명이 페이스북이나 블로그를 주요 통신수단으로 이용하는 등 급격한 확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급속한 확산의 이유로는 스마트미디어의 보급 및 확산에 의해 실시간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소통 및 상호작용 방식의 변화는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 문화예술기관의 소통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소장 자료와 전시 정보에 대해 이용자들과 공유함으로써 문화예술상품의 가치를 이해시키고 관람객을 유지 확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잠재적 관람객의 호응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된다. 특히 문화예술상품은 그 상품을 직접 구매하여 경험하기 전에는 상품의 질을 알 수 없는 경험재적특성을 지닌 것으로 ‘구매 전 불안’이라는 요소를 내포한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러한 문화예술상품의 소비 방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다수의 정보공유 참여자가 동시에 양방향적 소통을 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는데 그 대표적인 형태가 SNS이다. 특히 이러한 디지털 기술은 소비자들의 문화예술상품의 소비를 촉진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디지털화된 문화예술상품의 콘텐츠를 쉽게 소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비자들은 디지털환경에서 문화상품을 검색하고 관람을 예약할 수 있다. 소비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사람들의 관심과 호응을 일으키는 것은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순수예술 분야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심미적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 작품이나 시각예술 작품 등에 포함된 감성적 요소는 문화향유자의 감정적 변화를 유발하여 호응을 일으킨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과연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미술관의 SNS 게시물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가에 대해 본 연구는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게시물의 성격과 게시의 반복성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해당 게시물의 문장에 운율이 나타나는 형태의 감성적 요소가 발견되는 경우 정보이용자의 호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게시물의 이미지에서 나타난 채도상의 감성적 요소가 있는 경우에도 정보이용자의 호응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두 가지 변수를 동시에 투입한 모형에서는 채도상의 유의도가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운율상의 감성적 요소가 더 큰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활동을 통하여 고객과의 소통을 도모하는 영리 및 비영리 조직에게 감성적 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if emotional factors in the postings may have any effects on information users’responses to the postings within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ctivities in Korea is so rapidly increased that 7 out of 10 Korean people are using Faceook or Blogs for major communication tools. The popularity of smart media, such as smart phones, led firms to use on-time communication networks to transfer useful information that help the firms’ business. In addition, arts institutes, such as art museums, are changing their communication tools. By sharing the information of their art reserves and showing exhibition schedules, arts institutes can educate and attract visitors. In this process, information users’ response could be very important. Especially, culture and arts products hav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goods’ which means people cannot know the value of the product they buy before they actually consume. This character brings uncertainty on the value and quality of the culture and art products. This uncertainty, however, can be decreased by use of digital technology. Digital technology provides real time two-way communication tools among multiple information users who want to share information on any products. Social Network Service can be used for these activities. Since people can acquire enough information on experience goods from multiple sources before they actually consume, uncertainty on the quality of the goods could be effectively decreased. This can encourage people to consume culture and art product. In addition, digital technology provides easy way to consume culture and art products. For example, people can easily search and make reservation for what they want to enjoy in a short time. To stimulate consumption, it would be important to catch interests and responses of potential customers. Prior studies in the field of pure arts showed that emotional factors in literature or visual arts move the readers’ or observers’mind to coincide with the arts with emotional factors. We empirically tested if this phenomenon would happen when observers or information users watch not pure arts but SNS postings which carry information with specific inten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existence of rhythm, which is for emotional factor in lines,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formation user’s response.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low-toned color, which is for emotional factor in visuals, is also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formation users’ response, measured by the number of pushing ‘like’ button on the posting. When two variables, rhythm and low-tone color, are included in the model together, the effect of low-tone color disappeared, which implies that sound effect would be stronger than visual effect in transferring emotional factors via SNS posting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rofit or non-profit organizations which try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or other stakeholders via SNS postings that emotional factors may have important impacts on the information users’ behaviors.

      • KCI등재

        여대생의 이별경험 후 후회대처양식과 외상 후 자기성장의 관계: SNS 사용을 통한 자기표현 행위의 조절효과

        손강숙,정소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through using SNS on the relationship of female college students’ regret coping styles after parting and their post-traumatic self-growth. For this purpose, 172 female students studying in two 4-year universities in Gyeonggi Province and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gret coping styles, post-traumatic self-growth, and self-expression by using SNS were examined by the self-express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t-traumatic self-growth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wo of regret coping styles after parting, the pursuit of alternative goals and self-expression through using SNS. Second, self-expression through using SNS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ruminating regret of regret coping styles and post-traumatic self-growth. Third, self-expression through using SNS did not have the moderating effect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separating goals of regret coping styles and post-traumatic self-growth. Fourth, self-expression through using SNS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alternative goals of regret coping styles, and post-traumatic self-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intervention to promote self-growth through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여대생의 이별경험 후 후회대처양식과 외상 후 자기성장의 관계에서 SNS 사용을 통한 자기표현 행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및 부산광역시 4년제 대학 2곳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17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후회대처양식, 외상 후 자기성장, SNS 사용을 통한 자기표현 행위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자기성장은 이별경험에 대한 후회대처양식 중 대안적 목표추구, SNS 사용을 통한 자기표현 행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대생의 이별경험에 대한 후회대처양식 중 후회반추와 외상 후 자기성장 간의 관계에서 SNS 사용을 통한 자기표현 행위는 조절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이별경험에 대한 후회대처양식 중 목표분리와 외상 후 자기성장 간의 관계에서 SNS 사용을 통한 자기표현 행위는 조절변인 역할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대생의 이별경험에 대한 후회대처양식 중 대안목표와 외상 후 자기성장 간의 관계에서 SNS 사용을 통한 자기표현 행위는 조절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및 교육을 통하여 자기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SNS어플리케이션에서 댓글 달기 방식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유성호(주저자) ( Sung Ho Yu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SNS 어플리케이션에서 댓글 달기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한 연구 이론으로는 소프트웨어 품질에 관한 ISO표준 2가지와 사용성 전문가 Neislon의 사용성에 대한 평가 항목을 토대로 User Interface부분을 분석하고 홍익대학교 미술디자인 공학연구소의 ‘디자인 실무를 위한 PRODUCT USER INTERFACEDESIGN HAND BOOK’의 ‘GUI디자인의 필요성 분석’을 기본으로 GUI부분에 대한 사례 분석을 하였다. 사례분석용으로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싸이월드를 선택하였다. 분석결과 페이스북은 상대방을 지정하여 댓글을 작성하는 인터페이스가 ‘이해가능성’과 ‘학습의 용이성’ 측면에서 많이 떨어졌다. 반면 국내 개발SNS서비스들은 이해가능성, 효율성, 학습의 용이성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며 감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등의 활용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댓글달기 인터페이스가 달라 사용자들에게 혼돈을 주며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 경험(UX)을 토대로 표준화하고 통일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개발 환경을 제공 할 필요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for this study, user interfaces designed as a way of posting at SNS applications were studied via case studies. For theoretical studies for the case study, two ISO standards on software quality and user interface items of the assessment of usability, developed by Neislon, a usability expert, were analyzed, and in terms of GUI, cases were analyzed upon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GUI designs’ of ‘Product User Interface Design Hand Book for Actual Design Practice’, published by th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of art design of Hongik University. For the case analysis, the facebook, the cacao story, the band, and the cyworld were sele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terface of posting by assigning a specific party was inferior in terms of ‘understandability’ and ‘learnability’. On the other hand, SNS services developed in South Korea showed to have high levels of satisfaction in terms of ‘understandability’, ‘efficiency’ and ‘learnability’. Moreover, the utilization of emotions showing emotions of users was seemed to have positive responses. Comprehensively, positing interface is varied over application and it rather confuses users and causes inconvenience to users.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a standardized and unified posting interfaces developed upon user experiences (UX).

      • KCI등재

        SNS 이용과 삶의 만족도 : 읽기, 쓰기, 공유, 반응의 차별적 관계

        진보래 한국언론정보학회 202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19 No.-

        본 연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21 미디어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NS 이용 시간과 행태가 성별과 나이에 따라 다른지, 안녕감의 인지적 측면인 삶의 만족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그 관계가성별과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SNS 이용 행태는 읽기, 쓰기, 공유하기, 반응하기로 구분했고, 만 19∼65세 SNS 이용자(N = 4,500)를 청년(19∼34세), 중년(35∼49세), 장년(50∼65세) 집단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읽기, 반응하기, 쓰기, 공유하기 순으로 SNS를 자주 이용하고있었고, 여성이 남성보다 SNS 이용 시간이 길고 읽기와 반응하기 빈도가 더 높은 편이었으나, 이러한 성차는 연령대가 높아지면 사라졌다. SNS 이용 행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는 인구학적 속성과 자아존중감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했는데, 이용 시간과 쓰기, 반응하기는 삶의 만족도와 약하지만 정적인 관련을 보였고, 읽기 활동은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 관계에서 나이와 성별이 갖는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별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여성과 남성 모두 SNS 이용 행태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는 비슷했다. 한편, 나이는 네 유형의 행태 중 공유하기와 유의미하게 상호작용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쳤다. 나이 집단별 분석에 따르면, 공유하기는 장년층에게서만 삶의 만족도와 부적인 관련이 있는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 시 활발한 쓰기 활동은 삶의 만족도와 정적인 관련이 있으나, 피드 읽기에만 몰두하는 것은 나이와 성별에 관계없이 삶의 만족도와 부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덧붙여, SNS 이용 빈도의 성차는 청년층에게서 주로 나타났고, 장년층의 경우 SNS에서 공유하기를 많이 하는 것은 낮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와 연관되어 있었다.

      • KCI등재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학습 태도 연구

        김대희,박판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전자책 제작 도구의 하나인 SNS형식의 ‘네이버 포스트’를 이용하여 전자책을 제작하는 수업활동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한 공립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중, 1개 반 25명은 실험집단으로 사회과 교과에 대하여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활동 수업을 적용하였으며, 다른 1개 반 25명은 비교집단으로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 분석 결과,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 활동 수업은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학습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selected and utilized the ‘Naver post’ as an e-book production tool to be used for learning. The production of such SNS format e-books aimed at founding out its effect o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by stimulating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 learning of the students. To accomplish such an aim, the study selected 50 students from two classes in the fourth grade of a public elementary school. One class of 25 students went through a social studies lesson that applied SNS type e-book production activities, and the other class of 25 students underwent a regular social studies lesson as the comparative group.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s analysis is SNS type e-book production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studies, but SNS type e-book production significantly improved the learning attitude during social studie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프로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SNS마케팅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류민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스포츠구단의 SNS마케팅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SNS마케팅에 대한 우선순위를 통 해 중점개선 영역에 대한 정보제공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프로스포츠의 지속가능한 경영효율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전국지역에 있는 스포츠팬을 모집단으로 총 249개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신뢰성이 결여된 13부 의 설문자료는 제외하고 최종 236부를 자료 처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Excel(2016)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각 문항의 평균값을 토대로 4사분면으로 도식화(IPA 매트릭스)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프로스포츠구단 SNS마케팅 중요도-만족도 분석결과, 중요도 요인으로는 구성원의 정보신 뢰, 정보의 믿음, 정보교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요인으로는 정보접근가능, 이벤트 즐거 움, 흥미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스포츠구단 SNS마케팅 중요도-만족도 우선순위 비교분석 결과 중요도에서는 구성원의 정보신뢰가 만족도에서는 정보접근가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프로스포츠구단 SNS마케팅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 분석결과 Ⅰ사분면(현상유지)에는 정보교환, 타 사용자와의 관계, 정보접근가능, 커뮤니케이션, 흥미, 이벤트 즐거움으로, Ⅱ사분면(집중노력지향)에는 쉬운 메뉴 찾기, 정보의 가치, 정보의 믿음, 구성원 간의 정보의 신뢰, Ⅲ사분면(열등순위)에는 정보 스크랩 및 저장, 원하는 정보제공, 정보의 출처, 전문적인 정보, Ⅳ사분면 (과잉노력지양)에는 공감대형성, 정보유용, 즐거움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sustainable management efficiency of professional sports by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n the priority of SNS marketing and areas to focus on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NS marketing of professional sports teams. The research subjects were processed 236 copies of the total 249 questionnaires to sports fans nationwide, excluding 13 of them.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3.0 and Excel (2016).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rust, trust in information, exchange of information, satisfaction level was in the order of access to information, enjoyment of events, interest. Seco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rioritie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members' information trust and satisfaction were the highest. Finally, according to the matrix analysis, one quadrant (maintenance of status) is information exchange, relationship with other users, information accessibility, communication, interest, event enjoyment, two quadrants (focusing effort oriented) is easy menu finding, information value, trust of information, information among members, and three quadrants (height rank) is information scrap and storage, information provision, information source, professional informatio, Four quadrants (over-effort oriented) appeared to form a consensus, use of information, and enj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