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朱子의 讀書論에 보이는 切己工夫와 치료적 사유

        정병석(Jung, Byung-Seok)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3 No.1

        주자는 『讀書法』에서 讀書가 心身이나 性命의 문제를 벗어나 단순한 지식탐구로 빠지는 위험에 대해 늘 고도의 경계심을 가지고 있다. 주자는 독서 혹은 경전을 읽는 해석 활동자체를 심신수련의 工夫와 실천으로 보고 그것을 치료적 사유를 통하여 비유하고 있다. 세계의 만사만물은 모두 理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이 가진 理를 하나하나 다 고찰할 수는 없다. 성현의 문장 속에 그 理의 핵심이 모두 담겨 있기 때문에 이치를 발견하려면 성현의 책을 읽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자는 말한다. 경전은 독자의 마음과 성인의 마음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교량 역할을 한다. 독서를 오로지 종이 위에서 의리를 구하는 것으로 끝내서는 안 되고 반드시 자기 자신에게 돌아와 切己體察하여야 한다. 주자가 보기에 독서는 자기완성의 실천과정으로, 끊임없이 자기에게 절실한 것으로 나아가 점검하고 살피기를 요구한다. 주자가 말하는 독서의 일차적 목적은 切己체험의 공부이다. 이런 절기체험의 공부는 자신이 가진 허물과 병을 스스로 진단하여 치유하는 "切己自療"를 의미한다. 주자는 독서를 "약으로 병을 치료한다(用藥治病)"는 말로 비유한다. 이것은 修身工夫로서의 독서 자체에 심신을 바로잡고 치유하는 함의가 담겨 있음을 말한 것이다. Zhuxi has always been highly wary of the dangers of pure intellectual exploration when reading books leaves his mind and body or xingming in the On Reading. Zhuxi sees reading or reading classical interpretation activities in itself as the practice of mind and body training, and explains them by the viewpoint of therapy. All things in the world have principle(Li), but it is impossible to examine it one by one. Since the core of principle is contained in the writings of sages, it is said that reading books about sage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ad them. The scripture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mind of the reader and the mind of the sage. In reading, we cannot seek moral principle solely from the text, must turn the process around and look for it in ourselves. In Zhuxi"s view, as a practical process of self-cultivation, reading is a constant demand for self-scrutiny. Zhuxi"s theory of reading has finally returned to self, must be an experience meaningful to the self. This physical and mental training means self-treatment for one"s own ailments. When discussing reading, Zhuxi always uses medicine to cure illness. Indeed, the metaphor implies that reading as a physical activity involves therapeutic meaning of the mind.

      • KCI등재

        남헌(南軒)장식(張栻)의 수양론 연구 ― 호상학과 주자학의 상호 영향을 중심으로 ―

        이연정 ( Lee Yun Je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학술교류가 활발하던 남송(南宋)시대에 장식은 수양론 형성과정에서 그만의 독자적 사상체계를 정립한다. 수양론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전향을 보이는 것이 특징적인데, 이 과정에서 장식은 당대 주류와의 학술적 교류를 통해 그들의 사상정립에 상당한 영향을 주며, 그 안에서 자신만의 사상을 체계화시켜 나간다. 그러나 당대 주류학파에 대한 연구는 상당부분 이루어진 것에 비해, 주류학맥이 이어져 오기까지의 당대의 사상적 흐름과 동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논자는 장식의 수양 공부론의 형성 과정을 통해 당대의 사상흐름 전반을 이해하고, 아울러 주류학파와의 교류 과정을 수양공부라는 영역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송 대 철학 전반을 이해하고, 그 흐름을 객관적으로 살피는 데 있어서 유의미한 과정이 될 것이다. 본 논고는 장식 공부론의 형성과정을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검토하는 방식을 취한다. 우선은 장식사상의 연원에 대한 기술을 시작으로 영향을 주었던 학파의 사상적 영향을 언급하고, 수양 공부론의 변천과정을 검토하여 그의 철학사상적 전향(轉向)을 고찰한다. 이 작업은 장식만의 독자적 사상에 대한 전반을 이해하고, 사상교류를 이루었던 주희의 사상정립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Zhangshi established his own ideal system in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period, where academic exchanges were active. A common feature in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is the transformation of ideas. In the case of Zhangshi, his academic exchanges with contemporary mainstream scholars had a major impact on them, and Zhangshi was also able to systematize his own ideas. However, while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on the mainstream schools of the Southern Song perio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ideological trends and trends of the time when mainstream schools could have occurred.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trends of the Southern Song era by examin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to examine the process of exchanging of mainstream schools through the field of self-cultivation. This work will be a meaningful process for understanding the philosophy of the Song era and for examining the tendency objectively.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self-cultivation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n the first half, this paper refers to the ideological impact of schools that had influenced Zhangshi's thought, in the second half,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f change of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then examines how his ideas had changed. This work will help to understand Zhangshi’s own ideas and to understand how Zhu Xi’s theory of Zhu xi, who had an ideological exchange with him, c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바다를 향수하는 ‘냉동어’의 허무의식

        신영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17 No.-

        채만식은 「냉동어」에서 냉엄한 현실 속의 한 지식인을 그렸다. 그는 애초에 신념과 생활을 지닌 인물이었으나 더 이상 한가롭게 대처할 수 없는 시대에 묵묵히 자기응시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써야 될 내용’이 요구되는 시절에 이를 적절한 안전장치로 사용하며 필요한 것은 감추고 불필요한 것은 마음놓고 드러내며, 피할 수 없는 자신의 허무의식을 표현한 것이다. 종래에 없던 자전적 주인공을 세워 연애담의 줄거리로 자신의 목소리를 들려 준 것도 일종의 ‘감추기 위한 드러내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채만식이 이 작품을 계기로 친일의 길로 접어들었다는 주장은 재고의 여지가 많다. 그는 단지 연애담의 서사구조로 화석화하는 허무의식과 함께 자기응시의 과정을 담담히 그렸기 때문이다. 강조하건대 ‘친일’에 대한 단죄가 우리의 소임이 아닌 이상 보다 복합적인 시각으로 당시의 정신사적 지형도를 파악하고 작가의 사유과정을 천착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이에 작품 자체가 맨 처음의 자리에 놓여야 함은 너무나도 분명한 일이다. In 「Naeng Dong Uh」, Chae Man-Sik depicts an intellectual who confronts a grim and stifling situation. The intellectual, who can be interpreted as the author himself, is at first full of faith and leads a normal life, but eventually he is forced to choose a path of silent self-scrutiny based on a sense of emptiness because the world does not allow him to be idle anymore. The author uses the demand of the context as a safety device and hides what is necessary, while overtly revealing what is unnecessary. Through such methods he expresses his inescapable sense of emptiness. His disjunctive prose works, written in the similar period, can be understood as “revealing” pieces, and I believe if he had written more his sense of emptiness would have deepened. The way he creates an autobiographical protagonist to speak out his voice, which is an unprecedented attempt, can also be understood as “revealing as a way of concealing.” It is only natural that he should create a completely different literary world from his literary world, since the times demand him to be alert to world historical crises. Therefore, it is not surprising that his disposition should seem rather disparate until he regains his satire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since it is not up to us to judge pro-Japanese actions, we should probe the intellectual topography of the period in a more comprehensive manner to delve into the author's flow of thought. It is clear that the text itself should be of foremost importance in this task.

      • KCI등재

        아시아계 이민자에 대한 감시와 미국적 규범: 『요주의 인물』을 중심으로

        노은미 ( Eun-mi Noh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7 현대영미소설 Vol.24 No.1

        In A Person of Interest, Susan Choi portrays professor Lee`s harrowing experiences, who, unwittingly, becomes a victim of the relentless surveillance system operating against Asian immigrants in a midwestern conservative community. As an aftermath of a mail bomb explosion at his university, professor Lee automatically becomes a person of interest not only in the FBI investigation but also in the white populated community and in his work mainly because of his race. This paper examines how inherent racial discrimination is in different sectors of society in America and how the ideology of assimilation, in a form of scrutiny, can be harshly forced upon individuals for the ideals of model minority. By reconstructing Lee`s experiences in a literary frame, the author opens up a way toward grievances for the grief incurred to Lee, who is helplessly caught in the process of brutal exposure and self-flagellation for his past errors and misjudgement.

      • KCI등재

        講學과 經世 : 李顒의 書院講學과 社會敎化

        정병석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4 No.-

        In the historical condition of the replacement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Liyong's fundamental problem consciousness begins with reflection on reality. He starts with a reflection on Confucianism, the root cause that resulted in the collapse of the country. Liyong criticizes that the content or purpose of what people studied at that time was to pursue only personal honor and interests by focusing on passing the imperial examination, and that it was a vulgar study. He emphasizes the need for correct learning here. Correct learning does not simply pursue individual honor and interests, but refers to learning that fully reveals one's mind and enlightens the people and society. Liyong is looking for the most effective way to realize the correct learning in his lecture at Academy of classical learning. The lecture he refers to is the basic practice content and method of the statecraft. This is the doctrine of statecraft in the making practical use of truth(mingtishiyong), which he claims to teach the people and society through lectures at Academy of classical learning. The content or direction of the lecture that Liyong argues is not intended to spread any theory of thought, but rather to focus on the practical aspect of correcting or restraining the mind and body. In other words, it is a lecture activity with a strong social enlightenment or popular enlightenment character through a method of embodying and practicing the theory of Confucianism. In this context, Liyong raises the view of Huiguozixin for the purpose of social enlightenment. It means that you repent of your mistakes and renew yourself. Huiguozixin can be seen as a change of direction to saving of the mind, not direct saving the world, which is both an indirect method of saving of the world and the most fundamental method of the making practical use of truth(mingtishiyong). Liyong is talking about practicing method of self-scrutiny, called Huiguozixin itself, through sit still as a form of therapy(Jingzuo). This method of self-scrutiny is to sit still and cleanse the taste buds. He uses the Jingzuo method as an important and effective method of training in practicing Huiguozixin. In a sense, Liyong's emphasis on sit still as a form of therapy(Jingzuo) can be said to be an attempt to make it easy for ordinary people to practice through the process of daily life and publicizing highly complex Confucian philosophical thinking systems. This means the practice and popularization of studying Confucianism. 明淸의 교체라는 역사적 조건 속에서 遺民 李顒의 근본 문제의식은 현실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한다. 그는 나라의 멸망이라는 결과를 초래한 근본 원인을 儒家사 상에 대한 반성에서부터 시작한다. 이옹은 당시 사람들이 학문하는 내용이나 목적이 科擧에 치중하여 개인의 名利만을 추구하는 것으로 그것을 俗學이라고 비판한 다. 그는 여기에서 正學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正學은 단순히 개인의 명리를 추구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을 온전히 밝히고 백성과 사회를 교화하는 학문을 말한다. 正學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이옹은 書院 講學에서 찾고 있다. 그가 말하는 강학은 다름 아닌 경세관의 기본적인 실천 내용이고 방식이다. 강학을 통해서 민중과 사회를 敎化하는 이것이 그가 주장하는 明體適用의 經世觀 이다. 이옹이 주장하는 講學의 내용이나 방향은 어떤 사상이론을 傳播하려는 것이 아니라 心身을 올바르게 하거나 절제하는 실천적인 측면에 초점이 있다. 즉 유학이 론을 구체화하고 실천화하는 방식을 통한 사회교화 혹은 민중계몽적인 성격이 강한 강학 활동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옹은 사회교화라는 목적을 위해 悔過自新이라는 관점을 제기한다. 회과자신은 자신의 잘못이나 허물을 뉘우치고 스스로 새롭게 한다는 말이다. 悔過自新의 제기는 직접적인 救世가 아니라 救心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것은 救世의 간접적인 방식인 동시에 가장 근원적인 明 體適用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李顒은 회과자신이라는 自我點檢의 수양방법을 靜坐를 통해서 실천하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런 자아점검을 위한 靜坐의 공부법이 바로 默坐澄心이다. 이옹은 회과자신을 실천하는 데 있어서 靜坐法을 중요 하고 그것을 효과적인 수양방법으로 삼고 있다. 이옹의 정좌에 대한 강조는 어떤 의미에서 고도의 복잡한 유가의 철학적 사유 체계들을 日常 生活化하고 公共 敎學 化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통 사람 누구나 쉽게 실천할 수 있게 만드는 하나의 시도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바로 유학의 실천화와 대중화를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방관자의 도덕화 내용 분석과 전망적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

        이상희 ( Lee Sang 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2

        연구의 목적은 가해자와 구별된 관점에서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을 제공하는 것으로 연구의 문제의식은 사회와 교육 체계 안에서 방관자에 관한 담론이 “방관을 해서는 안 된다.”라는 도덕적 언명을 드러내지만,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을 피상적으로 도덕화(moralizing)하는 데 있다. Ⅱ장에서는 방관자 현상에 관한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잘못된 도덕화의 내용을 살펴보고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 귀속 가능성을 밝힌다. 인과적 또는 회고적 책임에 치우친 책임에 대한 이해는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 귀속에 혼란을 일으킨다.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은 해악의 결과에 대한 실질적 원인이 되는 인과 관계와 무관하게 전망적 책임 개념 안에서 도덕적 역할 책임으로 귀속될 수 있으며, 이는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책임으로 확장될 수 있다. Ⅲ장에서는 방관자의 도덕적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로 토마스 힐(Thomas Hill, Jr)이 칸트적 관점에서 도출하는 전망적 책임 또는 준비적 책임(2차적 책임)에 해당하는 세 가지, ‘숙고를 기울일 의무’, ‘자기검토의 의무’, ‘덕을 발전시킬 의무’를 고찰한다. This study provides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moral responsibility of bystanders in terms of distinguishing them from the perpetrator. It is because of the problem that the bystander's moral responsibility is only superficially moralized. Based on empirical researches on the bystander phenomenons, the content suitability of moralization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ascribe the moral responsibility to the bystander are examined. The concept of causal or retrospective responsibility confuses attributing moral responsibility to the bystander. The moral responsibility can be ascribed to the bystander within the concept of prospective responsibility regardless of the causal relationship that causes harm. And prospective responsibility of the bystander can be extended to responsibility as a moral agent. Thom as E Hill, JR defines the moral responsibility of the bystander as prospective responsibility and presents three obligations to deliberate, self-review, and to develop virtue as a prepared responsibility(secondary responsibility) to participate(primary responsibility) in a situation from Kant’s viewpoint.

      • KCI등재

        The Constitutional Decisions Concerning the Right of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 Hyo Won Lee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2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determined that the crime of adultery was 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for four times. Concerning the crime of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the Court changed its prior position and invalidated the statut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not only lies within the private sphere of an individual`s privacy, but it is also intertwined with the social culture of a community where the individual belong to. Hence, it lies within the grey area where personal values conflict with community values. Despite numerous constitutional decisions, the concept of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and its protected scope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conclusion on the constitutional decision of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First, there is no need to recognize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as one of Constitutional Law`s basic natural rights. The right to engage in a sexual relationship and to choose one`s own partner is already included in article 17 of the Constitution protecting one`s freedom of privacy. Second, the principle of balancing test is to be applied when deciding the standard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of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yet since the specifics of the evaluation is directly relevant to the individual`s essentially protected freedom, applying at the same time a strict scrutiny of proportionality. Third, even if a strict proportional judgment were said to be applied regarding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relevant to the adultery act, this does not immediately result to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levant act. However, in light of the changing legal reality concerning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it is most appropriate to abolish the adultery act, Fourth, even if the adultery act were to be abolished, and the crime of sexual intercourse under the pretense of marriage were to be invalidated, this would not mean that both acts are to be ethically nor legally permitted.

      • KCI등재후보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 분석

        이효원(Lee, Hyo Won) 대검찰청 2012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34

        헌법재판소는 형법상 간통죄에 대해 4차례에 걸쳐 합헌결정을 하였으며, 혼인빙자간음죄에 대해서도 합헌결정을 하였다가 위헌으로 변경하였다. 성적 자기결정권은 개인의 내밀한 사적 영역에 속하면서도 그가 속한 공동체의 사회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서 개인적 가치와 공동체의 가치가 충돌되는 경계지점에 놓여 있다. 헌법재판소가 간통죄와 혼인빙자간음죄에 대한 위헌심판에서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해 판단하였으나 성적 자기결정권의 개념, 법적 성격, 위헌심사기준 등이 명확하게 규명된 것이 아니다. 헌법재판소의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헌법적 판단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성적 자기결정권은 독자적인 헌법상 기본권으로 인정할 필요가 없다. 성행위의 여부 및 그 상대방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는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의 보호영역에 포함된다. 둘째,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위헌심사기준은 과잉금지의 원칙이 적용될 것인데, 그 구체적인 심사강도는 개인의 핵심적 자유영역에 해당하므로 이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엄격한 비례심사기준을 적용하여야 한다. 셋째, 간통죄에 있어서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위헌심사기준으로 엄격한 비례심사 기준이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곧바로 위헌결정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겠다. 그러나 성적 자기결정권에 관한 법현실의 변화를 고려할 때 간통죄를 폐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간통죄가 폐지되고, 혼인빙자간음죄가 무효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이것을 곧바로 간통과 혼인빙자간음이 도덕적으로나 법률적으로 허용된다는 것은 아니다. 혼인빙자간음행위는 그에 대한 도덕적 또는 민사적 책임으로부터 면제되는 것이 아니므로 간통배우자나 혼인빙자간음행위자는 이혼, 재산분할, 위자료 등의 손배해상 등 민사적 책임을 져야 한다.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determined that the crime of adultery was 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for four times. Concerning the crime of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the Court changed its prior position and invalidated the statut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not only lies within the private sphere of an individual’s privacy, but it is also intertwined with the social culture of a community where the individual belong to. Hence, it lies within the grey area where personal values conflict with community values. Despite numerous constitutional decisions, the concept of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and its protected scope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conclusion on the constitutional decision of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First, there is no need to recognize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as one of Constitutional Law's basic natural rights. The right to engage in a sexual relationship and to choose one's own partner is already included in article 17 of the Constitution protecting one's freedom of privacy. Second, the principle of balancing test is to be applied when deciding the standard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of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yet since the specifics of the evaluation is directly relevant to the individual's essentially protected freedom, applying at the same time a strict scrutiny of proportionality. Third, even if a strict proportional judgment were said to be applied regarding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relevant to the adultery act, this does not immediately result to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levant act. However, in light of the changing legal reality concerning the self determination of sexual intercourse, it is most appropriate to abolish the adultery act. Fourth, even if the adultery act were to be abolished, and the crime of sexual intercourse under the pretense of marriage were to be invalidated, this would not mean that both acts are to be ethically nor legally permit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