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재우(Han Jae Woo),김용기(Kim, Yong-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19년 04월 1일부터 2019년 5월 15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 효능감 및 인권의식 상호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은 다문화 교수효능감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모든 하위요인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직접적으로 다문화 교육역량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인권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통해 다문화 교육역량 및 다문화 교육 역량의 하위요인들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 awareness, and then it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its sub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capability: what would be the results on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The collected data was first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pective childre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The Pearson prob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Baron and Kenny’s the three steps 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look if the mediating effects of human right awareness would be appear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mpact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ordinate facto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levant static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the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awareness . it means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m. Second, human rights awareness of the prospective young children teacher appeared partial mediating effect vetwee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rest of all subfactors. It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effec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directl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However, it also previ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increa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ppability.

      • KCI등재

        교직수강생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서재복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for teaching students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o this end, the effect of the 15th week class was analyzed for student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2nd semester of 2021.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consist of 30 hours in 15 weeks and consist of theory and activity classes. The research measurement tool was composed of 32 questions, with 5 factor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3 facto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In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test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pre-post effects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for teaching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nhanc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were effective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of teaching students. Through this study,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need to be further expanded because they helped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In particular,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the multicultural era,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후보

        초등돌봄전담사의 다문화교육 역량 유용성에 관한 연구

        정미경 ( Jung Mi Kyung )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8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e and usefulness of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by introducing the core compet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useful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activity as participating in elementary care class is seen as a process of constructing competence and usefulness as an individual grows as a participant in the community, and points out the effect of competence on individual experience in this proces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y to find its implication beyond the scope of the discussion on concepts that are centered on core competence and usefulness. In addition, we will present the plan through the 'Elementary Care Class' about the types of education that the exi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ther core competency education should aim for, and apply the core competency concept of the DeSeCo project so that the usefuln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of the elementary care specialistI would like to provide a perspective o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enhancing the usefulness through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care classroom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various environmental and cultural backgrounds.(Gubit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광주광역시 다문화 가족구성원의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현황과 의식 연구

        황진영(Hwang Jin yo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 언어 교육 정책'에 대한 다문화 가족구성원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이중언어 교육과 한국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도 및 태도, 둘째, 다문화 사회의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도 및 태도, 셋째, 다문화 사회의 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도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첫째, 다문화 가족구성원들은 다문화에 대해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견지하면서 이중언어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지가 컸다. 둘째, 인구통계학의 측면에서 보자면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이중언어와 다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연령이 높을수록, 강사나 교사직에 있는 고학력 다문화 가족구성원일수록 다문화 정책을 수립할 때 다문화 가족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사회통합을 위해, 언어권(language right)의 존중을 위해, 시민들의 다문화적 이중언어 역량 강화를 위해 이중언어 교육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가져와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I investigated three areas through this study to look into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bilingual education policy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They are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bilingual edu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in Korea, those about educational environment of multicultural community, and those about educational policy for multicultural community. I came to three conclusions by analysis. First,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have open and receptive attitude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y have strong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bilingual educational programs. Second, in the light of demography, women rather than men, those younger, those lower educated, those having shorter residence period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s bilingu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hird,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who are older or higher educated think that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opinions need to be reflected in multicultural policy making. This analysis shows that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qualitatively and enhanced for desirable social integration, respect of language right and enhancement of citizens' multicultural bilingual capabilities.

      • KCI등재후보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과 간문화 학습의 대안적 유용성

        허수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3

        This thesis analyzes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teacher, learner, textbook an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considers the value of Inter-cultural learning as an alternative for those problems. The term 'intercultural learning' is used in this thesis discriminatingly from 'multicultural education' to emphasize the reciprocity, the exchange and the contact between cultures and to stress the point that 'intercultural learning' considers the cognitive process of learner who interprets and internalizes the culture. By analyzing the definition , the goal and the learning process of intercultural learn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well-prepared educational experiences are required for sufficient resul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se experiences should be suggested in textbooks and scene of teaching. Second, thorough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crossing-situation is needed to prevent psychological anxiety and learning resistance for multiculture, in addition to emphasis on the tolerant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 Third, all the social phenomena and knowledg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o form desirable attitudes towards multi-culture. After all, this can be reached through the definition of 'intercultural capability' that means meta-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these conclusions, inter-cultural learning is expec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eaningfully that exist in Korean society. 이 논문에서는 교사, 학습자, 교과서 및 교수-학습 방법면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간문화 학습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다문화 교육이라는 용어와 차별하여 간문화 학습이라는 개념을 사용한 것은 문화와 문화 사이의 상호 작용 또는 교류와 접촉을 강조하고, 문화를 해석하고 의미화하는 학습자 주체의 인지 과정을 고려하는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간문화 학습의 의미와 목표, 학습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 교육의 충분한 성과를 위해서는 교육적으로 준비된 경험의 필요하며 이는 교과서와 수업의 장면에서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타문화에 대한 관용적 태도를 강조하면서도 심리적인 불안과 학습저항을 불러일으키지 않기 위해 문화적인 교차 상황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바람직한 다문화적 태도의 형성을 위해서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모든 사회적 현상과 지식을 이해해야 하며 이는 결국 메타인지적 능력을 의미하는 ‘간문화 능력’의 개념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간문화 학습은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을 유의미하게 개선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교사협력 학교풍토가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중점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구하라,김두섭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어떠한 학교환경에서 증진되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교사효능감에 대한 동료교사 간 협력과 학교풍토의 영향에 초점을 두어, 다문화적 교사효능감과 교사협력 학교풍토 간의 관계를 탐색한다. 이 연구를 위해 다문화 중점학교를 대상으로 실시된 ‘문화다양성 교육현황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43개교의 교사 942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학교 및 교사 수준 변인을 동시에 고려한 위계적 선형 모형의 분석 결과, 다문화 중점학교의 풍토가 협력적일수록 교사의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질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다문화 친화적 교수 전문성 계발을 위해, 교사 간 상호작용 및 전문적 협력활동을 장려하는 학교환경 조성이 중요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under what type of school environment, a teacher’s ability to effectively teach a multicultural student body can be improved. Attention is focused on the effects of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and the general school environment on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Utilizing survey data from 942 teachers in 43 core schoo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 series of HLM analysis are conducted. Results of analysis confirm that the greater the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an individual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tends to be enhanced significantly. This result suggests that in order to develop multiculture-friendly teaching capability for teachers who work with a multicultural student body, it is essential to create a school environment that encourages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sharing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tise in this field of teachi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의 태동과 발전 - 세계화,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적 통합을 위한 탐색 -

        이현미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6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6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 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이 이주민의 유입으로 생겨난 문화적 충돌과 갈등 및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상호문화교육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결해 가면서 사회통합을 이루어내려는 노력을 살펴보았다. 독일의 상호문화 교육이 태동된 배경과 상호문화 교육의 발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얻은 시사점을 토대로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가 시행착오를 줄이면서 사회통합을 위한 지름길을 찾을 수 있고 현재 한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제한점과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들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에서 탈피해 문화를 ‘살아있는 과정’으로 인식해야 한다. 둘째, 배타적 민족중심적인 사고로부터 벗어나 세계화 시대의 핵심자질인 상호문화적 행동능력을 촉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혈통주의를 공론화하여 인종차별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어 공개적 또는 감추어진 인종차별을 의식화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자국민과 이주 배경 자녀 모두를 위한 소통의 문화교육(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정책 개발과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넷째, 자국민과 이주 배경 자녀들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을 위한 전환학습의 장(場)으로서의 학교의 역할을 정립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의 전 과정에 문화 간 대화와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호문화적인 내 용과 구조로의 개혁이 필요하다. 교과서에서도 다수민뿐만 아니라 소수민도 동일화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고 교사양성 및 교사 연수에서도 상호문화적 관점을 접목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efforts that German made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by solving actively cultural crash and conflict, and various social problems, which were caused by immigrants when the nation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40 years earlier than our country. Based on the implications found by looking into the setting in which Germany's intercultural education was born and its developing process,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some suggestions that can be helpful when our country, which has just stepp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ries to avoid trial and error, find a shortcut to social integration, overcome the current limitations and problems South Korea has in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iscover alternatives. First, culture should be recognized as ‘a living process’ out of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relativism. Second, inter-cultural behavior skills should be promot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out of the point of view of exclusive ethnic-centered thinking. To do that, we should bring 'jus sanguinis' to the table, discuss racist issues seriously, and provide education of conscientizing open or hidden racial discrimination. Thir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y and the institutional strategy should be urgently arranged in order to execute the communicational culture education(intercultural education) for both fellow countrymen and children with immigration background. Fourth, the role of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as a venue of conversion study for the inter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fellow countrymen and resident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Fifth, the innovation as a structure and inter cultural contents in which th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Textbooks should also be written in intercultural perspective that the minorities are given the same social opportunities as the majorities, and such viewpoint should be embedded in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