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뷰티아카데미의 SNS커뮤니케이션과 충성도에서 관계몰입의 매개효과

        하서진,우미옥 국제보건미용학회 2019 국제보건미용학회 학술컨퍼런스 Vol.2019 No.11

        최근 들어 스마트폰 이용자의 증가와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확장과 더불어 SNS의 이용자 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페이스북(facebook)과 트위터(twitter), 인스타그램 (instagram) 등은 서비스 이용자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케팅 활용 가치가 날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같은 편리성으로 기업 입장에서는 저비용으로 표적 집단에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맞춤형(customized) 마케팅을 집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 고 스페이스 판매와 소셜 게임이나 아이템 판매 등을 통해 강력한 수익모델을 구축해 나가고 있 어 향후 SNS 시장은 계속 성장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미용 인력을 양성하고 있는 교육기관으로는 특성화 고등학교와 대학, 대학원, 뷰티아카 데미 등이 있는데, 뷰티아카데미의 경우 취미나 취업 등을 위한 교육기관의 역할에서 벗어나 고 등 교육 기관에 입학하기 위한 전 단계 과정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과거에 비해 급속한 발 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뷰티아카데미 및 교육 서비스업은 유망직종 임이 분명하지만 과거의 주 먹구구식 경영에서 탈피하여 전문적인 교육 서비스 경영에 대한 비전과 내실을 갖춘 경영전략이 필요하다. 뷰티아카데미는 수강생 유치를 위해 교육서비스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과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뷰티아카데미 수강생을 대상 으로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충성도에서 관계 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마케팅 방법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2019년 3월 5일부터 3월 23일까지 경남지역 뷰티아카데미 수강생 대상 으로 편의 표본 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조사 하였으며, 관계몰입이 SNS 마케팅 커뮤니 케이션과 충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NS 마케팅 커뮤니케 이션(광고, 수강촉진, 구전, 이벤트)을 독립변수, 관계몰입(감정적 몰입, 계산적 몰입)을 매개변 수, 충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모형에 설정된 변인 간에 관계 및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SPSS Macro를 활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몰입에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구전(t=4.648, p<.001)과 이벤트(t=2.397, p<.05) 두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산 적 몰입의 결과도 구전(t=3.355, p<.01)과 이벤트(t=2.718, p<.01)로 나타났다. 둘째,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충성도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구전(t=6.510, p<.001)이 나타났다. 감정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의 매개변수에 의해서는 광고, 수강촉진, 구전, 이벤트 모 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결과는 구전에 의해 전파되는 구전 정보는 광고와 같은 상업 정보와 견주어 보면 높은 신뢰성을 갖기 때문에 수강생에게 계산적 몰입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이벤트는 할인이나 수강 패키지과정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직접적인 이익 발생함으로 계산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뷰티아카데미의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충성도에서 관계 몰입의 매개효과 영향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뷰티아카데미에서 마케팅을 위한 SNS 운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 시에 향후 마케팅 활용 방안에 대한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강생들이 SNS 이용 에 주로 사용하는 매체가 스마트폰(75.4%)으로 분석되었는데,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 디서나 SNS에 접속할 수 있다는 점을 잘 활용해 뷰티아카데미는 우선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마 케팅 툴을 구축하고, SNS와 연동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개발하여 실시간으로 상 담 등의 서비스를 통해 더 많은 소비자들이 뷰티아카데미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활용해 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마케팅 방법도 변화되어 시대에 발맞추 어 뷰티아카데미는 효과적인 SNS 인프라 구축에 대한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소비자들의 니즈 충족과 아카데미의 발전을 위하여 노력 할 것이다.

      • KCI등재

        항공사 SNS 특성이 신뢰와 몰입 및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윤영,조우제 대한관광경영학회 2023 觀光硏究 Vol.38 No.3

        본 연구는 항공사 SNS 특성이 고객의 신뢰, 몰입 및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관해 규명하고 SNS 특성 중 소비자의 신뢰와 몰입을 이끌어내고 고객시민행동으로 이어지는지 요인을 밝혀내어 항공사들이 SNS를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SNS 특성, 신뢰, 몰입, 고객시민행동에 대한 개념 및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고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항공사 SNS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SNS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자기기입법 설문지를 300부 배포하였다. 회수된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항공사 SNS 특성과 신뢰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SNS 특성인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신뢰성, 유희성 모두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 SNS 특성과 몰입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SNS 특성 중 상호작용성, 신뢰성, 유희성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제공성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 SNS 특성과 고객시민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SNS 특성 중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유희성은 고객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은 고객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몰입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신뢰는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고객시민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신뢰는 고객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몰입과 고객시민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몰입은 고객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 KCI등재

        건설프로젝트에서 SNS 커뮤니케이션의 지식기여행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진호(Cho, Jin-Ho)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경영연구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SNS 커뮤니케이션의 지식기여행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근로계약 및 건설직무 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SNS를 이용 중인 15개 건설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수집한 296부 샘플로 PLS-SE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식기여행동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은 지속적 몰입(β=0.386), 규범적 몰입(β=0.343)과 감정적 몰입(β=0.291)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기여행동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에 대한 영향력(β=0.606)이 매우 강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은 감정적 몰입(β =0.461), 지속적 몰입(β=0.352)과 규범적 몰입(β=0.265)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식기여행동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다섯째, 근로계약 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한 지식기여행동은 감정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의 관계에서 정규직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직무만족은 지속적 몰입의 관계에서 비정규직에서 상대적으로 조절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여섯째, 건설직무 유형의 조절효과에 대한 지식기여행동은 감정적 몰입의 관계에서 사무직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근로계약과 건설직무 유형의 조절효과에서 공통으로 직무 만족과 규범적 몰입의 관계에서는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SNS의 지식기여행동에 대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규명은 건설프로젝트 실무담당자와 경영진에게 SNS의 지식기여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활용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nowledge contribution behavi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NS communication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moderate effect of labor contract and construction job type in these relations. Therefore, we used the PLS-SEM with 296 sampl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15 construction projects using S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contribu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continuous(β=0.386), normative(β=0.343) and affective(β=0.291). Second, knowledge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its influence(β=0.606) is very strong.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affective(β=0.461), continuous(β=0.352) and normative(β=0.265). Fourth, job satisfaction mediation did not play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contribu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knowledge contributing behaviors ab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labor contract type showed that the regular workers had a relatively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ontinuous commitment was relatively moderate in irregular workers. Sixth, the knowledge contributing behaviors about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truction job type showed that the office worker had a relatively moderating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path coeffici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oderate effect was not tested.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nowledge contribution behavior of SNS communication suggest effective SNS utilization model to construction project Practitioners and executives.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의 관계

        김진아(Kim, Jin ah),장석진(Chang, Seok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타인인정추구가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2017년 5월 20일~26일까지 현재 SNS를 사용하고 있는 전국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84명을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타인인정추구,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은 타인인정추구 및 SNS 과몰입 경향성 모두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타인인정 추구는 SNS 과몰입 경향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타인인정추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타인인정추구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건강성은 타인인정추구를 통해 SNS 과몰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SNS 과몰입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족건강성과 타인인정추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상담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개입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 상담에 대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validation from other people has the mediating effect on both variables above.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for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who currently use SNS from May 20 to 26,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as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family strengths perceived college students,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and validation from others, it shows that the overall correlation was high. It has been revealed that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validation from other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Conversely, validation from others i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This means, the more college students perceive family strengths, the less they seek to be validated from others and tend to overindulge in SNS. The more they need to have validation from others, the more they come to have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after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validation from others, it is revealed that validation from others has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It shows that family strengths affect SNS overindulgence proneness by pursuing other people s valid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NS overindulgence, the cause-and-result relationships within variables, such as family strengths and validation from other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provide the primary data of interventions that could improve the counselling effectiveness. Lastl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has discussed the proposal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bout the education and counselling.

      • KCI등재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성욱,신용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0 국제경영리뷰 Vol.24 No.4

        본 연구는 SNS 사용이 활발한 20대를 대상으로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 이용 동기 요인이 면서 SNS 피로 및 스트레스 요인인 SNS 자기공개와 자기제시를 중심으로 이것들이 SNS 정서적 몰입과 SNS지속적 몰입 그리고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SNS 자기공개는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SNS 정서적 중독과 SNS 지속적 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자기제시는 SNS 중독, SNS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모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NS 이용동기 그리고 정서적·지속적 몰입과 같이 SNS 이용 확산에 긍정적인 요 인이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SNS addiction in their twenties with active SNS use. To this end, focusing on SNS self-disclosure and self-presentation, which are the motivational factors for using SNS, and influence on SNS fatigue and stress factors,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se influences on SNS affective commitment, SNS continuous commitment and SNS addi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NS self-disclosure did not have an effect on SNS addiction, but it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NS addiction and continuous commitment to SNS. SNS self-present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NS addiction, SNS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in that it revealed that positive factors in the spread of SNS use, such as SNS use motivation and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can affect SNS addiction.

      • KCI등재

        중국 SNS 인플루언서의 인상관리가 유저의 몰입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복합적 관계에 관한 연구

        조상(Zhao, Shuang),김미현(Kim, Mi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2

        본 연구는 인터넷 기반의 SNS 플랫폼 환경에서 유명인으로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중국 SNS 인플루언서의 인상관리가 유저의 몰입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연구문제 제기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중국 1인 미디어 인플루언서, 인상관리, SNS 몰입도, 구매의도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용어 정립을 통해 변수 선정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 한다. 둘째, SNS 플랫폼 기반에서 중국 SNS 인플루어서와 유저와의 상호작용에서 인상관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몰입도와 구매의도 변수에 대한 실증연구 기반을 마련한다. 셋째, 중국 SNS 인플루언서의 인상관리가 유저의 몰입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도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SNS 인플루언서의 인상관리가 유저의 몰입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SNS 인플루언서의 인상관리에서 자기중심적, 타인중심적, 비언어적 인상관리는 유저의 인플루언서에 대한 몰입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SNS 플랫폼을 활용하는 유저의 몰입도는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SNS 인플루언서의 인상관리에서 자기중심적, 타인중심적, 비언어적 인상관리는 유저의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몰입도와 구매의도 변수의 중요성을 반영한 유저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한다면 효과적인 마케팅 방안이 되리라 기대한다. The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impression management of Chinese SNS influencers whose influence is growing as the celebrities in the SNS platform environment based on internet, on the users" flow and purchase intens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firstly, is to find the theoretical basis of variable selection through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terms establishment of Chinese personal media influencers, impression management, SNS flow and purchase intension; Secondly, is to provide empirical research of the variables-flow and 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inquiry the effect of impression management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Chinese SNS influencers and users based on SNS platform; Thirdly, is to deduce the effect relationship of Chinese SNS influencers" impression management on users" flow and purchase inten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elf-focused, other-focused and non-verbal impression management of Chinese SNS influencers have a meaningful effect on users‘ flow in influencers; secondly, the flow of Internet SNS platform users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purchase intension; thirdly, the self-focused, other-focused and non-verbal impression management of Chinese SNS influencers have a meaningful effect on users" purchase intension. Based on other research results like this, it would be an effective marketing measure if we establish the communication strategy with users which reflects the importance of the variables-flow and purchase intension.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SNS 몰입에 미치는 영향 영향력 추구 유형과 사회성 추구 유형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대한 몰입

        문성준 ( Moon Seungjun ),신민재 ( Shin Minja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3 언론과학연구 Vol.23 No.4

        이 논문의 목적은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SNS에 대한 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어떠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사람들이 SNS에 몰입하는가를 연구하기 위하여 두가지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사용자들과 SNS의 대표격인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대한 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영향력을 추구하는 유형과 SNS와는 통계적 무의미함을 발견했지만, 사회성을 추구하는 유형일수록 SNS에 몰입하는 경향을 발견했다. 스마트폰보다 뛰어난 편재성(Ubiquity), 개별성, 그리고 즉시성을 대체할 수 있는 미디어가 없는 상황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SNS는 젊은층의 사회성을 유지하는 데 좋은 수단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영향력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경우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자신의 선호 및 성향을 알리는 것이 주목적이고 목적을 달성한 뒤에는 SNS에 대한 과도한 몰입은 없다고 분석된다. This research empirically tes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style types and the immersion toward the SNS service. In order to perform the empirical research of what kinds of people tend to absorb into the usage of the SNS service, two different types of people were selected, especially, the influentially typed people and socially typed peopl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tially typed persons tend to be not related to the immersion of SNS, while the socially typed persons te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NS. The SNS service is the best medium for people to maintain their sociality because there are no alternative media than the smart phone with characteristics of ubiquity, individuality, and immediacy. But, the influentially typed people tend to contact and inform their preference and inclination with many channels rather than SNS only.

      •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몰입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외향적 성향과 내향적 성향의 차이 분석

        이승호,곽기영 한국경영정보학회 2017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2

        스마트폰의 보급과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SNS(social network service)라는 온라인 서비스가 등장 하게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SNS 를 사용함에 따라 몰입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사회의 적응 정도를 평가하는 사회성 역시 성장하고있는 청소년들과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성인들에게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동기 요인인 정보탐색, 자기노출, 상호작용, 유희성이 SNS 몰 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SNS 몰입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성향에 따른 영향정도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정보탐색, 자기노출, 상호작용, 유희성은 SNS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SNS 몰입이 사회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향적, 내향적 성향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SNS 를 연구하는 연구자들과 SNS 관리자, SNS를 이용하는 기업관계자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런던올림픽 미디어스포츠 시청자의 SNS공유성과 채널몰입, 채널전환의도 및 채널충성도 간의 관계

        황영찬 ( Young Chan Hwang ),김용만 ( Yong Man Kim ),김세윤 ( Se Yun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4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스포츠 시청자들의 SNS를 이용한 시청경험의 변화와 채널충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올림픽 시청자들이 텔레비전으로 스포츠 중계방송을 시청하면서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SNS 공유성과 채널몰입, 채널전환의도 그리고 채널충성도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규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에서 런던올림픽을 TV로 시청하면서 SNS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으로 하였으며, 설문지 응답은 자기평가기입법 (Self-Administration)을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미기입, 중복기입 또는 전반적으로 신뢰도가 없다고 판단되는 40부를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이 가능한 자료 560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19.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디어스포츠 수용자간 SNS공유성은 채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디어스포츠 수용자간 SNS공유성은 채널전환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디어스포츠 수용자간 SNS공유성은 채널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디어스포츠 수용자의 채널몰입은 채널전환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스포츠 수용자의 채널몰입은 채널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디어스포츠 수용자의 채널전환의도는 채널충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디어스포츠 수용자간 SNS공유성은 채널몰입을 통해 채널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채널전환 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채널전환의도는 채널충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 of London 2012 Olympic Games viewers`` watching experience and their channel loyalty.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relationships among SNS sharing, channel commitment, channel switching intention, and channel loyalty that viewers experienced during London 2012 Olympic Games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paper and pencil survey with convenience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00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However, 40 respondents were excluded from analysis mostly due to incomplete questionnaires and same rating for all items. Thus, 560 questionaries were finally utilized for the data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9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AMOS 18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the proposed model and each hypothe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SNS shar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nel commitment, (2) SNS shar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annel switching intention, (3) SNS shar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channel loyalty, (4) channel commit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annel switching intention, (5) channel commit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channel loyalty, and (6) channel switching inten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annel loyalty. The strategic implication of the results and possible direc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SNS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인지된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장재홍(Jang Jae hong),박인우(Park Inn 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s of the various forms of learner interaction on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SNS-based Instru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5 publ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nd only 107 data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the non-response and insincere response. The SNS-based Instruction used questions, answers, discussions, real-time data sharing, assignments, and vo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in SNS-based Instruction, the effect of learner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learning flow. Secondly, learner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mediated by learning flow. Thirdly, learning flow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Fourthly, learner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learning outcomes mediated by learning flow. Fifthly, learning flow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NS-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study the educational use of SNS. 본 연구는 SNS 활용 수업을 통해 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인지된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각 변인간의 구조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경기도 도시에 소재한 공립초등학교 6학년 135명으로 하였으며, SNS 활용 수업 후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 중 무응답 및 성실하지 않은 응답을 제외하고 총 107명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SNS 활용 수업은 질의·응답, 토의·토론, 실시간 자료 공유, 과제 제출, 투표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은 학습몰입에 정적인 영향(.83)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상호작용은 학습 몰입을 매개하여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69)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은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84)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상호작용은 학습 몰입을 매개하여 인지된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7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몰입은 인지된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9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중등 교육현장에서 SNS 활용 수업의 효과성 탐색이 필요하며, SNS 활용방법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