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케네디의 외교적 리더십: 현실적 평화주의자

        장준갑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09 동국사학 Vol.47 No.-

        본고는 케네디 대통령의 외교적 리더십을 재평가하기 위한 논문이다. 케네디는 냉전이 가장 치열했던 시기인 1950-60년대에 정치활동을 했던 정치 지도자로서 1960년대 초반 대통령을 역임했기 때문에 그의 외교적 지향은 강경한 냉전주의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그가 대통령이 되기 이전인 1940년대 후반과 50년대의 연방 하원과 상원 시절의 정치 활동을 평가한다면 그러한 평가가 매우 적절하고 정확하다. 또 케네디가 젊은 시절에 갖게 된 국제 평화에 대한 신념과 대통령이 된 이후에 그가 행했던 언행을 관찰해보면 상당히 일치하는 측면을 발견하게 된다. 본고는 그가 하버드를 졸업한 이후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면서 전쟁 경험에서 얻은 교훈과 전쟁 직후 언론사 기자로서 유엔 창설과정을 지켜 보면서 갖게 된 국제 평화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고, 대통령이 된 이후에 그러한 젊은 시절의 신념과 국제 정치관이 냉전적 대결 상황에서 대화와 타협이라는 수단으로 외교 정책에 반영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케네디는 특히 대통령으로 취임한 직후에 발생한 피그만 침공사건과 베를린 위기에 직면하여 소련과 대 결하거나 타협할 것을 선택해야 하는 외교적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한 상황에서 핵대결을 불사할 것을 권고하는 강경주의자들의 요구를 물리치고 전쟁이 재발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지신의 신념에 따라 소련의 강경대응을 우회적으로 회피하면서 대화와 타협의 정책을 추구하여 결국 군사적 충돌을 피하면서 대화의 국면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그의 정책은 당시 힘의 우위를 점유하고 있으므로 소련을 힘으로 굴복시켜야 한다는 미국 국내의 강경한 분위기를 고려할때 선택하기 쉽지 않은 유화적인 방법으로서 그가 평화에 대한 신념과 의지가 확고한 지도자임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볼 수 있다. 많은 정치적 ? 도덕적 결함에도 불구하고, 케네디는 외교적 측면에서 냉전적 대결 논리에 순응하지 않고 자신의 평화에 대한 신념과 철학을 관철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했던 현실적 평화주의자였던 것이다.

      • KCI등재

        케네디의 현실주의 베트남 정책 거부 -냉전외교의 한계-

        장준갑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1

        The paper examines how and how John F. Kennedy and their advisers made decisions on Vietnam between 1961 to 1963 during which American interventions began in a serious level. When Kennedy came into the office, the Vietnam situation waited for his decision on whether the United States would go deep inside the Vietnam including military intervention or just take modest steps of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to the South Vietnamese government. Kennedy who trusted the South Vietnamese leader Ngo Dinh Diem strongly urged that the United States should support the government including military aid, if necessary, as well as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He believed in “domino theory” as he considered Southeast Asia strategies to contain Communism. Most of his advisers also thought same as Kennedy. Some of his advisers such as Chester Bowles, John Kenneth Galbraith, Mike Mansfield, and George Ball moved beyond the paradigm of containment and falling dominoes. They provided a realistic assessment of the strategic importance of South Vietnam for the United States and regarded the current American policy there as being futile and misguided. These four important advisors urged an American disengagement and supported a political solution of neutralizing Vietnam. Why did Kennedy disregard the advice of these men? First, there is Kennedy’s view that by backing Diem he was helping a government that offered a real alternative to Communism and , with American assistance, would succeed in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Second, Kennedy’s own campaign proposal to stand firm against Communism might have trapped him in the growing Vietnam quagmire. He could not accept his realistic advisors suggestions which included a lot flexible reactions. That is why he took such a hard lines including military warfare and ideological battlefield in the region. America was conceived with a sense of mission and dedicated to the extension of freedom throughout the world. Americans also thought that abandoning Vietnam would produce a fundamental threat to the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Chonbuk National University) 본 논문은 케네디 대통령 임기 초기부터 논란이 되었던 베트남 정책에 대하여 케네디와 그 참모들의 논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미국의 베트남 외교정책이 어떤 과정을 거쳐 결정되는가에 대한 과정의 일면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대통령과 그 참모들을 포함한 고위 외교정책 결정자들이 정확한 정보와 합리적 논의과정을 거쳐 정책을 결정하기 보다는 자신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편견에 더 많이 좌우된다는 상식적이고 매우 오래된 명제가 베트남 정책 결정과정에서도 예외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당시의 시대상황, 즉 냉전적 힘의 외교라는 공식을 거부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여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는 참모들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단 베트남 정책에만 해당되지 않겠지만, 당시의 강경한 냉전적 사고가 미국의 정치 외교를 지배했던 상황을 고려한다면 상당히 흥미로운 일이라고 여겨진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다룸으로써 케네디 행정부 시기 동안 베트남 정책 결정의 우여곡절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미국 외교의 세 가지 측면, 즉 예외주의, 현실주의, 국제주의 중에서 케네디의 베트남 정책도 예외 없이 미국의 예외주의의 영향 아래 형성되었지만, 그 전과 후의 행정부에 비하여 현실주의자들의 주장이 상당히 설파되었다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논점이다. 케네디의 참모들 중 베트남 정책과 관련하여 현실주의 외교노선을 주장한 사람들은 보울즈(Chester Bowles), 갈브레이드(John Kenneth Galbraith), 맨스필드(Mike Mansfield), 볼(George Ball) 등이었다. 그들은 베트남이 미국 안보에 중요하지만 미국의 힘의 한계와 안보 중요성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고려한다면 국제연합의 주도하에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중국, 일본 등 관련국들이 베트남 중립화 방안을 합의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케네디에게 조언하였다. 그러나 케네디는 남베트남의 지엠 정부를 지원함으로써 그 지역에서 공산주의를 저지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었고, 1960년 자신의 대통령 선거전에서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공산주의에 대한 유화정책을 강도 높게 비난하면서 자신은 다를 것이라고 공언하였기 때문에 현실주의 정책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았다. 즉 이러한 그의 강경 발언이 베트남 수렁에서 빠져나기 어려운 상황을 자초한 측면이 있다. 즉 그는 국내에서 자신이 했던 비난과 똑같은 비난을 듣지 않기 위해 베트남에 대하여 강경노선을 견지할 수밖에 없었다. 국제 정치에서 힘의 지배를 근간으로 하는 미국외교의 오래된 원칙인 예외주의로부터 케네디도 예외는 아니었다.

      • KCI등재

        John F. Kennedy의 냉전: 새로운 외교의 시도

        장준갑 한국미국사학회 2012 미국사연구 Vol.35 No.-

        The paper examines how President Kennedy responded to the hardline cold warriors who served in his administration. They wanted him to take a strong stand toward the Soviet Union and its socialist states including military conflicts. In 1950s Kennedy had also same attitudes to the communism with the hardliners until he becam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When he took power in the government, Kennedy realized that military adventurism could bring about a horrible unclear war which would destroy human beings in the planet. The reason that Kennedy took moderate ideas on the Cold War came from his personal experiences in World War II. As a Navy officer he took part in actions and saw terrible scenes in the field where people, civilians and soldiers, were killed with no reason. Any war, he concluded, should not occur in any reason in the future. When he took office as President, Kennedy now knew that he had power in his hand to adjust international situations which had been very unstable and dangerous in term of military conflicts. He first applied his no-war principle to Laos where communists and nationalist tried very hard to take leadership among people and made chaos in international orders.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wanted communists in Laos took power, but the United States responded oppositely. Kennedy saw the solution of the area in neutrality: making Laos neutral nation would fully satisfy nobody, but avoiding conflicts among superpowers including military actions. In Vietnam Kennedy tried to do same thing as he did in Laos. But Vietnam was different because American hardliners regarded the neutrality of Laos as defeat to the communists; if Vietnam was to be neutralized it meant to them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give up the leadership in the free world. Kennedy knew this very well; he opted for very careful steps which would be interpreted as a positive actions in eyes of hardliners, military and economic aid to South Vietnam government, but no combat troops which could get the United States involved in a local war. Unlike the present theory which he reinforced the Cold War, Kennedy tried to avoid military conflicts with the enemy and seek a diplomatic solution on international issues: an approach to a new diplomacy. 1950년대 냉전의 전사였던 케네디는 1961년 대통령이 된 이후에 냉전이라는 시대적 울타리를 조금씩 뛰어넘어 공산주의 세력과의 군사적 대결 및 전쟁의 위기를 완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왜 케네디는 시대적 대세였던 냉전적 사고와 질서를 거부했던 것일까? 미소 양측의 호전적이고 대결적인 정치세력이 다수를 형성하고 있는 상황에서 케네디가 추구했던 탈냉전적 외교 노선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본고가 추구한 물음이다. 케네디가 대통령으로 재임하는 기간은 불과 3년이 채 안 된다. 그는 취임 초기 1961년 3월 라오스 중립화 정책 결정을 시작으로, 4월 피그스만 침공 사건, 6월 흐루시초프와 비엔나 정상회담, 10월 베를린 위기, 11월 베트남에 군사고문단 파견, 1962년 10월 쿠바 미사일 위기, 1963년 7월 소련과 ‘부분적 핵실험금지조약(Limited Test Ban Treaty)’ 합의 등 많은 외교적 사건들을 경험했다. 그가 여러 외교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냉전이라는 큰 틀의 시대적 환경을 무시하고 자신의 탈냉전적 신념대로만 결정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케네디는 군사적 대결에 치우쳐 있던 당시의 냉전 상황을 좀 더 완화시켜 전쟁이 없는 상황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과 희망을 갖고 있었다. 라오스와 베트남 정책에서 케네디가 추구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자신의 신념과 반대되는 행동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었다. 그는 과연 동남아시아에 지역에 지상군을 파병하여 미국이 원하는 결과, 베트남에서 공산주의를 축출하고 자본주의 국가를 수립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에 깊이 회의하였다. 케네디는 자신의 경험과 생각에 비추어 볼 때 그것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고 확신했다. 인도차이나 같은 곳에서 냉전을 승리하는 방식이 자신의 강경파 참모들이 주장하듯이 군사적인 방법만으로 성취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그는 끝내 참모들의 지상군 파병 권유를 물리치고 그 대신 1961년 11월에 군사고문단과 기술지원부대를 보내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명령도 몇 개월 후인 1962년 5월에 국방장관 맥나마라를 통해서 사이공에 있는 하킨스(Paul Harkins) 장군에게 ‘베트남 전쟁의 모든 책임을 베트남 정부에게 위임하고, 군사개입 규모를 축소할 계획을 세워 다음 회의 때 발표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는 지시를 하달함으로써 군사개입의 단초를 없애려고 했다. 물론 그의 베트남 철수 정책은 군 수뇌들과 강경파들의 반대로 지연되었고, 얼마 후 그가 암살되면서 없었던 일로 되어버렸다. 많은 사람들은 케네디의 군사고문단 파견이 미국의 베트남 개입의 단초를 제공했다고 여긴다. 처음부터 베트남에 아무런 군사적인 조치도 취하지 않았으면 그가 죽은 후에 존슨 행정부가 그렇게 쉽게 베트남에 끌려들어가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틀린 해석은 아니다. 그러나 케네디가 외교 현안에 대하여 고민했던 바와 강경파 참모들과 투쟁했던 것을 고려해 본다면 어려운 상황 속에서 그가 행한 정책과 결정들이 상당한 용기와 신념을 바탕으로 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가 냉전을 강화시켰다는 주장은 또 다른 숙고를 요구한다.

      • KCI등재

        레이건 행정부의 소련에 대한 국가안보전략

        장준갑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3 동국사학 Vol.77 No.-

        Reagan’s approach to the Cold War was shaped by his concept of time.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in a time of perceived US weakness and Soviet strength, Reagan administration needed to proceed with prudence, carefully managing superpower relations with an eye to a future in which they enjoyed greater leverage. By the end of decade, it was Gorbachev who wanted ‘a long period of peace’ to rebuild Soviet capabilities. Washington, however, was in no rush; US policymkers operated with a long time horizon. The United States could afford to wait, and would likely benefit from so doing, as Soviet problems only mounted. Gorbachev, on the other hand, operated on a short timeline, growing increasingly desperate for results and respite abroad as he found neither at home. Washing knew full well what it was doing, but responded sardonically. Two tracks coexisted in the Reagan administration’s grand strategy toward the Soviet Union from the outset: peace through strength and quiet diplomacy. But it was actually peace through quiet coercion because there was no meaningful diplomacy in terms of negotiations and deals for Gorbachev. Gorbachev complained later that US policy is one of extorting more and more concessions.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국가안보전략을 논할 때 두 개의 트랙, 즉 힘을 통한 평화와 조용한 외교라는 이중적 정책이 공존했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두 가지 요소 중 어떤 정책에 더 방점을 두었는지에 대한 견해는 다를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 특히 소련에 대한 국가안보전략에 있어서는 ‘힘을 통한 조용한 강요(peace through quiet coercion)’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레이건 대통령은 외교에 문외한이었고, 그의 행정부에서 외교를 관장했던 그의 참모들은 대부분 힘을 통한 외교가 미국을 더욱 강하게 할 것이라고 믿는 보수우파였기 때문에, 협상과 타협을 통하여 상대방의 필요를 어느 정도 충족시키면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온건한 협상가들의 기질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들은 고르바초프의 약점을 파고들어 원하는 바를 얻어냈다는 점에서 협상이라기보다는 강요나 강압에 의한 결과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미국의 국력이 점점 쇠퇴해지고 있는 오늘날에는 이러한 현상이 점차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그 결과는 국제정치의 혼돈과 무질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KCI등재

        닉슨독트린과 미국의 대한정책 -1969년 8월 한미정상회담을 중심으로-

        장준갑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4 No.-

        본고는 1969년 7월에 닉슨독트린이 발표된 직후인 동년 8월에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의 내용을 분석하여 변화하기 시작하는 한미관계에의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1960년대 말까지 밀월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던 한미관계는 아시아 문제의 아시아화라는 닉슨독트린으로 인하여 변화의 고비를 맞이하게 된다. 미국의 주한미군의 철수계획, 군사원조의 삭감 노력, 남북한 긴장완화 추구 등 한반도문제의 한국화 정책은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남한에서 견고한 정치세력으로 성장한 박정희 정권에게 크나큰 시련을 안겨 주었다. 한미정상회담은 닉슨에게는 한반도에서 닉슨독트린을 실현할 수단으로서 중요한 회담이었고, 박정희에게는 군축과 긴장완화 요구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중요한 회담이었다. 닉슨의 정책을 되돌리거나 아니면 최소한 지연시키려는 노력에 실패한 박정희는 귀국 후 미국의 요구에 응하면서도 자신의 방식으로 남한의 한국화에 착수하였다. 그가 70년대에 내놓은 일련의 평화통일 정책들과 대북 화해 정책들과 함께 감행한 3선개헌, 긴급조치 발동, 유신체제 등 일련의 정치적 조치들이 그의 한국화 정책을 대변하고 있다. 즉 그는 미국의 한반도 문제의 한국화 요구에 대하여 박정희식 한국화를 선언한 것이다. 박정희의 이러한 노선은 1970년대의 긴장적 한미관계를 예고하는 것으로서 미국으로서는 1960년대와 전적으로 다른 박정희를 직면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였다. This pater estimates changes in Korean-American relations imposed by Nixon Doctrine declared in July 1969. To trace the first phase of the changes I choose the Korean-American summit talks of 1969 because the meeting was held right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Doctrine and discussed issues announced in the Doctrine: Asianization of Asian conflicts which meant Koreanization of Korean problems in case of Korea. In the summit talks Nixon explained Park Chung Hee,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the new Korean policy of Nixon administration -reduction of U.S. armed forces in Korea, cuts in American military aid to Korea, and an easing of strained tens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s, and this would give a great distress to Park Chung Hee government which just became a powerful political group in South Korea with the help of American supports. Park vainly tried to persuade Nixon not to apply Nixon Doctrine to South Korea which, Park said, had faced a powerful enemy in the North fully supported by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After returning home with great disappointment, Park followed American lines in international politics while building strongholds for his own political power in internal affairs by taking actions such as a bill for amending the constitution for third term, emergency measures, Constitution for Revitalizing Reform. Korean-American relations began to change with all those factors: a sign of tensioned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1970s.

      • KCI등재

        존슨 대통령의 베트남 정책-신념과 리더십의 부재가 부른 참화-

        장준갑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3

        The paper examines how and how Lyndon B. Johnson and their advisers made decisions on Vietnam between 1963 and 1964 during which American interventions began in a serious level. When Johnson came into the office, the Vietnam situation waited for his decision on whether the United States would go deep inside the Vietnam including military intervention or just take modest steps of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to the South Vietnamese government. Johnson who trusted the advisors of Kennedy strongly accepted that the United States should support South Vietnam including military aid, if necessary, as well as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He believed in “domino theory” as he considered Southeast Asia strategies to contain Communism. Most of his advisers also thought same as Johnson. Some of his advisers such as Mike Mansfield, and George Ball moved beyond the paradigm of containment and falling dominoes. They provided a realistic assessment of the strategic importance of South Vietnam for the United States and regarded the current American policy there as being futile and misguided. These important advisors urged an American disengagement and supported a political solution of neutralizing Vietnam. Why did Johnson disregard the advice of these men? First, there is a view that by backing Saigon he was helping a government that offered a real alternative to Communism. Second, Johnson’s own campaign proposal to stand firm against Communism might have trapped him in the growing Vietnam quagmire. He could not accept his realistic advisors suggestions which included a lot flexible reactions. That is why he took such a hard lines including military warfare and ideological battlefield in the region. He was conceived with a sense of mission and dedicated to the extension of freedom throughout the world. He also thought that abandoning Vietnam would produce a fundamental threat to the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Jeonbuk National University) 본 논문은 베트남 전쟁을 논하는 데 있어 미국 전투 병력이 파견되는 시점을 전후한 시기 미국 정책 결정자들 사이에서 어떤 논의가 오갔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서 대량 학살과 참혹한 결과를 초래했던 군사적 개입이 결정되었는지에 관하여 다루었다. 케네디를 이어받은 존슨 대통령의 결정에 초점을 맞추어 보면, 비록 그의 참모들 대부분이 베트남에 군사적 개입을 주장하는 강경파들이었지만, 전쟁을 회피할 수 있는 결정을 할 수도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럽의 동맹국들 지도자들과 일부 미의회 지도자들, 그리고 대통령의 온건파 참모들이 끊임없이 베트남에 대한 군사적 개입은 전쟁의 확대를 불러올 것이고, 베트남 분쟁의 미국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슨은 최종적으로 군사적 개입을 통한 확전을 선택했다. 그의 이러한 결정은 전쟁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상황 파악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강경파 참모들에 둘러싸여 정치적 유불리와 비판의 모면에만 몰두한 나머지 내려진 지도력의 부재가 부른 참화였다. 존슨 대통령은 엄청난 참사를 불러왔던 전쟁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소극적이고 미온적으로 행동함으로써 참모들이 그 결정을 대신하다시피 했다는 점은 그에 합당한 역사적 평가를 받아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케네디 행정부의 초기 대한정책 : 대미 우호적 국가발전전략 Pro-American Nation-Building Strategy

        장준갑 한국미국사학회 2003 미국사연구 Vol.17 No.-

        The paper examines how the John F. Kennedy administration formed Korea policies and applied them to the Chang Myun government and Park Chung Hee's military coup group of South Korea in the context of American third world strategy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Kennedy Administraion in 1961. The Kennedy administration approached the third world with two distinct strategies to deter communist infiltrations: counter-insurgency and nation-building. Counter-insurgency, calling military interventions as necessary conducts to calm down disorders in the third world nations caused by communists, was applied to the countries such as Laos, Cuba, Congo where Americans thought more aggressive communist encroachments took place and civil wars and rebellions threatened American interests. Nation-building, emphasizing more economic supports than military conducts to keep the third world nations under American influence, was an economy-oriented strategy for a nation like Korea that was under strong American influence but still under considerable possibilities of communist infiltrations,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The Hugh Farley Report, telling policy makers in Washington D.C. the truth of unstable and fragile Korean situations and suggesting American policies to remedy things in Korea, induced interests on Korean matters from the Kennedy administration which had been, on arriving at the office in Washington D.C. too busy with critical situations in Cuba and Laos to have time to consider Korean matters evoked by the political turmoils due to the April Revolution of 1960. Policy makers in the State Department and the White House agreed that they should apply the Nation-building strategy to Korea because they thought Korean situations had little possibilities to deteriorate to the level of a communist-inspired civil war even though there were serious economic and political problems in Chang's government. The difficulties, however, were anti-American emotions among Korean people who thought Americans had supported Chang's government which had been anti-reformative, passive in unification, and corruptive. With those unfavorable settings in Korea, the Kennedy administration faced the possibility of failing its korean policy, the Nation-building strategy. A military coup in Korea on May 16, 1961 brought the Korean matters to a manageable ones to American policy makers. They realized the coup d'etat as a good chance to establish a pro-American Korean government which would willingly follow American directions in the matters on unification, corruptions, and communist infiltrations in the nation. Americans wer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coup but scrutinized the progress of the matters and estimated whether the new military group could be partners of their Nation-building program in Korea. Within a month after the coup, the Kennedy administration decided to go with the new group represented by Major General Park Chung Hee who desperately needed American supports to succeed in his coup. Park gave a certain assurance to Americans that he would establish a pro-American and anti-communist government which they had desired for a long time since the fall of the Syngman Rhee government. By exchanging their needs, the Park government enjoyed strong American supports and the Kennedy administration in return built a stable and strong foothold to seek its policy in Korea. Korean people, however, had to suffer from long severe dictatorship until 1979.

      • KCI등재

        아프리카 정책을 통해 본 케네디의 외교: 콩고 위기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장준갑 한국미국사학회 2012 미국사연구 Vol.36 No.-

        The paper examines how John F. Kennedy managed American foreign policy toward Africa, especially Congo in the early 1960s when the United States tried to foster a better American Africa policy. Kennedy’s aim in his Africa policy was not to make African states American allies such as European and some Asian countries, but to have them keep away from Soviet Union’s control. To achieve the policy goal, Kennedy suggested that American policy makers should understand and respect African type of neutralism or non-alignment in which Africans wanted to keep their independence from European colonialism. What Americans had to do in Africa, according to Kennedy, was to create difficult situations in which Soviets could not exercise their influence toward Africa since most of African states except South Africa had little economic and strategical values for the United States. Kennedy’s Congo policy well demonstrated his African policy. He reacted to the Congo Crisis in terms of non-military engagement because if he intervened militarily in Cono Crisis, as his advisors argued, he thought that he would have been in deep trouble with Soviets and European allies. Another reason that he tried to avoid military intervention was his political negotiation-first policy. He believed that almost every international problems or conflicts could be solved through political negotiations, not military power. He applied this political belief in case of Congo Crisis and generally in African problems: another example of his non-military and peaceful solution toward international conflicts. 미국의 아프리카 정책이 본격적으로 수립되고 미국 외교관들이 아프리카에파견되기 시작한 시기인 1960년대는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행정부를승계한 케네디(John F. Kennedy) 행정부가 출범한 시기였다. 그가 취임했던 1961년 상황이 케네디로 하여금 아프리카를 무시할 수 없게 만들기도 했지만, 케네디 자신이 향후 냉전에서 아프리카의 중요성이 제고될 것임을 예상하고 아프리카 정책에 심혈을 기울였다는 점도 그의 아프리카 중시 정책을 설명하는 요인이다. 그는 아프리카 정책을 수행할 적절한 인사들을 선임하고 그들에게 힘을 실어 줌으로써 아프리카가 미국에게 중요한 지역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케네디 자신도 임기 동안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도자를 미국에 초청하여 회담함으로써 직접 아프리카 외교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그가 아프리카 정책에서추구했던 목표는 아프리카 지역을 미국의 영향력 하에 두는 것이 아니라 적대세력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었다. 즉 아프리카가 미국의 관심 밖으로 멀어져서소련을 비롯한 공산주의자들의 지배하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요목표였다. 그러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케네디는 아프리카의 민족주의와 중립주의적 경향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아프리카가 결코 자본주의 영역으로 편입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었다. 자본주의 세력인 유럽의 오랜 식민 지배를 겪은 아프리카인들이 자신들을 착취했던 자본주의를 받아들인다는 것은 곧 자신들의 독립을 저당 잡히는 것이라고 그는 믿었고, 그러한 생각은 아프리카인들 의 심정을 정확히 이해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는 아프리카가 진정한 중립주의나 비동맹을 표방한다면 미국은 그들의 결정을 존중해야 하고 그러한 환경에서 미국의 아프리카 외교가 전개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즉 아프리카를 친 서방세력으로 포섭하기보다는 소련의 영향력이 행사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는것이 미국에게도 이롭다고 보았다. 아프리카는 유럽과 아시아처럼 미국에게 핵심적인 경제적․전략적 이해관계가 별로 없다는 면에서 케네디의 정책은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 그의 정책은 국내외적으로 유용한 점이 있었다. 우선아프리카에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유럽 동맹국들과의 불필요한마찰을 피할 수 있으며, 아프리카 문제에 직접 개입함으로써 발생되는 경제적․군사적 비용의 부담을 피할 수 있고, 행정부 내의 아프리카주의자들과 유럽주의자들의 대립과 국내의 냉전 강경론자들과 온건론자들 사이의 요구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케네디가 아프리카 정책에서 비군사적인 정책을 고수하면서 협상과타협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 데에는 위에서 언급한 정치적 고려이외에도 그의 외교적 신념 내지는 철학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의 콩고 위기에대한 정책은 그의 그러한 면모를 잘 보여주는 실례 중 하나이다. 카탕가 지역의 촘베가 콩고로부터 분리독립을 외치면서 콩고의 위기가 심화되자 미국은유엔을 통하여 콩고의 통일과 안정을 확보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으나촘베의 강력한 저항에 막혀 상황이 악화되자 케네디의 참모들은 유엔군에 대한 미국의 직접적인 군사 지원을 건의하기에 이르렀다. 사실 미군의 군사 개입은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그러나 케네디는 군사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